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635B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635B1
KR100221635B1 KR1019960047457A KR19960047457A KR100221635B1 KR 100221635 B1 KR100221635 B1 KR 100221635B1 KR 1019960047457 A KR1019960047457 A KR 1019960047457A KR 19960047457 A KR19960047457 A KR 19960047457A KR 100221635 B1 KR100221635 B1 KR 10022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fixing member
terminal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770A (ko
Inventor
히데요시 이나즈미
겐니치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7002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탠드를 베이스와 지주로 분리할 수 있는 선풍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에 지주(4)의 지지부(25)를 삽입하여 지주지지부(10)의 단자와 지주부(25)의 단자를 접속하며, 베이스(3)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부(10)에 고정부재(35)를 장착하여, 고정부재(35)에 의해서 베이스(3)에 설치한 안전스위(21)을 조작하여 선풍기두부의 전동기에로의 전기공급을 가능하게하는 선풍기.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베이스와 지주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선풍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보이는 스탠드를 조립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2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의 요부 확대도.
제3도는 위의 베이스의 기틀 요부확대도.
제4도는 위의 지지기둥(지주)의 나사결합체의 저면도.
제5도는 위의 지지기둥의 나사결합체의 측면도.
제6도는 위의 스탠드를 조립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7도는 위의 스탠드를 조립한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위의 스탠드를 조립한 상태의 저면도.
제9도는 위의 스탠드의 분해상태를 보이는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를 보이는 스탠드의 저면도.
제11도는 위의 지지기둥의 저면도.
제12도는 위의 베이스기틀의 저면도.
제13도는 위의 베이스이 상면도.
제14도는 위의 선풍기의 외관 사시도.
제15도는 위의 회로도.
제16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이는 회로도.
제17도는 위의 회로를 구성하는 실시형태를 보이는 요부확대단면도.
제18도는 위의 베이스 기틀의 저면도.
제19도는 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베이스기틀의 저면도.
제20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21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를 보이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22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이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23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요부를 확대한 저면도.
제24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이는 제23도의 A-A단면도.
제25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를 보이는 제23도의 A-A단면도.
제26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고정부재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단면.
제27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를 보이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이는 고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29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를 보이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고정부재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단면도.
제31도는 위의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풍기 2 : 스탠드
3 : 베이스(Base) 4 : 지주(지지기둥)(支柱)
10 : 지주 지지부 19 : 기판
21 : 안전 스위치 22 : 조작부
23 : 제1단자(端子) 25 : 지지부
32 : 제2단자(端子) 35 : 고정부재
53 : 고정부재 54 : 탄성체
55 : 고정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탠드를 베이스와 지주(支柱)로 분리할 수 있는 선풍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 스탠드를 베이스와 지주로 분리할 수 있는 선풍기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실공소 57-58478호 공보(F16M 11/20)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풍기는, 베이스의 상면에 지주지지부를 오목하게 설치하여 이 지주지지부에 지주 아래끝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베이스의 이면측에서 베이스이면에 형성한 구멍을 통해서 지주의 나사구멍에 나사로 나가결합하여 베이스와 지주를 일체화 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베이스와 지주를 일체화한 상태로 베이스에 설치한 제1의 단자와 지주에 설치한 제2의 단자를 접속시켜 전동기에 급전(給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에 설치된 전원선을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제1단자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베이스에서 지주를 분리한 상태로 전원선을 콘센트에 접속하고 착오로 제1단자에 닿으면 감전할 우려가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의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이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게 하므로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이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서 지주의 지지부에 장착되어 베이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베이스에 장착한 지주의 지지부에로의 고정부재의 장착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이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삽입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하면에서 돌출하는 지주의 지지부에 장착되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은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고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조작부를 