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824Y1 -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24Y1
KR200270824Y1 KR2020010039648U KR20010039648U KR200270824Y1 KR 200270824 Y1 KR200270824 Y1 KR 200270824Y1 KR 2020010039648 U KR2020010039648 U KR 2020010039648U KR 20010039648 U KR20010039648 U KR 20010039648U KR 200270824 Y1 KR200270824 Y1 KR 200270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distribution box
fixing
member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9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24Y1/ko

Links

Landscapes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함의 바닥면에 변류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외관이 실링부재를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그 전후방측에 전장품으로 연결되는 전후방단자부(111,112)가 장착되면서, 그 양측부에 플랜지부 (113)가 형성되어진 변류기(110)의 고정브래킷을 구성함에 있어서, 플랜지부(113)의 전후면에 변류기(11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보울트결합된 상태에서, 그 몸체양단부에 연결부재(11)를 통해 변류기(110)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는 각각의 좌우수직부재(12,13)가 형성되며, 좌우수직부재(12,13)의 하단부에 배전함(100)의 바닥면으로 보울트결합되는 각각의 좌우절곡부재(20,30)가 형성되어, 변류기의 조립 및 분리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변류기의 고정력이 증대되어 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Device for fixing a current transformer of distributor box}
본 고안은 배전함의 바닥면에 변류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브래킷의 형상을 변경하여 변류기의 조립 및 분리과정에서 소요되는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용 변류기(이하 변류기라 함)는, 배전함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신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상태의 전류를 사용개소에 적합한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전장품으로서, 이러한 변류기는 실링부재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그 몸체전후방에 각각의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배전함(100)내에, 전신주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가능한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변류기(110)와, 변류기(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부(120) 및, 스위치부(120)의 작동과정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사용량을 산정하는 적산계(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전신주(미도시)의 전원공급라인에서 입력되는는 전원이 변류기(1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사용개소에 적합한 전류값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스위치부(120)의 개방과정에서 각 사용개소로 공급되고, 이때 사용개소의 전원사용량이 전산계 (130)를 통해 산정되어 계기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변류기(110)는, 그 외관이 플라스틱재질의 함체를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그 몸체전후방측에 전장품으로 연결되는 전후방단자부(111,112)가 장착되면서, 그 몸체양측부에 한 쌍의 고정브래킷(140)이 장착되는 플랜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브래킷(140)은, 플랜지부(113)의 측면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변류기(110)의 폭방향으로 보울팅되는 접착부(141)와, 접착부(141)의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보울트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배전함(100)의 바닥면으로 보울팅되는 결합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전함(100)에 변류기(110)를 설치하려는 경우, 변류기(110)의 몸체측부에 형성되어진 플랜지부(113)의 양측에 보울트(B1)를 통해 고정브래킷(140)의 접착부(141)를 고정시키고, 결합부(142)를 보울트(B2)로 조립하면, 배전함(100)의 바닥면에 변류기(110)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고정브래킷(140)의 결합부(142)로 보울트(B2)를 조립/분리하는 작업과정에서, 변류기(110)의 플랜지부(113)와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가 서로 간섭되므로서, 보울트(B2)의 조립/분리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고정브래킷(140)의 조립력이 저하되어 변류기(110)가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브래킷의 형상을 변경하여 보울트의 조립/분리작업에 따른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을 절감하여 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관이 플라스틱재질의 함체를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그 전후방측에 전장품으로 연결되는 전후방단자부가 형성되면서, 그 양측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진 변류기의 고정브래킷을 구성함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전후면에 보울팅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에 연결부재를 통해 좌우수직부재가 연결된 수직부와; 좌우수직부재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전함의 바닥면으로 보울팅되는 좌우절곡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함내에 변류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류기용 고정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류기용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용 고정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용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전함 110 : 변류기
