KR19990032408U -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408U
KR19990032408U KR2019970045164U KR19970045164U KR19990032408U KR 19990032408 U KR19990032408 U KR 19990032408U KR 2019970045164 U KR2019970045164 U KR 2019970045164U KR 19970045164 U KR19970045164 U KR 19970045164U KR 19990032408 U KR19990032408 U KR 199900324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ateur
housing
diaphragm
ho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항병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45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408U/ko
Publication of KR19990032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408U/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의 개선된 바디 보강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하우징의 선단에 가장자리 둘레가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과 동축으로 조립되는 아마츄어와, 이 아마츄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아마츄어의 상하운동에 따라 단속되는 접점을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의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부가 수직충격에 대한 버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오프셋(off-set)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아마츄어의 충격력 작용방향에 대해 효율적인 버팀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보강구조는 성형구조가 단순해 금형제작비용 절감 및 금형의 조기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손쉽게 도장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hor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아마츄어의 충격방향에 대해 바디의 보강기능을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형상을 개선한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경음기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행중 주변의 차량이나 또는 보행자등에게 위험상황을 알리거나 경계를 위해 경적(警笛)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경음기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공기식과 전기식으로 분류되는데, 동작성이 우수한 전기식 경음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식 경음기는 전자석에 의해 금속재의 다이어프램(diaphragm)을 진동시켜 음원(音原)을 발생하는 것으로, 트럼펫(trumpet)의 형상에 의해 맴돌이형과 평형으로 나뉘는데, 맴돌이형에 비해 소형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평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전기식 평형 경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switch)를 누르면, 한쌍의 접점(contact:10)를 통해 코일(coil:3)에 전류가 인가되어 코어(core:2)가 자화되고, 이에 따라 아마츄어(amateur:5)가 코어(2) 쪽으로 흡인됨으로써 다이어프램(4)에 탄성변형이 발생된다. 이때 아마츄어(5)의 플랜지(flange:6)에 의해 판스프링(plate spring:8)이 눌리면서 접점(10)이 열리게 되어 코일(3)에의 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면 아마츄어(5)를 흡인하는 힘이 제거되어 다이어프램(4)의 복원탄성에 의해 아마츄어(5)가 반대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8)이 그 탄성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접점(10)이 닫히게 되어 코일(3)에의 통전이 재개된다. 이때 아마츄어(5)는 다이어프램(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를 초월하여 운동하게 되지만, 그때의 다이어프램(4)은 자신의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과 전자 흡인력 등에 따라 그것에 저항할 때 운동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아마츄어(5)의 연속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4)에 자려진동이 발생되고, 이 음이 진동판(vibrator:7)에 의해 지향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원거리까지 도달하게 된다.
한편, 이와같은 경음기의 하우징(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다이어프램(4)의 가장자리 둘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부는 코어(2)가 위치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의 베이스는 아마츄어(5)의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베이스면이 위치하게 되어 아마츄어(5)와 코어(2)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베이스에 전달되어 바디의 진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충격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베이스에 다수의 보강비드(11)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비드(11)는 베이스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수직방향의 충격하중에 대한 버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는 베이스 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성형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금형제작비용 및 금형의 조기마모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강비드가 방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도장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외모상 조잡하여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인식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역학적으로 아마츄어의 충격력 작용방향에 대해 효율적인 버팀이 가능하도록 오프셋각을 갖도록 하우징을 형성하여 바디의 보강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하우징의 선단에 가장자리 둘레가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과 동축으로 조립되는 아마츄어와, 이 아마츄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아마츄어의 상하운동에 따라 단속되는 접점을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의 충격력 작용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부가 수직충격에 대한 버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오프셋(off-set)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바디 보강구조를 보인 경음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바디 보강구조를 보인 경음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디 보강구조를 보인 경음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 ; 하우징(housing) 22 ; 코어(core)