베이스 하면에서 돌출시켜 장착되며, 베이스하면에서 돌출시켜 장착되며, 베이스하면에서 돌출하는 지지부에로의 고정부재장착에 의해서, 고정부재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에서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안전 스위치의 조작부는 베이스의 하단보다 위쪽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게 하므로서 지주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에 의한 베이스의 단자에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하면측으로부터 지주의 지지부에 장착되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베이스에 장착한 지주의 지지부에로의 고정부재장착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재로 부터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그 지주에 이동이가능하게 설치하고,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게 하므로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단절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게 하므로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에 의해서 상기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의 하면측으로부터 지주의 지지부에 장착되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베이스에 장착한 지주의 지지부에로의 고정부재장착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재로 부터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한 지지부가 삽입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 하면에서 돌출하는 지주의 지지부에 장착되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부에 지지되면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조작부를 베이스 하면에서 돌출시켜 장착되며, 베이스 하면에서 돌출하는 지지부에로의 고정부재의 장착에 의해서 고정부재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에서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게 하므로서 지주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지지부에서의 이탈에 의해서 베이스의 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이 지주지지부에,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그 지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상부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성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팬과, 그 팬을 덮는 가아드체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단자와, 상기지주에 설치되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주지지부에로의 지지부의 장착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므로서 조작되어, 제1단자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서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안전스위치를 각 전원선에 각각의 접점을 갖는 단일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전스위치를 각전원선에 각각 설치하여 한쌍의 안전스위치를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의 약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선풍기(1)의 도면에 의거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2는 선풍기(1)의 스탠드로서 베이스 (3)과 베이스 (3)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지주(4)와, 지주(4)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슬라이드파이프(5)와, 슬라이드파이프(5)의 상단에 위. 아래방향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도시하지 않은, 목(頸)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목부재에는 전동송풍기를 갖는 선풍기 등의 부재가 좌,우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6은 상기 전동기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팬, 7은 상기 선풍기 두부에 팬(6)을 덮고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가아드이다.
상기의 베이스(3)은 아래면을 개구(開口)한 합성수지제의 기틀(8)과, 그 기틀(8)의 아래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금속제의 뚜껑체(9)로 구성되어 있다.
10은 상기 베이스(3)의 중앙부에 형성된 지주지지부로서, 베이스(3)상면의 지주지지부(10)의 둘레 테두리에 환상(環狀)의 오목한 홈(11)이 형성됨과 동시에, 지주지지부(10)의 하부의 둘레테두리에 환상의 오목한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13은 상기 지주지지부(10)의 둘레테두리벽에서 지주지지부(10)의 내측을 향해서 상,하로 부풀어 나온 형태로 형성된 위치결정돌기부로서, 상기 지주(4)의 후에 설명하게될, 지지부(25)에 설치한 위치결정 오목부(凹)(33)에 끼워들어가서 베이스(3)에 대하여 지주(4)가 도는 것을 멈추게 하고 있다.
14는 상기 기틀(8)의 지주지지부(10)의 둘레테두리벽하단에 형성된 환상의 걸어맞추는 홈(groove)으로서, 뚜껑체(9)의 후에 설명하게될, 환상의 입상부재(세워올린부재)(24)가 끼워맞게 되어 있다.
15는 상기 기틀(8)이면에서 하강형성되고, 기틀(8)의 둘레테두리벽과 한쪽의 위치결정부재(13)을 연결하는 리브(rib)로서, 전원선(16)을 수납하는 수납실(17)을 구획형성함과 동시에 전원선(16)을 붓싱(18)을 통해서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의 리브(15)는 위치결정돌기부(13)에서 형성하므로서 위치결정돌기부(13)을 보강하고 있다.
19는 상기 기틀(8)의 이면에 고정되는 기판으로서 기틀(8)에 설치한 조작부재(20)에 의해서 조작되는 스위치 등을 갖고 있다.
21은 상기의 기틀(8)이면에서 하강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보스(boss)에 고정되고, 다른쪽 위치결정돌기부(13)에 배치된 안전스위치로서, 그 조작부(22)를 뚜껑체(9)에서 이면으로 돌출시켜서 지주(4)의, 후술하게 될, 지지부(25)에 고정부재(35)를 나사결합시켰을 때 고정부재(35)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23)으로의 급전(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는 베이스(3)의 둘레테두리벽 하단에서 위쪽에, 그리고 지주(4)의 지지부(25) 하단에서 위쪽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부재(35)를 풀어낸 상태로 베이스(3)을 마루바닥 등에 올려놓아도 조작부(22)가 조작되는 일이 없다.
