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166B1 - 휘발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휘발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166B1
KR102349166B1 KR1020170029365A KR20170029365A KR102349166B1 KR 102349166 B1 KR102349166 B1 KR 102349166B1 KR 1020170029365 A KR1020170029365 A KR 1020170029365A KR 20170029365 A KR20170029365 A KR 20170029365A KR 102349166 B1 KR102349166 B1 KR 102349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mass
alkali metal
metal hydroxide
vola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428A (ko
Inventor
아츠시 야마모토
아키라 기타무라
싱고 니이노베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A01N29/04Halogen directly attached to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4Eth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02Alkyl or cyclo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을 억제하고, 휘발성 조성물의 겔의 강도를 높게 함으로써, 넓은 온도 범위에 있어서 상온의 경우와의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의 차가 적고, 고온 시에서도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는 휘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가 4,000 내지 11,000m㎩·s이고, 또한 65℃에서의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이 3,000 내지 4,500㎩인 알킬셀룰로오스와, 휘발성 물질과, 용매를 적어도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휘발성 조성물 {VOLATILE COMPOSITION}
본 발명은 휘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휘발성 물질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수계 용제에 용해 또는 가용화시키거나, 유효 성분을 휘발성의 용매에 담지시킨 방향제, 휘발형 방충제, 휘발형 곰팡이 방지제 등의 휘발형 제제가 알려져 있다.
이 중, 예를 들어 방향제는 가정용과 더불어 자동차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자동차용의 방향제는, 폭염 등에 있어서의 주차 중인 차 내 일조부의 온도는 40 내지 80℃ 가까이 되기 때문에 차 내에 대량의 휘발성 물질이 휘발된다. 휘발형 제제에 있어서의 휘발량은 휘발성 물질 그 자체 또는 담체인 휘발성 용제의 휘발 속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고온의 조건 하에서는 휘발 속도가 현저히 증대되어 곧장 소모되어 버린다. 그 결과, 일정한 공간에 필요량을 훨씬 뛰어넘는 양의 휘발성 물질이 휘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고온 조건 하에 있어서의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이 현저히 증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열 가역적으로 응집 또는 겔화를 일으키는 감열성 중합체를 휘발성 물질과 조합함으로써 휘발 속도를 조정하는 휘발 조정형 리퀴드 방향제가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6-207162호 공보).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6-207162호 공보에 감열성 중합체로서 예시되어 있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아세트화물 등의 겔화 온도는 약 60℃ 정도이고, 겔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휘발량의 억제 효과는 한정적이었다. 메틸셀룰로오스 이외에도 감열성을 나타내는 중합체는 존재하지만, 메틸셀룰로오스 이외에는, 공존하는 향료나 계면 활성제에 따라서는 열 겔 온도 영역이 크게 변화되어 실용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을 억제하고, 휘발성 조성물의 겔의 강도를 높게 함으로써, 넓은 온도 범위에 있어서 상온의 경우와의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의 차가 적고, 고온 시에서도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는 휘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을 억제 가능한 휘발성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가 4,000 내지 11,000m㎩·s이고, 또한 65℃에서의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이 3,000 내지 4,500㎩인 알킬셀룰로오스와, 휘발성 물질과, 용매를 적어도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을 억제하고, 넓은 온도 범위에 있어서 상온의 경우와의 휘발량의 차를 적게 하고, 고온 시에서도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는 휘발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측정한 악취의 강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1) 알킬셀룰로오스
본 발명에 의하면,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가 4,000 내지 11,000m㎩·s이고, 또한 65℃에서의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이 3,000 내지 4,500㎩인 알킬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알킬셀룰로오스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펄프와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교반 혼합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얻는 공정과, 상기 알칼리 셀룰로오스와 알킬화제를 반응시켜 제1 반응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1 반응 혼합물에, 알킬화제를 더 배합하지 않고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배합하고 교반 혼합에 의하여 제2 반응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2 반응 혼합물을 정제하여 알킬셀룰로오스를 얻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킬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상기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합계 질량에 대한 상기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질량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6%인 알킬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다.
셀룰로오스 펄프는 목재 펄프, 린터 펄프 등, 통상의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재료가 되는 것이다. 또한 셀룰로오스 펄프의 중합도의 지표인 고유 점도는, 목표로 하는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수용액 점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5℃에서 1,000 내지 2,200ml/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 내지 2000ml/g이다. 셀룰로오스 펄프의 고유 점도는, JIS P8215의 A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펄프 중에는, 셀룰로오스 및 수분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펄프 중의 셀룰로오스」의 양은, JIS P8203:1998의 펄프-절건율의 시험 방법에 의하여 구해진 절건율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절건율(dry matter content)은, 시료를 105±2℃에서 건조하여 항량에 도달했을 때의 질량과 건조 전의 질량의 비율이며, %로 표시한다.
