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471A -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471A
KR20140031471A KR1020120096803A KR20120096803A KR20140031471A KR 20140031471 A KR20140031471 A KR 20140031471A KR 1020120096803 A KR1020120096803 A KR 1020120096803A KR 20120096803 A KR20120096803 A KR 20120096803A KR 20140031471 A KR20140031471 A KR 2014003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information
imag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지
김기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471A/ko
Publication of KR2014003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 중에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사용자 진입 판별부;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영상정보로부터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관심 판단부; 및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기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전통적인 옥외매체(OOH: Out Of Home Media)가 Digital OOH(DOOH)라 불리는 디지털 옥외매체 형태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광고 매체의 경우 디지털 옥외 광고 시스템(이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그 목적에 따라 대형 스크린뿐만 아니라 키오스크(Kiosk) 타입으로 지하철, 쇼핑몰, 정류장 등 다양한 공공장소 등에 설치되고 있으며, 적용장소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존의 단방향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IT 기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사용자와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터치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도 서비스, 상품 구매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지역 밀착형 광고 및 쿠폰 연동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현재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터치와 같은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광고를 실행시키는 형태이기 때문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적극적인 사용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짧은 순간 동안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광고를 보고 지나치게 됨으로써 광고 서비스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기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이 없어도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광고 몰입 및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여 기존의 맞춤 광고 시스템이 가진 낮은 광고 노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 중에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사용자 진입 판별부;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기 제공되고 있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관심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상기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중에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기 제공되고 있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상기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기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이 없어도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광고 몰입 및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여 기존의 맞춤 광고 시스템이 가진 낮은 광고 노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 서비스부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객 통계 장치에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지역,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는 공항이나 호텔, 백화점 등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단말기로서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는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부가적으로 장착된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이 없이도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진입 판별부(110), 영상처리부(120), 선택정보 수신부(130),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 맞춤 서비스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사용자 진입 판별부(110), 영상처리부(120), 선택정보 수신부(130),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 및 맞춤 서비스부(1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진입 판별부(110)는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한다. 즉, 사용자 진입 판별부(110)는 영상 촬영장치가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촬영한 영상정보 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영상정보 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다. 이때, 기 설정된 설정범위는 영상 촬영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가능한 범위를 의미하며, 촬영 가능한 범위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한다. 즉, 영상처리부(120)는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범위 내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판별기준으로 사용되는 특정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판별기준으로 사용되는 특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영상정보 내 사용자의 얼굴 범위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얼굴 범위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부(120)는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픽셀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픽셀 단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범위를 추출한다. 즉,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영상정보에 사용자의 일부 또는 전부의 형태가 촬영된 경우, 기 설정된 분류 범위에 따라 영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류하고, 이를 다시 픽셀 단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포함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 경우, 머리카락을 제외한 이마부터 목 부위의 픽셀로부터 사용자의 눈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양 눈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이 되도록 보정한다. 이때,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눈이 수평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보정되었다고 판단한다.
선택정보 수신부(130)는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즉, 선택정보 수신부(130)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 및 이벤트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선택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파악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정보로부터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 판단하고, 사용자가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 맞춤 서비스에 대한 요청정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사용자가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심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새롭게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영상 촬영장치의 촬영 범위 내에서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맞춤 서비스에 대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달한다. 이때, 촬영 범위 내의 특정 범위는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 근접 지역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맞춤 서비스에 대한 요청정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선택정보 수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 및 이벤트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맞춤 서비스에 대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달한다.
맞춤 서비스부(150)는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맞춤 서비스부(150)는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에 의해 사용자가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포함한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한다. 이후,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맞춤 서비스부(150)는 특정 데이터로부터 판별된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 등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매칭하고,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을 추출한다. 이후,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그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 간의 상관도를 판별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로 추출한다. 여기서 상관도가 최대값인 서비스의 갯수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 서비스부(15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 서비스부(150)는 사용자 판단부(151), 소비 패턴 수신부(153), 서비스 추출부(155), 서비스 제공부(157), 디스플레이부(15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춤 서비스부(150)가 사용자 판단부(151), 소비 패턴 수신부(153), 서비스 추출부(155), 서비스 제공부(157) 및 디스플레이부(159)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맞춤 서비스부(15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판단부(151)는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수신한 추출 및 보정된 사용자의 얼굴 범위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 판단부(151)는 보정된 특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에 존재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특정 데이터와 기 저장된 판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 등의 식별정보를 판단한다.