23은 상기 지주지지부(10) 하부에 배설된 제1단자로서, 상기의 기판(19)으로부터 급전(전력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체(9)의 지주지지부(10)을 형성하는 개구부둘레테두리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환상의 입상부재(24)가 프레스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입상부재(24)가 기틀(8)의 지주지지부(10)둘레테두리벽하단에 설치된 걸어맞추는 홈(14)에 끼워맞도록 되어 있다.
25는 상기 지주(4)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로서, 지주(4)와 일체로 형성된 기초부(26)에 고정되어, 후에 설명할 고정부재(35)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27)을 갖는 나사결합체(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지지부(25)의 기초부(26)에는 지지부(25) 상부에 테두리부(Collar)를 형성하고 테두리부(29)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상기 기틀(8) 상면의 오목한홈(11)에 끼워맞게하는 환상 리브(30)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부(25)의 기초부(26) 하단에는 지주지지부(10)의 하부둘레테두리의 오목한홈(12)에 끼워맞게 하는 끼워맞춤부(31)을 형성하고 있다.
32는 상기의 지지부(25) 하면에 설치된 제2단자로서, 지주지지부(10) 하단부에 배설된 제1단자(23)이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전동기에 급전하도록 되어 있다.
33은 상기 지주(4)의 기초부(26)의 측면에 지주지지부(10)의 위치결정돌기부(13)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위치결정 오목부(凹)로서, 지주지지부(10)에로의 지지부(25)의 삽입시, 위치결정돌기부(13)을 위치결정오목부(33)에 끼워맞게하여 지주지지부(10)에로의 지지부(25)의 위치결정을 함과 동시에, 지지부(25)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34는 상기의 나사결합체(28)의 위치결정오목부(33)에 형성된 걸고리부재로서, 지지부(25)를 지주지지부(10)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로 걸고리부재(34)가 지주지지부(10)의 하면에 걸어맞게하여, 지주(4)를 베이스(3)에 가고정(假固定)하도록 되어 있다.
35는 상기의 지주(4)를 베이스(3)에 고정하는 환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로서, 외부둘레벽, 내부둘레벽 및 바닥벽을 갖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둘레벽내면에 형성한 나사결합부(36)을 지주(4)의 나사결합부(27)에 나사결합하여 지주(4)를 베이스(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부재(35)는 지주(4)의 나사결합부(27)에 나사결합한 상태로,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 둘레테두리벽의 하단에 대향하도록함과 동시에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부재(35)에는 외부둘레벽과 내부둘레벽을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복수로 형성하고 있으며, 그 보강리브의 하나를 다른 보강리브보다 높게 형성하여 지주(4)의 나사결합부(27)에 나사결합한 상태로, 높게 형성한 보강리브를 지주지지부(10) 하단에서 아래로 연장설치한, (도시하지 않은)연장리브에 맞접하게 하여, 고정부재(35)의 조입이 지나치지 않게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회로를 제15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37은 제어회로로서 강압회로(38)을 통해서 제1단자(23)에 접속되고, 강압회로(38)로서 소정전압으로 강압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39는 상기의 기판(19)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가지는 조작스위치회로에서 스위치조작신호를 제어회로(37)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40은 상기 제어회로(37)의 신호에 따라서 전동기(41)을 제어하는 전동기구동회로, 42는 상기 제어회전(37)의 신호에 따라서 선풍기두부를 좌,우방향으로 목회전동작시키는 목회전모터(43)을 제어하는 목회전모터구동회로이다.
본실시예의 회로에 있어서 안전스위치(21)은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44)에서 제2단자(32)에 이르는 전원선(16)의 한편에 설치되는, 상시열려있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베이스(3)에로의 지주(4)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지주(4)의 지지부(25)를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에 위치결정오목부(33)에 위치결정돌기부(13)을 끼워맞게하여 삽입한다.
