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144A -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 Google Patents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144A
KR19980072144A KR1019980030032A KR19980030032A KR19980072144A KR 19980072144 A KR19980072144 A KR 19980072144A KR 1019980030032 A KR1019980030032 A KR 1019980030032A KR 19980030032 A KR19980030032 A KR 19980030032A KR 19980072144 A KR19980072144 A KR 1998007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ixed
guide rail
stat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옥
손명원
Original Assignee
이태옥
손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옥, 손명원 filed Critical 이태옥
Priority to KR101998003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144A/ko
Publication of KR1998007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144A/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땜이나 뚝 또는 수로를 시공시 경사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이면서 짧은 시간내에 타설할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줌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땜이나 수로를 시공시 이들의 법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절장치에 있어서, 땜이나 수로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 양측으로부터 결합시켜 경사면(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안내부(200)와, 대차(300)의 저면 양측 전, 후방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상기의 안내부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대차(300)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400)와, 대차의 양측 저면에 갖추어져 상기의 대차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유압작키(500)와, 대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공급시켜 주는 콘크리트공급부(60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본 발명은 법면(法面)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땜이나 뚝 또는 수로를 시공시 경사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이면서 짧은 시간내에 타설할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줌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발전소를 만들기 위해 시공되는 땜이나 저수지의 뚝, 그리고 수로를 시공시 물의 압력과 충격을 줄여주기 위해 장소의 크기에 맞추어 각기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면을 유지하면서 시공하게 되는데, 상기의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외관이 미려하도록 함과 아울러, 땜이나 수로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땜이나 수로 등을 시공시 이들의 법면(경사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종래의 타설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에 접한 상태에서 이동할수 있도록 이동바퀴(11)가 구비된 거푸집(10) 양 측면에 풀리(12)를 갖추어 상기의 풀리에 감겨진 각 와이어(13)의 선단부를 경사면 상단에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타설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윈치를 이용하여 풀리를 회전시켜 주게되면 상기 풀리의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가 감겨지므로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 경사면에 접하고 있는 이동바퀴의 회전으로 인하여 거푸집이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장치는 풀리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를 풀어 거푸집이 경사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도록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거푸집내에서 일정하게 타설되면 작업자가 윈치를 작동시켜 양측의 풀리를 일정하게 작동시켜 와이어를 감아주게되면 상기 감겨지는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 거푸집의 저면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경사면에 접하고 있는 이동바퀴가 회전되면서 거푸집이 경사면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전자에서 타설된 상부에까지 거푸집이 이동하게 되면 이동을 중지시켜 준 상태에서 재차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경사면 전면에 콘크리트가 일정하게 타설될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장치는 거푸집을 이동시켜 주는 수단이 상기 거푸집의 양측에 갖추어진 풀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작동 즉, 와이어가 풀어지게 되면 거푸집이 경사면을 타고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반대로 와이어가 풀리에 감겨지게 되면 감겨지는 당김력으로 인해 거푸집이 경사면을 타고 상승 또는 정지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때 거푸집의 크기가 크고 중량체이므로서 상기의 거푸집을 지탱할수 있는 와이어를 사용하여야 하며, 작업도중 와이어가 수시로 풀리에 감겨짐과 풀어짐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와이어에 마모가 발생되어 끊어지는 단점이 있어 수시로 안전전검을 시행하여 와이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킴은 물론, 와이어의 교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안전점검을 소홀히 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작업도중 와이어가 끊어져 상기 와이어의 당기는 힘에 의해 경사면에 지탱하고 있는 거푸집이 경사면을 타고 하부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파손 또는 귀중한 생명을 잃게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푸집을 이동시켜 주기위해 상기 거푸집의 저면 전, 후방 양측에 이동바퀴를 설치하여 상기의 이동바퀴가 경사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거푸집을 상, 하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이동바퀴가 겸사면에 그대로 접지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거푸집을 이동시켜 주도록 되어있어 1차로 작업이 완료되어 거푸집을 콘크리트가 타설된 측면으로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재차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동바퀴가 경사면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접지되어 이동하게 되어 경사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은 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을때까지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기다려야 하므로서 작업의 능률이 그만큼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바퀴자국이 그대로 남아 타설 부위가 일정하지 못하게됨은 물론,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거푸집을 정지시켜 준 상태에서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거푸집이 단순히 와이어에 의해 경사면에 정지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충격에 의해 거푸집이 임의로 흔들려 콘크리트가 일정하게 타설되지 않게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시 거푸집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일정하게 타설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을 도모하여 안전사고로 인한 귀중한 생명과 기물의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거푸집이 경사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에도 재차 작업을 수행할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타설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구성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중 받침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중 안내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중 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받침부 110:가이드레일 120:받침대
130:이동바퀴 200:안내부 210:안내레일
220:관통공 230:고정축 300:대차
310:지지틀 400:이송부 410:수직이동바퀴
420,수평이동바퀴 430:브라켓 500:유압작키
510:실린더 520:힌지 530:피스톤축
540:고정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로서, 땜이나 수로의 상면에 설치되어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의 양측으로부터 고정되도록 하여 경사면(A)에 설치되는 안내부(200)와, 상기 안내부에 안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대차(300)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400)와, 대차의 양측 저면에 갖추어져 상기의 대차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유압작키(500)와, 대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공급시켜 주는 콘크리트공급부(600)로 갖추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부(1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땜의 상단 수평면 전,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10)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얹혀져 회전하는 회전바퀴(130)가 저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전면이 경사면과 동일한 각을 갖고 안내부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받침대(120)를 구성하며, 경사면의 최 하단에 위치한 수직축(140)이 관통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너트(15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과 아울러, 안내부의 후단을 받쳐주는 지지편(160)으로 구성한다.
