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858B1 -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858B1
KR100361858B1 KR1019990052705A KR19990052705A KR100361858B1 KR 100361858 B1 KR100361858 B1 KR 100361858B1 KR 1019990052705 A KR1019990052705 A KR 1019990052705A KR 19990052705 A KR19990052705 A KR 19990052705A KR 100361858 B1 KR100361858 B1 KR 10036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frame
opening
locking
wir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376A (ko
Inventor
혼다미노루
사카마코도
기타자와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배선기구를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에 미관상 보기 좋게 배설한다.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B1)의 플레이트 본체 (50)는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51)와, 주부(51)의 전체 주위 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52)을 일체로 형성한 거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플레이트 본체(50)가 대향하는 측벽(52) 사이의 폭 치수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즉,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 프레임 (A1)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B1)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 프레임 본체(1)가 외장 플레이트(B1)의 플레이트 본체(5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 본체(50)의 측벽(52)의 선단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A1)과 외장 플레이트(B1)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기구용 플레이트{PLATE FOR WIRING DEVICE}
본 발명은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형성한 매입공(埋入孔)에 배선기구를 배설하기 위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벽면 등의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에 매입박스(스위치박스)를 매설(埋設)하고,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프레임을 매입공의 앞면측에서 매입박스에 장착하고,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함으로써 배선기구를 벽 등에 미관상 보기 좋게 매입 배설하도록 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조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의 맞닿는 면이 벽면보다 앞쪽으로 나와 있으므로,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 보이거나 또는 양자가 상대적으로 어긋나서 보기 흉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에 미관상 보기 좋게 배설할 수 있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4는 도 3의 배선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정면도.
도 6a는 도 5의 분해 반(半)단면도,
도 6b는 도 5의 반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 파단한 측단면도.
도 8은 실시형태 2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정면도.
도 12a는 도 11의 분해 반(半)단면도,
도 12b는 도 11의 반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일부 파단한 측단면도.
도 14는 실시형태 3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스위치의 사시도.
도 18a 및 18b 는 플레이트 프레임에의 스위치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9는 도 18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정면도.
도 20a 는 도 19의 분해 반(半)단면도,
도 20b 는 도 19의 반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일부 파단한 측단면도.
도 22는 실시형태 4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24는 도 23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25는 도 24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정면도.
도 26a 는 도 25의 분해 반(半)단면도,
도 26b 는 도 25의 반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일부 파단한 측단면도.
도 28은 실시형태 5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9는 도 28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30은 도 29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31은 도 30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정면도.
도 32a 는 도 31의 분해 반(半)단면도,
도 32b 는 도 31의 반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일부 파단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플레이트 프레임, B1 : 외장 플레이트,
1 : 플레이트 프레임본체, 2 : 개구부,
3 : 측편, 4 : 휨편,
10 : 고정부 50 : 플레이트 본체,
51 : 주부, 52 : 측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매입형(埋入型) 배선기구를 단폭(短幅)방향으로 3개 배열한 상태로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 가능한 개구부, 개구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側片)의 한쪽에 배설되어 1 ∼ 3개의 배선기구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의 한쪽이 각각 삽입하여 계지되는 휨이 가능한 휨편(片), 측편의 다른쪽에 배설되어 각 배선기구의 다른 쪽의 걸림클릭이 삽입 계지되는 고정부, 양측편에 배설되어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각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외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외장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외장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장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걸림클릭을 계지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 걸림클릭을 계지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외측에 각각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외장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외장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장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걸림클릭을 계지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걸림클릭을 계지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 고정량부와 가동량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개구부의 양측에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외장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외장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장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걸림클릭을 계지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걸림클릭을 계지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외측에 각각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 플레이트와,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플레이트 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금속 플레이트로 덮음으로써 장식 또는 디자인상의 미관 및 내화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프레임(A1)과 외장 플레이트(B1)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각 변(邊)의 길이가 거의 동등한 사각형 틀형상으로 각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위치 등의 배선기구(C)의 기체(器體)(60)의 기능면(스위치의 조작체가 형성된 면이나 콘센트의 삽입구가 형성된 면)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사각형의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선기구(C)인 스위치는, 보디(60a)와 커버 (60b)가 1쌍의 금속제의 조립프레임(61)으로 결합되고, 조립프레임(61)의 측단면으로부터는 1쌍의 걸림클릭(62)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는 벽면 등에 매설된 매입박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위 B 박스)의 개구면의 앞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플레이트 프레임본체 (1)의 측편(3),(3')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삽통공(14)에 삽통된 박스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매입박스에 부착된다.
도 2a,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한 쪽의 측편(이하,「좌측편」이라고 함)(3)에는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62)의 한쪽이 삽입 계지되는 휨이 가능한 휨편(片)(4)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다른 쪽의 측편(이하,「우측편」이라고 함)(3')에는 배선기구(C)의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이 삽입 계지되는 고정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부(2)의 치수는 도 4에 나타낸 배선기구(C)의 치수를 기준치수 (이하, 이 치수를「1개 모듈치수」라고 함)로 했을 때에, 배선기구(C)의 길이방향을 개구부(2)의 길이방향과 거의 직교시킨 상태로 1개 모듈치수의 배선기구(C)를 단폭(短幅)방향으로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치수(이하, 이 치수를「3개 모듈치수」라고 함)로 하고 있다.
