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847A -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847A
KR20190081847A KR1020170184672A KR20170184672A KR20190081847A KR 20190081847 A KR20190081847 A KR 20190081847A KR 1020170184672 A KR1020170184672 A KR 1020170184672A KR 20170184672 A KR20170184672 A KR 20170184672A KR 20190081847 A KR20190081847 A KR 20190081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bridge
bracket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미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이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이성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8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847A/ko
Publication of KR2019008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3Scanning by mechanical motion of s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8Miscellaneous
    • G01N2201/1087Focussed scan beam, e.g. la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이 안착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형성되는 판상의 지지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04)과; 상기 고정브라켓(104)에 결합되어 지면까지 하향연장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가이드봉에게 안내되도록 다수 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교각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교각 또는 케이슨기초의 둘레로 배치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결합되며, 교각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브라켓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브라켓의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동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가이드레일을 왕복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의 왕복동수단과;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교각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부 표면을 스캔하는 레이저 스캐너와; 상기 이동브라켓의 승하강수단, 가이드부재의 왕복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SCANNING APPARATUS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레이저 스캔하여 구조물에서 발생한 균열을 탐지하되, 레이저 또는 초음파로 균열을 스캔하여 탐지할 때, 전체적, 구조적, 구간적, 영역적으로 일관적인 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건설, 교량과 같이 대규모 구조물을 축조하는 분야에서 전체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구조물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제작되고 이동되어 접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구조물들은 자연 및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후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이에 따라, 노후되어 가는 과정에서도 손상되는 구조물의 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손상된 부분의 보수 등과 같은 관리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한 관리작업 중 기본이 되는 점검작업 중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외관조사방법과 사진조사방법이다.
상기 외관조사방법은 구조물 표면의 균열에 대한 조사와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의 접합상태 및 구조물 내부와 외부의 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정밀 안전진단의 수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상기한 구조물 표면의 균열에 대한 외관조사방법 가장 일반적이면서 대표적인 것은 검사관에 의한 육안조사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육안검사방법은, 검사관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주관적인 견해가 많이 참조되기 때문에 필요한 보수부위 필요없는 보수부위의 구분이 모호하여 자칫 과도한 보수비용이 지출될 수도 있으며, 보수하여야 할 부분을 보수하지 못하고 경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육안검사방법은 육안검사를 하는 검사관이 해당 시기마다 다른 사람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검사 주기도 장기간이 경과한 후에 실시하기 때문에 구조물 표면의 균열 상태나 주변조건, 현재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 경과를 정확하게 기억해내거나 파악할 수 없으므로 과거의 검사결과와 비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유지관리는 육안을 이용한 관찰뿐만 아니라, 자동화 영상화 기법을 사용한 첨단 탐사장비의 개발로 구조물의 객관적인 유지관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사진조사방법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촬영한 두 장 이상의 사진을 후처리 과정에서 수학적 모델을 통해 해석함으로써 구조물의 표면상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 방법은 계측 거리에 따라서 상당한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자동 매칭에 의하여 구조물 표면 전체에 대한 연속적인 분석도 가능하나, 실질적으로는 이물질 또는 다른 색상 및 재질의 접합 부위, 인위적으로 부착한 인식표처럼 명확하게 인식 가능한 지점에 대해서만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며 시각적 변화가 없는 평면이나 원만한 굴곡 부위에 대해서는 정밀한 분석이 어렵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사진조사방법은 시각 사진을 이용하므로 주변 광량 등에 영향을 받아 일정한 수준의 인식율을 유지하기 어렵고, 원근과 명암의 대비에 따라 서로 다른 계측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므로, 일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속적으로 점검, 보수, 관리되어야 할 교량 구조물의 표면을 레이저로 스캔하고, 스캔한 스캔 데이타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교량의 교각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교각의 단면형상 또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스캐너가 연속적으로 스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일관적인 스캔데이타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교량의 