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157B1 -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157B1
KR101045157B1 KR1020080102235A KR20080102235A KR101045157B1 KR 101045157 B1 KR101045157 B1 KR 101045157B1 KR 1020080102235 A KR1020080102235 A KR 1020080102235A KR 20080102235 A KR20080102235 A KR 20080102235A KR 101045157 B1 KR101045157 B1 KR 10104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p member
elastic sealing
sealing body
push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238A (ko
Inventor
코슈케 카키타
타카히사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 H01H2221/03Stoppers for on or off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28Mounting on appliance detach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2Knob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케이스(8); 상기 스위치 케이스(8)에 고정되는 스위치 바디(4);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4)를 덮고 밀봉하는 탄성 실링체(5); 경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실링체(5)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부재(6); 상기 캡 부재(6)에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 상의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 노출되는 푸쉬버튼부(3);및 상기 캡 부재(6)에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의 주연부(peripheral area)에서의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의 배면과 간섭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8)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부(7)가 구비된 푸쉬버튼 스위치(100)에 관한 것이다.
푸쉬버튼, 스위치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PUSHBUTTON SWITCH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푸쉬 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JP-B2-3208574호에는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수용되는 스위치 바디와, 푸쉬-다운(push-dow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바디를 작동하는 푸쉬버튼을 가진다.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규제된다. 상기 푸쉬버튼의 작동 클리어런스(operating clearance)로부터 상기 스위치 바디 내부의 저장 영역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에 실링 고무(sealing rubber)가 배치되어 그 외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푸쉬버튼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미리 조립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푸쉬버튼의 색상 사양이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푸쉬버튼의 색상 사양을 미리 고려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를 조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생산 융통성이 부족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푸쉬버튼의 교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푸쉬버튼과 상기 고무 부재(rubber member)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해결된다.
그러나, 상기 푸쉬버튼을 연질의 고무 부재와 연결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이들 사이에 높은 연결 강도가 기대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푸쉬버튼의 분리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연결 공차(engaging margin)을 상당히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푸쉬버튼과 상기 고무 부재 사이의 연결 강도가 증가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푸쉬버튼의 장착을 위한 작업성이 극히 악화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버튼의 생산성이 감소된다. 나아가, 상기 고무 부재의 손상 가능성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의 밀봉 신뢰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는 푸쉬버튼 등의 다양한 색사양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는 상술한 취부 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쉬버튼 스위치(100)에는 스위치 케이스(8)에 수용되는 스위치 바디(4)와, 상기 스위치 바디(4)가 수용되는 수용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탄성 실링체(5)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실링체(5)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4)를 조작하기 위한 푸쉬버튼부(3)가, 상기 탄성 실링체(5)에 연결되는 경질의 캡 부재(6)에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가 취부되는 스위치 취부 장치(2)에는 스위치 노출 개구(1)가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에 상기 푸쉬버튼부(3)를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고정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고정된 상태에서, 끌어당기는 방향의 힘이 캡 부재(6)에 작용될 때, 상기 캡 부재(6)에 형성되는 스토퍼부(7)는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 배면측의 스위치 노출 개구(1)의 주연부(peripheral edge portion)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7)는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 탈거가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탄성 실링체(5)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규제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부(7)는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접하도록 야기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탄성 실링체(5)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상기 캡 부재(6)와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의 탄성 실링체(5) 사이에 높은 연결 강도가 필요없고, 심지어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 실링체(5)에 대하여 상기 캡 부재(6)를 임시로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 로 상기 캡 부재(6)를 상기 탄성 실링체(5)에 연결하는 것으로 족하다. 따라서, 스위치 취부 장치(2)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양에 따라 캡 부재(6)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캡 부재(6)를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실링체(5)가 우발적으로 긁히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술한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가압부(5c)가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두부(head portion)에 형성되고,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탄성 실링체(5)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두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를 장착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 상기 캡 부재(6)의 색 사양 등의 변화에 더하여, 상기 캡 부재(6)를 장착하지 않고, 상기 탄성 실링체(5)의 가압부(5c)가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 직접 노출되도록 하는 사양에 동일한 푸쉬버튼 스위치(100)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6)를 상기 탄성 실링체(5)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 실링체(5)의 가압부(5c)를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장착 위치가 인입 방향(push-in direction)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 위치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높이 조절은, 예컨대, 상기 취부 부재와 스위치 케이스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개입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바닥벽에 상기 취부 부재(10)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가 형성될 때, 상기 취부 부재(10)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상기 캡 부 재(6)가 존재하거나 부존재하는 모든 경우의 사양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품 공용화가 달성된다. 게다가,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 내에 상기 스페이서를 장착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를 장착하는데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쉬버튼부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에 쉽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색 사양 또는 푸쉬버튼의 사양들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푸쉬버튼부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이 저절로 탈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 설명, 도면 및 청구항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자동차의 외부 핸들(2)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외부 핸들(2)은 힌지(2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자동차의 도어 패널(12)에 장착된다. 회전 동작에 따라 야기되는, 반대편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2b)의 변위를 이용하여 도어 래치(13)가 동작된다.