이 삽입조작을 할 때, 위치결정오목부(33)에 위치결정돌기부(13)이 끼워맞게되어 있으므로, 지지부(25)가 회전하여 단자(23),(32)에 힘이가해져서 파손되는 일은 없다.
지주(4)의 지지부(25)가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에 완전히 장착되면, 지지부(25)의 기초부(26)에 형성한 걸고리부재(34)가 지주지지부(10)의 하면에 걸어맞게되어 베이스(3)과 지주(4)를 가고정시킨다.
고정부재(35)를 나사붙임하기 위해서 지주(4) 베이스(3)과 함께 반전(反轉)시킬 필요가 있으나, 베이스(3)과 지주(4)가 가고정되어 있으므로 반전조작을 지주(4)만을 잡고도 할 수 있으며, 반전도중이나 반전상태에 있어서의 베이스(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3)과 지주(4)를 가고정한 상태로 반전시켜 지지부(25)의 나사결합부(27)에 고정부재(35)를 나사결합하여 베이스(3)과 지주(4)를 고정한다.
고정부재(35)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가 고정부재(35)에 눌려서, 단자(23),(32)를 통해서 전동기에 급전가능상태로 되어, 베이스(3)과 지주(4)의 조립이 완료한다.
고정부재(35)는 지주지지부(10) 둘레테두리벽 및 지지부(25) 벽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나사붙임되므로, 지주지지부(10)과 지지부(25)를 견고하게 조일 수가 있게 되고, 지주(4)를 흔들리지 않게 안정된 상태로 베이스(3)에 장착할 수 있다.
또, 고정부재(35)는 지지부(25) 외부둘레에 나사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베이스의 하면측에서 지주지지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통해서 고정부재의 나사를 나사결합하는 구성에 비해서, 지지부(25)와 고정부재(35)와의 나사결합부분의 면적이 많게 되어 지주(4)의 지지강도가 높게되고, 지주(4)를 베이스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지부(25) 상부의 환상(環狀)리브(30)이 지주지지부(10) 상부의 둘레 테두리 오목한 홈(12)에 끼워맞게 되므로 고정부재(35)를 나사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나, 고정부(35)가 완전히 조여저 있지 않은 상태로 지주(4)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환상 리브(30)과 오목한 홈(11)과의 끼워맞춤과, 끼워맞춤부(31)과 오목한홈(12)와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지주(4)가 더욱 안전된 상태로 지지된다.
실수로 베이스(3)이 밟히거나 하는 경우에서는 지주지지부(10)의 둘레벽이 안지름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하지만, 지지부(25)의 끼워맞춤부(31)을 지주지지부(10) 하부의 오목한홈(12)에 끼워맞게함과 동시에 뚜껑체(9)의 입상부재(24)를 베이스(3)의 걸어맞는홈(14)에 끼워맞게하고 있으므로, 지주지지부(10)의 강도가 향상하여, 지주지지부(10)의 둘레벽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 지주(4)의 테두리부(Collar)(29)가 실수로 밟히거나 할 경우에는, 지주(4)의 테두리부(29)가 상방으로 휘어젖혀지게 변형하려고하지만, 지지부(25)의 환상리브(30)이 지주지지부(10) 사부의 둘레테두리의 오목한홈(11)에 끼워맞춤함과 동시에, 지지부(25)의 끼워맞춤부(31)이 지주지지부(10) 하부둘레테두리의 오목한홈(12)에 끼워맞게되므로, 지주(4) 하부의 강도가 향상되어 지주(4)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안전스위치(21)은 지주(4)를 베이스(3)에 장착하여, 지주(4)의 지지부(25)에 고정부재(35)를 나사결합하는 것으로서, 고정부재(35)에 의해서 조작되는 것이므로, 다시 말하면, 베이스(3)과 지주(4)를 확실히 고정한 상태가 아니면 조작되지 않으므로 전원선(16)을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로 베이스(3)에서 지주(4)를 풀어내고, 실수로 제1단자(23)에 접촉하여도 감전하는 일이 없을 뿐아니라, 고정부재(35)를 장착하는 것을 잊고서, 지주(4)가 불안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착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는, 베이스(3)의 둘레테두리벽하단에서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부재(35)를 풀어낸상태에서 베이스(3)을 마루바닥 등에 놓아두어도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가 마루바닥면에 의해서 조작되는 일이 없고, 감전사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전스위치(21)을 플러그(44)에서 제1단자(23)에 이르는 전원선(16)의 한편쪽에만 설치하였으나 제1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플러그(44)에서 제1단자(23)에 이르는 양전원선(16)에 설치하여도 좋다.