셀룰로오스 펄프는, 분쇄기로 분쇄한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 분쇄기는 셀룰로오스 펄프를 분말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는데, 나이프 밀, 커팅 밀, 해머 밀, 볼 밀 및 수직형 롤러 밀 등의 분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의 중량 평균 입자 직경 D50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0㎛이다.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의 중량 평균 입자 직경 D50은, 로탭(Ro-Tap)식 체 진탕기에, JIS Z8801에 준거한 눈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시험용 체를 설치하고, 상단의 체 상에 분말 펄프를 넣고 진동 또는 탭핑시킴으로써 체 분류를 행한 후, 각 체 상 및 체 하 질량을 측정하여 질량 분포를 구하고, 적산값 50%에서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서 측정하여 구한다.
다음으로, 셀룰로오스 펄프와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교반 혼합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얻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은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및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과 같이 2단계로 분할하여 배합한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용액을 들 수 있지만, 경제적인 관점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은, 예를 들어 모두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 같이 동일한 종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전자로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고 후자로서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것 같이 상이한 종류의 조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셀룰로오스 펄프에 첨가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직접 적하하는 방법,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스프레이 형상으로 분무하는 방법이 있는데, 얻어진 알칼리 셀룰로오스의 균일성이 좋은 점에서 스프레이 형상으로 분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농도는, 에테르화 반응 효율 및 취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질량%이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은 동일한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한 농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룰로오스 펄프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교반 혼합하는 공정은, 내부 교반 구조를 갖는 반응기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과 셀룰로오스 펄프를 교반 혼합하기 이전에, 반응기 내의 산소를 진공 펌프 등으로 제거하고 불활성 가스, 바람직하게는 질소로 치환함으로써,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산소의 존재 하에서 발생하는 해중합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셀룰로오스 펄프 중의 셀룰로오스의 몰비(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셀룰로오스)로서 2.0 내지 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3.5이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셀룰로오스의 몰비가 2.0 미만이면 겔화 온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점성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는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4.0을 초과하면,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는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합계 질량에 대한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질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6%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이다. 제1 및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합계 질량에 대한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질량 비율이 50% 미만이면 겔화 온도가 저하되어 버려 점성이 발현되지 않고, 또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는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합계 질량에 대한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질량 비율이 86%를 초과하면,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는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셀룰로오스 펄프와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시의 반응기의 내온,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펄프에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첨가 시의 반응기의 내온은, 균일한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속도는, 셀룰로오스 펄프 1몰당 단위 시간에 첨가된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몰양을 나타내며,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이 계 내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8[㏖/㏖·hr]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18.6[㏖/㏖·hr],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hr]이다.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첨가 후, 재차 5 내지 30분 간 교반 혼합을 계속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보다 균일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기 내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발열을 억제할 목적으로,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첨가 전, 첨가 중 또는 첨가 후에, 알킬화 반응에 제공하지 않은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에테르를 계 내에 첨가할 수 있다.
그 후, 얻어진 알칼리 셀룰로오스와 알킬화제를 반응시켜 제1 반응 혼합물로 한다.
알킬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메틸, 황산디메틸, 요오드화메틸 등의 메틸화제, 염화에틸, 황산디에틸, 요오드화에틸 등의 에틸화제를 들 수 있으며, 얻어진 알킬셀룰로오스의 물에 대한 용해성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 염화메틸, 염화에틸이 바람직하다.
알킬화제를 반응시킬 때의 반응기 내온은, 반응 제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알킬화제의 배합 몰양은, 제1 및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합계 몰양에 대한 알킬화제의 몰비(알킬화제/합계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로서,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이다. 당해 몰비(알킬화제/합계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가 0.8 미만이면 알킬기가 필요량 치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1.5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알킬화제를 배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리해지는 경우가 있다.
알킬화제의 배합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알킬화제를 알칼리 셀룰로오스에 첨가한다. 알킬화제의 첨가 시간은, 반응 제어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분이다.
제1 반응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알킬셀룰로오스의 알킬기의 치환도(DS)는, 원하는 점도 또는 저장 탄성률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1.6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1 내지 1.6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9 내지 1.37이다. 여기서 DS(degree of substitution)란, 셀룰로오스의 글루코오스환 단위당 알킬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개수를 말한다.