23 ; 코일(coil) 24 ; 다이어프램(diaphragm)
25 ; 아마츄어(amateur) 27 ; 진동판(vib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는 대략 컵형의 하우징(21) 중앙에 코어(22)가 설치되고, 이 코어(22)의 둘레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코일(23)이 설치되어 전자석을 구성하게 된다. 하우징(21)의 선단에는 다이어프램(24)의 가장자리부가 채널(chnnel)형태의 클램핑링(clamping ring:35)에 의해 고정되어 그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
다이어프램(24)의 중앙에는 전자석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다이어프램(24)에 진동을 유발하는 아마츄어(25)가 동축을 이루도록 일체로 조립되는데, 이 아마츄어(25)의 선단에는 다이어프램(24)에서 발생된 음에 지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판(27)이 함께 고정된다. 이때 아마츄어(25)는 전자석의 코어(23)와 그 승강에 필요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하우징(21)의 일측에는 대략 U자형태의 판스프링(28)이 그 한쪽 림(limb:28a)을 통해고정되고, 다른쪽 림(28b)에는 가동접점(30b)이 설치된다. 이때 가동접점(30b)이 설치된 림(28b)의 선단부는 아마츄어(25)의 플랜지(26) 하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판스프링(28)의 상측으로는 가동접점(30b)과 접촉하여 코일(23)에의 전원을 인가하는 고정접점(30a)이 일단에 구비된 스탠드(29)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온되면, 접점(30)을 통해 코일(23)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어(22)가 자화됨으로써 아마츄어(25)가 코어(22) 쪽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아마츄어(25)의 플랜지(26)에 판스프링(28)의 한쪽 림(28b)이 눌려 가동접점(30b)이 고정접점(30a)과 떨어짐으로써 아마츄어(25)가 다이어프램(24)의 복원탄성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아마츄어(25)의 반복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24)에 자려진동이 발생됨 으로써 경음기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에 따라 상기 아마츄어(25)의 충격력 작용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21)의 베이스부가 수직충격에 대한 버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오프셋(off-set)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프셋각은 상기 아마츄어(25)의 충격력 작용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인 도 3에 도시된 가상선으로부터 더욱 더 절곡되게 성형된 각을 의미한다. 이와같은 오프셋은 상기 아마츄어(25)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해 하우징(21)의 베이스가 가상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강성이 향상되어 효율적인 버팀이 가능하게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경음기의 하우징 성형시 베이스에 오프셋을 갖도록 함으로써 아마츄어의 충격력 작용방향에 대해 효율적인 버팀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보강구조는 성형구조가 단순해 금형제작비용 절감 및 금형의 조기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손쉽게 도장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하우징의 선단에 가장자리 둘레가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과 동축으로 조립되는 아마츄어와, 이 아마츄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아마츄어의 상하운동에 따라 단속되는 접점을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의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부가 수직충격에 대한 버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오프셋(off-set)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KR2019970045164U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KR199900324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164U KR19990032408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164U KR19990032408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408U true KR19990032408U (ko) 1999-07-26

Family

ID=6969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164U KR19990032408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4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683A (ko) * 2000-07-07 2002-01-16 이문숙 경음기의 보빈 부착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경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683A (ko) * 2000-07-07 2002-01-16 이문숙 경음기의 보빈 부착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경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357217U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及骨传导耳机
US4135473A (en) Vehicular sound generator
KR19990032408U (ko)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JPH10296187A (ja) 振動発生装置、並びにその振動発生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3246321A (en) Electrical signaling devices
US4199752A (en) Audible signal device
JPH11168788A (ja) 可聴音声を発生させるための装置
KR200161860Y1 (ko)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KR19990032407U (ko) 차량용 경음기의 터미널 결합구조
US5285031A (en) Pendulum-activated switch assembly
KR19990032405U (ko)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컬링구조
KR19990032410U (ko) 차량용 경음기의 접점 조립체
US2942255A (en) Horn frame construction
US5894264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udible tone
JPH0446354Y2 (ko)
KR101866277B1 (ko) 차량용 경음기
KR102471391B1 (ko) 차량용 경음기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CN112435645A (zh) 喇叭
US5760679A (en) Acoustic warning device,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JPH11202871A (ja) 打撃音発生装置
US1243047A (en) Electrical signaling device.
US3562748A (en) Plastic air horn
JPS6344876Y2 (ko)
US1268863A (en) Automobile or motor-cycle ho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