단, 상기 1개 모듈치수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되고, 이와 같은 모듈치수에 적합한 배선기구라면, 공통적으로 플레이트 프레임(A1)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좌측편(3)은, 내측 부위(3a)와 외측 부위(3b)가 간극(6)을 통하여 평행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양 부위(3a),(3b) 사이의 간극(6)의 안 끝에서 양단을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양단편(5)과 일체로 연결하여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상기 휨편(4)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의 중앙 위치에서 휨편(4)과 좌측편(3)의 내측 부위(3a)가 가교편 (架橋片)(7)에 의해, 또 개구부(2)의 양단의 위치에서 휨편(4)과 외측 부위(3b)가 가교편(8)에 의해 각각 결합하고 있다.
외측 부위(3b)에는 상기 가교편(8)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하여 양단방향으로 긴 구멍형상의 슬릿(9)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9)의 내측 부분을 얇게 하여 이 얇은 부위에 상기 가교편(8)이 결합되어, 휨편(4)을 가로방향으로 휘어지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릿(9)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교편(8)에 의해 외측 부위(3b)와 휨편(4)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장착시의 응력을 분산하여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에의 대미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휨편(4)의 내측면에는 1쌍의 요소(凹所)(16)가 3조(組)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소(16)의 배면측을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 (62)이 계지되는 계지 단부(段部)(17)로 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우측편(3')에는 고정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편(3')의 배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리브(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편(3')에는 고정리브(19)측으로 삽입 통과하는 1쌍의 요소(20)가 3조(組)형성되고, 각 요소(20)의 배면측에 계지 단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리브(19)의 측면으로, 계지 단부(21)에 대응하는 뒤쪽에는 경사면 (22)이 형성되어 있어, 이 경사면(22)에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62)이 접촉하여 따름으로써,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으로 휨편(4)을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우측편(3')의 1쌍의 요소(20) 사이에는 배선기구 (C)를 분리하는 경우에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2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리브(19)의 계지 단부(21)의 양측에는 각각 리브(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18)에 의해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 (62)을 계지 단부(21)에 계지했을 때의 배선기구(C)의 결합 후에 유동 및 센터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휨편(4)과 내측부위(3a)가 대면하는 측면에는 돌기(27)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휨편(4)과 내측 부위(3a)와의 사이의 간극(6)내에 배선기구(C)를 분리할 때에 사용되는 드라이버의 선단을 잘못하여 삽입하려고 해도, 드라이버의 선단이 돌기(27)에 닿아서, 드라이버와 같은 이물질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에의 배선기구(C)의 착탈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배선기구(C)의 한 쪽의 걸림클릭(62)을 휨편(4)측의 계지 단부(17)에 삽입 계지하여,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을 고정리브(19)의 경사면(22)을 따라서 앞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사면(22)에 접촉하여 따르게 함으로써, 배선기구(C)는 휨편(4)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한 쪽의 걸림클릭(62)이 휨편(4)을 외측으로 힘을 가하여 휘게 한다. 그리고,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이 경사면(22)을 타고 넘어서 계지 단부 (21)에 삽입 계지되면, 휨편(4)의 복귀력에 의해 배선기구(C)는 도 4의 오른쪽으로 복귀하고, 양 걸림클릭(62)이 계지 단부(17),(21)에 걸리게 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뒷면에 접촉하여 배선기구(C)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에 장착되게 된다.
즉, 가동측의 휨편(4)측으로 먼저 배선기구(C)의 한 쪽의 걸림클릭(62)을 삽입하고, 고정측의 경사면(22)에 의해 가동측의 휨편(4)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즉, 걸림클릭(62)을 먼저 삽입 계지하는 계지 단부(21)측의 휨편(4)을 가로방향으로 휘게 하고, 후에 삽입하는 계지 단부(21)측의 고정리브(19)측은 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대향하는 1 ∼ 3조의 계지 단부(17),(21)에 1개 모듈치수의 배선기구(C)를 단폭방향으로 1 ∼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앞면에서 드라이버를 삽통공(29)에 삽입하고, 드라이버의 선단을 걸림클릭(62) 사이의 조립프레임(61)의 끝면에 접촉하여, 드라이버를 우측편(3')쪽으로 기울인다. 그러면, 드라이버의 선단에 의해 배선기구(C)가 휨편(4)측으로 힘이 가해져, 걸림클릭(62)을 계지 단부(21)로부터 벗김으로써,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배선기구(C)를 휨편(4)측으로 손으로 어긋나게 하여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에는, 외장 플레이트(B1)의 플레이트 본체(50) 배면에서 돌출 형성한 계지 돌기(53)를 계지하는 외장 플레이트계지공 (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외장 플레이트계지공(25)에 계지 돌기(53)를 삽입 계지함으로써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B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외장 플레이트(B1)의 플레이트본체(50)는, 도 3a,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진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 (51)와, 주부(51)의 전체 주위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52)을 일체로 형성한 거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53)는 주부(51)의 배면측의 4귀퉁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주부(51)의 거의 중앙에는, 플레이트 프레임(A1)에 장착된 배선기구(C)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5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본체(50)가 대향하는 측벽(52) 사이의 폭 치수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도 5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 프레임 (A1)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B1)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가 외장 플레이트(B1)의 