12,13 : 좌우수직부재 20,30 : 좌우절곡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용 고정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용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확대도로서, 외관이 실링부재를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그 전후방측에 전장품으로 연결되는 전후방단자부(111, 112)가 장착되면서, 그 양측부에 플랜지부(113)가 형성되어진 변류기(110)의 고정브래킷을 구성함에 있어서, 플랜지부(113)의 전후면에 변류기(11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보울트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에 연결부재(11)를 통해 변류기(110)의 폭보다 넓은 거리를 유지하는 좌우수직부재(12,13)가 장착된 한 쌍의 수직부와; 좌우수직부재(12,13)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배전함(100)의 바닥면에 보울트결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좌우절곡부재(20,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배전함(100)의 변류기(110)와 스위치부 (120)와 적산계(130)는 종래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배전함(100)내에 변류기(11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정브래킷(1)의 형상이 변경된 것에 차이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부는, 그 몸체가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체하중을 지지하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그 몸체양단부에 연결부재(11)를 사이에 두고 일정 거리로 벌어짐과 더불어 변압기(110)의 폭방향을 따라 보울트결합되는 좌우수직부재 (12,13)가 수직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좌우수직부재(12,13)의 몸체에, 변류기(110)의 플랜지부(113)를 따라 보울트(B3)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각각의 상하보울트공(12a,12b,13a,1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절곡부재(20,30)는, 좌우수직부재(12,13)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그 몸체에 배전함(100)의 바닥면에 보울트(B4)를 통해 결합되는 보울트공(2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좌측절곡부(20)와 우측절곡부(30)의 사이공간 즉, 연결부재(11)의 길이를 변류기(110)의 폭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류기(110)를 배전함(100)의 바닥면에 고정하려는 경우, 일단 변류기 (110)의 양측부를 이루는 플랜지부(113)에 한 쌍의 고정브래킷(1)을 맞댄 상태에서 보울트(B3)로 조립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변류기(110)의 플랜지부(113)의 전후면에 즉, 변류기(110)의 폭방향에 고정브래킷(1)이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변류기(110)의 플랜지부에 고정브래킷(1)이 고정되는 경우, 변류기(110)의 양측부에서 좌우수직부재(12,13)가약간 돌출된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배전함(110)의 설치개소에 고정브래킷(1)의 좌우절곡부재(20,30)를 맞댄 상태에서, 보울트공(21,31)에 보울트(B4)를 삽입하여 조립하면, 변류기 (1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브래킷(1)은, 그 좌우절곡부재(20,30)가 변류기(110)의 양측부에 돌출된 상태이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정중앙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보울트(B4)를 조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에 의하면, 변류기의 조립 및 분리에 따른 작업과정이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에 의해 정중앙에서 이루어지므로, 변류기의 조립 및 분리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변류기의 고정력이 증대되어 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실링부재를 통해 외관이 밀폐된 상태에서, 몸체전후방에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부(111,112)가 형성되며, 몸체양측부에 플랜지부(113)가 형성되어진 통상적인 변류기(110)에 있어서,
    플랜지부(113)의 전후면에 변류기(11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보울트결합된 상태에서, 그 몸체양단부에 연결부재(11)를 통해 변류기(110)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는 각각의 좌우수직부재(12,13)가 형성되며, 좌우수직부재(12,13)의 하단부에 배전함(100)의 바닥면으로 보울트결합되는 각각의 좌우절곡부재(20,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KR2020010039648U 2001-12-21 2001-12-21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KR200270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48U KR200270824Y1 (ko) 2001-12-21 2001-12-21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48U KR200270824Y1 (ko) 2001-12-21 2001-12-21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824Y1 true KR200270824Y1 (ko) 2002-04-03

Family

ID=7311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648U KR200270824Y1 (ko) 2001-12-21 2001-12-21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0917668B1 (ko)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JP4224005B2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構造
CN112248782B (zh) 电动汽车的电机系统和电动汽车
KR200423110Y1 (ko) 멀티탭 단락스위치
KR200270824Y1 (ko)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KR20050098819A (ko) 분전반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190041660A (ko) 분전반용 자선부스바
KR100550180B1 (ko) 분전반
CN220171948U (zh) 开关支架、电池装置、电池包和用电设备
CN220475358U (zh) 一种86型接线底盒
KR101566937B1 (ko)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CN220858676U (zh) 配电回路结构及控制器
KR200398644Y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CN216162464U (zh) 一种双电源切换的配电箱
ITMI942111A1 (it) Centralino per impianti elettrici
CN1322644C (zh) 配电盘
KR100467059B1 (ko) 상가용 분전반
KR100334262B1 (ko) 자동차의 콘넥터 고정용 프로텍터
KR200284459Y1 (ko) 통합 분전함
JP4510563B2 (ja) 住宅用分電盤
US6252180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over for a conduit and an electronic equipment chassis employ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