계속해서, 알킬화한 제1 반응 혼합물에, 알킬화제를 더 배합하지 않고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배합하고 교반 혼합에 의하여 제2 반응 혼합물을 얻는다.
제1 반응 혼합물에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배합할 때, 즉,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을 개시하는 시기는, 바람직하게는 배합하는 알킬화제의 전량의 80질량% 이상의 첨가가 완료된 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화제의 첨가가 완료된 후이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첨가를 개시하는 시기가, 배합하는 알킬화제 전체의 80질량% 첨가가 완료되기 전인 경우,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를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사용량은, 셀룰로오스 펄프 중의 셀룰로오스에 대한 몰비(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셀룰로오스)로서, 바람직하게는 0.65 내지 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 내지 1.48이다. 당해 몰비(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셀룰로오스)가 0.65 미만이면,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는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2.0을 초과하면 겔화 온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점성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는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제1 반응 혼합물에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배합할 때의 배합 개시 시의 반응기 내온, 바람직하게는 제1 반응 혼합물에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첨가할 때의 첨가 개시 시의 반응기 내온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이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첨가 개시 시의 반응기의 내온이 65℃ 미만이면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를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첨가 개시 시의 반응기의 내온이 90℃를 초과하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에 의한 머서화 반응(mercerization)에 의한 발열 및 알킬화에 의한 발열 반응을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를 얻는 관점에서,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이 완료될 때의 반응기 내온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이다. 또한 첨가 개시 시를 첨가 완료 시보다 낮은 온도로 하며, 그의 온도 차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이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의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속도는, 제1 반응 혼합물에, 셀룰로오스 펄프 중의 셀룰로오스 1몰당 단위 시간에 배합하는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몰양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6[㏖/㏖·hr],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5[㏖/㏖·hr],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hr]이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속도가 0.5[㏖/㏖·hr] 미만이면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시간이 길어지는 점에서, 반응 시간의 연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를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속도가 9.6[㏖/㏖·hr]을 초과해도,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를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제1 반응 혼합물에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배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알킬셀룰로오스를 얻는 관점에서,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 개시로부터 완료되기까지의 사이, 반응기 내온을 일정 속도로 승온하면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온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hr,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45℃/hr,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hr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 펄프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알칼리 셀룰로오스는, 알킬화제와 에테르화 반응함으로써 알킬셀룰로오스가 된다. 이 경우, 반응계 내의 알킬화제는 이 에테르화 반응에 수반하여 서서히 소비되어 간다. 반응기 내온이 일정한 경우, 반응계 내의 알킬화제의 소비에 수반하여 에테르화 반응의 반응 속도는 서서히 저하된다. 따라서 반응기 내온을 일정 속도로 승온하면서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을 행함으로써, 반응계 내의 알킬화제의 소비의 결과 발생하는 에테르화 반응의 반응 속도 저하를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에 수반하는 에테르화 반응 속도를 높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고점성이고 또한 높은 겔 강도의 알킬셀룰로오스를 얻을 수 있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배합한 후, 에테르화 반응을 완료시키기 위하여 교반 혼합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 후에 행하는 교반 혼합 시의 반응기 내온은, 반응 제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이다.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 후에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의 배합 후의 교반 혼합 시간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분 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분 간이다.
얻어진 제2 반응 혼합물은, 통상의 조(粗) 알킬셀룰로오스의 정제 방법과 마찬가지로 정제하여 알킬셀룰로오스로 할 수 있다. 정제 방법 및 정제에 사용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지만, 비용 면을 고려했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수(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반응 혼합물과 물을 교반 용기 내에서 혼합하고 부반응물로서 발생한 염을 용해시키고, 교반 용기로부터 나오는 현탁액을 분리 조작에 회부하여, 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정제 후, 필요에 따라 건조해도 된다. 건조 방법 및 건조에 사용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지만, 건조 시의 알킬셀룰로오스 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알킬셀룰로오스는, 필요하면, 예를 들어 볼 밀, 롤러 밀, 충격 분쇄기와 같은 통상의 분쇄 장치를 사용하여 분쇄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체로 분급함으로써 입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알킬셀룰로오스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으며, 특히 휘발성 물질의 휘발량의 억제 효과 및 겔화 온도가 낮다는 관점에서 메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알킬셀룰로오스의 알킬기의 치환도(DS)는 바람직하게는 1.61 내지 2.0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4 내지 2.03이다. DS가 1.61 미만이면 알킬셀룰로오스는 높은 겔 강도를 갖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2.03을 초과하는 치환도의 알킬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알킬화제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첨가량이 많아져 버리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불리해지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DS는 치환도를 나타내며, 셀룰로오스의 글루코오스환 단위당,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개수이다.
