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41B1 -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 Google Patents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41B1
KR102347741B1 KR1020180038689A KR20180038689A KR102347741B1 KR 102347741 B1 KR102347741 B1 KR 102347741B1 KR 1020180038689 A KR1020180038689 A KR 1020180038689A KR 20180038689 A KR20180038689 A KR 20180038689A KR 102347741 B1 KR102347741 B1 KR 10234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detent
bullet
coupled
ma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692A (ko
Inventor
김우덕
김미영
박민성
구보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41B1/ko
Priority to US16/166,371 priority patent/US10401896B1/en
Priority to CN201811285399.7A priority patent/CN110341665B/zh
Publication of KR2019011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4Stops for limiting movement of members, e.g. adjustable sto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700/00Control mechanisms or elements therefor applying a mechanical movement
    • G05G2700/12Control mechanisms with one controlling member and one controlled member
    • G05G2700/14Control mechanisms with one controlling member and one controlled member with one elastic element as essential part, e.g. elastic components as a part of an actuating mechanis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700/00Control mechanisms or elements therefor applying a mechanical movement
    • G05G2700/12Control mechanisms with one controlling member and one controlled member
    • G05G2700/18Systems wherein the control element may be placed in two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은 페달 암의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페달 답력을 발생시켜주는 답력 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답력 조절장치는 상기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반력 변화로 증대 후 감소되는 디텐트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페달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 상기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반력 유지로 증대되는 리턴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페달 답력을 발생시켜주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DETENT PEDAL EFFORT TYPE PEDAL}
본 발명은 페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 조작감이 디텐트 구조를 이용한 스프링 답력으로 발생되는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차량은 BBW시스템(BRAKE BY WIRE)과 전자식 클러치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운전자가 느낄 수 있는 페달 답력 생성이 필요하다.
일례로 상기 전자식 클러치 시스템은 페달 신호로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운전자가 페달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느낄 수 없고, 이는 페달 답력의 생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페달제어시스템은 수동 변속기 코스팅 주행시 자동으로 엔진 동력 차단, 엔진저항 감소로 실도로 연비 향상하는 기술인 전자식 클러치 시스템 개발시 기존 클러치 시스템의 유압에 의한 답력을 대체하는 전자식 클러치 페달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답력 생성 장치는 답력 변화가 자유로워야 하나 고가의 자성 유체와 많은 센서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가가 크게 상승하고, 또한 자성 유체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감자 현상이 발생하여 자력이 축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종마다 엔진의 종류 및 차량의 규격이 다르므로 이러한 작동기구도 통일되지 못하고 차종마다 다르므로 이를 설계 및 제조과정에서 비용을 상승시키는원인이 되어 새로운 형식의 통일된 구동방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1998-061139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답력 증대 및 험프 증대로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작감을 제공하여 페달 답력을 구현할 수 있는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페달 암의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페달 답력을 발생시켜주는 답력 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답력 조절장치는 상기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반력 변화로 증대 후 감소되는 디텐트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페달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 상기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반력 유지로 증대되는 리턴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페달 답력을 발생시켜주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스프링의 상기 반력 변화는 상기 페달 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텐트 스프링을 압축시켜주는 불렛과 연계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스프링은 상기 페달 암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불렛은 외측 단부가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불렛은 상기 페달 암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돌출상태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불렛은 디텐트 그루브와 접촉되고,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불렛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불렛의 접촉이동경로를 복수개로 구분하여 상기 반력 변화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접촉이동경로를 직선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접촉이동경로를 굽은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접촉이동경로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페달 암은 메인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부재는 상기 불렛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상기 디텐트 그루브를 결합하고, 커버로 덮여 가려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호 결합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결합 돌기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커버는 고정부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 부재는 돌기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페달 암은 굽은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페달 암은 중앙 부위에 부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불렛은 외측 단부가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내면이 복수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메인 부재와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페달의 답력 페달을 가압하면 리턴 스프링에 의해 제 1 답력이 발생되며, 디텐트 스프링에 의해 제 2 답력이 증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답력 및 제 2 답력에 의해 클러치 답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에서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페달 답력은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1
