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094Y1 -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094Y1
KR200344094Y1 KR20030036081U KR20030036081U KR200344094Y1 KR 200344094 Y1 KR200344094 Y1 KR 200344094Y1 KR 20030036081 U KR20030036081 U KR 20030036081U KR 20030036081 U KR20030036081 U KR 20030036081U KR 200344094 Y1 KR200344094 Y1 KR 200344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opening
pedal assembly
bracket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6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36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094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등에 장착되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페달 조립체를 차량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신규한 구조에 특징이 있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조립체는 (1)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면을 포함하는 브라켓과, (2)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 암과, (3) 상기 하측면의 개구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단차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베이스판과, (4) 상기 베이스판의 단차 개구의 단차부에 안착하는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판의 개구를 관통하는 중공 몸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달 조립체{Pedal Assembly}
본 고안은 차량 등에 장착되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페달 조립체를 차량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신규한 구조에 특징이 있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달 시스템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데 그 사이에 베이스판이 제공된다. 그리고 페달 시스템의 브라켓과 베이스판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개재되는데 종래의 페달 시스템에서는 이 스페이서를 베이스판에 용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베이스판에 용접하여 고정하면 용접시 베이스판에 용접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문제점이 제거된 페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조립체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조립체의 베이스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조립체의 체결부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페달 조립체 2: 페달 암
3: 페달 4: 브라켓
5: 축 20: 베이스판
30: 스페이서 31: 플랜지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조립체는 (1)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면을 포함하는 브라켓과, (2)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 암과, (3) 상기 하측면의 개구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단차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베이스판과, (4) 상기 베이스판의 단차 개구의 단차부에 안착하는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판의 개구를 관통하는 중공 몸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베이스판에 용접 고정하지 않고, 베이스판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에 스페이서의 플랜지를 안착시켜 계지시킴으로써, 용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따라서 용접으로 인해 베이스판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베이스판의 주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과, 측벽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단차 개구의 주위를 형성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조립체(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페달 조립체(1)는 페달 암(2)과, 페달 암(2)의 단부에 제공되는 페달(3)과, 페달 암(2)을 축(5)에 대해서 축지지하는 브라켓(4)과, 브라켓(4)에 결합되는 베이스판(20)을 포함한다.
브라켓(4)은 볼트 등을 통해 차량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베이스판(20)의 일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20)에는 개구(47)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47)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판(20)의 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27)과, 이 측벽(27)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개구(35) 주위를 형성하는 평면(25)를 형성하여 개구(47)를 베이스판(20)에 대해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 단차 개구는 베이스판(20)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20)의 형상이 사각이라면 총 4개의 단차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차 개구의 갯수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페이서(30)는 플랜지부(31)와, 중공 몸체(33)를 포함한다. 플랜지부(31)는 중공 몸체(33)의 외측으로 연장하는데, 플랜지부(31)는 평면(25)과 측벽(27)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판(20)의 단차부에 안착된다.
도 3에는 스페이서(30)가 베이스판(20)에 안착되고, 베이스판(20)이브라켓(4)의 하면(45)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의 플랜지부(31)가 베이스판(20)의 단차부에 안착되기 때문에 베이스판(20)에 스페이서(30)를 용접하지 아니하고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페이서(30)의 개구(35)는 베이스판(20)의 개구(47)과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 개구들을 통해서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체결 수단이 통과하고, 이 체결 수단에 의해 페달 조립체(1)의 브라켓(4)이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내지 도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나아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고안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베이스판에 용접할 필요없이, 베이스판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 개구에 스페이서의 플랜지를 안착시키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용접으로 인해 베이스판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페달 조립체의 품질이 개선되고, 용접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도 제공된다.

Claims (2)

  1.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면을 포함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 암과,
    상기 하측면의 개구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단차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단차 개구의 단차부에 안착하는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판의 개구를 관통하는 중공 몸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베이스판의 주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과, 측벽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단차 개구의 주위를 형성하는 평면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KR20030036081U 2003-11-19 2003-11-19 페달 조립체 KR200344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081U KR200344094Y1 (ko) 2003-11-19 2003-11-19 페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081U KR200344094Y1 (ko) 2003-11-19 2003-11-19 페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094Y1 true KR200344094Y1 (ko) 2004-03-10

Family

ID=4942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6081U KR200344094Y1 (ko) 2003-11-19 2003-11-19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0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4094Y1 (ko) 페달 조립체
JP2002200937A (ja) ミラー
JP2002200938A (ja) ミラー
JP2001006493A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へのケーブルリールとウインカ・ライテイング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2565162Y2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タワーの補強構造
JP4108309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ロッド支持構造
CN210337480U (zh) 一种汽车底盘的下摆臂
JP2000344132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付構造
JP3968691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ブラケット
KR0135536Y1 (ko) 엔진 마운트용 브라켓트
JPH0418172Y2 (ko)
JP3683736B2 (ja) クラスタリッドに設けられたカードホルダ、及び、ユニット取付枠
JPH10310086A (ja) 牽引用フックの取り付け構造
KR200142952Y1 (ko) 무인운반차
JP3807100B2 (ja) 産業車両
KR100683208B1 (ko) 차량용 오디오의 장착구조
JPH076046U (ja) 電動チルトシリンダ装置
JPH07309111A (ja) 車体への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JPH107019A (ja) 車両のピラー構造
JPH0533384Y2 (ko)
KR20020030211A (ko) 프레임바디구조에서의 범퍼 거치 구조
JP2000142481A (ja) 産業車輌
JP2000351350A (ja) 成形天井
JP2001341538A (ja) 産業車両におけるハウジング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KR20070065609A (ko) 씰드버너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