또한 알킬셀룰로오스의 알킬기의 치환도는, J. G. Gobler, E. P. Samscl, and G. H. Beaber, Talanta, 9, 474(1962)에 기재된, Zeisel(차이젤)-GC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알킬셀룰로오스의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4,000 내지 11,000m㎩·s(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의 경우에는 60,000 내지 150,000m㎩·s),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8,000m㎩·s(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의 경우에는 60,000 내지 110,000m㎩·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7,500m㎩·s(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의 경우에는 60,000 내지 100,000m㎩·s)이다. 1질량% 수용액 점도가 4,000m㎩·s 미만이면, 알킬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의 점성이 낮고, 충분한 휘발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한편, 1질량% 수용액 점도가 11,000m㎩·s를 초과하면, 휘발성 조성물에 대한 알킬셀룰로오스의 첨가량에 따르지만,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휘발성 조성물을 용기 등에 주입하기 어려워진다.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제16차 개정 일본 약전의 메틸셀룰로오스에 관한 분석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알킬셀룰로오스의 겔 강도는 65℃에서의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저장 탄성률은 용액의 탄성 성분, 즉, 물체에 힘을 가하고 있을 때 발생한 변형이, 힘을 제거하면 원래대로 돌아가는 성질의 성분을 나타내며, 겔 강도의 지표가 된다.
65℃에서의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은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4,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0 내지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0 내지 4,300㎩이다. 저장 탄성률 G'(65℃)이 3,000㎩ 미만이면, 휘발성 조성물의 겔의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휘발성 유효 성분의 휘발량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은, 예를 들어 Anton Paar사의 레오미터인 MCR5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조제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알킬셀룰로오스의 환산한 건조물 4.50g에 대응하는 양을 입구가 넒은 병(직경 65㎜ 및 높이 120㎜의 부피 350ml의 용기)에 정확히 칭량투입하고 열탕(98℃)을 가하여 300.0g으로 하고, 용기에 덮개를 덮은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일한 분산액이 되기까지 매분 350 내지 450회전으로 20분 간 교반한다. 그 후, 5℃ 이하의 수욕 중에서 40분 간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시료 용액으로 한다.
레오미터의 시료 측정부를 미리 65℃로 온도 조절해 두고, 조제된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을 CC27 측정 컵(직경 30㎜ 및 높이 80㎜의 알루미늄제의 원통 형상 용기)의 표선(25ml)까지 주입하고, 각주파수를 1rad/s로 하고 진폭 10%의 변형을 봅(bob) 실린더(직경 26.7㎜ 및 높이 40.0㎜: CC27)에 의하여 가하여 측정을 개시한다. 측정부는 65℃ 일정하게 유지한다. 데이터는 매분 1점 수집한다. 측정 개시로부터 60분까지의 사이의 저장 탄성률의 최댓값을 본 발명의 저장 탄성률 G'(65℃)으로 하였다.
알킬셀룰로오스의 겔화 온도는 저장 탄성률 G'(30→80℃)과 손실 탄성률 G"의 관계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손실 탄성률이란, 용액의 점성 성분, 즉, 유체의 운동에 따라 유체가 변형되어 저항을 발생하는 성질의 성분을 나타내며, 겔화 온도의 지표가 된다.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겔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보다 바람직하게는 44 내지 53℃,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3℃이다. 겔화 온도가 40℃ 미만이면, 알킬셀룰로오스의 물에 대한 용해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알킬셀룰로오스가 용해되지 않아 점성을 충분히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5℃를 초과하면, 알킬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의 겔 강도가 낮기 때문에 휘발성 유효 성분의 휘발량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겔화 온도는, 예를 들어 Anton Paar사의 레오미터인 MCR5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조제는 상기 저장 탄성률 G'(65℃)의 시료 용액과 마찬가지로 조제한다.
레오미터의 시료 측정부를 미리 30℃로 온도 조절해 두고, 알킬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을 CC27 측정 컵(직경 30㎜ 및 높이 80㎜의 원통 형상 용기)의 표선(25ml)까지 주입하고, 주파수를 1㎐로 하고 진폭 0.5%의 변형을 가하여 측정을 개시한다. 시료 측정부는 매분 2℃씩 80℃까지 승온시킨다. 데이터는 매분 2점 수집한다.