또한, 안내부(2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부는 받침대(120)에 고정되고 후단은 지지편(160)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면으로부터 유압작키(500)가 삽입 안치될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안내레일(210)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고정축(230)이 관통할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20)으로 구성한다.
또한, 이송부(400)는 도 4 및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0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틀(310) 전,후방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임의 회전하는 수직이동바퀴(410)를 구성하고, 상기 수직이동바퀴의 후단에 위치하여 지지틀(310)에 고정된 브라켓(430)에 수평으로 갖추어진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임의 회전하는 수평이동바퀴(420)로 구성한다.
또한, 유압작키(5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의 지지틀(310) 양측 저면에 위치하여 실린더(510)의 선단은 힌지(520)에 의해 지지틀에 고정된 브라켓(430a)에 결합하고, 피스톤축(530)의 후단에 결합된 고정체(540)의 중간지점에 안내레일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축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있도록 하는 통공(5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공급부(600)는 대차(300)의 전방에 갖추어져 공급관(610)을 일정한 속도로 좌,우로 이동시켜 주면서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일정하게 타설될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사면 상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레일(110)에 얹혀져 있는 받침대(120)를 이동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조져 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의 받침대(120)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210)과 다른 안내레일을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시켜 준 뒤 안내레일의 최 하단부는 수직축(140)을 관통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너트(150)에 의해 받쳐져 있는 지지편(160)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에 맞도록 높이조절너트(150)의 조절에 의해 지지편(160)의 높이를 조절시켜 준다.
그리고, 대차(300)의 저면 양측 전, 후방에 이송부(400) 즉, 수직이동바퀴(410)와 수평이동바퀴(420)를 각각 설치한 뒤 이들의 중간지점에 유압작키(500) 즉, 실린더(510)의 선단부를 브라켓(430a)에 힌지(52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와 유압작키가 대차(300)에 조립이 완료되면 이들이 안내레일(210)내에 얹혀지도록 하게되는데, 이때 이송부(400) 즉, 수직이동바퀴(410)는 안내레일(210)의 양측 내면에 접하게되고, 수평이동바퀴(420)는 바닥면에 접지하게 되어 대차(300)가 안내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대차(300)를 경사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공급관(610)을 통해 콘크리트를 공급시켜 주게되면 콘크리트공급부(60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시켜 주면서 타설하고져 하는 법면에 콘크리트를 골고루 뿌려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유압작키(500)의 피스톤축(530) 후단에 갖추어진 고정체(540)의 통공(550)과 안내레일(210)의 관통공(220) 사이에 고정축(230a)을 관통시켜 상기의 고정축에 의해 고정체와 안내레일이 고정될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유압작키(500)를 작동시켜 주게되면 실린더(510)로부터 피스톤축(530)이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스톤축(530)이 고정축(540)에 의해 안내레일(210)과 결합된 상태이어서 실린더(510)가 상부로 전지하게 되어 상기 실린더(510)와 결합되어 있는 대차(300)의 저면 양측 전, 후방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안내레일(210)에 안치되어 있는 이동부(400)의 회전으로 인해 대차(300)가 일정간격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직이동바퀴(410)는 안내레일(210)의 내면 양측에서 회전되고, 수평이동바퀴(420)는 안내레일(210)의 바닥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대차(300)가 안전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대차(300)의 전진이 완료되면 대차(300)의 후단면에 위치하고 있는 안내레일(210)의 관통공(220)에 고정축(230)을 관통시켜 주게되면 상기의 고정축에 수평이동바퀴(420)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430)이 걸림에 따라 대차(300)가 후방으로 밀려 내려오지 않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대차(300)를 계속해서 전진시켜 주고져 할 경우에는 고정체(540)와 안내레일(210)을 고정시켜 주고있는 고정축(230a)을 분리시켜 준 뒤 피스톤축(530)이 실린더(510)내로 유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된 고정체(540)의 통공(550)과 일치하고 있는 안내레일(210)의 관통공(220) 사이에 고정축(230a)을 관통시켜 준 뒤 유압작키(500)를 작동시켜 주게되면 전자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대차(300)가 안내레일(210)을 따라 전진한 뒤 고정축(230)에 의해 대차(300)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고자 하는 위치에 대차(300)가 전진하여 정지하게 되면 전자와 같은 작동에 의해 콘크리트를 경사면에 타설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땜이나 수로등을 공사시 법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상기의 법면을 이동하게 되는 대차가 유압작키의 작동에 의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있어 기히 타설된 콘크리트에 대차의 이동바퀴가 접지하는 일이 없어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않은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타설작업을 진행할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높여주게 되는 효과가 있고, 대차의 이동이 유압작키에 의해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동한 대차의 정지가 안내레일의 관통공을 관통한 고정축에 의해 정지하도록 되어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땜이나 