사용자 판단부(151)는 사용자 판단부(151) 내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및 인종별 등의 판별 영상정보와 사용자의 특정 데이터를 패턴 매칭 알고리즘을 통하여 패턴 매칭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을 판단한다. 즉, 사용자 판단부(151) 내에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특정 데이터와 실제 파악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및 인종에 대한 영상 판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새로운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판별정보와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특정 데이터를 패턴 매칭하여 가장 확률이 높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판단부(151)가 판단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성별, 연령 및 인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고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자를 판단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소비 패턴 수신부(153)는 고객 통계 장치와 연동되며, 고객 통계 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고객 통계 장치에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비 패턴 정보는 신용카드 및 포인트카드 등의 사업자로부터 제공받는다. 한편, 소비 패턴 수신부(153)는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판단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소비 패턴 수신부(153)로부터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소비 패턴 수신부(153)가 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는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수준을 나타내는 소비액 및 다수의 사용자가 주로 구매하거나 관심이 있는 제품을 나타내는 기호 소비 제품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추출부(155)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소비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추출한다. 즉, 서비스 추출부(155)는 특정 데이터로부터 판별된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 등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을 추출한다.
또한, 서비스 추출부(155)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그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 간의 상관도를 판별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로 추출한다.
한편,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를 매칭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I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성별, 연령 등 다양한 식별 기준으로 구성되어 I=(G, A,…)와 같이 표현된다. G는 사용자의 성별을 의미하며 성별을 구분 짓는 하나 이상의 값의 집합인 G={g1, g2,…}로 표현된다. A는 사용자의 연령을 의미하며 연령을 구분 짓는 하나 이상의 값의 집합인 A={a1, a2,…}로 표현된다. P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를 의미하며 사용자 P의 식별정보는 PI={Gp, Ap,…}로 표현된다. 즉,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값에 대한 집합을 통해 사용자 P의 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은 수학식 2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TI L은 장소 L에 거주하는 사람들 가운데 성별 및 연령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I를 가진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를 나타낸다. B와 C 등은 소비 패턴 정보의 특정값을 나타내며, 소비액, 기호 소비 제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소비 패턴 정보의 특정값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B와 C 등의 소비 패턴 정보의 특정값은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균값을 사용한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 간의 상관도를 판별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추출하는 식은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Starget은 상관도 값이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D(TPI L, S)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존재하는 장소 L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용자 중 영상 촬영장치에서 검출된 사용자 P의 식별정보 PI를 가지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와 식별정보에 따라 색인된 서비스 집합 S와의 상관도를 구하는 함수로 상관도가 클수록 큰 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Starget은 상관도가 최대값을 갖는 서비스를 구함으로써 추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집합 S는 기본적으로 광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57)는 추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5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저장 장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광고인 경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대행사로부터 광고주와 계약된 제품에 대한 광고를 수신하고, 제품에 대한 광고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와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 영상 촬영장치(310), 고객 통계 장치(320), 서비스 저장 장치(3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별하고, 사용자가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 촬영장치(31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매칭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가 영상 촬영장치의 촬영 범위 내에서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이때, 촬영 범위 내의 특정 범위는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 근접 지역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 및 이벤트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영상 촬영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픽셀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픽셀 단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범위를 추출한다. 이후, 사용자의 눈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양 눈의 위치를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양 눈이 수평 위치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보정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추출 및 보정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실제 파악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및 인종에 대한 판별정보와 패턴 매칭하여 가장 확률이 높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매칭하여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연관 서비스들의 집합을 추출한다. 이후,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연관 서비스들의 집합 간 상관도를 판별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키오스크(Kiosk) 타입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대형 스크린 등 목적 및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고객 통계 장치(320)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소비 패턴 정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제공한다. 즉, 신용카드 및 포인트카드 등의 사업자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전달한다.
