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351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351B1
KR102350351B1 KR1020197012565A KR20197012565A KR102350351B1 KR 102350351 B1 KR102350351 B1 KR 102350351B1 KR 1020197012565 A KR1020197012565 A KR 1020197012565A KR 20197012565 A KR20197012565 A KR 20197012565A KR 102350351 B1 KR102350351 B1 KR 10235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579A (ko
Inventor
야스시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5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e.g. on a dishwasher,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경관을 지키며, 또한,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주의 사항이나, 점포 내에서 유저가 스스로 조작할 필요가 있는 장치의 이용 방법 등을 종이에 기재해서 주변에 붙여 이용자에게 주지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미 숙지하고 있는 이용자에게는 불필요한 정보이지만, 그렇지 않은 유저에게는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된다.
여기서, 정보 제시 기술에 관하여,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인체 검출 상황(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검지)에 따라서 광고 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선택 제어하고, 점포 내의 광고 시청 효과를 유지하면서 절전형 운전을 실현하는 정보 제공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시청자의 연령층, 성별, 인원수, 유동인구, 시간대에 따라서, 적절한 광고 데이터를 선택하고, 재생하는 전자 간판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에서는, 전자 간판에 대한 유저의 위치, 인원수, 연령, 성별 등에 따라서, 유저에게 담보로서의 디지털 쿠폰 등을 제공하는 전자 간판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4에는, 통상은 광고, 안내 표시, 유사시에는 피난 유도 표시나 특정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 페이퍼 가변 표시 기능 간판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5에는, IC 카드 승차권이나 신용카드 등으로부터 수집된 고객의 정보를 집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광고 내용을 전환하는 광고 표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6에는, 고객의 특징에 통계적인 경향이 확인된 경우, 그 경향에 맞는 광고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7에는, 냉장고 내 영상을 표시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0-191155호 공보 국제 공개 제13/125032호 일본 특허공표 제2012-52001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15-00492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8-22531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2-07332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2-81818호 공보
그러나, 어느 정보 제시 기술에 있어서도, 항상 어떠한 정보는 제시된 상태이기 때문에, 문자나 도형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주위의 경관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주의 환기나 사용 방법을 기재한 벽보가 여러 장이 붙어 있으면, 바로 그 자체의 디자인성이 손상되어버린다. 또한, 벽보가 찢어지거나 떨어져 난잡한 상태 그대로 방치되면, 치안의 악화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경관을 지키며, 또한,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同化)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프로세서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것과,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컴퓨터를,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경관을 지키며, 또한,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주의 환기 등의 벽보에 의해 경관이 손상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정보 제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 동반자를 위한 메시지의 일례와 손수레 이용자를 위한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례와, 비거주자를 위한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위장 화상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위장 화상 생성의 과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위장 화상 생성의 과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정보 처리 단말기에서의 위장 화상의 표시와 메시지 화상의 전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초보자용 및 숙련자용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4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4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4 실시예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
2. 제1 실시예
2-1. 구성
2-2. 동작 처리
3. 제2 실시예
3-1. 구성
3-2. 동작 처리
4. 제3 실시예
4-1. 구성
4-2. 동작 처리
5. 제4 실시예
5-1. 구성
5-2. 동작 처리
6. 결론
<<1.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제시가 가능한 정보 처리 단말기[1(1a 내지 1c)]가,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정보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주위에 동화되는 위장 화상(동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경관을 지키며, 또한,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주변에 정보 처리 단말기(1a 내지 1c)가 설치되어 있을 때, 주위의 모양과 동화되는 모양을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주변의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저 A가 엘리베이터 앞에 오는 경우에도, 유저 A가 애완동물 동반이 아니기 때문에 정보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도 1의 왼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기(1a 내지 1c)는, 주위의 모양과 동화되는 모양 표시를 계속한다. 한편, 유저 B가 엘리베이터 앞에 오는 경우에는, 유저 B가 애완동물을 데리고 있기 때문에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도 1의 오른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기(1a 내지 1c)는, 애완동물 동반 이용자를 위한 주의 사항이나 규칙을 표시한다.
(배경)
상술한 바와 같이, 주의 환기나 사용 방법을 기재한 벽보가 몇 장이나 붙여 있으면, 바로 그 자체의 디자인성이 손상되고, 또한 벽보가 찢어지거나 떨어져 난잡한 상태 그대로 방치되면, 치안의 악화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도 2는, 주의 환기 등의 벽보에 의해 경관이 손상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점포 내에 재치되고, 이용자가 스스로 조작하여 커피를 끓이는 커피 머신(200)이나, 아파트, 호텔, 또는 빌딩 등의 엘리베이터 홀(210) 등에 있어서, 주의 사항 등의 벽보에 의해, 정성을 들인 디자인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자의 다양성이나, 디자인 자체의 이해의 어려움, 또한, 처음 이용하는 사람에 대한 주의 환기 등, 다양한 상황 전부에 대응하려고 하는 점에서 무리가 발생하여, 디자이너가 원래 디자인한 외견이나 경관이 점점 손상되어 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그 밖에도 예를 들어 공항이나 역 등의 공공시설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즉, 공간 디자이너에 의해 설계된 디자인이, 주의 환기를 위한 벽보나 현수막에 의해 저해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역은 출퇴근 시간대에 따라서는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아져서, 다툼을 회피하기 위해 걷는 방향(우측통행, 좌측통행)을 지시하는 벽보나 현수막이 여기저기에 전시되어 있다.
또한, 심정적으로도 경관이 흐트러져 있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으며, 경관의 흐트러짐이 치안 전체를 나쁘게 한다는 점도 생각된다. 예를 들어, 깨진 유리창(Broken Windows) 이론과 같은, 낙서 등에 의한 경관의 흐트러짐이 치안 전체를 나쁘게 한다는 사고방식도 있다.
즉, 벽보가 난잡한 상태로 방치되어, 경관이 흐트러져 있으면, 벽의 오염이나 흠집 등이 잘 두드러지지 않아, 알아차렸을 때는 오염이나 손상이 진행되어, 자의적으로 더럽혀질 가능성도 높다. 경관의 흐트러짐이 가속함으로써, 쓰레기 무단투기가 늘어나기 시작해, 불량자의 집합소로 되어, 기물 파손이나 도난 등의 중대한 범죄의 증가 유발로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벽보 등에 의한 경관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보 제시가 불필요한 동안에는, 위장 화상을 표시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1)를 주위에 동화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주변의 상황(유저의 이해도, 상황, 환경 등)에 따라서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사이니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페이퍼 단말기에 의해 실현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기(1)는, 거의 전체에 표시부(14)(예를 들어 풀 컬러 전자 페이퍼)가 마련되고, 일부에, 주변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12)(예를 들어 광각 카메라)나, 표시 이외에 유저에게 주의 환기 등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스피커)(13)(1개여도 됨)와, 다른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 등의 데이터를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기억 매체 I/F(인터페이스)(16)(예를 들어 카드 슬롯이나 USB 인터페이스 등)가 마련된다. 정보 처리 단말기(1)는, 주위에 동화시키기 위한 위장 화상을 표시부(14)에 표시하여 통상은 주위의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적절한 정보를 표시부(1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이하 복수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제1 실시예>>
우선,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엘리베이터 홀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엘리베이터의 이용 규칙을 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구성>
우선, 제1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 처리 단말기(1-1)와, 개인 식별 서버(2)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단말기(1-1)와 개인 식별 서버(2)는 네트워크(3)를 통해 접속된다.