전원선(16)의 한쪽만을 차단하는 구성의 경우, 사용자가 접지(earth)된 상태로 다른쪽의 전원선(16)이 접속된 접점에 접촉하면 누설전류가 흐를우려가 있으며 용이하게 제1단자(23)에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양전원선(16)을 차단하는 본실시예에서는 누전전류대책을 위한 제1단자(23)부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양전원선(16)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양전원선(16)에 상기 개방접점을 갖는 2접점의 안전스위치(21)을 설치하여 이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를 고정부재(35)에 의해서 조작하는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일의 안전스위치(21)에 의해서 양전원선(16)을 차단할 수 있으며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전원선(16)에 각각 안전스위치(21),(21)을 설치하여 이 안전스위치(21),(21)의 조작부(22),(22)를 고정부재(35)에 의해서 조작하는 구성으로도 좋다.
이 구성으로는, 안전스위치(21),(21)을 지주지지부(10)의 약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스위치(21),(21)을 2개 설치한 구성에서는 안전스위치(21)을 1개설치한것에 비하면, 안전스위치(21),(21)의 조작부(22),(22)의 복귀력(復歸力)에 의해서, 고정부재(35)가 지주(4)에 풀리는 방향으로 큰힘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안전스위치(21),(21)을 지주지지부(10)의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설하는 구성으로 하면, 안전스위치(21),(21)의 조작부(22),(22)의 복귀력이 고정부재(35)를 비집어트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고정부재(35)의 조작성이 나쁘게 하는 문제가 있으나, 안전스위치(21),(21)을 약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배설하는 구성에서는, 안전스위치(21),(21)의 조작부(22),(22)의 복귀력이 고정부재(35)에 치우쳐서 작용하는 일이 없고, 고정부재(35)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재(35)를 지주(4)의 지지부(25)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부(25)와 거의 맞대향하는, 측면이 원기둥형의 돌출부(45)를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부재(35) 내면에, 지지부(25)의 돌출부(45)가 끼워져 맞는 L자형의 걸어맞추는 홈(46)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고정부재(35)를 걸어맞추는 홈(46)에 돌출부(45)를 끼워맞게한 상태로 걸어맞추는 홈(46)을 따라서 지주(4)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고정부재(35)를 돌출부(46)이 걸어맞추는 홈(46)의 끝부분에 형성한 걸어맞추는 돌기(47)을 타고 넘는데까지 걸어맞추는 홈(46)을 따라서 회전시키므로서 고정한다.
이 고정상태로 고정부재(35)가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를 눌러서, 제1단자(23)에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걸어맞추는 홈(46)은 제21도 및 제22도에 보이는 바와 같치 그 수평방향부분을 끝부분이 점점 베이스(3)에 근접하도록 경사시켜서, 고정부재(35)의 회전에 의해서 베이스(3)과 지주(4)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고정부재(35)의 착탈시의 회전조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착.탈조작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 지주(3)의 지지부(25)와 고정부재(35)를 제23도 내지 제25도에 나타내는 구성으로하여도 좋다.
즉, 지지부(25)의 맞대향하는 측면에 오목한홈(48)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부재(35)를 긴원형(長圓形)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면에 고정부재(3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한홈(48)에 삽입, 끼워맞게하는 걸어맞는 리브(49)를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는 제23 및 제25도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걸어맞는 리브(4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정부재(35)의 한끝측에 지지부(25)를 삽입하여, 고정부재(35)를 제23도중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4도에 보이는바와 같이 걸어맞는 리브(49)를 오목한홈(48)에 끼워맞게 한다.
