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976B1 -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976B1
KR102347976B1 KR1020200178496A KR20200178496A KR102347976B1 KR 102347976 B1 KR102347976 B1 KR 102347976B1 KR 1020200178496 A KR1020200178496 A KR 1020200178496A KR 20200178496 A KR20200178496 A KR 20200178496A KR 102347976 B1 KR102347976 B1 KR 10234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ail
unit
turning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현
Priority to KR102020017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6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along a clos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기둥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한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둥 치핑유닛은 기둥에서 이격된 상태로 기둥을 감싸는 레일모듈과, 레일모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선회모듈과, 선회모듈에 결합되고 선회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기둥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제팅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COLUMN CHIPPING UNIT AND COLUMN CHIPPING SYSTEM USINF THIS}
본 발명은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기둥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한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용 중인 교면 포장의 보수를 위해서는 기존 포장 제거와, 공용기간 동안 슬라브 콘크리트의 열화된 부분을 제거한 후, 새로운 포장을 하는데, 파쇄작업 중 손상되거나, 열화된 기존 바닥판 슬라브 콘크리트 부분은 신설 재료인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 특히 폴리머 개질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와 기존 슬라브 바닥판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저해하여, 새로운 포장면과 기존 바닥판 콘크리트와의 들뜸 및 균열, 포트홀 발생의 원인이 되며, 기존 바닥판 슬라브의 손상이 가속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충분한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바닥판 슬라브의 열화부 및 손상부 제거를 위한 치핑작업이 필히 수행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는 콘크리트 보수면을 파쇄(Chipping) 하는 공사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초고압의 물을 생성시키는 파워팩과, 파워팩의 초고압수를 받아 실제적으로 작업하는 어태치먼트 장치와, 어태치먼트 장치를 장착하고 작업 여건에 맞게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주행 장치로 이루어져 철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빠른 시간 동안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기존 바닥판 슬라브 콘크리트의 열화 내지는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 할 수 있는 교면포장 개량 공법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하지만, 종래의 치핑장치는 평면 형태에 대응한 치핑이 가능하지만, 원기둥 또는 타원 기둥과 같은 기둥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에는 부적합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5771호 (발명의 명칭 : 무인운전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 2018. 09. 0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기둥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한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은 기둥에서 이격된 상태로 기둥을 감싸는 레일모듈; 상기 레일모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선회모듈; 및 상기 선회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선회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제팅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모듈은, 상기 기둥을 감싸는 링 형상을 나타내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이격되어 상기 기둥을 감싸는 링 형상을 나타내고,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기어가 형성되는 구동레일; 및 상기 기둥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구동레일을 연결시키는 유지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회모듈은, 상기 레일모듈에서 이격 배치되는 선회브라켓;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선회롤러;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선회기어; 및 상기 선회기어를 회전시키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회롤러는, 상기 선회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회기어와 상기 선회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선회브라켓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모듈은, 호 형상을 나타내는 고정레일부; 상기 기둥을 감싸기 위해 레일지지축을 매개로 상기 고정레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 형상의 회전레일부; 및 상기 고정레일부와 상기 회전레일부가 상기 기둥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일부에 상기 회전레일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일클램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팅모듈은, 상기 선회모듈에 결합되는 제팅브라켓; 및 상기 제팅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제팅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은 상기 제팅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팅노즐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모듈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조절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 상기 조절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조절기어부; 상기 조절기어부에서 이격 배치되는 조절슬라이딩부; 상기 조절슬라이딩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조절슬라이더; 및 상기 조절기어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조절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왕복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슬라이더에서 상기 기둥과 마주보는 일단부에는, 상기 제팅노즐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구동축은, 상기 조절슬라이더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절기어부에는, 나선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왕복기어부와 치합되는 웜기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은 상기 