상기 도어 래치(13)의 동작은 부정한 도어 개방 조작을 규제하기 위하여 잠겨질 수 있다. 푸쉬버튼 스위치(100)은 상기 도어 래치(13)의 잠김/잠김 해제 제어를 위한 스위치로써 사용되고, 상기 외부 핸들(2) 내에 조립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의 푸쉬버튼부(3)가 노출되도록 하는 타원 형상의 노출 개구(1)가 상기 외부 핸들(2)에 개설된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스위치 케이스(8), 및 상기 스위치 케이스(8) 내에 수용되는 스위치 바디(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바디(4)에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사용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초기 상태에서 작동 돌기부(4a)를 내부로 가압함으로써 온(ON) 상태에 놓여진다. 반대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가압 조작력을 해제함으로써 오프(OFF) 상태로 놓여진다. 상기 가압 조작력의 해제에 따라 오프 위치로 상기 작동 돌기부(4a)를 이동시켜 상기 작동 돌기(4a)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 바디(4)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8) 내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4)에 안착된다. 온-신호 및 오프-신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에 고정되는 단자(15)를 통하여 신호선(미도시)을 경유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8)로부터 인출된다.
바닥부로부터 물 및 먼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4)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상단부 근처에 배치된다. 나아가, 하방 중공부는 밀봉 수지재(11)로 채워진다.
또한, 취부 부재(10)는, 상기 밀봉 수지재(11)를 접착제로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취부 부재(10)는 금속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취부 부재(10)는, 상기 밀봉 수지재(11)를 이용하여 상기 취부 부재(10)가 고정되는 고정 위치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날개편(9)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상단부 전체면에 걸쳐, 내향 플랜지(inward flange)(8a)가 형성된다. 상기 내향 플랜지(8a)를 이용하여 탄성 실링체(5)가 그 위에 안착된다. 상기 탄성 실링체(5)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이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을 이용하여 폐쇄된다. 상기 탄성 실링체(5)는, 상기 탄성 실링체의 바닥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 요부(fitting concave portion)(5a) 내부로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내향 플랜지(8a)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스위치 케이스(8)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상기 탄성 실링체(5)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상측 개구가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4) 상측에 제공되는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충분한 밀봉 성능을 발휘하고, 상기 탄성 밀봉체(5)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8)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향 플랜지(8a)와 상기 끼움 요부(5a) 사이에 충분한 끼움 공차(fitting margin)가 설정된다.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는 캡 부재(6)가 상기 탄성 실링체(5)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외부 핸들(2)의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에 끼워질 수 있는 평면상 타원 형상을 가지는 푸쉬버튼부(3)의 하방에 연결부(16)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6)는 평면상 상기 푸쉬버튼부(3)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부(7)와, 상기 스토퍼부(7)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지는 한 쌍의 연결편(17)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16)는, 각각의 연결편(17) 상단부에 개설되는 연결 개구(17a)들 중 대응되는 하나에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돌기부(5b)를 끼워넣음으 로써 상기 탄성 실링체(5)에 연결된다.
상기 끼움 돌기부(5b)는, 상기 탄성 실링체(5)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개구(17a)에 끼워진다. 상기 끼움 돌기부(5b)와 상기 연결 개구(17a) 사이의 끼움 강도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의 안전 보관 및 운반 시에 상기 연결 개구들(17a) 각각으로부터 상기 끼움 돌기부(5b)가 무심코 분리되지 않는 정도로 충분하고, 상기 끼움 돌기부들(5b)을 상기 연결 개구들(17a)에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하게 설정된다. 나아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곳에 제공되는 상기 끼움부의 끼움 치수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8)에 상기 캡 부재(6)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방향성을 고려하여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의 오조립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부재(6)의 천정 후면은 상기 스위치 바디(4)의 작동 돌기부(4a)에 접촉된다. 상기 캡 부재(6)가 가압될 때, 상기 스위치 바디(4)는 온(ON) 방향으로 동작한다. 조작력이 해제 될 때,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스위치 바디(4)및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상기 외부 핸들(2)의 측후면으로부터 상기 취부 부재(10)의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 내부로 상기 캡 부재(6)의 상기 푸쉬버튼부(3)를 끼워넣음으로써 온(ON) 상태로 놓인다. 상기 취부 부재(10)에 개설되는 취부홀(10a)을 관통하는 나사(18)가 결합되는 너트(19)는 상기 외부 핸들(2)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푸쉬버 튼 스위치(100)를 고정한다.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가 상기 외부 핸들(2)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부(3)의 주연부(circumference edge)는 상기 푸쉬버튼부(3)의 내주벽에 둘러싸인다. 따라서, 상기 캡 부재(6)는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부(7)의 천장면은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의 주연 배면(peripheral rear surface)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7)의 천장면은 상방 이동, 다시 말하면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의 분리가 규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탄성 실링체(5)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규제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또한, 본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부호와 동일하게 지칭된다. 따라서, 그러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외부 핸들(2)의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에 끼워지고, 상기 외부 핸들(2)의 전면측으로부터 동작될 수 있는 가압부(5c)가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두부(head portion)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부(3)를 포함하는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탄성 실링체(5)의 상부에 거듭 안착된다. 