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444Y1 - 문짝부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문짝부 배선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444Y1
KR0127444Y1 KR2019950032656U KR19950032656U KR0127444Y1 KR 0127444 Y1 KR0127444 Y1 KR 0127444Y1 KR 2019950032656 U KR2019950032656 U KR 2019950032656U KR 19950032656 U KR19950032656 U KR 19950032656U KR 0127444 Y1 KR0127444 Y1 KR 0127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rminal
connector
support plate
electro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208U (ko
Inventor
쥰 우다시로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60034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목적) 전원의 공급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문짝의 개폐조작의 방해가 되지 않는 문짝부 배선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문짝(1)에 고착되고, 바닥면부에 단자구멍(5)이 뚫어설치되어 있는 오목부(6) 를 갖춘 지지판부(7)가 전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제1컨넥터 본체부(2)와, 상기 단자구멍(5)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단자용 돌기(8)를 가지며, 그 후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9)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오목부(6) 내를 전진가압하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는 단자부재(10)와, 고정틀체(3)에 고착되고, 나사구멍(12)을 갖춘 지지판부(13)를 전단부에 연이어 설치한 제 2컨넥터 본체부(4)와, 그 지지판부(13)에 부착된 전극부재(11)로 구성되고, 문짝(1)이 닫혔을때에 단자용 돌기(8)가 전극부재(11)에 맞닿도록 설정한다.

Description

문짝부 배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문짝부 배선장치의 문짝 닫힌때의 정면도.
제2도는 그 문짝부 배선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그 문짝부 배선장치에서 사용되는 제1컨넥터 본체부의 정면도.
제4도는 그 제1컨넥터 본체부의 평면도.
제5도는 그 제1컨넥터 본체부의 좌측면도.
제6도는 그 제1컨넥터 본체부의 우측면도.
제7도는 그 문짝부 배선장치에서 사용되는 제2컨넥터 본체부의 정면도.
제8도는 그 제2컨넥터 본체부의 우측면도.
제9도는 그 제2컨넥터 본체부의 평면도.
제10도는 그 제2컨넥터 본체부의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짝 2 : 제1컨넥터 본체부
3 : 고정틀체 4 : 제2컨넥터 본체부
5 : 단자구멍 6 : 오목부
7 : 지지판부 8 : 단자용 돌출부
9 : 압축코일스프링 10 : 단자부재
11 : 전극부재 12 : 나사구멍
13 : 지지판부 14 : 제1컨넥터부
15 : 제2컨넥터부 16 : 나사구멍
17 : 보강판부 18 : 보강판부
19 : 바깥틀부 20 : 보강판부
21 : 보강판부 22 : 나사구멍
23 : 고정쇠판 24 : 비스
25 : 볼록부 26 : 오목부
27 : 나사 28 : 나사구멍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트럭의 후부 문짝부등에 사용되고, 문짝이 닫힌때에 고정틀체로부터 문짝으로의 전기배선을 행하는 문짝부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트럭의 후부 문짝등에 고정틀체로부터 전기배선을 하는 경우, 종래에는 카알코드를 사용하여 고정틀체로부터 문짝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장치에서는 문짝이 닫힐때에 코드가 도어와 고정틀체의 사이에 끼여서, 코드의 손상을 야기할 염려가 있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의 공급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문짝의 개폐조작의 방해가 되지 않는 문짝부 배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첨부도면중의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문짝부 배선장치에서는 바닥면부에 단자구멍(5)이 뚫려 있는 오목부(6)를 구비한 지지판부(7)가 전단부에 연이어 설치하고 있는 제1컨넥터 본체부(2)와, 상기 단자구멍(5)에 대하여 진회가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단자용 돌기부(8)를 가지며, 그 후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9)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오목부(6)내를 전진가압하도록 끼워맞추어져 있고 단자부재(10)로 된 제1컨넥터부(14)를 문짝(1)에 고착하고 있다.
또, 나사구멍(12)을 갖춘 지지판부(13)를 전단부에 연이어 설치한 제2컨넥터 본체부(4)와, 그 지지판부(13)에 부착된 전극부재(11)로 구성된 제2컨넥터부(15)를 고정틀체(3)에 고착하고, 문짝(1)이 닫혔을때 단자용 돌기(8)가 전극부재(11)에 맞닿도록 되어있다.
[작용]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1)이 고정틀체(3)에 대하여 닫혀있을때에는 제1컨넥터 본체부(2)의 오목부(6)에 끼워맞추어진 단자부재(10)에 연이어 접한 단자용 돌기(8)의 선단부가 제2컨넥터 본체부(4)에 부착된 전극부재(11)에 맞닿아 있고, 상기 단자부재(10)이 후단부에 설치한 압축코일스프링(9)의 작용에 의하여 그 단자부재(10)는 오목부(6)내를 축방향으로 전진가압하고, 상기 단자용 돌기(8)의 선단부는 그 전극부재(11)에 적당한 강도로 압착되어, 전기가 도통한다.
문짝(1)을 열면, 상기 단자부재(10)의 선단부는 그 후단부에 설치한 압축코일스프링(9)의 작용에 의하여 제2컨넥터 본체부(4)에 부착한 전극부재(11)에 맞닿으면서 지지판부(13)의 기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드디어는 그 전극부재(11)로부터 그 단자부재(10)의 선단부가 이탈한다. 이때, 그 단자부재(10)와 전극부재(11)는 도통하여 있지 않고, 또 그 단자부재(10)는 오목부(6) 내에서 축방향으로 가장 전진한 위치에 있다.
[실시예]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컨넥터 본체부(2)와 지지판부(7)가 보강판부(17 및 18)에 의하여 강고히 연이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판부(7)에 갖추어진 오목부(6)의 바깥틀부(19)도 똑같이 보강판부(20, 21)에 의하여 연이어 접하고 있다.
또, 상기 제1컨넥터 본체부(2)의 바닥면쪽에는 나사구멍(16)이 뚫어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판부(7)에는 나사구멍(22)을 뚫어설치하고, 오목부(6)에 설치한 압축코일 스프링(9) 의 후단부에 고정쇠판(23)을 설치하고, 비스(24)에 의하여 죄어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오목부(6)에 끼워맞추어진 단자부재(10)의 선단부는 반구면형상의 면따기 가공이 되어있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고정틀체(3) 에 고착된 제 2컨넥터부(15)는 그 전단부에 지지판부(13)를 연이어 설치하고 있고, 그 지지판부(13)의 앞면쪽에 볼록부(25)가 설치 되어 있다. 또, 상기 볼록부(25)의 중심부에 정 6각형의 오목부(2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 나사구멍(12)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13)의 기단부 쪽에서, U자형의 전극부재(11)가 끼워넣어져 있고, 그 기단부쪽은 면따기 가공이 되어있다. 또한, 오목부(26)에는 회전 불가능하게 볼트가 끼워넣어져 있고, 상기 전극부재(11)의 배면쪽에 설치한 나사구멍에 나사(27)를 끼워넣고, 그 전극부재(11)를 상기 지지판부(13)에 고착하고 있다.
또, 제1컨넥터 본체부(2)와 제2컨넥터 본체부(4)의 바닥면쪽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 구멍(16 및 28)은 타원형상으로 되어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문짝부 배선장치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1)이 고정틀체(3)에 대하여 닫혀있을 때에는, 제1컨넥터 본체부(2)의 오목부(6)에 끼워 맞추어진 단자부재(10)에 연이어 접한 단자용 돌기(8)의 선단부가 제2컨넥터 본체부(4)에 부착된 전극부재(11)에 맞닿아 있고, 상기 단자부재(10)의 후단부에 설치한 압축코일스프링(9)의 작용에 의하여, 그 단자부재(10)는 오목부(6)내를 축방향으로 전진가압하여, 상기 단자용 돌기(8)의 선단부는 그 전극부재(11)에 적당한 강도로 압착되므로, 전기가 도통한다.
문짝(1)를 열면, 상기 단자부재(10)의 선단부는 그 후단부에 설치한 압축코일스프링(9)의 작용에 의하여 제2컨넥터 본체부(4)에 부착한 전극부재(11)에 맞닿으면서 지지판부(13)의 기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드디어는 그 전극부재(11)로부터 그 단자부재(10)의 선단부가 이탈한다. 이때, 그 단자부재(10)와 전극부재(11)는 도통되어 있지 않고, 또 그 단자부재(10)는 오목부(6) 내에서 축방향으로 가장 전진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문짝부의 배선에 코드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문짝이 닫혔을때에, 코드가 도어와 고정틀체의 사이에 끼임으로써 코드가 손상되는 일이 없고, 또, 문짝이 열렸을때 전기의 도통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문짝(1)에 고착되고, 바닥면부에 단자구멍(5)이 뚫어설치되어 있는 오목부(6)를 갖춘 지지판부(7)가 전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제1컨넥터부(2)와, 상기 단자구멍(5)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단자용 돌기부(8)를 가지며, 그 후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9)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오목부(6) 내를 전진가압하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는 단자부재(10)와, 고정틀체(3)에 고착되고, 나사구멍(12)을 갖춘 지지판부(13)를 전단부에 연이어 설치한 제2컨넥터 본체부(4)와, 그 지지판부(13)에 부착된 전극부재(11)로 구성되고, 문짝(1)이 닫혔을때 단자용 돌기(8)가 전극부재(11)에 맞닿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부 배선장치.
KR2019950032656U 1995-04-17 1995-11-08 문짝부 배선장치 KR01274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15153A JPH08282405A (ja) 1995-04-17 1995-04-17 扉部配線装置
JP95-115153 1995-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08U KR960034208U (ko) 1996-11-19
KR0127444Y1 true KR0127444Y1 (ko) 1998-10-15