수로를 시공시 이들의 법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절장치에 있어서, 땜이나 수로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 양측으로부터 결합시켜 경사면(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안내부(200)와, 대차(300)의 저면 양측 전, 후방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상기의 안내부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대차(300)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400)와, 대차의 양측 저면에 갖추어져 상기의 대차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유압작키(500)와, 대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공급시켜 주는 콘크리트공급부(60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받침부(100)는 땜의 상단 수평면 전,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10)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얹혀져 회전하는 회전바퀴(130)가 저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전면이 경사면과 동일한 각을 갖고 안내부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받침대(120)를 구성하며, 경사면의 최 하단에 위치한 수직축(140)이 관통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너트(150)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고 안내부의 후단을 받쳐주는 지지편(1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내부(20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부는 받침대에 고정되고 후단은 지지편(160)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면으로부터 유압작키(500)가 삽입 안치될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안내레일(210)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고정축(230)이 관통할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이송부(400)는 대차(30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틀(310) 전,후방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임의 회전하는 수직이동바퀴(410)를 구성하고, 상기 수직이동바퀴의 후단에 위치하여 지지틀(310)에 고정된 브라켓(430)에 수평으로 갖추어진 회전축(440)을 중심으로 임의 회전하는 수평이동바퀴(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유압작키(500)는 대차의 지지틀(310) 양측 저면에 위치하여 선단이 힌지(520)에 의해 지지틀에 고정된 브라켓(430a)에 결합되는 실린더(510)를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에 갖추어진 피스톤축(530)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체(540)를 구성하며, 상기 고정체의 중간지점에 안내레일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축이 관통하여 고정될수 있도록 하는 통공(5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KR1019980030032A 1998-07-25 1998-07-25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KR19980072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032A KR19980072144A (ko) 1998-07-25 1998-07-25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032A KR19980072144A (ko) 1998-07-25 1998-07-25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44A true KR19980072144A (ko) 1998-10-26

Family

ID=6589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032A KR19980072144A (ko) 1998-07-25 1998-07-25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1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78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KR100476477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100836856B1 (ko) * 2008-02-26 2008-06-11 (주)삼우아이엠씨 마무리 작업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KR100871146B1 (ko) * 2008-02-01 2008-12-05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78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KR100476477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100871146B1 (ko) * 2008-02-01 2008-12-05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KR100836856B1 (ko) * 2008-02-26 2008-06-11 (주)삼우아이엠씨 마무리 작업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1015A1 (en) Machine and method for deconstructing a vertical wall
AT513118B1 (de) Seilsäge
US4144867A (en) Concrete pile-cutting machine
JP3104959U (ja) ワイヤソー加工機
WO2009086913A1 (de) Strangbrennschneidmaschine mit einem ortfest drehbaren kranturm
KR100650435B1 (ko)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시공장비
KR19980072144A (ko) 법면 콘크리트 타설장치
CN211815222U (zh) 一种新型地铁施工道床混凝土浇筑装置
CN210117714U (zh) 一种操作便捷的地基打桩机
CN210178368U (zh) 一种喷头组件的位移机构
JP2017115296A (ja) 法面作業装置
JP2000303775A (ja) 斜坑掘削機の発進装置
CN212316918U (zh) 一种可移动式的冲孔打桩机
CN217168908U (zh) 一种高效浇捣机构
CN219061638U (zh) 一种斜井施工用综合台车
JP4955478B2 (ja) 杭上地盤改良システム
JP3170679U (ja) 移動切断機
CN216273007U (zh) 一种预制箱涵翻转装置
CN211734985U (zh) 一种路面划缝机
CN209758941U (zh) 一种建筑工程用稳定效果好的爬升装置
JPH0741788Y2 (ja) ゴンドラ搭載型目荒装置
CN211058815U (zh) 一种可高效浇筑模筑混凝土的装置
KR100472965B1 (ko) 쇳물 주입용 리프트
KR200180358Y1 (ko) 가스 절단기 안내 지지장치
JPS6015774Y2 (ja) 堤防用移動式コンクリ−ト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