플레이트본체(5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50)의 측벽(52)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W)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W)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박스나사를 조임으로써 플레이트 프레임(A1)이 다소 휘어진 상태가 되어도 외장 플레이트(B1)에의 영향이 적어, 외장 플레이트(B1)가 휘지 않고 플레이트 프레임(A1)에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플레이트본체(50) 하측의 측벽(52)에는 1쌍의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56)에 지그(드라이브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플레이트본체(50)에 앞면측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플레이트본체(50)의 계지돌기(53)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외장 플레이트 계지공(25)과의 계지를 해제하여, 외장 플레이트(B1)를 플레이트 프레임(A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측편(3),(3')의 절결부(5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도피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56)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어, 외장 플레이트(B1)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피부(11)의 배면측 끝부로부터는 얇은 리브(12)가, 외장 플레이트 (B1)의 절결부(56)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 배설되어 있다. 즉, 절결부(56)에 삽입된 지그에 조영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조영면에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나, 리브(12)를 배설함으로써 절결부(56)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12)에 접촉하게 되어, 외장 플레이트(B1)를 플레이트 프레임(A1)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본체(50)의 뒷면측에는,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돌조편(58)이 개구창(51a)을 따라서 나란히 배설되어 있다. 이들 돌조편(58)은 외장 플레이트(B1)가 플레이트 프레임(A1)에 부착되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가교편(8)에 의해 3개로 구획된 각 간극(6)에 각각 삽입되게 되고, 이로써 플레이트 프레임(A1)의 휨편(4)의 움직임(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예를들면 배선기구(C)로서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매우 큰 힘으로 잡아 빼는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휨편(4)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62)과플레이트 프레임(A1)의 계지 단부(17),(21)와의 계지가 풀어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 돌조편(58)이 간극(6)에 삽입됨으로써 저항이 커지게 되어, 외장 플레이트(B1)가 플레이트 프레임(A1)에서 벗어지기 어렵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 모듈치수의 3개의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A1)에 단폭방향으로 나란히 장착한 상태에서 모든 배선기구(C)의 기능면이 노출하도록 개구창(51a)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단, 플레이트 프레임(A1)에는 상중하 3개의 장착위치에 1개에서 3개까지의 배선기구(C)가 임의의 개수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장착개수 및 장착위치에 따른 치수의 개구창(51a)을 가지는 외장 플레이트를 준비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그런데, 외장 플레이트(B1)의 표면에는 메이커명이나 브랜드명 또는 제품명 등의 마크(상표 등)가 부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플레이트 프레임(A1)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B1)의 장착방향도 상기 마크의 방향에 맞추어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버리게 되어, 정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부착되면 미관상 보기 흉하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우측편(3')에 있어서의 나사삽통공(14)의 상부에 장원형의 관통공(23)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관통공 (23)에 삽입하여 플레이트 프레임(A1)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B1)의 장착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돌기(54)를 외장 플레이트(B1)의 플레이트 본체(50) 이면에 돌출 형성하고 있다.
즉, 외장 플레이트(B1)는 규제돌기(54)가 관통공(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플레이트 프레임(A1)에 장착할 수 있어, 플레이트 프레임(A1)에 대하여 외장 플레이트(B1)가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8 ∼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는 플레이트 프레임(A2)의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에 배설되는 개구부(2) 및 외장 플레이트(B2)의 플레이트 본체(50)에 배설되는 개구창(51a)의 치수가 1개 모듈치수의 배선기구(C)를 단폭방향으로 2개 나란히 한 상태로 각 배선기구(C)의 기능면이 노출 가능한 치수인 점을 제외하고, 플레이트 프레임(A2)에 대한 배선기구 (C)의 장착 구조 등의 기본적인 구성이 실시형태 1과 공통이다. 따라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개구부(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1)의 좌측편(3)에 휨편(4)이 배설되는 동시에, 우측편(3')에는 고정부(10)가 배설되고, 또한 휨편(4) 및 고정부(10)에는 각각 1쌍의 계지 단부(17),(21)가 2조(組)씩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조의 계지 단부(17),(21)에 1개 모듈치수의 배선기구(C)를 단폭방향으로 1 또는 2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조영면에 배설된 플레이트 프레임(A2)이 외장 플레이트(B2)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외장 플레이트(B2)가 휘지 않고 플레이트 프레임(A2)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도 11 ∼ 도 13 참조).
(실시형태 3)
그런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배선기구(C)인 스위치에 있어서는, 조작용 핸들의 치수가 플레이트 프레임(A1)의 개구부(2)와 비교하여 작으므로 조작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器體)(70)상면에의 투영상(投影像)이 기체(70) 상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가 되는 치수의 조작핸들(71)을 구비한 스위치(S)가 제안되고 있다.
이 스위치(S)의 기체(70)는, 보디(70a)와 커버(70b)로 구성되고, 커버(70b)의 주위에지 4귀퉁이에서 늘어뜨려 설치된 조립각(組立脚)(72)에 형성된 조립구멍 (72a)을 보디(70a)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73)에 계지함으로써 조립된다. 또한, 커버(70b)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각각 1쌍의 걸림클릭 (7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은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S)에 대응한 것이다.