레일모듈에 구비되는 선회마커; 상기 선회마커를 감지하는 선회감지부; 및 상기 선회감지부가 상기 선회마커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회모듈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선회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 및 상기 기둥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모듈을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기둥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고정모듈; 상기 베이스고정모듈에서 이격되어 상기 기둥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이동모듈; 상기 기둥에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이동모듈을 연결시키는 승강레일; 및 상기 치핑유닛의 승강 이동을 위해 상기 레일모듈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레일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치핑유닛의 동작 및 상기 승강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에 따르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기둥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레일모듈을 통해 선회모듈이 기둥의 둘레를 안정되게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 과정에서 제팅모듈이 분사하는 물에 의해 기둥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둥을 기준으로 하는 선회모듈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레일모듈에서 선회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선회모듈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레일모듈에서 선회모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모듈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기둥에서 레일모듈을 간편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선회모듈의 동작에 대응하여 레일모듈의 결합 부위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팅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팅노즐을 선회모듈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팅구동부를 통해 제팅노즐에 물의 분사 압력을 제공하고, 기둥이 설치된 부분의 물을 펌핑하여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모듈을 통해 기둥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팅노즐의 물 분사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제팅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기둥의 표면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조절슬라이더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웜기어를 통한 조절슬라이더의 왕복 이동 구조를 통해 제팅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지탱하고, 제팅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조절슬라이더가 기둥의 외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마커의 감지 동작을 통해 레일모듈에서 선회모듈의 이동 방향을 간편하게 전환하고, 제팅노즐에 연결되는 제팅라인이 기둥에 권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유닛을 통해 치핑유닛을 기둥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유닛에서 치핑유닛을 승강 이동시켜 제팅모듈의 자유도를 확장시키고, 최소한의 설치 동작에 대응하여 제팅모듈의 선회 동작과 치핑유닛의 승강 동작으로 기둥의 둘레면에서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듈을 통해 치핑유닛과 승강모듈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에서 레일모듈에서 선회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에서 레일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에서 간결조절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에서 간결조절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시스템에서 베이스고정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시스템에서 베이스이동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P) 치핑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은 기둥(P)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은 기둥(P)에서 이격된 상태로 기둥(P)을 감싸는 레일모듈(10)과, 레일모듈(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선회모듈(20)과, 선회모듈(20)에 결합되고 선회모듈(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기둥(P)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제팅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P)은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에 간격조절모듈(40)이 부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은 다각형 단면을 나타내어도 무방하다.
레일모듈(10)은 기둥(P)을 감싸는 링 형상을 나타내는 가이드레일(10a)과, 가이드레일(10a)에서 이격되어 기둥(P)을 감싸는 링 형상을 나타내고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기어가 형성되는 구동레일(10b)과, 기둥(P)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고 가이드레일(10a)과 구동레일(10b)을 연결시키는 유지브라켓(1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a)은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가이드레일(10a) 사이에 구동레일(10b)이 이격 배치되므로, 선회모듈(2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일모듈(10)은 후술하는 승강모듈(80)에 결합되도록 한다.
선회모듈(20)은 레일모듈(10)에서 이격 배치되는 선회브라켓(21)과, 가이드레일(10a)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선회롤러(22)와,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선회기어(23)와, 선회기어(23)를 회전시키는 선회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롤러(22)는 선회브라켓(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회롤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쌍이 상호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선회롤러(22)는 상측의 가이드레일(10a)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한 쌍의 선회롤러(22)는 하측의 가이드레일(10a)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레일모듈(10)에서 선회모듈(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회기어(23)와 선회구동부(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선회브라켓(21)에 결합되도록 하여 선회브라켓(21)과 선회기어(23)와 선회구동부(24)의 결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기어는 링기어 타입이 적용되고, 선회기어(23)는 평기어 타입이 적용되어 선회모듈(20)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선회기어(23)는 구동기어의 외주면에 치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기어의 내주면에 치합될 수 있다.