개인 식별 서버(2)는, 정보 처리 단말기(1-1)로부터의 문의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카메라(12)로 촬상된 인물의 얼굴 인식을 행하고, 인물의 개인 식별과, 속성 등을 회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아파트 거주자의 얼굴 화상(또는 그 특징량, 패턴)이 미리 개인 식별 서버(2)에 등록되고, 정보 처리 단말기(1-1)로부터의 문의에 따라서, 카메라(12)로 촬상된 인물이 아파트 거주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단말기(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 통신부(11), 카메라(12), 음성 출력부(13), 표시부(14), 기억부(15), 및 기억 매체 I/F(16)를 갖는다.
제어부(10)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며,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1-1)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10)는,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부(10)는, 판단부(101), 화면 생성부(102), 및 표시 제어부(103)로서 기능한다. 판단부(101)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정보 제시를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101)는, 근처에 있는 대상인물의 이해도(리터러시, 익숙해졌는지 여부 등), 상황(누구와/무엇과 함께 있는지, 이용의 목적이나 용도는 무엇인지 등) 또는 환경의 변화(유동인구, 일시, 이벤트 등)에 기초하여, 대상 인물에 대한 정보 제시를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다이내믹한 UI/내용 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면 생성부(102)는, 판단부(101)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표시부(14)에 표시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화면 생성부(102)는, 판단부(101)에 의해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대상 인물에 제시하는 정보(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대상 인물에 따라서 선택해도 됨)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한편, 판단부(101)에 의해 정보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화면 생성부(102)는, 주위의 경관에 동화되는 위장 화상의 화면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정보 제시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위의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03)는,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1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11)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네트워크(3)와 접속하고, 네트워크상의 개인 식별 서버(2)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11)는, 예를 들어 유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등록상표), 휴대 통신망(LTE(Long Term Evolution), 3G(제3세대의 이동체 통신 방식)) 등에 의해 네트워크(3)와 통신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통신부(11)는, 개인 식별 서버(2)에, 카메라(12)로 촬상한 대상 인물의 얼굴 화상을 송신하고, 아파트 거주자인지 여부의 식별을 요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 식별을 개인 식별 서버(2)(클라우드)에서 행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단말기(1-1)(로컬)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거주자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규모 기억 영역은 필요 없다.
카메라(12)는, 촬상 렌즈, 조리개, 줌렌즈, 및 포커스 렌즈 등에 의해 구성되는 렌즈계, 렌즈계에 대해서 포커스 동작이나 줌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계, 렌즈계로 얻어지는 촬상 광을 광전 변환하여 촬상 신호를 생성하는 고체 촬상 소자 어레이 등을 갖는다. 고체 촬상 소자 어레이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12)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를 촬상하고, 촬상 화상을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3)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에 대한 증폭기 회로를 갖는다. 음성 출력부(13)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서,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03)에 의해 표시부(14)의 표시 화면이 전환될 때, 표시의 변경을 알아차리도록 하기 위해서 어떠한 음성이나 소리를 출력하여 유저의 주의를 끄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부(14)는, 표시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정보 제시 화면이나 위장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자 페이퍼형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15)는, 제어부(10)의 처리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기억부(15)는,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위한 각종 메시지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개인 식별을 정보 처리 단말기(1-1)에서 행하는 경우는, 아파트 거주자의 얼굴 화상이 기억부(15)에 미리 등록된다.
기억 매체 I/F(16)는, 기억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예를 들어 카드 슬롯이나 USB 인터페이스 등이 상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다른 카메라로 촬상된 엘리베이터 홀의 촬상 화상을 기억 매체로부터 취득하고, 제어부(10)의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위장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마이크로폰), 각종 센서(위치 정보 취득부, 압력 센서, 환경 센서 등) 또는 조작 입력부(터치 패널 등)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별체 (예를 들어, 서버측)에 있어도 된다.
<2-2. 동작 처리>
우선, 제1 실시예에 의한 정보 제시의 동작 처리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제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정보 처리 단말기(1-1)는, 카메라(12)에 의해, 엘리베이터 홀의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스텝 S103).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판단부(101)는, 화상 인식을 행하고(스텝 S106), 카메라 앞에 사람이 서있는지, 즉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9).
다음으로, 카메라 앞에 사람이 있는 경우(스텝 S109/"예"), 판단부(101)는, 화상 인식의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인물이 애완동물(주로 개, 고양이 등의 동물)과 함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2).
다음으로, 애완동물과 함께 있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112/"예"), 화면 생성부(102)는, 애완동물 동반자를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03)에 의해 표시부(14)에 표시한다(스텝 S115).
다음으로, 당해 인물이 손수레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18), 갖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118/"예"), 이미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이아웃을 조정한다(스텝 S121).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앞에 복수의 인물이 있어, 이미 애완동물 동반자를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애완동물 동반자를 위한 메시지의 레이아웃을 조정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을 만든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1)는, 손수레 반입자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표시한다(스텝 S124).
다음으로, 당해 인물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개인 식별을 행하고, 아파트 거주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7). 개인 식별은, 예를 들어 개인 식별 서버(2)에 요구해도 된다.
다음으로, 아파트 거주자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스텝 S127/"예"), 비거주자를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필요가 있지만, 이미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이아웃을 조정한다(스텝 S130).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기(1-1)는, 비거주자를 위한 메시지를 표시한다(스텝 S133). 이에 의해 처음 이 아파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도, 해당 엘리베이터의 규칙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에 표시되는 각 메시지의 일례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다. 도 6은, 애완동물 동반자를 위한 메시지의 일례와 손수레 이용자를 위한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왼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화면(140)에 의해, 애완동물 동반자에 대한 주의 사항이 표시된다. 또한, 도 6의 오른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화면(141)에 의해, 손수레 반입자에 대한 주의 사항이 표시된다.
또한, 도 7은, 복수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례와, 비거주자를 위한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왼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화면(142)은, 메시지 영역이 분할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애완동물 동반자를 위한 메시지와 손수레 반입자를 위한 메시지의 양쪽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복수의 메시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표시해도 되고,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하면서 표시해도 된다.
또한, 도 7의 오른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화면(143)에 의해, 비거주자를 위한 주의 사항이 표시된다. 또한, 아파트 거주자인지 여부의 개인 식별은, 얼굴 화상 인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파트에 따라서는 보안의 관점에서 키(또는 카드)를 터치하면 엘리베이터를 부르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손님의 경우에는 인터폰으로 문을 열면 엘리베이터가 자동적으로 입구 플로어로 내려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키를 사용했는지 인터폰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거주자인지 방문객(비거주자)인지를 식별하도록 해도 된다.