이하, 도 14 ∼ 도 2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프레임(A3)과 외장 플레이트 (B3)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 의해 각 변(邊)의 길이가 거의 동등한 사각형 틀형상으로 각 부재가 일체로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스위치(S)의 조작핸들(71)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사각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1)의 주위 에지 뒷면측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띠모양의 고정량부 (34) 및 가동량부(35)가 배설되어 있다.
가동량부(35)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가 대향하는 1쌍의 측편(33),(33')의 한쪽(도 15a 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편(33)으로부터 떨어지고, 그 양단에 있어서 지지점(36)과 함께 측편(33)에 일체 또는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량부(35) 및 지지점부(36)를 포함하여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는 가요성 재료이며,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에 대하여 가동량부(35)가 지지점부(36)를 지지점으로 하여 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측편(33)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된 폭이 좁은 1쌍의 리브(37)에 의해 가동량부(35)가 지지되어 있으며, 가동량부(35)와 측편(33)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이 상기 리브(37)에 의해 3개의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38a)∼(38c)이라고 함)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 중, 양측의 슬릿(38a),(38c)은 외측 단부가 개구부(31)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측편(33)의 각 리브(37) 가까이의 부위에는, 가동량부(35)를 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긴 구멍형상의 홈(39)이 1쌍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량부(34) 및 가동량부(35)의 개구부(31)측의 면에는, 스위치(S)의기체(70)의 양측면에서 1쌍씩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74)이 계지되는 계지홈(34a),(35a)이 각각 3쌍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S)의 기체(70)에 배설된 걸림클릭(74)을 각 계지홈(34a) ,(35a)에 계지함으로써, 스위치(S)의 조작핸들(71)을 개구부(31)로부터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에 스위치(S)의 기체(7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량부(34) 및 가동량부(35)의 선단부분에는, 스위치(S)의 걸림클릭(74)을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배면측에서 계지홈(34a),(35a)에 걸리게 할 때에, 각 걸림클릭(74)을 계지홈(34a),(35a)에 가이드하기 위해 각각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지는 가이드부(34b),(35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스위치(S)를 장착할 때에, 걸림클릭(74)을 가이드부(34b),(35b)의 테이퍼면에 접촉한 상태로 스위치(S)의 기체(70)를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배면측으로부터 앞면측으로 밀어 넣으면, 걸림클릭(74)이 가이드부(34b),(35b)의 테이퍼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34b),(35b)에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계지홈(34a),(35a)에 걸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고정량부(34) 및 가동량부(35)의 기부(基部)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개구부(31)의 끝 에지와의 사이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클릭(74)을 각 계지홈(34a),(35a)에 걸리게 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스위치(S)의 기체(70)의 앞면측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34d),(35d)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장착한 상태로 스위치(S)의 기체(70)에 플레이트 프레임(A3)의 앞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기체(70)가 앞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접촉부(34d),(35d)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위치(S)의 기체(70)에 플레이트 프레임(A3)의 배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걸림클릭(74)과 계지홈(34a),(35a)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기체(70)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가동량부(35)를 측편(3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지점부(36)가, 슬릿(38a),(38c)의 외측단부를 굴곡하여 형성함으로써 계지홈(35a)보다 개구부(31)측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그 결과 스위치(S)의 기체(70)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의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35)가 개구부(31)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므로, 가동량부(35)의 계지홈(35a)으로부터 스위치(S)의 기체(70)에 배설된 걸림클릭(74)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 프레임(A 3)으로부터의 스위치(S)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량부(34)에는 각 계지홈(34a)의 사이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앞면측에서 관통하는 기구분리공(34c)이 뚫려 있어서, 드라이버나 분리 전용 지그 등의 선단부분을 이 기구분리공(34c)에 삽입하고, 지그의 선단부분으로 기체 (70)를 가동량부(35)측으로 밀어 주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35)를 휘게 할 수 있어, 고정량부(34)측의 계지홈(34a)과 기체(70)의 걸림클릭(74)과의 계지를 풀어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로부터의 스위치(S)의 기체(70)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개구부(31)의 치수는 상기 스위치(S)의 치수를 1개 모듈치수라고 했을 때에, 스위치(S)의 기체(70)의 단폭방향 치수의 거의 3배와 동등한 치수, 바꾸어 말하면 1개 모듈치수의 스위치(S)를 단폭방향으로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치수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고정량부(34) 및 가동량부(35)에 형성한 각 1쌍의 계지홈(34a),(35a)의 피치는, 1개 모듈치수의 스위치(S)의 기체(70)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클릭(74)의 피치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한편, 고정량부(34) 및 가동량부(35)의 계지홈(34a),(35a)의 가까이에는, 도 1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리브(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칸막이리브(40)는, 고정량부(34) 및 가동량부(35)의 내측면에 각 1쌍씩 모두 3조(組)가 형성된 계지홈(34a),(35a)의 각 조의 외측 위치에 각각 1쌍씩이 플레이트 프레임본체 (3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장착위치 이외에서 스위치(S)를 장착하고자 해도, 계지홈(34a),(35a)의 각 조의 사이에 돌출하는 칸막이리브(40)가 기체(70)에 간섭하므로 장착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상기 장착위치에 스위치(S)의 기체(70)를 장착했을 때에 각 칸막이 리브(40)가 기체(70)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장착한 상태의 스위치(S)의 기체(70)의 유동을 칸막이 리브(40)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기체(70)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기체(70)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74)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양측편(33), (33')에는, 그 중앙부에 박스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30a)이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외장 플레이트(B3)의 계지 돌기(53)가 삽입 계지되는 외장 플레이트 계지공(30b)이 형성되는 동시에, 측편(33')의 나사삽통공 (30a)의 하부에는 장원형의 관통공(3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편(33),(33')의 하부에는 외장 플레이트(B3)의 절결부(56)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41)와, 도피부(41)의 배면측 끝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얇은 리브(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B3)는, 도 