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66B1 -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66B1
KR100999966B1 KR1020080112615A KR20080112615A KR100999966B1 KR 100999966 B1 KR100999966 B1 KR 100999966B1 KR 1020080112615 A KR1020080112615 A KR 1020080112615A KR 20080112615 A KR20080112615 A KR 20080112615A KR 100999966 B1 KR100999966 B1 KR 10099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lem
trunk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809A (ko
Inventor
윤선경
정필중
이상원
강재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66B1/ko
Priority to US12/422,121 priority patent/US8129639B2/en
Publication of KR2010005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2009/04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using a sealing boot, e.g. the casing having separate elastic body surrounding the operating member and hermetically closing the opening for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Off centre actu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Mimics of controlled apparatus or symb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엠블럼이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해 누름,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노브; 상기 내부케이스 선단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의 단자를 통전시켜 트렁크를 개방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누름력이 접속수단을 통해 한 곳으로 집중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누름력이 분산되어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엠블럼, 트렁크, 접속수단, 택트스위치, 러버캡

Description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사를 상징하기 위한 엠블럼(emblem)은 자동차의 전,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데,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될 경우에는 보통 자동차의 트렁크 표면에 설치된다.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엠블럼은 트렁크 표면에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을 통해서 부착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엠블럼은 별도 생산되어 작업자가 일일이 트렁크 표면에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길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 트렁크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 엠블럼은 시간이 오래 경과되면 트렁크 표면에서 이탈되어 자동차의 미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트렁크 개폐장치에 엠블럼을 일체화하여 부착 설치 상의 번거로움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공지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는 내부케이스(13)와 외부케이스(11)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외측으로 엠블럼이 부착되고 선단부에 플런저(P)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누름,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20)와, 상기 하우징(10) 선단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T)가 설치되는 커넥터(30)와, 상기 플런저(P)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40), 및 상기 플런저(P)와 인쇄회로기판(40)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노브(20)를 누름 조작할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과 커넥터(30)의 단자(T)를 통전시켜서 트렁크의 로킹 장치(미 도시)를 해제시키는 접속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내부케이스(13)에는 그 양측으로 한 쌍의 볼트(B)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볼트(B) 일측으로 양면테이프(15)가 부착되어 트렁크의 외부 표면에 대해 부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브(20)는 트렁크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푸쉬버튼 형식으로 눌러서 트렁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바, 접착제 등에 의해 플런저(P)의 상부에 부착되어 내부케이스(13)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소정 양만큼 수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부재(5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방수되어 전원단락이 방지되도록 커넥터(30)의 상부 전체 표면을 패킹 형태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인 "31"은 외부 전원의 바디부와 체결되는 커넥터(30)의 체결부이고, "51"은 상기 접속부재(5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통전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트렁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엠블럼이 부착된 노브(20)를 누르면 노브(20)와 일체로 설치된 플런저(P)가 하향으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P)의 수직 하향 이동에 의하여 접속부재(50)가 하강 압착하게 되고, 그 하단에 부착된 한 쌍의 통전부(51)가 커넥터(30)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40)과 접속하여 전원이 통전된다.
따라서, 전원이 통전되면 트렁크 로킹 장치의 걸림부로부터 트렁크 커버 가 분리되어 트렁크가 개방된다.