교각(102)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04a)와, 이 안착부(104a)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형성되는 판상의 지지부(104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04)과; 상기 고정브라켓(104)에 결합되어 지면까지 하향연장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106)과; 상기 가이드봉(106)이 삽입되어 가이드봉(106)에게 안내되도록 다수 개의 가이드공(108a)이 형성되며,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둘레로 배치되는 이동브라켓(108)과; 상기 이동브라켓(108)에 결합되며,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이동브라켓(108)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왕복동하는 가이드부재(112)와; 상기 가이드부재(112)가 가이드레일(110)을 왕복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과; 상기 가이드부재(112)에 설치되어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부 표면을 스캔하는 레이저 스캐너(114)와; 상기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은, 상기 이동브라켓(108)에 일단이 결속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116)와; 상기 고정브라켓(104)의 양측 지지부(10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구동축에 제1기어(118a)가 설치된 제1구동모터(118)와; 상기 지지부(104b)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16)의 타단을 결합고정시켜 와이어(116)를 권취하도록 된 권취부(120a)가 회전축(120b)에 설치되고, 회전축(120b)의 일단에는 제1기어(118a)에 치합되는 제2기어(120c)가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118)의 회전력에 의해 정역회전하면서 권취부(120a)에 권취된 와이어(116)를 풀거나 권취부(120a)에 와이어(116)를 권취시키는 회전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와; 상기 가이드부재(112)에서 기립설치되며, 상단에는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의 상면에서 구름접촉하는 구름부(126)를 자회전가능하게 설치한 다수 개의 안내부(128)와; 상기 가이드부재(112)에 설치고정되며, 구동축에 제3기어(130a)가 축설된 제2구동모터(130)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결합되어 제3기어(130a)에 치합되는 래크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는 끝단을 따라 비스듬한 '/' 또는 '\'의 제1경사부(132)를 가지며, 구름부(126)는 상기 경사면에 면접촉되도록 비스듬한 제2경사부(13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름부(126)는 가이드레일(110)의 제1경사부(132)의 최상사점 또는 시작점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된 내, 외측 수직부(136)에 밀착되도록 제2경사부(134)의 최상사점으로부터 수직상부를 향하여 수직면(138)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후 교각의 단면형상 또는 외곽 테두리 형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스캔 데이타를 수집하게 하여 스캔 데이타가 수집되도록 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2차, 3차.... 스캔 작업을 수행한다하더라도 과거의 스캔 데이타와 현재의 스캔 데이타가 일관성을 가지는 스캔 데이타만으로 수집 및 비교되도록 함으로써, 과거에 발생한 손상부위, 크랙부분에 대한 보수, 관리에 대한 유효성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며, 과거와 현재의 크랙 데이타에 따른 미래의 크랙발생부분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최적화된 보수, 관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작업자에 의한 육안식별과 사진식별에 의한 점검보다 객관적이고 일관적인 스캔 데이타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레일이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레일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레일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B를 확대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의 교각(102)의 상부에는 도 1과 도 2a 및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4)을 설치하되, 이 고정브라켓(1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 안착부(104a)를 가지며, 이 안착부(104a)에서 교각(102)의 측면방향을 향하여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판상의 지지부(104b)가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부(104b)는 안착부(104a)의 양단에서 일체로 돌출성형되게 할 수도 있으며, 별개체를 안착부(104a)에 결합시켜 지지부(104b)를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04)에는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부를 향하여 하향연장된 다수 개의 가이드봉(106)을 결합시키되, 이 가이드봉(106)은 원형, 사각형 등 다각형의 단면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04)의 하부에는 이동브라켓(108)이 배치되는 바, 이 이동브라켓(108)은 상기한 다수 개의 가이드봉(106)이 삽입되도록 가이드공(10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108a)이 가이드봉(106)을 따라 원활하게 하강하거나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108a)에는 베어링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브라켓(108)은 교각(102) 또는 교각(102)의 하단에 설치되어 교각(102)을 받쳐주는 케이슨기초의 외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둘레를 따라 배되게 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ㅇ', 'ㅁ', 타원형 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등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브라켓(108)에는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가이드레일(110)을 설치하는 바, 이 가이드레일(110)도 이동브라켓(108)과 같이 교각(102)을 받쳐주는 케이슨기초의 외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둘레를 따라 배되게 할 수 있도록 'ㅇ', 'ㄷ', 'ㅁ', 타원형 등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브라켓(108)은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의 배치가 유지되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지만,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후술하게 될 레이저 스캐너(114)가 이 가이드레을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를 스캔하여야 하므로,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단면형상 테두리로 이루어진 폐곡선과 