계속해서, 카메라 앞에 사람이 서있지 않는(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스텝 S109/"아니오"), 이미 위장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스텝 S136/"아니오")에는, 그대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4)에 전자 페이퍼를 이용함으로써, 한번 표시한 화상의 유지에 전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미 위장 화상이 표시되어 있으면 새로운 처리는 필요 없다.
한편, 표시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상술한 메시지 화면(140 내지 143)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36/"아니오"), 위장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139).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앞에 오는 인물이 애완동물 동반자 등, 메시지가 필요한 이용자일 경우에는 소정의 메시지의 제시가 행해지고, 메시지를 제시하는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장 화상의 표시가 유지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홀의 경관을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처리에서는, 정보 제시를 위한 몇 가지 조건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다른 조건에 기초하여 정보 제시의 판단을 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인식한 경우, 자전거 반입용 엘리베이터로 유도하는 등의, 자전거 반입자를 위한 주의 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기(1-1)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연의 장소에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설치하여, 평소에는 위장 화상을 표시시켜, 담배를 피우려고 하고 있는(또는 피고 있는) 사람을 인식한 경우에는, 「금연」사인의 표시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위장 화상의 생성)
계속해서, 위장 화상의 생성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위장 화상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위장 화상 생성의 과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 예정의 장소를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고, 그 화상 A(도 9에 도시한 화상(30) 참조)를, 정보 처리 단말기(1-1)에서 취득한다(스텝 S143). 취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신부(11)를 통해 무선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부터 수신해도 되고, 기억 매체 I/F를 사용하여, USB나 SD 카드 등의 스토리지 미디어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카메라(12)로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장소를 촬영해도 된다. 또한, 본 처리는, 정보 처리 단말기(1-1)에서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서버측에서 행하는 경우, 촬영한 화상은 서버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취득한 화상 A의 특징점 F를 추출한다(도 9에 도시한 화상(31) 참조)(스텝 S146). 이 특징점은, 마커리스 AR이나 화상 인식 등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특징점 추출(e.g. SIFT, SURF, Haar-like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유저 조작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표시부(14)에 마커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149). 유저(예를 들어 관리자)는, 마커 화상이 표시된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실제로 설치하는 장소에 고정한다. 마커 화상은 촬영 화상 내의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식만 할 수 있으면 어떠한 마커 화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1)는,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 장소를 촬영한 화상 A'(도 9의 화상(32) 참조)를 취득한다(스텝 S152).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화면 생성부(102)는, 화상 A'에 대해서 특징점 F'를 추출한다(도 10의 화상(33) 참조)(스텝 S155). 또한, 화면 생성부(102)는, 화상 A'로부터 마커 화상을 인식하고, 위치를 구한다(스텝 S158). 또한 도 10의 화상(33)에서는, 마커 부분에 특징점이 추출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은 설명상,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실제로는 특징점이 추출될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화면 생성부(102)는, 특징점 F와 특징점 F'를 매칭함으로써, 화상 A와 화상 A'의 위치, 회전, 크기의 차이를 검출하고, 화상 A'의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설치 위치(즉, 마커 화상의 위치)가, 화상 A의 어느 부분에 맞는지를 검출 가능하다(스텝 S158).
다음으로, 화면 생성부(102)는, 구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화상 A'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 관계가 되는 부분(즉, 정보 처리 단말기(1-1)가 설치된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의 화상 S를 화상 A로부터 추출한다(도 10의 화상 34 참조)(스텝 S161). 화상 A로부터 추출한 이러한 화상 S가, 위장 화상에 상당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기(1-1)는, 화상 S를 표시부(14)에 표시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주위의 경관에 동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스텝 S164). 여기서, 도 11에, 생성된 위장 화상(화상 S)의 표시와 메시지 화상을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기(1-1)에 위장 화상(화상 S)을 표시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기(1-1)를 주위에 동화시키고, 눈에 잘 띄지 못하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홀의 경관을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위한 메시지의 제시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11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기(1-1)에 메시지 화상(144)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한 주의 환기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한 위장 화상의 생성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위장 화상의 생성은, 정보 처리 단말기(1-1)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서버상에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표시부(14)를 전자 페이퍼로 실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를 이용하고, 프로젝션 방식에 의해 메시지를 제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관을 지키기 위해서, 정보 제시의 필요가 없을 때에는 영상을 프로젝션하지 않도록 하면 되기(즉, 원본 배경이 그대로 보이도록 하기) 때문에, 위장 화상의 작성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반 거리 안에 있는 대형의 디지털 사이니지에서의 실현을 고려할 경우, 광학 미채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대형의 디지털 사이니지도 경관에 동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의 양면에 표시 화면을 마련하고, 각각 반대측에 마련된 카메라로 촬영한 촬영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디지털 사이니지의 건너편의 경치가 보이는 상태로 되어, 경관을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장 화상은,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되며, 미리 생성해 두어도 된다.
<<3. 제2 실시예>>
다음으로, 편의점 등에 재치되어 있는 셀프서비스의 커피 서버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커피 서버의 주의 환기나 설명을 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최근 들어, 편의점 등에 셀프서비스의 커피 서버가 보급되고 있으며, 커피 서버의 디자인성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상, 외국어로 표기되거나, 생략화되거나, 버튼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처음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디자인으로 되어 있었다. 요즘에는,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점원이 종이에 적어 붙이거나, 버튼의 의미를 기재한 시일 등이 붙여져 있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지만, 디자인성이 손상되어, 난잡해진 분위기로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피 서버(5)에 설치된 정보 처리 단말기(1-2)에 있어서, 평소에는 경관에 동화되는 위장 화상(150) (예를 들어 커피의 일러스트 등, 멋있는 외관)을 표시하고, 경관을 지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카메라(12)로 이용자의 개인 식별을 행하여, 숙련자(여러차례 이용하고 있는 사람)이면, 숙련자용 UI(예를 들어 디자인성이 높아 설명이 없는 화면이며, 주위의 경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위장 화상)를 표시한다. 한편, 초보자(최초 이용자, 혹은 고령자나 어린이 등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다고 추정되는 사람)이면, 초보자용 UI(예를 들어 디자인성은 낮지만 이해하기 쉬운 설명이 표시되는 화면)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평소는 경관을 지키면서도, 필요할 때는 적절히 정보 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1. 구성>
우선, 제2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 처리 단말기(1-2)와, 개인 식별 서버(2)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단말기(1-2)와 개인 식별 서버(2)는 네트워크(3)를 통해 접속된다.
개인 식별 서버(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기(1-2)로부터의 문의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1-2)의 카메라(12)로 촬상된 인물의 얼굴 인식을 행하여, 인물의 개인 식별과, 속성 등을 회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 식별 서버(2)는, 예를 들어 편의점의 이용자의 얼굴 화상(또는 그 특징량, 패턴)에 기초하여 개인 식별하고, 추가로 식별한 이용자의 이용 횟수나 이용 시의 조작 시간 등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식별 서버(2)는, 정보 처리 단말기(1-2)로부터의 문의에 따라서, 카메라(12)로 촬상된 인물이 숙련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 통신부(11), 카메라(12), 음성 출력부(13), 표시부(14), 기억부(15), 터치 패널(17), 및 타이머(18)를 갖는다.