트렁크가 개방된 바로 직후에는 상기 플런저(P)의 수직 하향 이동시 압착된 접속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P)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전원이 단락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누름힘이 노브(20)의 중심부가 아닌 가장자리부에 가해질 경우, 플런저(P) 하면 이 접속부재(50)의 두 곳과 동시 면접촉되지 않게 되어 인쇄회로기판(40)과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외부전원과의 통전을 통한 트렁크의 로킹 장치의 해제를 정상 작동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잦은 사용에 따라 접속부재(50)의 탄성력이 점차 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필링이 점점 감소하게 되며, 결국에는 노브(20)가 원상 복귀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상시 외부전원과 상시 통전이 되어 트렁크의 로킹 장치의 해제상태가 계속되는 오작동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누름력에 의한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조작필링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엠블럼이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해 누름,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노브; 상기 내부케이스 선단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의 단자를 통전시켜 트렁크를 개방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내부케이스 상에 상기 엠블럼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가이드와, 저부가 상기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지지되며 상부가 상기 어퍼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러버캡과, 상기 러버캡의 내측에 상측에 구속되어 이동되는 로워가이드, 및 상기 로워가이드의 하측과 면접촉되어 상기 로워가이드 이동시 탄성적으로 눌림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통전부가 구비되는 택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가이드의 하측은, 상기 택트스위치의 통전부에 대한 눌림력이 집중되도록 원추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누름력이 접속수단을 통해 한 곳으로 집중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누름력이 분산되어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잦은 사용에도 불구하고 접속수단의 탄성력은 러버캡과 택트스위치 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필링이 점점 감소하게 되는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외부전원과 상시 통전이 되어 트렁크의 로킹 장치의 해제상태가 계속되는 오작동의 문제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및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100)는, 내부케이스(113)와 외부케이스(111)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자동차 제조사를 상징하는 엠블럼(M)이 상기 외부케이스(111)에 대해 누름,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노브(120)와, 상기 내부케이스(113) 선단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미 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T)가 설치되는 커넥터(130)와, 상기 내부케이스(113)의 내부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40), 및 상기 노브(12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130)의 단자(T)를 통전시켜서 트렁크의 로킹 장치(미 도시)를 해제시키는 접속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내부케이스(113)에는 그 양측으로 한 쌍의 볼트(B)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볼트(B) 일측으로 양면테이프(115)가 각각 부착되어 트렁크의 외부 표면에 대해 고정설치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속수단(150)은 상기 엠블럼(M)의 하측으로 끼움식 결합되어 상기 엠블럼(M)과 함께 도 5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어퍼가이드(151)와, 저부가 상기 커넥터(130)의 상부와 후크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부가 상기 어퍼가이드(151)와의 면접촉 상태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러버캡(153) 과, 상기 러버캡(153)의 내측에 상측이 실링 결합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워가이드(155), 및 상기 로워가이드(155)의 하측과 면접촉되어 상기 로워가이드(155)가 하방 이동시 탄성적으로 눌림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 접속되도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통전부(157a)가 상, 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택트스위치(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워가이드(155)의 하측은 상기 택트스위치(157) 중심부의 통전부(157a)에 대한 눌림력이 집중되도록 평면 형상보다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택트스위치(157)는 중심부가 통전부(157a)의 외경만큼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 오목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 도시)가 개재되어 상기 통전부(157a)를 탄성적으로 수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인 "W"는 상기 커넥터(130) 측의 단자(T)와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트렁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노브(120)의 엠블럼(M)을 누르게 되면 노브(120)에 압입 결합된 어퍼가이드(151)가 엠블럼(M)과 함께 도 5를 기준으로 하향 수직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퍼가이드(151)의 수직 하향 이동에 의하여 로워가이드(155)가 러버캡(153)의 탄성적 압축과 함께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로워가이드(155)의 원추부와 면접촉된 택트스위치(157)의 통전부(157a)가 택트스위치(157)의 오목부로 내삽되면서 커넥터(130)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40)이 접속되어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통전이 이루어지면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한 로킹 장치(도시 생략)의 걸림부로부터 트렁크 커버가 분리되며 트렁크가 개방된다.
트렁크가 개방된 바로 직후에는 엠블럼(M)의 수직 하향 이동시 압착된 접속수단(50)의 러버캡(153)과 택트스위치(157) 통전부(157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엠블럼(M)이 원상으로 복원되고 전원이 단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100)에 따르면, 사용자의 누름력이 접속수단(150)을 통해 한 곳으로 집중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누름력이 분산되어 인쇄회로기판(140)과의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잦은 사용에도 불구하고 접속수단(150)의 탄성력은 러버캡(153)과 택트스위치(157) 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필링이 점점 감소하게 되는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외부전원과 상시 통전이 되어 트렁크의 로킹 장치의 해제상태가 계속되는 오작동의 문제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및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110: 하우징
120: 노브 130: 커넥터
140: 인쇄회로기판 150: 접속수단
151: 어퍼가이드 153: 러버캡
155: 로워가이드 157: 택트스위치
M: 엠블럼

Claims (3)