걸어맞는리브(49)는 앞끝측을 따라서 점차로 베이스(3)을 향해서 근접하도록 경사하고, 또한 오목한홈(48)은 걸어맞는 리브(49)의 삽입방향을 향해서 점차로 베이스(3)을 향해서 근접하도록 경사하고 있으므로, 고정부재(35)의 슬라이딩동작에 따라서 고정부재(35)가 베이스(3)과 지주(4)를 밀착고정한다.
오목한홈(48)에 돌기(50)을 형성함과 동시에 걸어맞는 리브(49)에 걸어맞는 리브(49)를 오목한홈(48)에 끼워 맞춘상태로 돌기(50)에 걸어맞는 오목부(5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고정ㅂ재(35)가 탈락하는 일이 없다.
이 고정부재(35)를 장착한 상태로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35)가 안전스위치(21)을 조작하여 제1단자(23)에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지주(4)의 지지부(25)를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에서 하면측으로 돌출시켜, 베이스하면에서 돌출한 지지부(25)에 고정부재(35)를 고정하여, 베이스(3)과 지주(4)를 일체화하는 구성으로 하였는바, 제26도 및 제27도에 보이는 실시예와 같이, 지주지지부(10) 저면에 뚫어설치한 뚫린구멍(52)를 통해서 나사로된 고정부재(53)을 관통삽입하여, 고정부재(53)을 지지부(25) 저면에 나사결합하고, 지주(4)와 베이스(3)을 고정하는 구성으로하며, 고정부재(53)에 의해서 베이스(3)과 지주(4)를 고정시킨 상태로 고정부재(53)에 의해서 안전스위치(21)을 누르는 조작을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실시형태는 안전스위치(21)을 고정부재(35),(53)에 의해서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28도 및 제2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안전스위치(21)을 조작부(22)가 지주(4)에 의해서 조작되는 위치에 배설하고,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 저면에 지주지지부(10)에 지주(4)의 지지부(25)를 삽입한 상태만으로는 지주(4)에 의해서 안전스위치(21)가 조작되지 않고, 또한 고정부재(53)을 지지부(25)에 나사결합한상태로, 지주(4)에 의해서 안전스위치(21)을 조작하도록 지주(4)를 상방으로 가세하는 탄성체(54)를 설치하여, 안전스위치(21)을 지주(4)에 의해서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각실시형태는 고정부재(35),(53)을 베이스(3) 하면측에서 지주(4)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30도 및 제3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3) 상면에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를 제30도 및 제3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55는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로서 외부둘레벽, 내부둘레벽 및 천정벽을 갖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둘레벽의 하부내면에 나사결합부(56)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둘레벽에서 내측을 향해서 지주(4)의 테두리부(Collar)(29)에 맞접하는 테두리부(57)을 형성하고 있다.
58은 베이스의 지주지지부(10) 둘레테두리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한 홈이며, 고정부재(55)의 나사결합부(56)이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59)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는 지주(4)의 지지부(25)를, 베이스(3)의 지주지지부(10)에 삽입하여 베이스(3)의 오목한 홈(58)에 고정부재(55)를 나사결합시켜 고정한다.
이 상태로는 제2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55)의 테두리부(57)이 지주(4)의 테두리부(29)에 맞접하여, 지주(4)를 베이스(3)에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부재(55)의 외부둘레벽이 안전스위치(21)의 조작부(22)를 눌러조작하여 단자(23)에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6도 내지 제19도에 보이는 실시형태와 같이 양전원선(16)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며,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한 상태에서만이 통전 가능으로 되기 때문에, 베이스와 지주의 고정을 잊어버리고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착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한 베이스와 지주가 고정된 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므로, 베이스와 지주의 고정을 잊어버리고,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착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정부재는 베이스이 하면측에서 지주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상태등에서는 고정부재가 보이지 않고, 따라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며,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되고,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고정부재는 베이스하면에서 돌출하는 지주의 지지부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상태에서는 고정부재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손상이 없고, 지주를 더욱 안정되게 베이스에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만을 마루 등에 놓았을 때에 마루등으로 안전스위치가 조작되지 않으며,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5의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시킨 상태에서의 감전사고가 방지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시키는 것을 잊어버린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향상에 효과를 나타낸다.