이 측정에서 얻어지는 저장 탄성률 G'(30→80℃) 및 손실 탄성률 G"은, 측정계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값이 변화되며, 손실 탄성률 G"과 저장 탄성률 G'(30→80℃)이 동등한 값, 즉, G"/G'(30→80℃)=1이 될 때의 온도를 겔화 온도로 하였다.
알킬셀룰로오스는, 물에 용해된 상태에서 가열했을 경우, 열 가역적으로 응집 또는 겔화를 일으키는 성질을 갖는 중합체이며, 저온에서는 친수성이지만 고온에서는 그 친수성이 상실되는(소수성으로 변하는) 중합체이다. 특히 메틸셀룰로오스는, 넓은 범위에서 향료 등의 유효 성분이나 계면 활성제 등과의 상호 작용이 비교적 작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가 용매 중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일 때, 메틸셀룰로오스 자체의 자유 회전이 제약된 연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향료 등의 유효 성분이나 계면 활성제 등과의 상호 작용이 제약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휘발성 조성물 중의 알킬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질량%이다.
(2) 휘발성 물질
휘발성 물질로서는 방향 성분, 살충 성분, 방충 성분, 기피성분을 들 수 있다. 방향 성분으로서는 바닐린, 오렌지유, α-피넨, 리모넨, 에틸포르메이트, 벤조산리날릴을 들 수 있다. 살충 성분 또는 방충 성분으로서는 파라디클로로벤젠, 나프탈렌, 테랄레트린, 알레트린, 프랄레트린을 들 수 있다. 기피 성분으로서는 카리오필렌, 유게놀, 메틸카비콜, 메틸신나메이트를 들 수 있다. 휘발성 조성물 중의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질량%이다.
(3) 용매
용매로서는, 물이나 알코올계 용매, 글리콜에테르계 용매 등의 친수성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압, 안전성, 융점, 용매취가 적은 관점에서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계 용매나, 3-메톡시-3-메틸-1-부탄올, 3-메톡시-1-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휘발성 조성물 중의 용매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질량%이다.
(4) 그 외
휘발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겔화제를 포함해도 된다. 겔화제로서는 한천, 프로테오글리칸, 당단백질, 펙트산, 펙틴산, 알긴산, 카라기난, 젤란 검, 구아 검, 크산탄 검, 로커스트 빈 검, 펙틴, 젤라틴, 카제인, 전분, 갈락토만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겔화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휘발성 조성물 중의 겔화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이다.
필요에 따라 무기염, 가용화물 또는 유화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휘발성 조성물 중의 각각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이다.
무기염으로서는 염화나트륨이나 황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으며, 응집 또는 겔화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용화물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다가 알코올 지방산의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나, 지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조성물을 용액의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들 가용화물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용해시키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유화물로서는 상술한 계면 활성제 외에, 카제인, 레시틴, 아라비아 고무,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글리콜류,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조성물은, 알킬셀룰로오스를 물 등의 수성 용매나 휘발성의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상으로서 조제해도 되고, 또한 휘발 성분의 수계 조성물이나 휘발성의 용매에 직접 첨가하여 겔상으로서 조제해도 된다.
액상의 휘발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휘발성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종이, 섬유, 부직포, 수지의 융착물, 세라믹, 소결 금속 등에 존재하는 미세 구멍 또는 모세관을 통하여 휘발 성분을 휘발시키는 형태이다. 이 경우의 휘발 억제 기구는, 알킬셀룰로오스가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응집 또는 겔화되어 미세 구멍 또는 모세관에 부착되어,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의 이동 및 휘발을 방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겔상의 휘발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휘발성 조성물을 유리, 플라스틱, 금속 용기 등의 개구부를 갖는 용기에 넣고, 미세 구멍 또는 모세관을 통하지 않고 개구부를 통하여 휘발 성분을 휘발시키는 형태이다. 이 경우의 휘발 억제 효과는, 알킬셀룰로오스가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응집 또는 겔화되고, 이것에 의하여 휘발성 조성물 표면에 피막 모양 조직을 형성하거나, 계 전체가 증점되어, 휘발성 조성물 중의 휘발 성분이 표면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생각된다.