제어부(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단부(101), 화면 생성부(102), 및 표시 제어부(103)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판단부(101)는, 커피 서버를 이용하는 유저가, 숙련자인지 여부(대상 인물의 이해도)에 따라서, 어떠한 정보 제시를 행할지를 판단한다.
화면 생성부(102)는, 판단부(101)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표시부(14)에 표시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화면 생성부(102)는, 판단부(101)에 의해 숙련자를 위한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숙련자를 위한 UI를 생성한다. 숙련자를 위한 UI는, 예를 들어 디자인성이 높고, 경관을 보다 좋게 하는 것이 상정된다. 한편, 판단부(101)에 의해 초보자를 위한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초보자를 위한 UI를 생성한다. 또한, 화면 생성부(102)는, 이용자가 없는 경우나 조작이 종료된 경우에 표시하는 디폴트의 UI(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위장 화상)도 생성할 수 있다. 디폴트의 UI는, 배경에 동화시키도록(커피 서버(5)와 동일한 색, 모양) 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한 예에서는, 적어도 손님이 찾아낼 수 있도록, 최저한 커피 서버임을 알 수 있을 정도의 표시로서, 커피의 일러스트를 표시하고, 배경은 커피 서버(5)와 동일한 색, 모양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각종 조작 화면의 색조는, 점포의 분위기에 맞춰서 조화되는 색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제어부(103)는,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1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11), 카메라(12), 음성 출력부(13), 표시부(14), 및 기억부(15)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 패널(17)은, 표시부(14)에 마련되고, 표시부(14)에 표시된 조작 화면(숙련자용 UI, 초보자용 UI)에 대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검출하고,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마이크로폰), 각종 센서(위치 정보 취득부, 압력 센서, 환경 센서 등), 또는 조작 입력부(터치 패널 등)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별체(예를 들어, 서버측)에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기(1-2)가 장착되어 있는 커피 서버(5)에 송신한다.
타이머(18)는, 유저에 의한 커피 서버(5)나, 표시부(14)에 표시한 조작 화면에 대한 조작 시간을 계측하고,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이러한 조작 시간은, 당해 유저의 조작에 관한 정보로서, 통신부(11)로부터 개인 식별 서버(2)에 송신되고, 축적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2)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1-2)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마이크로폰), 각종 센서(위치 정보 취득부, 압력 센서, 환경 센서 등)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기(1-1)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별체(예를 들어, 커피 서버(5)나, 네트워크상의 클라우드 서버)에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카메라(12)가, 커피 서버(5)의 앞면 위쪽에 마련되고, 무선/유선에 의해 계속적으로 촬상 화상이 정보 처리 단말기(1-1)에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3-2. 동작 처리>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동작 처리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디폴트 UI를 표시부(14)에 표시한다(스텝 S203). 디폴트 UI는, 디자인성이 높은 UI여도 되고, 배경의 커피 서버(5)와 완전히 동화되는 색, 모양으로서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카메라(12)에 의해, 눈앞(즉 커피 서버(5) 앞)을 계속해서 촬상하고, 눈앞에 사람이 서있을 때(이용자가 나타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206). 또한, 단순히 커피 서버(5) 앞을 지나간 사람과 이용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눈앞의 인물이 커피 서버(5)에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는지, 얼굴이 커피 서버(5) 쪽을 향하고 있는지, 멈춰 서 있는지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나타나면,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카메라(12)에 의해 취득한 이용자의 얼굴 화상을 개인 식별 서버(2)에 송신하고, 당해 이용자가, 과거에 커피 서버(5)를 이용한 적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스텝 S209). 개인 식별 서버(2)에서는, 얼굴 화상에 기초하여 개인 식별을 행하고, 데이터베이스부터 과거에도 커피 서버(5)를 이용한 적이 있는 유저인지 여부, 또한, 이용한 적이 있는 경우는 숙련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숙련도를 포함함)를, 정보 처리 단말기(1-2)에 회신한다.
여기서, 숙련자의 판단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숙련자인지 여부는, 이용 횟수나 최근의 이용 상황(최근 이용하였는지, 반년 이상 전인지 등), 유저 속성(연령 등)에 따라서 산출되어도 되고,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커피 서버(5)의 조작 수순이 이하와 같은 스텝(n)인 경우, 각 스텝에 걸린 조작 시간(T)을 계측하여, Tn(n=1, 2, …5)로 한다.
(조작 1) 커피 서버(5) 앞에 서서, 컵 두는 곳의 덮개를 연다.
(조작 2) 컵 두는 곳에 빈 컵을 둔다.
(조작 3) 컵 두는 곳의 덮개를 닫는다.
(조작 4) 음료 종류의 버튼을 누른다(예를 들어, 핫/아이스, 레귤러/라지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조작 5) 커피의 주입이 종료되면 컵 두는 곳의 덮개를 열어 커피를 추출한다.
그리고,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n마다 숙련자와 초보자의 임계값을 설정하고, 예를 들어 Tn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초보자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초보자」라고 판단하고, 모든 Tn이 숙련자의 임계값 이내이면 「숙련자」라고 판단해도 된다. 또한, Tn의 합계가 숙련자의 임계값 이내이면 「숙련자」, 초보자의 임계값 이상이면 「초보자」와 같이 판단해도 된다.
조작 숙련자 초보자
(1) 컵 두는 곳의 덮개를 연다 1.5초 5.0초
(2) 빈 컵을 둔다 1.0초 3.5초
(3) 컵 두는 곳의 덮개를 닫는다 1.0초 3.0초
(4) 음료 버튼을 누른다 1.5초 4.0초
(5) 주입 종료 후, 음료를 추출한다 2.0초 5.0초
총계 7.0초 20.5초
또한, 개인 식별 서버(2)는, 「숙련자」에 대하여, 예를 들어 임계값에 대한 조작 시간의 비율로부터, 추가로 숙련도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초보자와 숙련자의 사이에 「중급자」를 정의해도 된다. 예를 들어, Tn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초보자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초보자」, 모든 Tn이 숙련자의 임계값 이내이면 「숙련자」, 그 이외에는 「중급자」와 같이 판단해도 된다. 또한, Tn의 합계가 숙련자의 임계값 이내이면 「숙련자」, 초보자의 임계값 이상이면 「초보자」, 그 이외이면 「중급자」와 같이 판단해도 된다.
다음으로, 과거에 이용한 유저이며(스텝 S212/"예"), 또한 숙련자인 경우(스텝 S215/"예"),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숙련도에 맞춘 UI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03)에 의해 표시부(14)에 표시한다. 또한 숙련도의 산출은 정보 처리 단말기(1-2)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과거에 이용한 유저가 아닌 경우(스텝 S212/"아니오"), 혹은 과거에 이용한 유저이지만(스텝 S212/"예"), 숙련자가 아닌 경우(스텝 S215/"아니오"),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초보자용 UI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03)에 의해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이용자에 대하여 추정되는 이해도에 따라서, 적절한 조작 화면을 제시한다. 여기서, 도 15에, 본 실시예에 의한 초보자용 및 숙련자용 UI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의 왼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숙련자용 UI(151)는, 디자인성이 높으며, 조작의 설명은 적은 것이 상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자이너에 의해 커피 서버(5)의 디자인과 토털로 디자인된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주위의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피 서버(5)의 디자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급자」가 정의된 경우,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중급자용 UI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타이머(18)에 의해 조작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스텝 S224).