제팅모듈(30)은 선회모듈(20)에 결합되는 제팅브라켓(31)과, 제팅브라켓(31)에 결합되어 기둥(P)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제팅노즐(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팅모듈(30)은 제팅노즐(32)에 물을 공급하는 제팅구동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팅구동부(33)는 물이 제팅노즐(32)에서 분사될 때, 기설정된 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팅구동부(33)는 물이 제팅노즐(32)에서 간헐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레일모듈(10)은 기둥(P)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일모듈(10)은 호 형상을 나타내는 고정레일부(11)와, 기둥(P)을 감싸기 위해 레일지지축(13)을 매개로 고정레일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 형상의 회전레일부(12)와, 고정레일부(11)와 회전레일부(12)가 기둥(P)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레일부(11)에 회전레일부(1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일클램프(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레일부(11)는 후술하는 승강모듈(80)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레일부(12)의 일단부는 레일지지축(13)을 매개로 고정레일부(1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레일부(12)의 타단부는 레일클램프(14)를 매개로 고정레일부(11)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레일부(11)와 회전레일부(12)가 결합되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레일클램프(14)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고정레일부(11)와 회전레일부(1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레일지지축(13)과 레일클램프(14)는 선회롤러(22)의 구름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10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레일지지축(13)과 레일클램프(14)는 구동기어와 선회기어(23)가 안정되게 치합되도록 하고, 선회기어(23)의 링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은 간격조절모듈(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모듈(4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팅브라켓(31)을 기준으로 제팅노즐(32)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그러면, 간격조절모듈(40)을 통해 제팅노즐(32)과 기둥(P)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간격조절모듈(40)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조절구동축(411)을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41)와, 조절구동축(411)에 결합되어 조절구동축(411)과 함께 회전되는 조절기어부(42)와, 조절기어부(42)에서 이격 배치되는 조절슬라이딩부(43)와, 조절슬라이딩부(4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조절슬라이더(44)와, 조절기어부(42)와 치합되도록 조절슬라이더(4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왕복기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팅브라켓(31)에는 제팅통과부(311)가 관통 형성되어 조절슬라이더(44)와 왕복기어부(45)가 제팅브라켓(31)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조절구동축(411)과 조절구동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팅브라켓(31)에 결합되어 간격조절모듈(40)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절구동축(41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조절구동축(411)은 조절슬라이더(44)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조절기어부(42)에는 나선 형상을 나타내어 왕복기어부(45)와 치합되는 웜기어가 구비되므로, 제팅노즐(32)에서 물이 분사될 때, 조절슬라이더(44)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슬라이딩부(43)와 조절슬라이더(44)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슬라이딩홈부(441)가 함몰 형성되고, 조절슬라이딩부(43)와 조절슬라이더(44)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홈부(44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돌부(431)가 돌출 형성되므로, 조절슬라이딩부(43)와 조절슬라이더(44)의 안정된 슬라이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조절슬라이더(44)에는 노즐홀부(442)가 관통 형성되어 물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조절슬라이더(44)에서 기둥(P)과 마주보는 일단부에는 제팅노즐(32)이 결합되므로, 제팅구동부(33)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제팅노즐(32)에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조절슬라이더(44)에서 타단부에는 제팅구동부(33)가 결합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조절슬라이더(44)의 타단부에는 제팅구동부(33)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커넥터(443)가 결합되고, 제팅라인(444)이 연결커넥터(443)와 제팅구동부(33)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모듈(10)에 구비되는 선회마커(25)와, 선회모듈(20)에 구비되어 선회마커(25)를 감지하는 선회감지부(26)와, 선회감지부(26)가 선회마커(25)를 감지함에 따라 선회모듈(2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선회제어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P) 치핑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P) 치핑시스템은 기둥 치핑유닛(100)과, 고정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 치핑유닛(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치핑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유닛(200)은 기둥(P)을 기준으로 레일모듈(10)을 지지한다.