본발명의 청구항 6의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시킨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한 상태에서만 통전가능하게 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불안정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향상되고, 또, 고정부재는 베이스의 하면측에서 지주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상태등에서는 고정부재가 보이지 않고, 따라서 외관의 손상이 없는 등 효과를 나타낸다.
본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풀어낸 상태에서 지주가 안전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은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한 베이스와 지주의 고정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9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한 상태에만 통전이 가능하게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 안전스위치는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누설전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10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한 베이스와 지주의 고정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게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시키는 일을 잊어버린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안전스위치는 제1단자에로의 한싸의 전원선을 차단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누설전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는 베이스이 하면측에서 지주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상태에서는 고정부재가 보이지 않아서 외광의 손상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한 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게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안전성 향상에 효과가 있고, 또, 안전스위치는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누설전류를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게된다.
또한 고정부재는 베이스의 하면에서 돌출하는 지주의 지지부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태에서는 고정부재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 손상도 없고, 지주를 더욱 안정적으로 베이스에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한 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안전스위치는 제1단자에로의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누설전류를 확힐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발명의 청구항 13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됨과 동시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한 상태에서만 통전이 가능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사용을 방지 할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안전스위치는 제1단자에로의 한싸의 전원선을 차단하므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누설전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발명의 청구항 14의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누설전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의 청구항 15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재의 착탈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베이스와 지주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누설전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5)

  1.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며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과, 이 팬을 덮는 가아드체를 구비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제1단자를 설치하며, 상기 지주에는, 지지부를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로 통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 제1단자로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를 고정부재에 의해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지주지지부에 장착한 상태로 지지부를 베이스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키며, 상기 안전스위치를, 베이스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의 조작부를 베이스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를, 지주에 의해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베이스에 장착한 지주의 지지부에 장착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지주에 의해서 안전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지주의 지지부가 지주지지부로 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지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를 베이스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지주와 베이스를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안전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9. 지주지지부를 갖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지지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는 전동기를 갖는 선풍기두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과, 이 팬을 덮는 가아드체를 구비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제1단자를 설치하며, 상기 지주에, 지지부를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제1단자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단자를 설치한 것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부재에 의해 베이스와 지주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되어 제1단자로 통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 제1단자로 한쌍의 전원선을 차단하는 안전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를, 고정부재에 의해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지주지지부에 장착한 상태로 지지부를 베이스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키며, 상기 안전 스위치를, 베이스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를, 지주에 의해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3. 제9항에 있어서, 지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를 베이스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지주와 베이스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안전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4. 제9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를, 각 전원선에 각각 접점을 갖는 단일의 스위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5. 제9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를, 각 전원선에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그 안전스위치를, 베이스의 지주지지부에 약180도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19960047457A 1995-10-24 1996-10-22 선풍기 KR100221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56495 1995-10-24