16a,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51a)의 폭 치수가 스위치(S)의 조작핸들(71)에 맞추어서 크게 하고 있는 점 및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측편 (3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0c)에 삽통되는 규제돌기(54)의 위치가 다른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B1)와 공통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위치(S)를 장착한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외장 플레이트(B3)를 장착한 상태로, 도 20a, 20b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돌조편(58)이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각 슬릿(38a)∼(38c)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슬릿(38a)∼(3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58)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가동량부(35)의 움직임(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스위치(S)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량부(35)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스위치(S)의 걸림클릭 (74)과 가동량부(35) 및 고정량부(34)의 계지홈(35a),(34a)과의 계지가 풀리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외장 플레이트(B3)는 규제돌기(54)가 관통공 (30c)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장착할 수 있어, 플레이트 프레임(A3)에 대하여 외장 플레이트(B3)가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 1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플레이트(B1)의 규제돌기 (54)가 배설되는 위치가 다르다. 즉, 2종류의 외장 플레이트(B1),(B3)는 전술한 상위점을 제외하면 공통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규제돌기(54)가 없으며 서로 상대방의 플레이트 프레임(A1),(A3)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개구창(51a)의 폭 치수가 큰 본 실시형태의 외장 플레이트(B3)를 실시형태 1의 플레이트 프레임(A1)에 장착하면, 개구창(51a)으로부터는 배선기구(C)의 기능면 이외에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까지도 노출되어 버려, 미관상 보기 흉하게 된다.
그래서, 2종류의 외장 플레이트(B1),(B3)로 규제돌기(54)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서로 종류가 다른 플레이트 프레임(A1),(A3)에 잘못하여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조영면에 배설된 플레이트 프레임(A3)이외장 플레이트(B3)의 내측에 수납되어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외장 플레이트(B3)가 휘지 않고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도 19 ∼ 도 21 참조).
(실시형태 4)
도 22 ∼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프레임(A4)과 외장 플레이트(B4)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세로의 변이 가로의 변의 길이보다 긴 사각형 틀형상으로 각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스위치 등의 배선기구(C)의 기체(60)의 기능면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사각형의 개구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82)의 치수는 3개 모듈 대응치수로 하고 있다.
도 23a,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8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한 쪽의 측편(83)에는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62)의 한쪽이 삽입 계지되는 휨이 가능한 휨편(片)(84)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다른 쪽의 측편(83')에는 배선기구(C)의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이 삽입 계지되는 고정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휨편(84) 및 고정부(90)를 포함하는 배선기구(C)의 장착구조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과 거의 공통이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측편(83)은, 내측 부위(83a)와 외측 부위(83b)가 간극(86)을 통하여 평행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양 부위(83a),(83b) 사이의 간극(86)의 안 끝에서 양단을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양단편(85)과 일체로 연결하여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상기 휨편(84)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82)의 중앙 위치에서 휨편(84)과 측편(83)의 내측 부위(83a)가 가교편(架橋片)(87)에 의해, 또 개구부(82)의 양단의 위치에서 휨편(84)과 내측 부위 (83a)가 가교편(88)에 의해 각각 결합하고 있다.
외측 부위(83b)에는 상기 가교편(88)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하여 양단방향으로 긴 구멍형상의 슬릿(89)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89)의 내측 부분을 얇게 하여 이 얇은 부위에 상기 가교편(88)이 결합되어, 휨편(84)을 가로방향으로 휘어지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릿(89)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교편(88)에 의해 외측 부위(83b)와 휨편(84)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장착시의 응력을 분산하여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에의 대미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휨편(84)의 내측면에는 1쌍의 요소(96)가 3조(組)형성되어 있으며, 도 26a,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소(96)의 배면측을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 (62)이 걸리게 하여 고정하는 계지 단부(段部)(97)로 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측편(83')에는 고정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측편(83')의 배면에는 도 2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리브(9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측편(83')에는 고정리브(99)측으로 삽통하는 1쌍의 요소(100)가 3조(組)형성되고, 각 요소(100)의 배면측에 계지 단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리브(99)의 배면으로, 계지 단부(101)에 대응하는 뒤쪽에는 경사면 (102)이 형성되어 있어, 이 경사면(102)에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62)이 접촉하여 따름으로써,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으로 휨편(84)을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측편(83')의 1쌍의 요소(100)사이에는 배선기구 (C)를 분리하는 경우에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0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리브(99)의 계지 단부(101)의 양측에는 각각 리브(9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98)에 의해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 (62)을 계지 단부(101)에 삽입 계지했을 때의 배선기구(C)의 결합 후에 유동 및 센터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휨편(84)과 외측부위(83b)가 대면하는 측면에는 돌기(107)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휨편(84)과 내측 부위 (83a)와의 사이의 간극(86)내에 배선기구(C)를 분리할 때에 사용되는 드라이버의 선단을 잘못하여 삽입하려고 해도, 드라이버의 선단이 돌기(107)에 닿아서, 드라이버와 같은 이물질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에의 배선기구(C)의 착탈조작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먼저, 배선기구(C)의 한 쪽의 걸림클릭(62)을 휨편(84)측의 계지 단부(97)에 삽입 계지하여,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을 고정리브(99)의 경사면(102)을 따라 앞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사면(102)에 접촉하여 따르게 함으로써, 배선기구(C)는 휨편(84)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한 쪽의 걸림클릭(62)이 휨편(84)을 외측으로 힘을 가하여 휘게 한다. 그리고, 다른 쪽의 걸림클릭(62)이 경사면(102)을 타고 넘어서 계지 단부 (101)에 삽입 계지되면, 휨편(84)의 복귀력에 의해 배선기구(C)는 오른쪽(개구부 (82)쪽)으로 복귀하고, 양 걸림클릭(62)이 계지 단부(97),(101)에 계지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뒷면에 접촉하여 배선기구(C)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에 장착되게 된다.