L1: 페달 암 힌지 중심에서 페달 암 패드 중심부까지 거리, L3: 페달 암 힌지 중심에서 Fs1 스프링 중심부까지 거리, L4: 페달 암 힌지 중심에서 디텐트 그루브 접촉부까지 페달 스트로크에 따른 거리, Fs1은 L3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및 Fs2는 L4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답력 형성은 디텐트 그루브를 멤버에 조립형으로 구성하여, 디텐트 그루브 교체만으로 다양한 운전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어 그루브 피크 증대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단순하여 최소의 레이아웃으로 페달 답력을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을 위한 답력 조절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페달 답력 생성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디텐트 그루브의 각도를 정의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페달 답력을 구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이론 답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요구 답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페달은 전자식 클러치 시스템에 적용되는 클러치 페달을 예로 페달 답력이 설명될 수 있으나, 페달 스트로크로 페달 답력을 형성하는 브레이크 페달이나 가속페달도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페달의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을 위한 답력 조절장치(100)는 메인 부재(110), 상기 메인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 암(120), 상기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불렛(130), 상기 불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140), 상기 메인 부재(110)에 결합되어 불렛(13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디텐트 그루브(150), 상기 페달 암(120)의 작동에 따라 답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160) 및 상기 메인 부재(110)를 덮는 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부재(110)의 외주부에는 상기 커버(170)와 결합되는 고정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페달 암(120)이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축(114)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112)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부재(110)는 디텐트 그루브(150)의 외면과 상호 결합되는 형상을 가지고, 디텐트 그루브(150)가 고정되는 결합 돌기(116)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결합 돌기(116)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페달 암(120)은 굽은형 형상이며, 중앙 부위에 부시(1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페달 암(120)은 일단이 메인 부재(110)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페달 암 패드(1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페달 암(120)은 리턴 스프링(160)에 의해 반력이 생기고 상기 리턴 스프링(160)은 스프링 시트(16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페달 암(120)의 상기 페달 암 패드(124)가 구비되어 있는 단부와 대향되는 타단측에는 디텐트 스프링(140)이 내장되는 중공 형상으로 불렛(130)과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불렛(130)은 외측 단부가 라운드 형상이며,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불렛(130)은 페달 암(12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불렛(130)의 라운드 형상인 부분이 페달 암(12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150)는 내면이 복수개의 제1,2,3 디텐트 그루브 면(151, 152, 153)으로 구분되어 있되, 도면에서는 3개의 제1,2,3 디텐트 그루브 면(151, 152, 153)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시 4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보다 부드러운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3 디텐트 그루브 면(151, 152, 153)은 불렛(130)과 접하게 되는 내면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170)에는 메인 부재(110)와 결합되는 돌기부(17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 부재(110)의 고정부(112)와 결합된다. 특히 상기 돌기부(172)는 상기 고정부(112)와 동일하게 복수개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페달 답력 생성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100)는 메인 부재(110), 상기 메인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 암(120), 상기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불렛(130), 상기 불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140), 상기 메인 부재(110)에 결합되어 불렛(13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디텐트 그루브(150), 상기 페달 암(120)의 작동에 따라 답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160) 및 상기 메인 부재(110)를 덮는 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100)에서 페달 암(120)을 가압함으로써 발생되는 클러치 답력은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2
상기 페달 암(120)이 작동함에 따라 리턴스프링(160)에 의해 선형적으로 증대되는 답력이 발생하고, 디텐트 스프링(140)에 의해 증가되었다가 감소하는 답력이 발생하며, 이 두 답력의 합력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클러치 페달 답력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인자들에 대해 정의하면 Fp는 운전자가 페달을 누르는 답력이며, Fs1은 L3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및 Fs2는 L4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다.
또한, L1은 페달 암(120)의 힌지(122) 중심에서 페달 암(120)의 패드(124) 중심부까지의 거리이고, L2는 페달 암(120)의 힌지(122) 중심에서 디텐트 그루브(150) 접촉부까지의 초기 거리이며, L3는 페달 암(120)의 힌지(122) 중심에서 Fs1 스프링 중심부까지의 거리이고, L4는 페달 암(120)의 힌지(122) 중심에서 디텐트 그루브(150) 접촉부까지의 페달 스트로크에 따른 거리이며, L5는 페달 스트로크에 따른 페달 암(120) 단부의 이동거리이다.