고정유닛(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P)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고정모듈(50)과, 베이스고정모듈(50)에서 이격되어 기둥(P)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이동모듈(70)과, 기둥(P)에서 이격되어 베이스고정모듈(50)과 베이스이동모듈(70)을 연결시키는 승강레일(60)과, 치핑유닛의 승강 이동을 위해 레일모듈(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레일(6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모듈(8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고정모듈(50)은 기둥(P)을 파지하는 고정파지부(51)와, 고정파지부(51)를 승강레일(60)에 연결시키는 베이스고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파지부(51)는 기둥(P)을 감싸는 고정링부와, 기둥(P)에 지지되도록 고정링부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부는 호 형상을 나타내는 고정지지부(511)와, 기둥(P)을 감싸기 위해 고정회전축(513)을 매개로 고정지지부(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 형상의 고정회전부(512)와, 고정지지부(511)와 고정회전부(512)가 기둥(P)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지지부(511)에 고정회전부(51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클램프(5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511)는 베이스고정부(52)에 고정된다.
고정회전부(512)의 일단부는 고정회전축(513)을 매개로 고정지지부(51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회전부(512)의 타단부는 고정클램프(514)를 매개로 고정지지부(511)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지지부(511)와 고정회전부(512)가 결합되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고정클램프(514)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고정지지부(511)와 고정회전부(51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지지부(511)와 고정회전부(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둥(P)을 향해 다수의 고정돌부(515)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고정부(5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고정파지부(51)를 승강레일(6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베이스고정부(52)는 승강레일(60)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레일(60)에는 승강모듈(80)의 승강 이동을 위한 승강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이동모듈(70)은 기둥(P)을 파지하는 이동파지부(71)와, 이동파지부(71)를 승강레일(60)에 연결시키는 베이스이동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파지부(71)는 기둥(P)을 감싸는 이동링부와, 기둥(P)에 지지되도록 이동링부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이동돌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링부는 호 형상을 나타내는 이동지지부(711)와, 기둥(P)을 감싸기 위해 이동회전축(713)을 매개로 이동지지부(7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 형상의 이동회전부(712)와, 이동지지부(711)와 이동회전부(712)가 기둥(P)을 감싼 상태에서 이동지지부(711)에 이동회전부(71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이동클램프(7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지지부(711)는 베이스이동부(72)에 고정된다.
이동회전부(712)의 일단부는 이동회전축(713)을 매개로 이동지지부(71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회전부(712)의 타단부는 이동클램프(714)를 매개로 이동지지부(711)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동지지부(711)와 이동회전부(712)가 결합되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동클램프(714)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이동지지부(711)와 이동회전부(71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동지지부(711)와 이동회전부(7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둥(P)을 향해 다수의 이동돌부(715)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이동부(7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이동파지부(71)를 승강레일(6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베이스이동부(72)는 승강레일(60)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모듈(80)은 기둥 치핑유닛(100)의 레일모듈(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레일(6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동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81)는 후술하는 제어모듈(300)에 의해 레일모듈(10)의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이 제어되도록 한다.