구체적으로는, 우선,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다음 조작의 조작 시간 임계값 Thn(n은 조작 수순의 번호)을 세트한다(스텝 S227).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유저가 필요한 조작을 행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0). 유저의 조작은, 카메라(12)에 의해 관측해도 되고, 터치 패널(17)에 대한 조작 입력, 통신부(11)를 통해 커피 서버(5)로부터 취득한 유저 조작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인식된다.
다음으로, 필요한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스텝 S230/"아니오"), 현재 조작의 경과 시간이, 조작 시간 임계값 Thn을 초과한 경우(스텝 S233/"예"),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표시부(14)에 표시하는 조작 화면을, 초보자용 UI로 변경한다(스텝 S236). 이때, 조작 수순에 대하여 음성으로 가이던스를 출력해도 된다.
다음으로, 초보자용 UI로 변경함에 따라서, 조작 시간 임계값 Thn을 갱신한다(스텝 S239). 예를 들어 동일한 조작 시간 임계값 Thn을 새롭게 세트해도 되며, 초보자용 조작 시간 임계값 Thn을 세트해도 된다.
다음으로, 필요한 조작이 모두 종료될 때까지 상기 스텝 S227 내지 S239를 반복하고, 필요한 조작이 모두 종료되면(스텝 S242/"예"),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모든 조작을 종료할 때까지 걸린 조작 시간의 총계 등에 기초하여 당해 유저가 숙련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45).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판단 결과를 개인 식별 서버(2)로 송신한다(스텝 S248). 이에 의해, 개인 식별 서버(2)에 축적되어 있는 이용자의 정보가 갱신된다. 또한 신규 이용자의 경우에는, 신규 등록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스텝 S245에서 나타내는 숙련자인지 여부의 판단은, 개인 식별 서버(2)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계측한 조작 시간을 개인 식별 서버(2)에 송신한다.
또한, 개인 식별은 얼굴 화상에 기초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접촉 IC 카드(또는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를 사용함으로써 개인 식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선불카드로부터, 개인으로 특정하지 않고도, 숙련자인지 여부의 정보(이용 횟수, 조작 시간의 축적 데이터 등)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침해의 걱정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 식별을 행하지 않고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처음에 표준적인 UI를 표시하고, 유저의 조작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서 UI를 변화(초보자용 또는 숙련자용으로 변경)시켜도 된다. 또한 UI는, 더욱 단계적으로 준비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2)는, 가정용 가전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를 터치 패널식 전자 페이퍼로 하여, 이용자(의 숙련도)에 맞는 UI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능이 많은 전자레인지나 세탁기, 거실에 두었을 때의 외견이 중요한 컴포넌트 스테레오나 가습기 등은, 그대로이면 다수의 버튼이나 문자에 의해 조작면이 어수선해져서, 실내의 인테리어나 색조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조작면을 터치 패널식 전자 페이퍼(정보 처리 단말기(1-2))로 함으로써, 실내의 경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3 실시예>>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냉장고(수납부)에 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장치(1-3)의 문 부분에, 전자 페이퍼의 표시부[23(23a 내지 23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장치(1-3)에는, 유저 음성을 취득하는 음성 입력부(20)(마이크로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장치(1-3)에는, 냉장고 내 조명 및 냉장고 내 카메라(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장고의 내부를 조명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장치(1-3)는, 통상은 백색이나 옅은 파란색 등, 냉장고 본래의 색을 재현하는 위장 화상을 표시부(23a 내지 23c)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음성에 의해 냉장고 내 확인 지시가 있으면, 지시에 따라서, 냉장고 내를 촬영한 냉장고 내 화상(160)을, 대응하는 냉장고의 문의 표시부(23a)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문을 열지 않고 냉장고의 내용물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부(23a)에 표시하는 냉장고 내 화상(160)에는,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야채를 보여줘」 등의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냉장고 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촬영 화상 중 주목하는 식재를 풀 컬러로 하여 그 밖에는 흑백으로 하는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주목하는 식재를 눈에 띄게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4-1. 구성>
도 1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장치(1-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장치(1-3)는, 제어부(10), 음성 입력부(20), 터치 패널(21), 냉장고 내 카메라(22), 표시부(23), 냉장고 내 조명(24), 냉각부(25), 및 기억부(26)를 갖는다.
제어부(10)는, 판단부(101), 화면 생성부(102), 및 표시 제어부(103)로서 기능한다. 판단부(101), 화면 생성부(102), 및 표시 제어부(103)는, 주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판단부(101)는, 주변 상황에 따라서, 정보 제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화면 생성부(102)는, 판단부(101)에 의해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냉장고 내 카메라(22)로 촬영된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적절한 화면을 생성한다. 또한, 화면 생성부(102)는, 정보 제시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위와 동화되는 위장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03)는,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23)에 표시한다.
음성 입력부(20)는, 마이크로폰과, 그 마이크로폰으로 얻어진 음성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마이크 증폭기부와, 음성 신호로 디지털 변환하는 A/D 변환기에 의해 실현되고, 음성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음성 입력부(20)는, 유저에 의한 냉장고 내 확인 지시 등을 수집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터치 패널(21)은 표시부(23)에 마련되고, 표시부(23)에 표시된 조작 화면이나 냉장고 내 화상에 대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검출하고,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냉장고 내 카메라(22)는, 냉장고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냉장고 내 카메라(22)는, 광각 카메라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표시부(23)는, 표시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냉장고 내 화상이나 위장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3)는, 전자 페이퍼형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현된다.
냉장고 내 조명(24)은, 냉장고 내를 조명하는 기능을 갖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냉장고 내 카메라(22)로 촬영할 때 점등하는 외에, 냉장고 장치(1-3)의 문이 열릴 때에도 점등한다.
냉각부(25)는, 냉장고 본래의 기능으로서, 냉장고 내를 냉각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기억부(26)는, 제어부(10)의 처리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에 의해 실현된다.
<4-2. 동작 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냉장고 장치(1-3)의 표시 제어부(103)는, 백색이나 옅은 파란색 등 냉장고 본래의 색(표준의 설정색) 또는 특정한 화상(모두, 위장 화상)을 모든 표시부(23a 내지 23c)에 표시한다(스텝 S303).
다음으로, 음성에 의한 냉장고 내 확인 지시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306). 또한, 냉장고 내 확인 지시는 음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조작 버튼(도시생략)이나, 표시부(23)에 표시된 조작 버튼 UI(터치 패널에 의해 검출)로부터 행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요리 중 등에는 손이 젖어 있거나 더럽혀져 있기 때문에, 냉장고에 접촉하지 않고 음성 지시에 의해 냉장고 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또한, 냉장고 장치(1-3)에, 눈앞에 서있을 유저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마련하고, 특정한 유저(거주자, 가족 등)임을 인식한 다음, 냉장고 내 확인 지시를 접수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음성 인식에 의해 특정한 유저를 인식해도 된다.