  1. 삭제
  2. 내부케이스(113)와 외부케이스(1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엠블럼(M)이 상기 외부케이스(111)에 대해 누름,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노브(120);
    상기 내부케이스(113) 선단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T)가 설치되는 커넥터(130);
    상기 내부케이스(113)의 내부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T)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40); 및
    상기 노브(12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130)의 단자(T)를 통전시켜 트렁크를 개방시키는 접속수단(150);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수단(150)은, 상기 내부케이스(113) 상에 상기 엠블럼(M)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가이드(151)와, 저부가 상기 커넥터(130)의 상부에 결합지지되며 상부가 상기 어퍼가이드(151)의 이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러버캡(153)과, 상기 러버캡(153)의 내측에 상측에 구속되어 이동되는 로워가이드(155), 및 상기 로워가이드(155)의 하측과 면접촉되어 상기 로워가이드(155) 이동시 탄성적으로 눌림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 접속되는 통전부(157a)가 구비되는 택트스위치(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가이드(155)의 하측은,
    상기 택트스위치(157)의 통전부(157a)에 대한 눌림력이 집중되도록 원추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100).
KR1020080112615A 2008-11-13 2008-11-13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KR10099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615A KR100999966B1 (ko) 2008-11-13 2008-11-13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US12/422,121 US8129639B2 (en) 2008-11-13 2009-04-10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615A KR100999966B1 (ko) 2008-11-13 2008-11-13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809A KR20100053809A (ko) 2010-05-24
KR100999966B1 true KR100999966B1 (ko) 2010-12-09

Family

ID=4216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615A KR100999966B1 (ko) 2008-11-13 2008-11-13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29639B2 (ko)
KR (1) KR100999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01B1 (ko) 2011-02-17 2012-07-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트렁크의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270B1 (ko) 2012-12-11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고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구조
CN104141425B (zh) * 2013-05-07 2016-08-31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解锁装置
KR101594334B1 (ko) * 2014-10-13 2016-02-1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DE102015000465A1 (de) * 2015-01-15 2016-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alter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KR101745091B1 (ko) * 2015-05-2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모듈
US20170138098A1 (en) * 2015-11-13 2017-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od release system for a motor vehicle that automatically raises the hood
CN110053376A (zh) * 2018-10-25 2019-07-26 北京东方金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取章机构及用印机
CN113353154B (zh) * 2021-07-09 2023-03-21 浙江智马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行李箱开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85B1 (ko) * 2006-02-27 2007-02-22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트렁크 스위치
KR200435922Y1 (ko) * 2006-09-26 2007-03-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후드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3400A (ko) * 1968-08-06 1971-05-26
US5340955A (en) * 1992-07-20 1994-08-23 Digitran Company, A Division Of Xcel Corp. Illuminated and moisture-sealed switch panel assembly
EP1568053B1 (en) * 2002-11-29 2006-07-19 Valeo Sistemas de Seguridad y de Cierre Opening switch for vehicle doors or trunks
DE10331947A1 (de) *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JP4696707B2 (ja) * 2004-12-27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両用プッシュスイッチ
JP4707565B2 (ja) * 2006-01-13 2011-06-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4767125B2 (ja) * 2006-08-09 2011-09-0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5270129B2 (ja) * 2007-10-19 2013-08-21 株式会社アルファ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構造
ITTO20080122A1 (it) * 2008-02-18 2009-08-19 Zanini S P A Dispositivo di sblocco, particolarmente di un portello di un autoveicol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85B1 (ko) * 2006-02-27 2007-02-22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트렁크 스위치
KR200435922Y1 (ko) * 2006-09-26 2007-03-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후드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01B1 (ko) 2011-02-17 2012-07-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트렁크의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6635A1 (en) 2010-05-13
KR20100053809A (ko) 2010-05-24
US8129639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966B1 (ko)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US8895881B2 (en) Power window switch
US20140363716A1 (en) Battery holder
US9129458B2 (en) Mobile device
KR20120011847A (ko) 푸시 스위치
JP4057591B2 (ja) 電気−機械的ドアラッチスイッチ組立品、および、その組立品の製造方法
CN112790483A (zh) 扣具启动装置
WO2021071704A1 (en) Charging or refuelling recess
US7518072B2 (en) Latch releasing device
KR101779219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용 전기 스위치
KR20210023093A (ko) 테일 게이트 스위칭 유니트
US20220195759A1 (en) Multi-sensor module, a handle module, and movable vehicle element
KR200463254Y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JP2015115224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20140007030A (ko) 차량용 도어스위치
KR200435922Y1 (ko) 후드 스위치
KR20050087159A (ko) 자동차 트렁크 개폐용 엠블럼 스위치
JP4812635B2 (ja) スイッチ装置
CN220963089U (zh) 一种接触式开关结构及接触式开关总成
KR0127444Y1 (ko) 문짝부 배선장치
KR102526494B1 (ko)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KR200463201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305039Y1 (ko) 개선된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KR20190000134U (ko) 차량의 휴대용 폴딩 키
KR200146726Y1 (ko) 수직 운동 훅레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