승강모듈(80)은 레일모듈(10)과 승강구동부(81)을 연결시키는 승강브라켓(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브라켓(82)는 승강구동부(81)를 기준으로 레일모듈(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유닛(200)은 치핑유닛의 동작 및 승강모듈(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둥 치핑유닛(100)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P) 치핑시스템에 따르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기둥(P)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레일모듈(10)을 통해 선회모듈(20)이 기둥(P)의 둘레를 안정되게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 과정에서 제팅모듈(30)이 분사하는 물에 의해 기둥(P) 표면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레일모듈(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둥(P)을 기준으로 하는 선회모듈(20)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레일모듈(10)에서 선회모듈(2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선회모듈(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선회모듈(20)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레일모듈(10)에서 선회모듈(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모듈(10)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기둥(P)에서 레일모듈(10)을 간편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선회모듈(20)의 동작에 대응하여 레일모듈(10)의 결합 부위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팅모듈(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팅노즐(32)을 선회모듈(2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팅구동부(33)를 통해 제팅노즐(32)에 물의 분사 압력을 제공하고, 기둥(P)이 설치된 부분의 물을 펌핑하여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모듈(40)을 통해 기둥(P)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팅노즐(32)의 물 분사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제팅노즐(32)에서 분사되는 물이 기둥(P)의 표면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간격조절모듈(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조절슬라이더(44)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웜기어를 통한 조절슬라이더(44)의 왕복 이동 구조를 통해 제팅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지탱하고, 제팅노즐(32)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조절슬라이더(44)가 기둥(P)의 외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회마커(25)의 감지 동작을 통해 레일모듈(10)에서 선회모듈(20)의 이동 방향을 간편하게 전환하고, 제팅노즐(32)에 연결되는 제팅라인(444)이 기둥(P)에 권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200)을 통해 치핑유닛을 기둥(P)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200)에서 치핑유닛을 승강 이동시켜 제팅모듈(30)의 자유도를 확장시키고, 최소한의 설치 동작에 대응하여 제팅모듈(30)의 선회 동작과 치핑유닛의 승강 동작으로 기둥(P)의 둘레면에서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을 통해 치핑유닛과 승강모듈(80)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기둥 치핑유닛 10: 레일모듈 10a: 가이드레일
10b: 구동레일 10c: 유지브라켓 11: 고정레일부
12: 회전레일부 13: 레일지지축 14: 레일클램프
20: 선회모듈 21: 선회브라켓 22: 선회롤러
23: 선회기어 24: 선회구동부 25: 선회마커
26: 선회감지부 27: 선회제어부 30: 제팅모듈
31: 제팅브라켓 311: 제팅통과부 32: 제팅노즐
33: 제팅구동부 40: 간격조절모듈 41: 조절구동부
411: 조절구동축 42: 조절기어부 43: 조절슬라이딩부
431: 슬라이딩돌부 44: 조절슬라이더 441: 슬라이딩홈부
442: 노즐홀부 443: 연결커넥터 444: 제팅라인
45: 왕복기어부 200: 고정유닛 50: 베이스고정모듈
51: 고정파지부 511: 고정지지부 512: 고정회전부
513: 고정회전축 514: 고정클램프 515: 고정돌부
52: 베이스고정부 60: 승강레일 70: 베이스이동모듈
71: 이동파지부 711: 이동지지부 712: 이동회전부
713: 이동회전축 714: 이동클램프 715: 이동돌부
72: 베이스이동부 80: 승강모듈 81: 승강구동부
82: 승강브라켓 300: 제어모듈 P: 기둥

Claims (6)

  1. 기둥에서 이격된 상태로 기둥을 감싸는 레일모듈;
    상기 레일모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선회모듈;
    상기 선회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선회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제팅모듈;
    상기 제팅모듈의 제팅노즐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모듈;
    상기 레일모듈에 구비되는 선회마커;
    상기 선회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마커를 감지하는 선회감지부; 및
    상기 선회감지부가 상기 선회마커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회모듈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선회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팅모듈은,
    상기 선회모듈에 결합되는 제팅브라켓; 및
    상기 제팅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상기 제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모듈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조절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
    상기 조절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조절기어부;
    상기 조절기어부에서 이격 배치되는 조절슬라이딩부;
    상기 조절슬라이딩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조절슬라이더; 및
    상기 조절기어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조절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왕복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슬라이더에서 상기 기둥과 마주보는 일단부에는, 상기 제팅노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치핑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모듈은,
    상기 기둥을 감싸는 링 형상을 나타내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이격되어 상기 기둥을 감싸는 링 형상을 나타내고,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기어가 형성되는 구동레일; 및
    상기 기둥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구동레일을 연결시키는 유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치핑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모듈은,
    상기 레일모듈에서 이격 배치되는 선회브라켓;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선회롤러;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선회기어; 및
    상기 선회기어를 회전시키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회롤러는, 상기 선회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회기어와 상기 선회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선회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치핑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모듈은,
    호 형상을 나타내는 고정레일부;
    상기 기둥을 감싸기 위해 레일지지축을 매개로 상기 고정레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 형상의 회전레일부; 및
    상기 고정레일부와 상기 회전레일부가 상기 기둥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일부에 상기 회전레일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일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치핑유닛.