대응되는 이동경로가 레이저 스캐너(114)에 제공될 수 있도록 구조를 형성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 스캐너(114)가 설치된 가이드부재(112)가 결합되도록 하여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 가이드부재(112)가 왕복동할 때, 레이저 스캐너(114)가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표면을 스캔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브라켓(108)이 가이드봉(106)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하는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과, 가이드부재(112)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왕복동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을 제공하며, 상기한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과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을 제어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과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4는 가이드레일(110)이 교각(102)을 감싸지 않는 개곡선 형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와 도 6a 및 도 6b는 가이드레일(110)이 교각(102)를 감싸는 폐곡선 형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이드레일(110)의 구조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모두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과 동일하게 도시된 도 2a의 A 부분은 도 2a에서 확대하여 도시하였으니, 도면의 상세한 내용은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6a에 B 부분도 도 6b에서 확대하여 도시하였으니, 도면의 상세한 내용은 도 6b에서 확인하기로 하며, 도 3,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부분도 도 2b와 도 6a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4)의 지지부(104b)에 제1구동모터(118)를 설치하고, 이 제1구동모터(118)의 구동축에는 제1기어(118a)를 축설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108)에는 와이어(116)의 일단(하단)을 결속고정시키고, 이 와이어(116)를 권취하거나 풀어줄 수 있는 회전부재(120)를 고정브라켓(104)의 지지부(104b)에 설치한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와이어(116)를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권취부(120a)가 회전축(120b)에 결합된 구조이며, 회전축(120b)의 일단에는 상기 제1구동모터(118)의 제1기어(118a)에 치합되도록 제2기어(120c)가 축설되어 제1구동모터(118)가 정회전하면 제1기어(118a)가 회전하고, 제1기어(118a)에 치합된 제2기어(120c)와 회전축(120b)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재(120)의 권취부(120a)가 회전하면서 와이어(116)를 풀어준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20)에 권취된 와이어(116)가 풀어짐에 따라 이동브라켓(108)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가이드봉(106)이 이동브라켓(108)의 가이드공(108a)에 삽입된 구조이므로, 가이드봉(106)을 따라 이동브라켓(108)이 수직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16)가 지지부(104b)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40)의 안내를 받게 하고, 가이드롤러(140)의 안내를 받은 와이어(116)는 지지부(104b)에서 수직으로 관통형성된 통공(142)을 통하여 수직하부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부(120a)의 일단 또는 타단에서 와이어(116)가 풀릴 때에도 가이드롤러(140)의 위치에서 통공(142)을 통하여 수직하부로부터 풀려나갈 수 있도록 하여 이동브라켓(108)이 안정적으로 수직하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제1구동모터(118)가 제어부에 의하여 역회전을 하게 되면, 제1기어(118a)와 제2기어(120c) 및 회전축(120b)에 의하여 회전부재(120)의 권취부(120a)가 역회전하면서 와이어(116)를 권취시키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 이동브라켓(108)이 와이어(116)에 의하여 가이드봉(106)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140)를 경유하여 회전부재(120)의 권취부(120a)에 권취되는 와이어(116)는 권취부(120a)의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왕복하면서 권취되게할 수도 있으며, 무작위로 권취되게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와이어(116)의 권취 및 정렬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부재(112)의 왕복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12)의 상부에 제2구동모터(130)를 설치하고, 가이드레일(110)의 하부면에는 래크기어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모터(130)의 구동축에는 제3기어(130a)가 축설되게 한 후, 이 제3기어(130a)가 래크기어에 도 3과 같이 치합되게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면 하단에서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를 돌출형성하며, 이때, 상기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는, 끝단을 따라 비스듬한 '/' 또는 '\'의 제1경사부(132)를 가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면은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된 제1경사부(132)를 가지며, 제1경사부(132)의 시작점에서 상향으로는 수직면(138)을 가지는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112)는 가이드레일(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면을 향사여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안내부(128)를 설치하고, 이 안내부(128)의 상단에는 제1경사부(132) 상면에 안착되어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자회전가능하게 구름부(126)를 설치한다.
상기 구름부(126)의 구조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부(126)의 외경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132)에 안착되는 제2경사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경사부(134)는 제1경사부(132)와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름부(126)는 가이드부재(112)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안내부(128) 상단에 축설된 것이므로, 제1경사부(132)에 안착 및 구름접촉하게 되는 제2경사부(13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사부(134)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1경사부(132)가 가이드레일(110)의 하부에서 돌출된 구조라면, 제2경사부(134)는 구름부(126)의 상부에서 돌출된 구조라 할 수있다.