이어서, 냉장고 장치(1-3)는, 확인 지시의 음성을 인식하고, 주목하는 식재를 선정한다(스텝 S309). 즉, 냉장고 내 확인 지시는, 예를 들어 「야채를 보여줘」와 같이 식재의 종류를 직접 지시하거나, 「생강구이의 재료」등과 같이 요리명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성 인식에 의해 대상의 식재가 선정된다. 또한 식재를 지정하지 않고 「냉장고 내를 보여줘」라는 지시를 행한 경우에는, 여기에서의 선정은 특별히 행해지지 않고, 단순히 냉장고 내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냉장고 장치(1-3)는, 냉장고 내 조명(24)을 점등하고(스텝 S312), 냉장고 내 카메라(22)로 냉장고 내의 촬영을 행하여(스텝 S315), 촬영이 종료되면 냉장고 내 조명을 소등한다(스텝 S318). 어느 냉장고 내 카메라(22)로 촬영할지는, 냉장고 내 확인 지시에 따라서 선택된다. 또한, 냉장고 내 카메라(22)는, 냉장고 내의 모습을 잘 알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야채실이나 냉동실은 위에서부터 촬영하도록 해도 되고, 복수의 측면부터 촬영하여 어느 각도에서 볼지를 유저가 지시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문의 안쪽(수납 스페이스)을 촬영하여 냉장고 내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화상의 왜곡 보정을 행한다(스텝 S321). 냉장고 내 카메라(22)가 광각 카메라인 경우에는, 화상의 왜곡 보정을 행하는 편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렌즈는 기지이기 때문에, 보정 파라미터도 미리 파악되어, 기존의 알고리즘으로 보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냉장고 장치(1-3)의 화면 생성부(102)는, 냉장고 내 화상을 화상 인식으로서 주목하는 식재를 특정하고, 화상 처리를 행하여 당해 식재를 눈에 띄게 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324). 예를 들어, 도 16의 냉장고 내 화상(160)과 같이, 주목하는 식재 이외에는 흑백으로 하고, 필요한 식재가 어디에 있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냉장고 내 확인 지시에 있어서 식재를 특정하지 않는 경우(단순히 냉장고 내를 확인하는 지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특정한 식재를 눈에 띄게 하는 화상 처리는 실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냉장고 장치(1-3)의 표시 제어부(103)는, 냉장고의 각 문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23a 내지 23c) 중, 촬영한 냉장고 내 화상에 대응하는 문의 표시부(23)에, 냉장고 내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327). 여기서, 냉장고 내 확인 지시에 있어서 식재를 특정하지 않는 경우(단순히 냉장고 내를 확인하는 지시의 경우)의 표시예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냉장고 내를 확인하는 지시의 경우, 냉장고 장치(1-3)의 각 문에 마련된 표시부(23a 내지 23c)에, 각각 대응하는 냉장고 내 화상(61 내지 63)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새로운 요리나 식재의 지시(냉장고 내 확인 지시)가 입력된 경우(스텝 S330/"예"), 주목하는 식재를 변경하고(스텝 S333), 상기 스텝 S324로 되돌아간다.
한편, 냉장고 내 표시 종료 지시가 있었던 경우(스텝 S336/"예"), 상기 스텝 S303으로 되돌아가고, 표준의 설정색 또는 특정한 화상(모두, 위장 화상)을 모든 표시부(23)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상 시에는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위장 화상을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문을 열지 않고 냉장고 내의 상황을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냉장고 내 화상의 화상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주목 식재를 눈에 띄게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저가 방문 중인 경우(냉장고의 주변에 있는 인물을 카메라로 인식), 굳이 일부의 식재를 고급 식재로 바꿔 넣거나 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5. 제4 실시예>>
계속해서,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역의 계단 등에 있어서의 유도 표시에 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4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역의 계단이나 통로에 있어서는, 혼잡 시의 유동인구를 고려하여, 통행량이 많은 쪽에 계단이나 통로의 스페이스를 낼 수 있도록 유도 표시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역의 계단이나 통로에 있어서의 혼잡 상황이나 유동인구는, 시간대나 전철 도착의 타이밍 등에 따라서 변동하는 것으로서, 게시한 유도 표시가 반드시 모든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간 디자이너 등에 의해 역의 외관이나 내관이 디자인되어 있어도, 이와 같은 유도 표시나 이용자에 대한 주의 환기 표시 등이 다수 게시되면, 정성을 들인 디자인성이 손상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의 왼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역의 계단 등에 있어서, 통상(비혼잡 시)은 유도 표시를 행하지 않고,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위의 경관에 동화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혼잡 시에는, 도 20의 오른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표시(170 내지 171)를 표시하여 적절한 정보 제시를 행하도록 한다.
혼잡 시인지 여부는, 예를 들어 시간대, 전철 관리 서버(6)로부터 통지되는 전철의 도착 타이밍, 또한 계단에 설치된 유동인구 센서(도시생략)의 센서 데이터(통행량)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유동인구 센서는, 통행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추가로 복수 개소(예를 들어, 계단의 위쪽과 아래쪽)에 유동인구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각 유동인구 센서로 검지된 통행량의 변동에 따라서, 유동인구(계단을 올라가는 사람이 많은지, 내려가는 사람이 많은지)를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5-1. 구성>
도 2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 처리 단말기(1-4)와, 전철 관리 서버(6)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단말기(1-4)와 전철 관리 서버(6)는 네트워크(3)를 통해 접속된다.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제어부(10), 통신부(11), 표시부(14), 기억부(15), 및 유동인구 센서(27)를 갖는다.
제어부(10)는, 판단부(101), 화면 생성부(102), 표시 제어부(103)로서 기능한다. 판단부(101), 화면 생성부(102), 및 표시 제어부(103)는, 주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판단부(101)는, 주변 상황에 따라서, 정보 제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판단부(101)는, 통신부(11)에 의해 전철 관리 서버(6)가 수신한 전철 도착 타이밍이나, 유동인구 센서(27)에 의해 검지된 통행량이나 유동인구 데이터, 혹은 시간대에 따라서, 유도 등의 정보 제시를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화면 생성부(102)는, 판단부(101)에 의해 정보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통행량이나 유동인구에 기초하여 적절한 유도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올라가는 이용자가 많아 혼잡한 경우, 계단에 표시하는 4개의 유도 표시 라인 중, 3개의 라인으로 표시하는 올라가는 용도의 유도 표시를 생성한다. 한편, 예를 들어 내려가는 이용자가 많이 혼잡한 경우, 계단에 표시하는 4개의 유도 표시 라인 중, 3개의 라인으로 표시하는 내려가는 용도의 유도 표시를 생성한다. 또한, 화면 생성부(102)는, 정보 제시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위와 동화되는 위장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03)는,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14)에 표시한다.