  5. 삭제
  6. 삭제
KR1020200178496A 2020-12-18 2020-12-18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KR10234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96A KR102347976B1 (ko) 2020-12-18 2020-12-18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96A KR102347976B1 (ko) 2020-12-18 2020-12-18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976B1 true KR102347976B1 (ko) 2022-01-11

Family

ID=7935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496A KR102347976B1 (ko) 2020-12-18 2020-12-18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152B1 (ko) * 2023-08-01 2024-01-31 임학선 포크레인 철거작업시 비산먼지 억제 및 제거용 물분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8266A (ja) * 2009-09-10 2011-03-24 West Japan Railway Co 高架橋における作業ステージの仮設方法
JP2012002047A (ja) * 2010-06-14 2012-01-05 Yukihiro Higuchi 壁面のはつり工法と壁面のはつり装置
KR101140745B1 (ko) * 2011-04-11 2012-05-03 이경섭 치핑기용 지지장치
KR101895771B1 (ko) 2017-11-21 2018-09-07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무인운전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
KR20190081847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JP2020079534A (ja) * 2018-11-14 2020-05-28 第一建設工業株式会社 橋脚補修・補強工事に用いる仮締切り構造体の水中降下用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8266A (ja) * 2009-09-10 2011-03-24 West Japan Railway Co 高架橋における作業ステージの仮設方法
JP2012002047A (ja) * 2010-06-14 2012-01-05 Yukihiro Higuchi 壁面のはつり工法と壁面のはつり装置
KR101140745B1 (ko) * 2011-04-11 2012-05-03 이경섭 치핑기용 지지장치
KR101895771B1 (ko) 2017-11-21 2018-09-07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무인운전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
KR20190081847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JP2020079534A (ja) * 2018-11-14 2020-05-28 第一建設工業株式会社 橋脚補修・補強工事に用いる仮締切り構造体の水中降下用ガイ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152B1 (ko) * 2023-08-01 2024-01-31 임학선 포크레인 철거작업시 비산먼지 억제 및 제거용 물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976B1 (ko)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US20020179123A1 (en) Fluidized cleaning and sca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366621B1 (ko)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JP6270881B2 (ja) コンクリート壁面切断装置
JP2017148887A (ja) ボルト回転装置
KR102614919B1 (ko)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CN111054853A (zh) 双联折弯机构、双联折弯设备及数控钢筋弯曲中心
JP2004291421A (ja) はつり装置
US20100140444A1 (en) Machine and method for deconstructing a vertical wall
JP3368553B2 (ja) はつり装置
EP0098845A1 (en) An apparatus for spraying concrete
JPS5837498A (ja) 洗浄装置
JPH09250249A (ja) レンガライニングのはつ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390330B1 (ko) 도장장치
KR20110034063A (ko) 탱크 벽면용 반자동 도장 캐리지
JPH07158252A (ja) ライニング吹付装置
KR101730911B1 (ko) 노즐 제어 장치
KR200180358Y1 (ko) 가스 절단기 안내 지지장치
CN210386278U (zh) 下喷涂装置
JP2005103627A (ja) パイプ切断機
JPH0449517Y2 (ko)
KR102524463B1 (ko) 이중실린더를 이용한 준설차용 고압 호스릴 장치
CA2730799C (en) Machine and method for deconstructing a vertical wall
KR102108163B1 (ko) 도금포트용 드로스 제거장치
KR19980072144A (ko)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