아울러, 상기 제1경사부(132)의 최상사점 또는 시작점으로부터 연장된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136)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름부(126)의 제2경사부(134)의 최상사점 또는 시작점에서도 수직 상부를 향하여 수직면(138)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경사부(132)와 제2경사부(134)가 밀착되게 하면서, 구름부(126)의 수직면(138)과 가이드레일(110)의 수직부(136)가 밀착된 상태로 구름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의 제1경사부(132), 수직부(136)에 구름부(126)의 제2경사부(134), 수직면(138)이 밀착됨으로써, 가이드부재(112)가 가이드레일(110)에서 탈락하지 않으면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12)가 가이드레일(1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결합되고, 가이드부재(112)의 제2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하는 제3기어(130a)가 가이드레일(110) 하부의 래크기어에 치합되면, 제어부가 제2구동모터(13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제3기어(130a)가 정역회전하면서 래크기어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1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 가이드돌기에 구름접촉된 안내부(128)의 구름부(126)가 내, 외측 가이드돌기 및 제1경사부(132)를 따라 좌, 우측으로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가이드레일(110)은 도 1과 2와 같이 반원형으로 제작되어질 수도 있으나,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구조로 제작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교각(102)의 단면형상의 테두리 구조는 사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설계하지 않고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설계되고 제작된다는 점을 볼 때, 가이드레일(110)은 교각(102)의 단면형상의 테두리를 따라 얼마든지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므로, 가이드부재(112)는 구름부(126)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가이드레일(110)을 왕복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제1구동모터(118)의 정회전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이동브라켓(108)이 단계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제2구동모터(130)를 제어하여 가이드부재(112)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한 후 다시 타단에서 일단까지 이동하게 할 수도 있으며, 원형의 가이드레일(110)을 채택할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되, 이동브라켓(108)이 하강할 때에는 기준점에서 항상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한 제2구동모터(130)의 제어는 가이드레일(1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102 : 교각 104 : 고정브라켓
104a : 안착부 104b : 지지부
106 : 가이드봉 108 : 이동브라켓
108a : 가이드공 110 : 가이드레일
112 : 가이드부재 114 : 레이저 스캐너
116 : 와이어 118 : 제1구동모터
118a : 제1기어
120 : 회전부재 120a : 권취부
120b : 회전축 120c : 제2기어
122 : 내측 돌출가이드 124 : 외측 돌출가이드
126 : 구름부 128 : 안내부
130 : 제2구동모터 130a : 제3기어
132 : 제1경사부 134 : 제2경사부
136 : 가이드레일의 수직부
138 : 구름부의 수직면
140 : 가이드롤러 142 : 통공

Claims (6)

  1. 교량의 교각(102)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04a)와, 이 안착부(104a)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형성되는 판상의 지지부(104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04)과;
    상기 고정브라켓(104)에 결합되어 지면까지 하향연장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106)과;
    상기 가이드봉(106)이 삽입되어 가이드봉(106)에게 안내되도록 다수 개의 가이드공(108a)이 형성되며,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둘레로 배치되는 이동브라켓(108)과;
    상기 이동브라켓(108)에 결합되며,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곽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이동브라켓(108)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왕복동하는 가이드부재(112)와;
    상기 가이드부재(112)가 가이드레일(110)을 왕복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과;
    상기 가이드부재(112)에 설치되어 교각(102) 또는 케이슨기초의 외부 표면을 스캔하는 레이저 스캐너(114)와;
    상기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108)의 승하강수단은,
    상기 이동브라켓(108)에 일단이 결속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116)와;
    상기 고정브라켓(104)의 양측 지지부(10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구동축에 제1기어(118a)가 설치된 제1구동모터(118)와;
    상기 지지부(104b)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16)의 타단을 결합고정시켜 와이어(116)를 권취하도록 된 권취부(120a)가 회전축(120b)에 설치되고, 회전축(120b)의 일단에는 제1기어(118a)에 치합되는 제2기어(120c)가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118)의 회전력에 의해 정역회전하면서 권취부(120a)에 권취된 와이어(116)를 풀거나 권취부(120a)에 와이어(116)를 권취시키는 회전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12)의 왕복동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와;
    상기 가이드부재(112)에서 기립설치되며, 상단에는 가이드레일(110)의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의 상면에서 구름접촉하는 구름부(126)를 자회전가능하게 설치한 다수 개의 안내부(128)와;
    상기 가이드부재(112)에 설치고정되며, 구동축에 제3기어(130a)가 축설된 제2구동모터(130)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결합되어 제3기어(130a)에 치합되는 래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 돌출가이드(122)(124)는 끝단을 따라 비스듬한 '/' 또는 '\'의 제1경사부(132)를 가지며, 구름부(126)는 상기 경사면에 면접촉되도록 비스듬한 제2경사부(13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126)는 가이드레일(110)의 제1경사부(132)의 최상사점 또는 시작점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된 내, 외측 수직부(136)에 밀착되도록 제2경사부(134)의 최상사점으로부터 수직상부를 향하여 수직면(1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KR1020170184672A 2017-12-29 2017-12-29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KR20190081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72A KR20190081847A (ko) 2017-12-29 2017-12-29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72A KR20190081847A (ko) 2017-12-29 2017-12-29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47A true KR20190081847A (ko) 2019-07-09