JP95-275564 1995-10-24
JP96-20150 1996-02-06
JP02015096A JP3402899B2 (ja) 1995-10-24 1996-02-06 扇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770A KR970021770A (ko) 1997-05-28
KR100221635B1 true KR100221635B1 (ko) 1999-09-15

Family

ID=2635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457A KR100221635B1 (ko) 1995-10-24 1996-10-22 선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02899B2 (ko)
KR (1) KR100221635B1 (ko)
CN (1) CN1067466C (ko)
MY (1) MY1237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3817B2 (ja) * 2006-08-25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軸流ファンの追加翼設計方法
GB2468312A (en)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GB0919473D0 (en) 2009-11-06 2009-12-23 Dyson Technology Ltd A fan
DK2578889T3 (en) 2010-05-27 2016-01-04 Dyson Technology Ltd Device for blasting air by narrow spalte nozzle device
GB2482547A (en)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WO2012049470A1 (en) 2010-10-13 2012-04-19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EP2630373B1 (en) 2010-10-18 2016-12-28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484670B (en) 2010-10-18 2018-04-2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US9926804B2 (en) 2010-11-02 2018-03-27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assembly
GB2493506B (en) 2011-07-27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O2013014419A2 (en) 2011-07-27 2013-01-31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01119500D0 (en) 2011-11-11 2011-12-2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496877B (en) 2011-11-24 2014-05-0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499041A (en)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Bladeless fan including an ionizer
GB2499044B (en) 2012-02-06 2014-03-19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99042A (en)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A nozzle for a fan assembly
GB2500010B (en) 2012-03-06 2016-08-24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1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2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RU2606194C2 (ru) 2012-03-06 2017-01-10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Узел вентилятора
GB2500017B (en) 2012-03-06 2015-07-29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12192B (en) 2012-03-06 2015-08-05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903B (en) 2012-04-04 2015-06-24 Dyson Technology Ltd Heating apparatus
GB2501301B (en) 2012-04-1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AU350140S (en) 2013-01-18 2013-08-1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AU350181S (en) 2013-01-18 2013-08-15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BR302013003358S1 (pt) 2013-01-18 2014-11-25 Dyson Technology Ltd Configuração aplicada em umidificador
CA2899747A1 (en) 2013-01-29 2014-08-07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510195B (en) 2013-01-29 2016-04-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A152656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USD729372S1 (en) 2013-03-07 2015-05-12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CA152655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CA152657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BR302013004394S1 (pt) 2013-03-07 2014-12-02 Dyson Technology Ltd Configuração aplicada a ventilador
CA152658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TWD172707S (zh) 2013-08-01 2015-1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
CA154723S (en) 2013-08-01 2015-02-16 Dyson Technology Ltd Fan
CA154722S (en) 2013-08-01 2015-02-16 Dyson Technology Ltd Fan
GB2518638B (en) 2013-09-26 2016-10-12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GB2528708B (en) 2014-07-29 2016-06-29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28704A (en) 2014-07-2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GB2528709B (en) 2014-07-29 2017-02-08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951A (en) * 1989-08-09 1991-05-28 Duracraft Corporation Portable electrical fan
DE4017839A1 (de) * 1990-06-02 1991-12-05 Zumtobel Ag Neigungsschalter fuer stehleuchten
CN2142505Y (zh) * 1992-10-07 1993-09-22 梅健 组合成一体的台灯鸿运扇
CN2189662Y (zh) * 1994-01-03 1995-02-15 王建新 塑料复合落地扇底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770A (ko) 1997-05-28
MY123765A (en) 2006-06-30
JP3402899B2 (ja) 2003-05-06
JPH09178083A (ja) 1997-07-11
CN1067466C (zh) 2001-06-20
CN1158390A (zh) 1997-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635B1 (ko) 선풍기
JP6277573B1 (ja) 発信機及び表示灯付き発信機
KR101045157B1 (ko)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CN208295717U (zh) 一种吸顶灯
US6448515B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with fused mechanical interlock
JPH06856Y2 (ja) 電気機器のケーブル引出し装置
JP2006318720A (ja) アタッチメント仮支持クリート
US6146159A (en) Cover assembly for wall mounted electrical device enclosure
EP1202310B1 (en) Modular set for electrical mechanisms
CN217562439U (zh) 一种开关安装结构
KR200142984Y1 (ko) 모니터용 조정놉 케이스 결합구조
JP3258987B2 (ja) 扇風機
JPH05217411A (ja) 天井照明器具
JP3021581U (ja) 自動販売機の押釦スイッチ装置
JP2002340282A (ja) 製品の壁体への取り付け構造
KR19980066858U (ko) 텔레비젼용 파워코드 고정구의 설치구조
KR100193395B1 (ko) 선풍기
KR20030816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 고정장치
JPH09119594A (ja) 扇風機
JP2545586Y2 (ja) 電気コンセント付きガスコック
KR200181934Y1 (ko) 김치냉장고
JP3182377B2 (ja) 扇風機
JP3141690B2 (ja) 化粧カバー付き給電装置
JPH07238898A (ja) 扇風機
KR200208870Y1 (ko) 간헐동작과 연속동작을 겸하는 스위치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