통신부(11)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네트워크(3)와 접속하고, 네트워크상의 전철 관리 서버(6)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표시부(14)는, 표시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유도 표시나 위장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는, 전자 페이퍼형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현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단의 각 스텝에 복수 설치된다.
기억부(15)는, 제어부(10)의 처리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에 의해 실현된다.
유동인구 센서(27)는, 통행량을 검지하는 센서로서, 계단 위쪽과 아래쪽 등,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통행량의 변화에 따라서, 유동인구(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용자가 이동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동인구 센서(27)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에 의해 실현되며, 밟히는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통행량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유동인구 센서(27)는, 적외선을 사용한 인체 감지 센서나 차단 센서에 의해 실현되며, 통행한 인원수를 카운트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5-2. 동작 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 처리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정보 처리 단말기(1-4)의 표시 제어부(103)는, 모든 화살표 표시(유도 표시)를 지운다(스텝 S403).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정보 처리 단말기(1-4)가 설치된 계단을 이용하는 전철이 플랫폼에 도착했는지 여부의 정보를 전철 관리 서버(6)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406). 본 실시예에서는, 역에 전철이 도착했는지 여부는 다른 시스템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전철 도착 정보를 네트워크(3) 경유로 취득한다.
다음으로, 전철이 플랫폼에 도착하면(스텝 S409/"예"),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역의 플랫폼으로부터 위쪽(또는 아래쪽) 층의 중앙홀로 나오기 위한 계단에 있어서, 올라가는 측(또는 내려가는 측)이 혼잡한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당해 중앙홀을 향하는 유도 표시의 라인 수를 늘리고, 화살표가 당해 중앙홀의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 화면을 갱신한다(스텝 S412). 예를 들어 4개의 라인 중, 올라가기 유도를 3라인, 내려가기 유도를 1라인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해서 표시하고, 올라가기와 내려가기의 유도 표시 밸런스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유동인구 센서(27)로부터 혼잡도 C를 취득한다(스텝 S415). 예를 들어 유동인구 센서(27)가 계단의 상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각 유동인구 센서(27)에 의해 검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단을 통과하는 인원수를 인식하고, 혼잡도 C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1-4)는, 혼잡도 C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내려간 경우(스텝 S418/"예"), 혼잡은 해소되었다고 추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텝 S403으로 되돌아가고, 모든 화살표 표시(유도 표시)를 지운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약간 사람이 도중에 끊어지는 것만으로 유도 표시가 되돌아가버리지 않도록, 상기 스텝 S415에서 취득하는 혼잡도 C는, 순간의 센서의 값이 아니라, 어떤 일정한 시간 범위에서 카운트한 값을 적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1분간의 총 인원수 카운트 수를 구하고, 혼잡도 C를 산출해도 된다.
<<6. 결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경관을 지키며, 또한,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정보 처리 단말기(1-1, 1-2, 1-4), 냉장고 장치(1-3) 또는 개인 식별 서버(2)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에, 정보 처리 단말기(1-1, 1-2, 1-4), 냉장고 장치(1-3) 또는 개인 식별 서버(2)의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가능하다. 또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도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단말기(1)를, 빌딩 등의 건축물에 응용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빌딩에 의해 후지산이 가려지는 등, 경관을 손상시키고 있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빌딩에 의해 가려져 버린 후지산이 보이도록, 빌딩의 벽면 등에 후지산의 화상(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촬상된 촬상 화상 등의 위장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빌딩이 사라진 것 같이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큰 건축물의 경우, 하나의 시점에서만 주위와 동화되어 있는 듯이 보인다고 하는 과제도 생길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시간대에 입찰(bid)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장 고액으로 낙찰한 사람의 시점에 맞춰서 그 시간대의 위장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한,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렌티큘러 방식 등의 시선의 시차 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최적의 위장 화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정도 시점이 바뀌어도 주위와 동화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기(1) 측에서 주된 제어(판단 처리, 화면 생성 처리 및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적어도 일부를 서버 (예를 들어 개인 식별 서버(2))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서버의 제어부가, 판단부, 화면 생성부, 및 표시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정보 처리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촬상 화상, 조작 데이터, 음성 데이터, 유동인구 센서의 검지 결과 등)에 기초하여 정보 제시의 판단을 행하여, 적절한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을 정보 처리 단말기(1)에 송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이지 않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유저에 동반하고 있는 사람, 생물, 또는 상기 유저가 소지하고 있는 물건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따라서 적절한 정보를 특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표시부는, 전자 기기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는,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조작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유저의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숙련도를 인식함과 함께, 당해 유저와 당해 숙련도를 관련지어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저의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숙련도에 따라서,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유저가 상기 전자 기기의 숙련자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숙련자이면 상기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표시부는, 수납부의 앞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 내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수납부 내 화상을 표시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한 유저가 인식될 때, 상기 표시부에, 상기 수납부 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특정한 유저가 인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제어부는, 수납부 내의 확인을 지시하는 유저 발화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한 유저를 인식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 내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수납부 내 화상에 대해서 소정의 가공을 실시한 다음, 상기 수납부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표시부는, 통로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수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에, 적절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유도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가 설치되는 통로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프로세서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것과,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컴퓨터를,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1-1, 1-2, 1-4): 정보 처리 단말기
1-3: 냉장고 장치(정보 처리 단말기)
2: 개인 식별 서버
3: 네트워크
5: 커피 서버
6: 전철 관리 서버
10: 제어부
11: 통신부
12: 카메라
13: 음성 출력부
14: 표시부
15: 기억부
16: 기억 매체 I/F
17: 터치 패널
18: 타이머
20: 음성 입력부
21: 터치 패널
22: 냉장고 내 카메라
23: 표시부
24: 냉장고 내 조명
25: 냉각부
26: 기억부
27: 유동인구 센서
101: 판단부
102: 화면 생성부
103: 표시 제어부

Claims (10)

  1.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에 마련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조작 시간에 관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숙련도를 인식하고 - 상기 조작 시간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상기 유저의 조작에 걸린 시간을 계측하여 취득됨 -;
    상기 인식된 숙련도에 기초하여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유저에 동반하고 있는 사람, 생물, 또는 상기 유저가 소지하고 있는 물건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따라서, 적절한 정보를 특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숙련도를 관련지어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유저가 상기 전자 기기의 숙련자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숙련자이면 상기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수납부의 앞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 내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수납부 내 화상을 표시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한 유저가 인식될 때, 상기 표시부에, 상기 수납부 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특정한 유저가 인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납부 내의 확인을 지시하는 유저 발화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한 유저를 인식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 내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수납부 내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한 다음, 상기 수납부 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통로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수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에, 적절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유도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가 설치되는 통로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프로세서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것과,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에 마련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조작 시간에 관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숙련도를 인식하고 - 상기 조작 시간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상기 유저의 조작에 걸린 시간을 계측하여 취득됨 -;