실시예
이하에, 메틸셀룰로오스의 합성예 및 비교 합성예를 기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합성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고유 점도가 1,350ml/g인 목재 펄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를 얻었다. 이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 중, 셀룰로오스분으로 6.0㎏에 상당하는 양의 셀룰로오스 펄프를, 재킷 부착 내부 교반식 내압 반응기에 투입하고 진공 질소 치환을 행하여, 충분히 반응기 내의 산소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반응기 내온을 60℃가 되도록 온도 조절하면서 내부를 교반하고,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으로서 49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1 수산화나트륨과 셀룰로오스의 몰비(제1 수산화나트륨/셀룰로오스)가 2.62가 되도록 첨가 속도 10.48[㏖/㏖·hr]로 제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로 하였다.
계속해서, 디메틸에테르를 2.4㎏ 첨가하고 반응기 내온이 60℃를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하였다. 디메틸에테르 첨가 후, 반응기 내온을 60℃에서 80℃로 승온하면서 염화메틸량과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 합계량의 몰비(염화메틸/합계 수산화나트륨)가 1.1이 되도록 60분 간에 걸쳐 염화메틸을 첨가하여, 제1 반응 혼합물로 하였다. 염화메틸의 첨가에 이어서, 제2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으로서 49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2 수산화나트륨과 셀룰로오스의 몰비(제2 수산화나트륨/셀룰로오스)가 1.60이 되도록 첨가 속도 3.20[㏖/㏖·hr]으로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반응 혼합물로 하였다. 제2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첨가 개시 시의 반응기 내온은 77℃, 첨가 완료 시의 반응기 내온은 89℃였으며,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첨가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사이, 반응기 내온을 24℃/hr로 승온시켰다.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투입 완료 후, 교반을 30분 간 계속해서 행하여 에테르화 반응을 완료시켰다.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의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의 합계 질량에 대한 제1 수산화나트륨의 질량 비율은 62.1%였다.
얻어진 제2 반응 혼합물을 95℃의 열수를 첨가하여 슬러리화한 후, 로터리 프레셔 필터를 사용하여 세정하고, 계속해서, 송풍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추가로 볼 밀로 분쇄하고 체로 분급을 행한 후, 메틸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DS는 1.81이었으며,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4,300m㎩·s(20℃에서의 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59,000m㎩·s)였다. 65℃에서의 메틸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을 측정한바, 3,000㎩이었으며, 겔화 온도는 4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
고유 점도가 1,600ml/g인 목재 펄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메틸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DS는 1.82였으며,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7,200m㎩·s(20℃에서의 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99,000m㎩·s)였다. 65℃에서의 메틸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을 측정한바, 3,500㎩이었으며, 겔화 온도는 46℃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
고유 점도가 2,000ml/g인 목재 펄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메틸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DS는 1.83이였으며,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11,000m㎩·s(20℃에서의 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150,000m㎩·s)였다. 65℃에서의 메틸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을 측정한바, 4,500㎩이었으며, 겔화 온도는 50℃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4
고유 점도가 1,400ml/g인 목재 펄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 셀룰로오스 펄프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반응기 내에 셀룰로오스 펄프를 투입하고, 반응기 내온을 55℃가 되도록 온도 조절하면서 내부를 교반하고,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으로서 49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1 수산화나트륨과 셀룰로오스의 몰비(제1 수산화나트륨/셀룰로오스)가 3.01이 되도록 첨가 속도 12.04[㏖/㏖·hr]로 제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로 하였다.
계속해서,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1 반응 혼합물을 얻은 후,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첨가 개시 시의 반응기 내온을 81℃, 첨가 완료 시의 반응기 내온은 89℃로 하고,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첨가 개시로부터 첨가가 완료되기까지의 사이, 반응기 내온을 16.4℃/hr로 승온시키고, 제2 수산화나트륨과 셀룰로오스의 몰비(제2 수산화나트륨/셀룰로오스)가 1.26이 되도록 첨가 속도 2.58[㏖/㏖·hr]로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반응 혼합물로 하는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의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의 합계 질량에 대한 제1 수산화나트륨의 질량 비율은 70.5%였다.
그 후, 얻어진 제2 반응 혼합물을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정제, 분쇄하여 메틸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실험 조건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DS는 1.85였으며,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6,000m㎩·s(20℃에서의 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82,000m㎩·s)였다. 65℃에서의 메틸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을 측정한바, 3,300㎩이었으며, 겔화 온도는 53℃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5
합성예 4와 마찬가지로 반응기 내에 셀룰로오스 펄프를 투입하고, 반응기 내온을 55℃가 되도록 온도 조절하면서 내부를 교반하고, 제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으로서 49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1 수산화나트륨과 셀룰로오스의 몰비(제1 수산화나트륨/셀룰로오스)가 2.85가 되도록 첨가 속도 11.39[㏖/㏖·hr]로 제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로 하였다.