즉, 가동측의 휨편(84)측으로 먼저 배선기구(C)의 한 쪽의 걸림클릭(62)을 삽입하고, 고정측의 경사면(102)에 의해 가동측의 휨편(84)을 밀어내어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즉, 걸림클릭(62)을 먼저 삽입 계지하는 계지 단부(97)측의 휨편(84)을 가로방향으로 휘게 하고, 후에 삽입하는 계지 단부(101)측의 고정리브 (99)측은 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대향하는 1 ∼ 3조의 계지 단부(97),(101)에 1개 모듈치수의 배선기구(C)를 단폭방향으로 1 ∼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앞면에서 드라이버를 삽입공(109)에 삽입하고, 드라이버의 선단을 걸림클릭(62) 사이의 조립프레임(61)의 끝면에 접촉하여, 드라이버를 우측편(83')쪽으로 기울인다.
그러면 드라이버의 선단에 의해 배선기구(C)가 휨편(84)측으로 힘이 가해져, 걸림클릭(62)을 계지 단부(101)로부터 벗김으로써,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배선기구(C)를 휨편(84)측으로 손으로 밀러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는, 조영면에 매입된 매입박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위 A 박스)의 개구면의 앞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개구부(82)의 상하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삽통공(94)에 삽통된 박스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상기 매입박스에 부착된다.
또한, 이 나사삽통공(94)의 가까이에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를 조영면에 직접 부착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삽통되는 구멍(95)이나 벽재 등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를 고정하기 위한 협지금구(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는 협지금구 부착공(9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4귀퉁이에는, 외장 플레이트(B4)의 플레이트 본체(110) 배면에서 돌출 형성한 계지 돌기(113)를 걸리게 하는 외장 플레이트계지공(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외장 플레이트계지공(105)에 계지돌기(113)를 삽입 계지함으로써 플레이트 프레임(A4)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B4)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외장 플레이트(B4)의 플레이트본체(110)는, 도 24a,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진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 프레임(A4)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 (111)와, 주부(111)의 전체 주위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112)을 일체로 형성한 거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113)는 주부(111)의 배면측의 4귀퉁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주부(111)의 거의 중앙에는, 플레이트 프레임(A4)에 장착된 배선기구(C)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11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본체(110)가 대향하는 측벽(112) 사이의 폭 치수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도 25 ∼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영면(W)에 배설한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B4)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가 외장 플레이트(B4)의 플레이트본체(11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110)의 측벽(112)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W)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실시형태 1 ∼ 3과 같이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박스나사를 조임으로써 플레이트 프레임(A4)이 다소 휘어진 상태가 되어도 외장 플레이트(B4)에의 영향이 적어, 외장 플레이트(B4)가 휘지 않고 플레이트 프레임(A4)에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플레이트본체(110) 하측의 측벽(112)에는 1쌍의 절결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16)에 지그(드라이브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플레이트본체(110)에 앞면측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레이트본체(110)의 계지돌기(113)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외장 플레이트 계지공(105)과의 계지를 해제하여, 외장 플레이트 (B4)를 플레이트 프레임(A4)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상기 절결부(11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도피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116)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어, 외장 플레이트(B4)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피부(91)의 배면측 끝부로부터는 얇은 리브(92)가, 외장 플레이트 (B4)의 절결부(116)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 배설되어 있다.