Family

ID=1465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656U KR0127444Y1 (ko) 1995-04-17 1995-11-08 문짝부 배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282405A (ko)
KR (1) KR0127444Y1 (ko)
CN (1) CN11435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8432B (zh) * 2012-04-17 2016-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连接器及滑动门板结构及空调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8460A (en) * 1980-05-12 198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Resin sealed type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08U (ko) 1996-11-19
CN1143581A (zh) 1997-02-26
JPH08282405A (ja) 1996-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27431A (ja) 動力乗り物のためのリヤミラー
KR100999966B1 (ko)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KR970068027A (ko) 코넥터 및 이 코넥터를 장착한 자동차용 부품
EP1517601A3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159019A (en)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or for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4698726A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switchgear to a rail
KR0127444Y1 (ko) 문짝부 배선장치
US6152745A (en) Shielded-electric-wire connection part structure
JP3949432B2 (ja)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JP6350876B2 (ja) コネクタ
JPH07296879A (ja) 電気コネクタ
JPH06165342A (ja) 部材の取付構造
EP0717464A3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JPH10326534A (ja) スイッチの構造
JP3040888U (ja) 扉部配線装置
JP3948507B2 (ja) 端子接続構造
JPH11260449A (ja) 車両用ドアの給電用接続装置
US6120305A (en) Electric contact with elastic return
JP4494621B2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
JP2001110512A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
JP2001110509A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
JPH11135177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JPH10322851A (ja) 電気接続箱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JP2619151B2 (ja) ランプ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