Family

ID=6726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672A KR20190081847A (ko) 2017-12-29 2017-12-29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84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7493A1 (de) * 2019-10-11 2021-04-15 IFSB Institut für Schadensbewertung GmbH Verfahren zur Rissklassifizierung bei einer Bausubstanz von Gebäudestrukturen
CN113699901A (zh) * 2021-09-28 2021-11-26 江西省交通运输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墩检查装置
KR102336236B1 (ko) * 2021-04-30 2021-12-08 주식회사 삼형건설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KR102347976B1 (ko) * 2020-12-18 2022-01-11 유한회사 대현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KR20220025799A (ko) * 2020-04-23 2022-03-03 김정규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CN115951021A (zh) * 2023-01-29 2023-04-11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推进式桥梁裂缝检测机构
CN117571722A (zh) * 2024-01-16 2024-02-20 河南豫昶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测量装置
CN117871404A (zh) * 2023-12-01 2024-04-12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附带清理功能的水下混凝土桥墩用裂缝检测装置
CN117905006A (zh) * 2024-03-20 2024-04-19 辽宁丰赢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健康监测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7493A1 (de) * 2019-10-11 2021-04-15 IFSB Institut für Schadensbewertung GmbH Verfahren zur Rissklassifizierung bei einer Bausubstanz von Gebäudestrukturen
KR20220025799A (ko) * 2020-04-23 2022-03-03 김정규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KR102347976B1 (ko) * 2020-12-18 2022-01-11 유한회사 대현 기둥 치핑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둥 치핑시스템
KR102336236B1 (ko) * 2021-04-30 2021-12-08 주식회사 삼형건설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CN113699901A (zh) * 2021-09-28 2021-11-26 江西省交通运输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墩检查装置
CN115951021A (zh) * 2023-01-29 2023-04-11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推进式桥梁裂缝检测机构
CN117871404A (zh) * 2023-12-01 2024-04-12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附带清理功能的水下混凝土桥墩用裂缝检测装置
CN117571722A (zh) * 2024-01-16 2024-02-20 河南豫昶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测量装置
CN117571722B (zh) * 2024-01-16 2024-03-22 河南豫昶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测量装置
CN117905006A (zh) * 2024-03-20 2024-04-19 辽宁丰赢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健康监测设备
CN117905006B (zh) * 2024-03-20 2024-05-14 辽宁丰赢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健康监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1847A (ko)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KR20190081842A (ko)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BR112016012662B1 (pt) sistema de inspeção e método de inspeção
US20170019570A1 (en) Solar row onsite automatic inspection system
ES2956065T3 (es) Método para analizar datos de sensor relativos a una turbina eólica
JP6355518B2 (ja) 橋梁検査ロボットシステム
DE102011051205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Prüfung von Windkraftanlagen
DE102011053968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Inspektion von Windkraftanlagen
TWI391550B (zh) 橋樑檢測裝置及方法
CN109946318A (zh) 一种桥梁底面裂纹检测系统和检测方法
KR101454858B1 (ko)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유지보수 로봇
KR101179929B1 (ko) 교량 안전진단장치
CN113091667B (zh) 一种巡检机器人及巡检方法
JP2016079614A (ja) 橋梁検査ロボットシステム
KR20200143149A (ko) 드론 촬영 영상의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CN108802061A (zh) 一种桥梁裂纹检测装置
CN115855970B (zh) 一种印刷钢网自动检测设备
IT201900011295A1 (it) Sistema e metodo di ispezione e manutenzione di ponti
JP2019056671A (ja) 壁面損傷検査装置
CN115575402B (zh) 一种收口筒形零件内壁缺陷智能识别、计算、判断方法
CN114111663B (zh) 一种工件检测设备、工件检测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102287738B1 (ko)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KR102361824B1 (ko) 교량 바닥판의 하면 영상 획득장비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자동 상태평가방법
CN210935997U (zh) 一种针织大圆机双相机织针视觉检测系统
KR101068518B1 (ko) 탐침 표면 검사기의 자동 어프로치 방법, 탐침 표면 검사기의 자동 어프로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탐침 현미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