한편, θ1은 페달 암(120)이 움직인 각도이고, θ2는 페달 암(120)의 단부와 디텐트 그루브(150)가 이루는 각도이며, θ3는 페달 암(120) 단부와 디텐트 그루브(150)가 이루는 각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디텐트 그루브의 각도를 정의하는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100)는 메인 부재(110), 상기 메인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 암(120), 상기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불렛(130), 상기 불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140), 상기 메인 부재(110)에 결합되어 불렛(13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디텐트 그루브(150), 상기 페달 암(120)의 작동에 따라 답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160) 및 상기 메인 부재(110)를 덮는 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디텐트 그루브(150)의 각도 정의가 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디텐트 스프링(140) 압축량 증가 조건은 θ3>90°이고, 스프링 압축량 감소 조건은 θ3<90°이다.
여기서, 0 ≤ θ1 ≤ 32.52° 이므로 90° ≤ θ1 + θ3 ≤ 122.52° 이고, 따라서, 57.48° < θ2 < 90°가 되어 θ2가 클수록 최대 답력의 스트로크가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텐트 스프링(140) 압축량 계산은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3
,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4
를 통해 구하게 되면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5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6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페달 답력을 구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을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 및 제어 방법을 기술하면,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페달 암 패드(124)를 가압하면, 페달 암(120)이 힌지(1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페달 암(120)의 중공 형상의 일단부에 디텐트 스프링(140)이 삽입되어 있어 디텐트 스프링(140)의 반력에 의해 불렛(130)이 디텐트 그루브(150)와 접촉하여 답력이 발생되고, 이와 함께 리턴 스프링(160)에 의해 답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의 동작은 페달을 가압하면, 리턴 스프링(160)에 의해 제 1 답력이 발생하면서 디텐트 스프링(140)에 의해 제 2 답력이 증감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답력 및 제 2 답력은 클러치 답력으로 제공된다. 상기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에서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페달 답력은 하기 식들을 이용하여 산출되는데, Fs2H를 구하면,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7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8
이고,
Figure 112018033111406-pat00009
이다.
또한,
Figure 112018033111406-pat00010
이므로, 페달 답력은
Figure 112018033111406-pat00011
이다.
여기서, L1은 페달 암 힌지 중심에서 페달 암 패드 중심부까지 거리, L3는 페달 암 힌지 중심에서 Fs1 스프링 중심부까지 거리, L4는 페달 암 힌지 중심에서 디텐트 그루브 접촉부까지 페달 스트로크에 따른 거리, Fs1은 L3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및 Fs2는 L4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100)의 이론 답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100)의 요구 답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먼저 도 7에서 이론 답력은 위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증가하여 9.915kgf 답력을 발생시킨 후에 감소하여 B점에서 변곡점이 발생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디텐트 스프링(140)은 위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답력을 나타내고, 리턴 스프링(160)은 우상향의 직선 형태의 답력을 나타내어 두 답력의 합이 이론 답력이 된다.