즉, 절결부(116)에 삽입된 지그에 조영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조영면에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나, 리브(92)를 배설함으로써 절결부(116)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92)에 접촉하게 되어, 외장 플레이트(B4)를 플레이트 프레임(A4)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본체(110)의 배면측에는, 도 2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돌조편(118)이 개구창(111a)을 따라서 나란히 배설되어 있다. 이들 돌조편(118)은 외장 플레이트(B4)가 플레이트 프레임(A4)에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 (81)의 가교편(88)에 의해 3개로 구획된 각 간극(86)에 각각 삽입되게 되고, 이로써 플레이트 프레임(A4)의 휨편(84)의 움직임(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예를들면 배선기구(C)로서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매우 큰 힘으로 잡아 빼는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휨편(84)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걸림클릭(62)과 플레이트 프레임(A4)의 계지 단부(97),(101)와의 계지가 벗어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 돌조편(118)이 간극(86)에 삽입됨으로써 저항이 커지게 되어, 외장 플레이트(B4)를 플레이트 프레임(A4)으로부터 벗어지기 어렵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 모듈치수의 3개의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A4)에 단폭방향으로 나란히 장착한 상태에서 모든 배선기구(C)의 기능면이 노출하도록 개구창(111a)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단, 플레이트 프레임(A4)에는 상중하 3개의 장착위치에 1개에서 3개까지의 배선기구(C)를 임의의 개수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장착개수 및 장착위치에 따른 치수의 개구창(111a)을 가지는 외장 플레이트를 준비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본체(81)의 측편(83')에 있어서의 하측의 외장 플레이트계지공(105)의 상부에 장원형의 관통공(103)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관통공(103)에 삽입하여 플레이트 프레임(A4)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B4)의 장착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돌기(114)를 외장 플레이트(B4)의 플레이트 본체 (110) 이면에 돌출 형성하고 있다.
즉, 외장 플레이트(B4)는 규제돌기(114)가 관통공(10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플레이트 프레임(A4)에 장착할 수 있어, 플레이트 프레임(A4)에 대하여 외장 플레이트(B4)가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28 ∼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프레임(A3)과 중간 플레이트(D)와 금속 플레이트(E)로 구성된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A3)은 도 29a,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프레임(A3)과 완전히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플레이트(D)의 플레이트본체(120)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 프레임(A3)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121)와, 주부(121)의 전체 주위 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122)을 일체로 형성한 거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123)는 주부(121)의 배면측의 4귀퉁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주부(121)의 거의 중앙에는,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장착된 배선기구(C)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12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본체(120)가 대향하는 측벽(122) 사이의 폭 치수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도 31 ∼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 프레임(A3)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D)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가 중간 플레이트(D)의 플레이트본체(12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120)의 측벽(122)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W)에 거의 접촉하게 되어,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플레이트본체(120) 하측의 측벽(122)에는 1쌍의 절결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26)에 지그(드라이브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플레이트본체(120)에 앞면측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레이트본체(120)의 계지돌기(123)와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외장 플레이트 계지공(30b)과의 계지를 해제하여, 중간 플레이트 (D)를 플레이트 프레임(A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본체(120)의 배면측에는 플레이트 프레임(A3)에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에 형성된 3개의 슬릿(38a)∼(38c)에 각각 삽입되는 4개의 돌조편(128)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즉, 배선기구(C)를 장착한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중간 플레이트(D)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도 32a, 32b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돌조편(128)이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각 슬릿(38a)∼(38c)에 삽입되고, 슬릿(38a)∼(3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128)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 프레임본체(30)의 가동량부(35)의 움직임(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스위치(S)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량부(35)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스위치(S)의 걸림클릭 (74)과 가동량부(35) 및 고정량부(34)의 계지홈(35a),(34a)과의 계지가 풀어지기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D)의 플레이트본체(120)의 이면에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외장 플레이트(B3)와 동일한 위치에 규제돌기(12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중간 플레이트(D)의 앞면에는 장식 또는 디자인상의 미관 및 내화(耐火)성능의 향상을 위해 금속 플레이트(E)가 부착된다.
이 금속 플레이트(E)는, 도 30a,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중앙에 3개분의 배선기구(C)의 기능면을 노출하는(3개 모듈치수에 대응한)노출창(13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면측으로 거의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측부(130a)를 가진 금속플레이트본체(130)로 이루어진다.
금속플레이트본체(130)의 노출창(13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130a)에는, 거의 등(等)간격으로 각각 3개의 부착편(132)이 배면측에 늘어뜨려 형성되는 동시에, 각 부착편(1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1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플레이트(D)의 플레이트본체(120)의 앞면측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130)가 결합하는 결합 요소(凹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또한 플레이트본체(120)의 좌우 양측벽(122)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130)의 양측부(1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12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금속플레이트본체(130)의 각 부착편(132)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측벽 (122)에는 부착편(132)을 도피시키기 위한 요부(凹部)(129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부(129a)에 면하는 선단에 금속 플레이트(C)의 계지부(133)가 요철 계합하여 휘어질 수 있는 계합편(129b)이 플레이트본체(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본체(120)의 양측벽(122)에 형성된 삽입홈(129)에 금속플레이트(C)의 양측부(130a)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C)의 부착편(132)이 요부(129a)로 들어 간다.