계속해서,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1 반응 혼합물을 얻은 후, 제2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첨가 개시 시의 반응기 내온을 79℃, 첨가 완료 시의 반응기 내온은 91℃로 하고,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첨가 개시로부터 첨가가 완료되기까지 반응기 내온을 24℃/hr로 승온시키고, 제2 수산화나트륨과 셀룰로오스의 몰비(제2 수산화나트륨/셀룰로오스)가 1.40이 되도록 첨가 속도 2.80[㏖/㏖·hr]으로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반응 혼합물로 하는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의 제1 및 제2 수산화나트륨의 합계 질량에 대한 제1 수산화나트륨의 질량 비율은 67.0%였다.
그 후, 얻어진 제2 반응 혼합물을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정제, 분쇄하여 메틸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실험 조건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DS는 1.82였으며,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6,050m㎩·s(20℃에서의 2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는 82,500m㎩·s)였다. 65℃에서의 메틸셀룰로오스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을 측정한바, 3,300㎩이었으며, 겔화 온도는 51℃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23058741-pat00001
실시예 1
저장 탄성률 G'(65℃)의 시료 용액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하여,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1.5질량%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100ml 비커에,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의 수용액 100g, 바닐라 에센스(메이지야 제조) 0.5g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휘발성 물질의 농도가 0.5질량%인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 휘발성 조성물을 용량 70ml의 알코올 램프에 40g을 넣고, 알코올 램프를 항온 수조에 의하여 온도 조절하여, 20℃ 내지 80℃의 악취의 강도를 정량하였다. 악취의 강도는, 신코스모스 덴키사의 포터블형 냄새 센서(XP-329Ⅲ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20℃ 내지 80℃의 각 온도의 항온조에 알코올 램프를 30분 간 정치한 후에, 알코올 램프의 덮개 부분으로부터 1㎝ 이격된 거리에 포터블형 냄새 센서의 센서 부분을 근접시키고 30초 후의 악취의 강도를 판독하였다. 각 온도에 있어서의 악취의 강도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합성예 2에서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터블형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20℃ 내지 80℃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합성예 3에서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터블형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20℃ 내지 80℃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합성예 4에서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터블형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20℃ 내지 80℃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합성예 5에서 얻어진 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터블형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20℃ 내지 80℃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메틸셀룰로오스 대신 증류수(100g)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터블형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20℃ 내지 80℃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일본 특허 공개 평6-207162호 공보에 기재된 메틸셀룰로오스(신에쓰 가가쿠 고교사 제조의 SM-1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휘발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터블형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20℃ 내지 80℃의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5의 휘발성 조성물은, 40℃ 이상으로 가열했을 때 악취의 강도인 상승이 억제되어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2의 휘발성 조성물은, 40℃ 이상부터 악취의 강도가 상승하여 휘발량을 조정할 수 없었다. 이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의 방향제로서 이용했을 경우에는, 폭염 하에서의 주차 중인 차 내 일조부의 온도가 40 내지 80℃ 가까이 되는 환경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의 휘발성 조성물에서는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상온과의 휘발량의 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Claims (5)

  1. 20℃에서의 1질량% 수용액의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가 4,000 내지 11,000m㎩·s이고, 또한 65℃에서의 1.5질량% 수용액의 저장 탄성률 G'(65℃)이 3,000 내지 4,500㎩인 알킬셀룰로오스와,
    휘발성 물질과,
    용매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휘발성 물질이 방향 성분, 살충 성분, 방충 성분 및 기피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휘발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셀룰로오스의 1.5질량% 수용액의 겔화 온도가 40 내지 55℃인 휘발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셀룰로오스가, 알킬기의 치환도(DS)가 1.61 내지 2.03인 메틸셀룰로오스인 휘발성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겔화제를 더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
KR1020170029365A 2016-03-09 2017-03-08 휘발성 조성물 KR102349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5744 2016-03-09
JP2016045744A JP2017160327A (ja) 2016-03-09 2016-03-09 揮発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428A KR20170105428A (ko) 2017-09-19