한편, 고객 통계 장치(320)는 주기적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일정기간 동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소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갱신 및 삭제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 장치(330)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맞춤 서비스가 추출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서비스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제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 내역은 광고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자를 위한 다수의 맞춤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저장 장치(330)는 광고주 및 광고 대행사와 연결되어 특정 광고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즉, 광고주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통해 특정 제품을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로 소개하고자 하는 경우, 광고 대행사를 통해 광고를 제작하며, 광고 대행사는 제작된 광고를 서비스 저장 장치(330)에 전달한다. 이후, 저장된 광고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 저장 장치(330)는 저장된 광고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범위 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영상정보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며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상처리부(1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픽셀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픽셀 단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범위를 추출한다. 이후,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범위의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눈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양 눈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이 되도록 보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양 눈이 수평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코 및 사용자의 입 역시 정확한 위치에 있다고 추측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영상 촬영장치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는 사용자의 정면의 모습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이다.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픽셀 단위의 분류를 통해 사용자의 몸체에서 얼굴 부위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부위에서 눈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추출하여 측정 얼굴이 정면이 되도록 보정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객 통계 장치(320)에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지역,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하듯이 고객 통계 장치(320)에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는 다수의 사용자의 지역, 성별, 연령, 인종에 대한 정보를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별 소비액 및 기호 소비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1의 경우, 서울에 살고 있는 20대의 황인종 남자이며 월 300만원을 소비하며 기호 소비 제품으로 제1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서울의 20대의 황인종 남자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고객 통계 장치(3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1의 정보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추출하기 위한 판단기준으로 적용된다.
사용자 N의 경우, 서울에 살고 있는 30대 백인 여성이며 월 500만원을 소비하여 기호 소비 제품으로 제N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서울의 30대의 백인 여성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고객 통계 장치(3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N의 정보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추출하기 위한 판단기준으로 적용된다.
즉,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고객 통계 장치(320)에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서울 지역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도시 및 도시 내 세부적인 지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듯이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먼저, 영상 촬영장치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수신하고(S600), 수신한 영상정보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과정(S602)으로 시작된다. 즉, 사용자 진입 판별부(110)는 영상 촬영장치가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촬영한 영상정보 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영상정보 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다. 이때, 기 설정된 설정범위는 영상 촬영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가능한 범위를 의미하며, 촬영 가능한 범위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한다(S604). 즉,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 진입 판별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정보로부터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한다(S606). 즉,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영상 촬영장치의 촬영 범위 내에서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이때, 촬영 범위 내의 특정 범위는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 근접 지역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는 선택정보 수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 및 이벤트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맞춤 서비스부(150)는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S608). 즉, 맞춤 서비스부(150)는 사용자 관심 판단부(140)에 의해 사용자가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포함한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한다. 이후,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을 추출한다. 또한, 맞춤 서비스부(15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그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 간의 상관도를 판별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로 추출한다.
도 6에서는 단계 S600 내지 단계 S60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600 내지 단계 S608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듯이 도 6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먼저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한다(S700). 즉,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기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픽셀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픽셀 단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해당하는 범위를 추출한다. 즉,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영상정보에 사용자의 일부 또는 전부의 형태가 촬영된 경우, 기 설정된 분류 범위에 따라 영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류하고, 이를 다시 픽셀 단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포함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눈이 수평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02),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양 눈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이 되도록 보정한다(S704). 즉,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 경우, 머리카락을 제외한 이마부터 목 부위의 픽셀로부터 사용자의 눈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양 눈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이 되도록 보정한다. 이때, 영상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눈이 수평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보정되었다고 판단한다. 한편, 추출 및 보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판단부(151)로 전송된다.