이 때, 부착편(13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부(133)의 테이퍼면이 계합편(129b)에 접촉하고, 부착편(132)이 압입됨에 따라서 계지부(1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129b)이 휘고, 곧 계합편(129b)의 선단과 부착편(132)의 계지부 (133)가 요철계합하여, 금속플레이트(C)의 금속플레이트본체(130)가 중간 플레이트 (D)의 플레이트본체(120) 앞면의 결합요소에 결합되고 또한 계지부(133)와 계합편 (129b)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고정(이탈방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 모듈치수의 3개의 배선기구(C)를 플레이트 프레임(A3)에 단폭방향으로 나란히 장착한 상태에서 모든 배선기구(C)의 기능면이 노출하도록 중간 플레이트(D)의 개구창(121a) 및 금속 플레이트(E)의 노출창 (131)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단, 플레이트 프레임(A3)에는 상중하 3개의 장착위치에 1개에서 3개까지의 배선기구(C)가 임의의 개수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배선기구(C)의 장착개수 및 장착위치에 따른 치수의 개구창(121a) 및 노출창(131)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D) 및 금속 플레이트(E)를 준비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중간 플레이트(D)는 규제돌기(131a)가 관통공 (30c)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플레이트 프레임(A3)에 장착할 수 있어, 플레이트 프레임(A3)에 대하여 중간 플레이트(D)가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 1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플레이트(D)의 규제돌기 (131a)가 배설되는 위치가 다르며, 개구창(121a)의 폭 치수가 큰 본 실시형태의 중간 플레이트(D)를 실시형태 1의 플레이트 프레임(A1)에 장착하면, 개구창(121a)으로부터는 배선기구(C)의 기능면 이외에 플레이트 프레임(A1)의 앞면까지도 노출되어 버려 미관상 보기 흉하게 된다.
그래서, 외장 플레이트(B1)와 중간 플레이트(D)로 규제돌기(131a)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서로 종류가 다른 플레이트 프레임(A1),(A3)에 잘못하여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매입형(埋入型) 배선기구를 단폭(短幅)방향으로 3개 배열한 상태로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 가능한 개구부, 개구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側片)의 한쪽에 배설되어 1 ∼ 3개의 배선기구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의 한쪽이 각각 삽입 계지되는 휨이 가능한 휨편(片), 측편의 다른쪽에 배설되어 각 배선기구의 다른 쪽의 걸림클릭이 삽입 계지되는 고정부, 양측편에 배설되어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각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외장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외장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장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배선기구가 구비하는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외측에 각각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외장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외장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장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배선기구가 구비하는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 고정량부와 가동량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개구부의 양측에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외장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외장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장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과 외장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배선기구가 구비하는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외측에 각각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과,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 플레이트와,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치수를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 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 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플레이트 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외장 플레이트의 앞면을 금속 플레이트로 덮음으로써 장식 또는 디자인상의 미관 및 내화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외장 플레이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매입형(埋入型) 배선기구를 단폭(短幅)방향으로 1∼3개 배열한 상태로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 가능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側片)의 한쪽에 배설되어 1∼3개의 배선기구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의 한쪽이 각각 삽입 계지되는 휨이 가능한 휨편(片)과, 상기 측편의 다른쪽에 배설되어 각 배선기구의 다른쪽의 걸림클릭이 삽입 계지되는 고정부와, 양측편에 배설되어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과, 상기 나사삽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장원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
    각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과,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이 각 폭치수보다 크고 상이 측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주부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 삭제
  3.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와,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와,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외측에 각각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과, 상기 나사삽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장원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
    각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과,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치수보다 크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과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주부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4.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와,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와, 고정량부와 가동량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개구부의 양측에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과, 상기 나사삽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장원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
    각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과,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치수보다 크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과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주부의 거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외장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5.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와, 걸림클릭을 걸리게 하는 계지홈을 가지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휠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와,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외측에 각각 배설되어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내에 배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과, 상기 나사삽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장원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 프레임;
    각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과,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와, 플레이트 본체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폭치수보다 크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과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주부의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 플레이트;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6. 삭제
KR1019990052705A 1998-11-30 1999-11-25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00361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40606A JP2000166049A (ja) 1998-11-30 1998-11-30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340606 199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76A KR20000052376A (ko) 2000-08-25
KR100361858B1 true KR100361858B1 (ko) 2002-11-23

Family

ID=1833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705A KR100361858B1 (ko) 1998-11-30 1999-11-25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0166049A (ko)
KR (1) KR100361858B1 (ko)
CN (1) CN1094245C (ko)
HK (1) HK1027208A1 (ko)
ID (1) ID279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1606A (zh) * 2012-06-29 2012-10-24 中山市电星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符合多个国家的标准要求的插座
JP6639541B2 (ja) * 2018-02-20 2020-02-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配線器具用プレート
CN113193411B (zh) * 2021-05-08 2023-04-07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固定架、电气装配结构及开关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5715A (zh) 2000-06-07
KR20000052376A (ko) 2000-08-25
JP2000166049A (ja) 2000-06-16
CN1094245C (zh) 2002-11-13
ID27943A (id) 2001-05-03
HK1027208A1 (en)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8810A (en) Coupling engagement mechanism for electric connector
JP2000077870A (ja) 係止用フック
JPH1126097A (ja) パネル取り付け用ソケット
KR100361858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00242975B1 (ko)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KR100308177B1 (ko) 배선기구용플레이트
KR200182171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케이스 고정장치
KR100393919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9990006487A (ko)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JP3433630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KR100260981B1 (ko) 배선 기구용 플레이트
JP2002171634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001157338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3122183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H10336836A (ja) 配線器具用のプレート構造
JP2001177940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002078133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002314259A (ja) 電気機器のキャビネット
KR0130289Y1 (ko) 발광 다이오드 렌즈 고정구조
JP3509562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H10154428A (ja) スイッチ取付構造
JPH11243615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000209730A (ja) 配線器具用プレ―ト
KR200153817Y1 (ko) Vcr의 데크 가이드 조립구조
JPH11224985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