KR102349166B1 true KR102349166B1 (ko) 2022-01-12

Family

ID=5826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365A KR102349166B1 (ko) 2016-03-09 2017-03-08 휘발성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258077A1 (ko)
EP (1) EP3216465B1 (ko)
JP (1) JP2017160327A (ko)
KR (1) KR102349166B1 (ko)
CN (1) CN107174669B (ko)
ES (1) ES2739977T3 (ko)
TW (1) TWI72908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5305A (ja) * 2012-10-26 2015-12-1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水性芳香放出ゲ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9467A (ja) * 1986-01-31 1987-08-06 日本精化株式会社 ゲル状芳香剤組成物
JP2532090B2 (ja) * 1987-04-20 1996-09-11 ライオン株式会社 芳香剤用ゲル状基剤
JPH0826295B2 (ja) * 1992-09-16 1996-03-13 エステー化学株式会社 揮散抑制剤
JP2849041B2 (ja) * 1994-06-30 1999-01-2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洗剤組成物
US5741482A (en) * 1996-11-06 1998-04-21 Hercules Incorporated Air treatment gel compositions
WO2000059947A1 (en) * 1999-04-01 2000-10-12 The Dow Chemical Company Enhanced gel strength methylcellulose
EP1061124A1 (en) * 1999-06-15 2000-12-20 Givaudan SA Method for preparing fragrance products
JP4242093B2 (ja) * 2001-12-26 2009-03-18 サラ リー/デーエーエヌ ファウ 水洗トイレ用の液体芳香洗浄剤組成物
RU2354145C2 (ru) * 2003-09-03 2009-05-10 Юнилевер Н.В. Пищевые композиции, усиливающие чувство сытости
US9308397B2 (en) * 2004-04-30 201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US20060140902A1 (en) * 2004-12-23 2006-06-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dor control substrates
EP2437733A4 (en) * 2009-06-02 2014-01-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ETARD-PHARMACEUTICAL FORM
CN103339068B (zh) * 2010-12-27 2015-08-05 香港科技大学 可控释放芳香剂和灭菌剂的无机凝胶
WO2012173838A1 (en) * 2011-06-14 2012-12-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ood composition comprising a cellulose ether
JP6207162B2 (ja) 2013-01-25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遠隔操作端末、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遠隔操作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R112015019577B1 (pt) * 2013-04-12 2022-02-08 Nutrition & Biosciences Usa 1, Llc Processo para preparar uma solução aquosa de uma metilcelulose, solução aquosa de uma metilcelulose livre de proteínas e medicamento, alimento, ingrediente de alimento ou suplemento alimentíci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5305A (ja) * 2012-10-26 2015-12-1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水性芳香放出ゲ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74669A (zh) 2017-09-19
KR20170105428A (ko) 2017-09-19
EP3216465A1 (en) 2017-09-13
US20170258077A1 (en) 2017-09-14
TW201804902A (zh) 2018-02-16
ES2739977T3 (es) 2020-02-05
JP2017160327A (ja) 2017-09-14
EP3216465B1 (en) 2019-07-17
TWI729081B (zh) 2021-06-01
CN107174669B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1897B2 (ja) メチル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及びメチルセルロース
JP4662637B2 (ja) 乳化システム及び乳剤
US5538793A (en) Silicone rubber particles coated with silicone resin
CN107406522B (zh) 酯化纤维素醚的凝胶化
JP2002536507A (ja) 誘導微小繊維ポリサッカライド
CA2612175A1 (en) Particles having hydrophobic material therein
JPH0588889B2 (ko)
US20030040622A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modified cellulose ethers
AU2004206789A1 (en) Fragrance compositions
JP5628018B2 (ja) 水性ゲル組成物
KR102349166B1 (ko) 휘발성 조성물
EP3185904B1 (en) Colloidal dispersion comprising hpmcas
KR20180079361A (ko)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JP6412853B2 (ja) フィルム成型用組成物
JP7066489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TW201819420A (zh) 水溶性羥乙基纖維素的製造方法
JP7100550B2 (ja) スプレー用組成物
JP5337333B2 (ja) 架橋シリコーン粒子の水系サスペンジョンおよび架橋シリコーン粒子を含有するオイルの水系エマルジョン
JP2016069294A (ja) 昆虫忌避剤組成物およびスプレー式昆虫忌避剤
EP4225483A1 (en) Kraft lignin nanoparticles
MXPA02010035A (es)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eteres de celulosa, no ionicos en povo, por lo menos alquilados solubles en agua y facilmente humedecibles.
WO2010037986A1 (fr) Procede de silanisation de polysaccharides
JPH11293111A (ja) 粒状シリコーン硬化物サスペン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420513T3 (es) Composición de recubrimiento de papel con suspensión polimérica fluida medioambientalmente aceptable
US9187572B2 (en) Treatment of polysaccarides with dialdehy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