사용자 판단부(151)는 추출 및 보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한다(S706). 즉, 사용자 판단부(151)는 보정된 특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 눈이 서로 수평 위치에 존재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보정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 등의 식별정보를 판단하며, 사용자 판단부(151) 내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및 인종별 등의 판별 영상정보와 사용자의 특정 데이터를 패턴 매칭 알고리즘을 통하여 패턴 매칭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을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판단부(151) 내에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특정 데이터와 실제 파악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및 인종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특정 데이터 및 식별정보에 대한 학습데이터와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특정 데이터를 패턴 매칭하여 가장 확률이 높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소비 패턴 수신부(153)는 고객 통계 장치와 연동되며, 고객 통계 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S708). 즉, 소비 패턴 수신부(153)는 고객 통계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판단하기 위한 또 따른 수단으로 사용한다.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소비 패턴 수신부(153)로부터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유사한 다수의 사용자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보다 정확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소비 패턴 정보에는 사용자의 소비액 및 사용자의 기호 소비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추출부(155)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을 추출한다(S710). 즉, 서비스 추출부(155)는 사용자의 얼굴 범위의 영상정보로부터 판별된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 등의 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거주 및 활동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인종별 소비 패턴 정보를 매칭하여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을 추출한다. 한편, 서비스 추출부(155)가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추출부(155)는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 간의 상관도를 판별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로 제공한다(S712). 한편,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소비 패턴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들의 집합 간의 상관도를 계산하고 상관도가 최대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판단하는 방법은 수학식 3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57)는 추출된 사용자 맞춤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저장 장치(330)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5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714). 즉, 서비스 저장 장치(33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광고인 경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대행사로부터 광고주와 계약된 제품에 대한 광고를 수신하고, 제품에 대한 광고가 사용자 맞춤 서비스와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7에서는 단계 S700 내지 단계 S71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700 내지 단계 S714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110: 사용자 진입 판별부
120: 영상처리부 130: 선택정보 수신부
140: 사용자 관심 판단부 150: 맞춤 서비스부
151: 사용자 판단부 153: 소비 패턴 수신부
155: 서비스 추출부 157: 서비스 제공부
159: 디스플레이부 300: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
310: 영상 촬영장치 320: 고객 통계 장치
330: 서비스 저장 장치

Claims (10)

  1. 서비스 제공 중에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사용자 진입 판별부;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기 제공되고 있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관심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상기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 서비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맞춤 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하는 사용자 판단부;
    고객 통계 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고객 통계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소비 패턴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소비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추출하는 서비스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 맞춤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심 판단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촬영장치의 촬영 범위 내에서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심 판단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이 상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선택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관심 판단부는, 상기 선택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6. 서비스 제공 중에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설정범위 내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기 제공되고 있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 여부 및 상기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영상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정보 내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심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촬영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사용자에 대한 소비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소비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추출하는 과정;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096803A 2012-08-31 2012-08-31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40031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03A KR20140031471A (ko) 2012-08-31 2012-08-31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03A KR20140031471A (ko) 2012-08-31 2012-08-31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471A true KR20140031471A (ko) 2014-03-13

Family

ID=5064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803A KR20140031471A (ko) 2012-08-31 2012-08-31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47A (ko) 2014-09-25 2016-04-05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KR101699061B1 (ko) 2016-08-15 2017-01-23 주식회사 렛츠온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47A (ko) 2014-09-25 2016-04-05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KR101699061B1 (ko) 2016-08-15 2017-01-23 주식회사 렛츠온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6931A1 (en) Digital advertising system
KR101390296B1 (ko) 개인 맞춤형 서비스 과금방법 및 장치
JP4934861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表示効果測定システム、及び、表示効果測定方法。
JP5224360B2 (ja) 電子広告装置、電子広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3915B1 (ko)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US79210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targeting content based on automatic demographics and behavior analysis
WO2010053191A1 (ja) 電子広告システム、電子広告配信装置、及び電子広告配信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1348142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US201500886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059994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Selecting Advertisements Based Preferences
US20120265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nsumer information
JP2018518694A (ja) スマートフィルムスクリーンを利用した広告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2203466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2252613A (ja) 顧客行動追跡型映像配信システム
CN110415023B (zh) 一种电梯广告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9066700A (ja) 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766454A (zh) 门店的顾客到访信息收集方法以及门店子系统架构
JP2011017883A (ja) 訴求対象特定システム、訴求対象特定方法、広告出力システム及び広告出力方法
KR20140031471A (ko)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CN114746882A (zh) 交互感知和内容呈现的系统和方法
JP2008243095A (ja) 顔検出システム、および顔検出方法
CN111028014A (zh) 一种评估资源投放效果的方法及装置
CN108256729B (zh) 评价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23569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노출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JP2017523529A (ja) 対象領域における視聴者を監視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