상기 캡 부재(6)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캡 부재(6)의 연결 개구(17a)에 상기 끼움 돌기부(5b)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탄성 실링체(5)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의 단일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탄성 실링체(5)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나아 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가 상기 외부 핸들(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상기 캡 부재(6)의 스토퍼부(stopper portion)(7)에 의하여 상기 외부 핸들(2)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취부 부재(10)의 교체와 동시에 제거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양이 상기 탄성 실링체(5)의 가압부(5C)가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에 직접 노출되는 사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변형예에서 변화없이 구성 요소 대부분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사양이 변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융통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취부 부재(10)는, 상기 캡 부재(6)를 사용한 케이스와 사용하지 않은 케이스 간의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의 길이 치수 차이가 흡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부재(6)가 사용되는 사양에 사용되는 취부 부재(10)에 높이 조절을 위한 절곡부(10b)가 제공된다.
나아가, 본 변형예에서, 상기 취부 부재(10)는 하측 공동부(the lower hollow portion)가 실링 수지로 충진될 때의 사양에 대응하여 선택된다. 더욱이, 상기 취부 부재(10)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8)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상기 취부 부재(10)를 장착함에 있어서 사양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자동차의 외부 핸들(2)이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로 선택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에 더하여, 다양한 장치들이 상기 스위치 취 부 장치(2)로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세 설명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변형예에 관하여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항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권리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형 및 수정을 모두 커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상시 실시예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푸쉬버튼 스위치의 도면이다.
도 2a는 스위치 케이스 내의 캡 부재의 장착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상기 캡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보여지는 화살표(3B)를 따르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는 상기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캡 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노출 개구
2 : 스위치 취부 장치
3 : 푸쉬버튼부
4 : 스위치 바디
5 : 탄성 실링체
5c : 가압부
6 : 캡 부재
7 ;스토퍼부
8 : 스위치 케이스
9 : 고정 날개편
10 : 취부 부재
11 : 실링 수지재
100 : 푸쉬버튼 스위치

Claims (4)

  1. 스위치 취부 장치(2); 및
    푸쉬버튼 스위치(100)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는 스위치 노출 개구(1)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100)는,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 노출되는 푸쉬버튼부(3);
    상기 푸쉬버튼부(3)에 의하여 동작 가능한 스위치 바디(4);
    상기 스위치 바디(4)를 덮고 밀봉하는 탄성 실링체(5), 상기 푸쉬버튼부(3)는, 경질의 재료(hard material)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실링체(5)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 부재(6) 내에 형성됨; 및
    상기 캡 부재(6)에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의 주연부(peripheral area)에서의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의 배면과 간섭되게 형성되며,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부(7)를 포함하고,
    상기 캡 부재 내에 연결 개구(17a)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실링체(5) 내에 끼움 돌기부(5b)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 돌기부(5b)는 상기 연결 개구(17a)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 실링체(5)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실링체(5)의 상부면이 폐쇄되고,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두부(head portion)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2. 스위치 케이스(8);
    상기 스위치 케이스(8)에 고정되는 스위치 바디(4);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4)를 덮고 밀봉하는 탄성 실링체(5);
    경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실링체(5)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부재(6);
    상기 캡 부재(6)에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 상의 스위치 노출 개구(1)로부터 노출되는 푸쉬버튼부(3);및
    상기 캡 부재(6)에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 노출 개구(1)의 주연부(peripheral area)에서의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의 배면과 간섭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8)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캡 부재(6)가 상기 스위치 취부 장치(2)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부(7)를 포함하고,
    상기 캡 부재 내에 연결 개구(17a)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실링체(5) 내에 끼움 돌기부(5b)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 돌기부(5b)는 상기 연결 개구(17a)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 실링체(5)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실링체(5)의 상부면이 폐쇄되고,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두부(head portion)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체(5)의 두부에 형성되는 가압부(5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부재(6)는 상기 가압부(5c)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10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8)에 충진되는 실링 수지재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8)의 바닥벽에 고정되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 날개편(9)을 포함하는 취부 부재(10)를 더 포함하는 푸쉬버튼 스위치(100).