    상기 인식된 숙련도에 기초하여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컴퓨터를,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속성, 유저의 상황, 및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에 마련되는 표시부에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당해 표시부의 주위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조작 시간에 관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숙련도를 인식하고 - 상기 조작 시간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상기 유저의 조작에 걸린 시간을 계측하여 취득됨 -;
    상기 인식된 숙련도에 기초하여 정보의 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에 동화되는 동화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97012565A 2016-11-14 2017-08-1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350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1658 2016-11-14
JP2016221658 2016-11-14
PCT/JP2017/029099 WO2018087972A1 (ja) 2016-11-14 2017-08-1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579A KR20190078579A (ko) 2019-07-04
KR102350351B1 true KR102350351B1 (ko) 2022-01-14

Family

ID=6211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565A KR102350351B1 (ko) 2016-11-14 2017-08-1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94228B2 (ko)
EP (1) EP3540716B1 (ko)
JP (1) JP7074066B2 (ko)
KR (1) KR102350351B1 (ko)
CN (1) CN109983526A (ko)
WO (1) WO2018087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0716B1 (en) * 2016-11-14 2023-06-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408995B2 (ja) 2019-10-18 2024-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RU195640U1 (ru) * 2019-11-21 2020-02-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ИЗНЕС МЕДИА" Рекламно-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923029B1 (ja) * 2020-03-17 2021-08-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127A (ja) * 2008-04-18 2009-11-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表示操作部を備えた装置
US20130241821A1 (en) * 2010-11-10 2013-09-19 Ne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5154259A (ja) *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収納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3747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3223D0 (en) 1992-11-05 1992-12-16 Gradus Ltd Display device
JP2002073321A (ja) 2000-04-18 2002-03-1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方法
JP2002081818A (ja) 2000-09-05 2002-03-22 Hitachi Ltd 冷蔵庫
JP4165095B2 (ja) * 2002-03-15 2008-10-15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3879848B2 (ja) * 2003-03-14 2007-02-14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律移動装置
JP4854965B2 (ja) * 2005-01-07 2012-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9101279B2 (en) * 2006-02-15 2015-08-11 Virtual Video Reality By Ritchey, Llc Mobile user borne brain activity data and surrounding environment data correlation system
US8059894B1 (en) * 2006-12-19 2011-11-15 Playvis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of calibration and use for an interactive imaging environment
JP2008225315A (ja) 2007-03-15 2008-09-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広告表示システム
WO2010019849A2 (en) * 2008-08-15 2010-02-18 Mohammed Hashim-Waris Visito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20013646A1 (en) * 2008-08-26 2012-01-1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drive method
JP2010122748A (ja) 2008-11-17 2010-06-03 Ricoh Co Ltd 操作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128416A (ja) 2008-12-01 2010-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
JP5423035B2 (ja) 2009-02-18 2014-02-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JP5742057B2 (ja) 2009-03-03 2015-07-01 ディジマーク コーポレイション 公共ディスプレイからのナローキャスティングおよび関連配設
JP2011038335A (ja) 2009-08-12 2011-02-24 Toshisada Sekiguchi 歩行者誘導方式及びこれを用いた歩行施設または歩行者誘導システム
US8964298B2 (en) * 2010-02-28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sensor input for a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US9013515B2 (en) 2010-12-02 2015-04-21 Disney Enterprises, Inc. Emissive display blended with diffuse reflection
EP2570986A1 (en) * 2011-09-13 2013-03-20 Alcatel Lucent Method for creating 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3065110A (ja) * 2011-09-15 2013-04-11 Omron Corp 検出装置、該検出装置を備えた表示制御装置および撮影制御装置、物体検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US10776103B2 (en) * 2011-12-19 2020-09-15 Majen Tec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ordination among multiple devices
WO2013125032A1 (ja) 2012-02-24 2013-08-29 ジャパン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トレー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誘引性多目的電子看板システム
JP6157822B2 (ja) * 2012-09-27 2017-07-0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9195320B1 (en) 2012-10-22 2015-11-24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ignage using a painted surface display system
JP6248398B2 (ja) 2013-03-06 2017-1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表示媒体
KR102026730B1 (ko) 2013-04-08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292162B2 (en) * 2013-04-08 2016-03-22 Art.Com Discovering and presenting décor harmonized with a décor style
JP2015004921A (ja) 2013-06-24 2015-01-08 平岡織染株式会社 可変表示機能看板装置およびその表示作動方法
US10405786B2 (en) * 2013-10-09 2019-09-10 Nedim T. SAHIN Systems, environment and methods fo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a wearable data collection device
KR101641252B1 (ko) * 2014-04-08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프린터의 제어장치
JP6336816B2 (ja) * 2014-04-30 2018-06-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5698469B (zh) 2014-11-26 2019-01-04 上海华博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透明显示面板的智能冰箱
JP6543125B2 (ja) 2014-12-11 2019-07-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方法及び冷蔵庫
US10161674B2 (en) 2014-12-11 2018-12-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JP2016161830A (ja) * 2015-03-03 2016-09-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912061B (zh) * 2015-03-06 2021-06-0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焊接的传感器辅助头戴式显示器
WO2016162956A1 (ja) * 2015-04-07 2016-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5969090B1 (ja) * 2015-05-21 2016-08-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CN205247368U (zh) * 2015-11-30 2016-05-18 马国强 一种基于大容量数据存储及信息交互的公交站台服务系统
EP3540716B1 (en) * 2016-11-14 2023-06-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127A (ja) * 2008-04-18 2009-11-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表示操作部を備えた装置
US20130241821A1 (en) * 2010-11-10 2013-09-19 Ne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5154259A (ja) *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収納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3747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7972A1 (ja) 2018-05-17
US11594158B2 (en) 2023-02-28
US20200226959A1 (en) 2020-07-16
JPWO2018087972A1 (ja) 2019-09-26
CN109983526A (zh) 2019-07-05
EP3540716A4 (en) 2019-11-27
US11094228B2 (en) 2021-08-17
JP7074066B2 (ja) 2022-05-24
US20210327313A1 (en) 2021-10-21
EP3540716B1 (en) 2023-06-07
EP3540716A1 (en) 2019-09-18
KR20190078579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351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876687B2 (ja) 注目度計測装置及び注目度計測システム
JP2010102235A (ja) 電子広告システム
CN101609660A (zh) 数字相框、信息处理系统和控制方法
EP2395420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07133847A (ja) 混雑状況提示装置、及び、混雑状況情報閲覧システム
KR20110098988A (ko) 정보 표시 장치 및 정보 표시 방법
JP2010016432A (ja)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0039094A (ja) 音声出力制御装置、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12401A (ja) 広告効果測定装置
JP2007201556A (ja) 混雑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265125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
EP36748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0101949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1027977A (ja) 表示システム
JP6789417B1 (ja) 広告表示装置
JP2008243095A (ja) 顔検出システム、および顔検出方法
KR20220023225A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다기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JP2021103420A (ja) 誘導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19101510A (ja) 視覚障碍者検知プログラムおよび視覚障碍者入場監視装置
KR20140031471A (ko)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JP6235417B2 (ja)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50264B2 (ja) 防犯装置、自動販売機又は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966237B1 (ko) 얼굴 검출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 내장형 전자 액자 및 그 동작 방법
JP2018072617A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