도 8에서 요구 답력은 이론 답력과 유사한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서 A지점에서 최대 부하가 걸린 후 감소하여 D0지점에서 최고점인 A지점과의 차이만큼의 험프가 발생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제1 답력 조절장치(200)의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답력 조절장치(200)는 메인 부재(110), 상기 메인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 암(120), 상기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불렛(130), 상기 불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 상기 메인 부재(110)에 결합되어 불렛(13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디텐트 그루브(150), 상기 페달 암(120)의 작동에 따라 답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메인 부재(110)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답력 조절장치(200)도 도 1 내지 도 8에서 기술된 답력 조절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1 답력 조절장치(200)의 구조에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150)는 내면이 복수개의 제1,2,3 디텐트 그루브(151, 152, 153)로 구분되어 있되, 불렛(130)과 접하게 되는 내면이 볼록한 굽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달의 제2 답력 조절장치(300)의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답력 조절장치(300)는 메인 부재(110), 상기 메인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 암(120), 상기 페달 암(1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불렛(130), 상기 불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 상기 메인 부재(110)에 결합되어 불렛(13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디텐트 그루브(150), 상기 페달 암(120)의 작동에 따라 답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메인 부재(110)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답력 조절장치(300)도 도 1 내지 도 8에서 기술된 답력 조절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2 답력 조절장치(300)의 구조에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150)는 내면이 복수개의 제1,2,3 디텐트 그루브(151, 152, 153)로 구분되어 있되, 불렛(130)과 접하게 되는 내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페달은 답력 조절장치(100,200,300)에 대해 디텐트 그루브를 멤버에 조립형으로 구성하여, 디텐트 그루브 교체만으로 다양한 운전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어 그루브 피크 증대시 답력 증대 및 험프 증대로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단순하여 최소의 레이아웃으로 페달 답력을 구현하여 제조 공정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답력 조절장치 110: 메인 부재
112: 고정부 114: 회전축
116: 결합 돌기 120: 페달 암
122: 부시 124: 페달 암 패드
130: 불렛 140: 디텐트 스프링
150: 디텐트 그루브 151, 152, 153: 제1,2,3 디텐트 그루브 면
160: 리턴 스프링 170: 커버
200, 300: 제1,2 답력 조절장치

Claims (14)

  1. 메인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 암의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페달 답력을 발생시켜주는 답력 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답력 조절장치는,
    페달 암의 일단부에 탄력 설치되는 불렛;
    상기 불렛과 접촉되어 상기 불렛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디텐트 그루브;
    상기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반력 변화로 증대 후 감소되는 디텐트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불렛에 의해 압축되어 페달 답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 스프링;및
    상기 스트로크 증가에 따른 반력 유지로 증대되는 리턴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페달 답력을 발생시켜주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메인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부재는 상기 디텐트 그루브의 외면과 상호 결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결합돌기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스프링의 상기 반력 변화는 상기 페달 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텐트 스프링을 압축시켜주는 불렛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스프링은 상기 페달 암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렛은 외측 단부가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렛은 상기 페달 암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돌출상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불렛의 접촉이동경로를 복수개로 구분하여 상기 반력 변화를 형성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접촉이동경로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접촉이동경로를 굽은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그루브는 상기 접촉이동경로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재는 상기 불렛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상기 디텐트 그루브를 결합하고, 커버로 덮여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커버는 고정부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 부재는 돌기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KR1020180038689A 2018-04-03 2018-04-03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KR10234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89A KR102347741B1 (ko) 2018-04-03 2018-04-03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US16/166,371 US10401896B1 (en) 2018-04-03 2018-10-22 Pedal for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pedal effort by use of detent
CN201811285399.7A CN110341665B (zh) 2018-04-03 2018-10-31 能够使用阻力止动装置调节踏板作用力的车辆踏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89A KR102347741B1 (ko) 2018-04-03 2018-04-03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92A KR20190115692A (ko) 2019-10-14
KR102347741B1 true KR102347741B1 (ko) 2022-01-06

Family

ID=6776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689A KR102347741B1 (ko) 2018-04-03 2018-04-03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01896B1 (ko)
KR (1) KR102347741B1 (ko)