KR1020080102235A 2007-10-19 2008-10-17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KR10104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2922A JP5270129B2 (ja) 2007-10-19 2007-10-19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JP-P-2007-272922 2007-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238A KR20090040238A (ko) 2009-04-23
KR101045157B1 true KR101045157B1 (ko) 2011-06-30

Family

ID=4030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235A KR101045157B1 (ko) 2007-10-19 2008-10-17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83278B2 (ko)
EP (1) EP2051268B1 (ko)
JP (1) JP5270129B2 (ko)
KR (1) KR101045157B1 (ko)
DE (1) DE60200800287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966B1 (ko) * 2008-11-13 2010-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US8502097B2 (en) 2010-12-22 2013-08-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Bridge style push-button with anchoring
DE102011008989A1 (de) * 2011-01-20 2012-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chaltervorrichtung
US8698027B2 (en) 2011-08-04 2014-04-15 Stencil Cutting and Supply Co., Inc. Pushbutton switch
JP5461491B2 (ja) 2011-08-30 2014-04-0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イッチ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2014183012A (ja) * 2013-03-21 2014-09-29 Aisin Seiki Co Ltd スイッチ装置
DE102015000465A1 (de) * 2015-01-15 2016-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alter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US9761388B2 (en) * 2015-07-20 2017-09-12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Push switch
JP6602214B2 (ja) * 2016-01-26 2019-11-06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CN107993867A (zh) * 2017-12-28 2018-05-04 西安开天铁路电气股份有限公司 可照明平头自复按钮设备
CN108257806B (zh) * 2018-01-09 2023-12-2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按键以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330A (ja) * 1991-07-31 1993-02-12 Sony Corp 押ボタンスイツチ
KR20030088871A (ko) * 2002-05-14 2003-11-2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KR100707825B1 (ko) * 2002-09-09 2007-04-13 이덱 코포레이션 스위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9226B2 (ko) * 1973-08-23 1978-08-19
JP2555042B2 (ja) * 1986-12-15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US5647117A (en) 1993-11-24 1997-07-15 Kabushiki Kaisha Honda Lock Method for sealing connected portions of lead wires of a switch device
US5510584A (en) * 1995-03-07 1996-04-23 Itt Corporation Sequentially operated snap action membrane switches
JPH1031930A (ja) * 1996-07-17 1998-02-03 Yazaki Corp キートップの固定構造
DE19856902C2 (de) * 1998-12-10 2001-02-08 Huf Huelsbeck & Fuerst Gmbh Äußerer Tür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mit einer Bügel-Handhabe und mit einem darin integrierten Druckbetätiger
TW498710B (en) * 1999-01-22 2002-08-11 Taisei Plas Co Ltd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102394A (en) * 1999-07-12 2000-08-15 Wms Gaming, Inc. Button panel system for a gaming device
JP4162413B2 (ja) * 2002-02-28 2008-10-08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イッチ組立体
JP4471359B2 (ja) * 2004-06-29 2010-06-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販売機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6100013A (ja) * 2004-09-28 2006-04-1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330A (ja) * 1991-07-31 1993-02-12 Sony Corp 押ボタンスイツチ
KR20030088871A (ko) * 2002-05-14 2003-11-2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KR100707825B1 (ko) * 2002-09-09 2007-04-13 이덱 코포레이션 스위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04804A (ja) 2009-05-14
US20090101485A1 (en) 2009-04-23
KR20090040238A (ko) 2009-04-23
EP2051268B1 (en) 2010-10-06
JP5270129B2 (ja) 2013-08-21
US7683278B2 (en) 2010-03-23
EP2051268A1 (en) 2009-04-22
DE602008002879D1 (de)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57B1 (ko)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JP2007503687A (ja) 電気部品、特に電気スイッチ
US71732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anual operation button
JP2006210191A (ja)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JP5047827B2 (ja) 電気接続箱
EP1377129B1 (en) Door hinge mount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JP2007173670A (ja) 接続箱の防水構造
JP2008083562A (ja) 表示装置
JP4587888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361858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200492832Y1 (ko) 중장비 조작 레버용 스위치
JP3748187B2 (ja) スイッチ機構
JP4920338B2 (ja) スイッチ装置の取付構造
JP4071216B2 (ja) 電子機器
JP439684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取付構造
JP2908321B2 (ja) 固定型アンテナの実装構造
JPH1031930A (ja) キートップの固定構造
JPH0343739Y2 (ko)
JP4717787B2 (ja) 押釦スイッチの構造
KR200288568Y1 (ko) 전화교환기의 알람모듈용 배터리 장착기구
JP2002314259A (ja) 電気機器のキャビネット
JP2004221011A (ja) スイッチ装置
JPH07235779A (ja) 電子機器の扉構造
KR20000014818U (ko) 버튼의 누름 제한장치
JP2005158637A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