CN (1) CN1103416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8127B2 (ja) * 2016-12-28 2021-10-13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6831240B2 (ja) * 2016-12-28 2021-02-17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DE102019105271A1 (de) * 2018-03-08 2019-09-12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Pedalkrafterzeuger mit nocke
KR102035050B1 (ko) * 2018-05-25 2019-10-22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가속 페달
US10976766B2 (en) * 2019-03-15 2021-04-13 Sl Corporation Pedal device for vehicle
KR20220061587A (ko) * 2020-11-06 2022-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62831A (ko) 2020-11-09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DE112022002812T5 (de) 2021-05-25 2024-04-11 KSR IP Holdings, LLC Pedal-baugruppe mit einer elektronischen drosselklappen-steuerung
WO2023091634A1 (en) * 2021-11-19 2023-05-25 Ksr Ip Holding, Llc Passive force emulator pedal assembly
WO2023154388A1 (en) 2022-02-14 2023-08-17 KSR IP Holdings, LLC Pedal assembly having force sen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0156A1 (de) * 1996-07-26 1998-01-2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teuer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oder eines stufenlosen Getriebes
US20020002873A1 (en) * 2000-04-27 2002-01-10 Sena Yaddehige Pedal mechanism
US20040045393A1 (en) * 2002-09-09 2004-03-11 Deforest Jason Dale Electronic throttle control hysteresis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953Y2 (ja) 1990-05-10 1997-05-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
JP2796457B2 (ja) 1991-09-19 199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煤吹装置
DE4301229C1 (de) * 1993-01-19 1993-12-16 Daimler Benz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Kupplungs- oder Bremsanlage eines Fahrzeuges
KR100251366B1 (ko) 1996-12-31 2000-04-15 정몽규 클러치 페달 장착구조
US6330838B1 (en) * 2000-05-11 2001-12-18 Teleflex Incorporated Pedal assembly with non-contact pedal position sens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US20070289402A1 (en) 2005-01-22 2007-12-20 Daimlerchrylser Ag Accelerator Pedal Module And Full Load Indicator For Said Accelerator Pedal Module
KR20080040870A (ko) 2006-11-06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조작감 향상 구조
KR100892479B1 (ko) 2007-11-21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 보조 장치
DE102010026956A1 (de) 2010-07-12 2012-01-12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Pedalanordnung
JP2013015125A (ja) 2011-07-06 2013-01-24 Toyota Motor Corp アクセル踏力検知装置
KR101276079B1 (ko) 2011-12-15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소음 저감을 위한 클러치 페달 장치
DE102012217541A1 (de) 2012-09-27 2014-03-27 Robert Bosch Gmbh Kupplungspedaleinrichtung
FR2997045B1 (fr) * 2012-10-23 2014-12-05 Coutier Moulage Gen Ind Dispositif de debrayage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 debrayage
KR101383719B1 (ko) * 2012-11-08 2014-04-08 에스엘(주)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US9632525B2 (en) * 2013-09-27 2017-04-25 Cts Corporation Shaftless vehicle pedal with contacting position sensor
US9260088B2 (en) * 2013-10-16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brake pedal feel system
US20150192076A1 (en) 2014-01-03 2015-07-09 Hella Corporate Center Usa, Inc. Accelerator pedal assembly apparatus
US9561786B2 (en) 2014-10-15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brake pedal feel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0156A1 (de) * 1996-07-26 1998-01-2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teuer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oder eines stufenlosen Getriebes
US20020002873A1 (en) * 2000-04-27 2002-01-10 Sena Yaddehige Pedal mechanism
US20040045393A1 (en) * 2002-09-09 2004-03-11 Deforest Jason Dale Electronic throttle control hysteresis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41665B (zh) 2023-03-21
CN110341665A (zh) 2019-10-18
US10401896B1 (en) 2019-09-03
KR20190115692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741B1 (ko) 디텐트 답력 조절방식 페달
EP1562097B1 (en) Pedal reaction force device
KR100724700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EP3173894A1 (en) Bearing structure for vehicle pedal device and flanged bushing
JP2009068644A (ja) スプリング装置およびアクセルペダル装置
US9200681B2 (en) Clutch and straddle-type vehicle with the same
CN113525314B (zh) 行程模拟器和包括行程模拟器的制动操作装置
CN104723874B (zh) 用于减小离合器踏板力的装置
CN105799505A (zh) 具有迟滞和脚踏控制特性的弹簧装置
WO2015194196A1 (ja) 皿ばね
EP2168824B1 (en) Brake pedal stroke simulator
KR100780114B1 (ko) 페달
JP5252093B2 (ja) 枢動アーム型操作装置
EP1338820B1 (en) Dynamic damper and propeller shaft
JP6347522B2 (ja) 入力装置
US20200292026A1 (en) Mount for vehicle
JP6148642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軸受部構造および鍔付きブッシュ
KR102223847B1 (ko) 페달 시뮬레이터
JP2007314081A (ja) シフトレバーブッシュ
JP4664172B2 (ja) ブッシュ
CN111823858A (zh) 用于车辆踏板装置的铰链衬套
KR101054806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JP2000001163A (ja) フル―ドレス型ブレ―キ操作ストロ―ク発生装置
JP6297389B2 (ja) 防振装置
JPH0932872A (ja) 浮動型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案内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