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773B1 - 와전류식 댐퍼 - Google Patents

와전류식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773B1
KR102339773B1 KR1020207008242A KR20207008242A KR102339773B1 KR 102339773 B1 KR102339773 B1 KR 102339773B1 KR 1020207008242 A KR1020207008242 A KR 1020207008242A KR 20207008242 A KR20207008242 A KR 20207008242A KR 102339773 B1 KR102339773 B1 KR 10233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magnet
holding member
conductive member
edd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067A (ko
Inventor
겐지 이마니시
히로유키 야마구치
료스케 마스이
시게키 나카미나미
히데노리 기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멘세이신 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멘세이신 디바이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16F15/035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by use of eddy or induced-current da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7Structural braces with dam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6/00Magnetic springs; Fluid magnetic springs, i.e. magnetic spring combined with a fluid
    • F16F6/005Magnetic springs; Fluid magnetic springs, i.e. magnetic spring combined with a fluid using permanent magnet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6Translation-to-rotary conversion

Abstract

와전류식 댐퍼(1)는, 나사축(7)과, 복수의 제1 영구 자석(3)과, 복수의 제2 영구 자석(4)과, 원통 형상의 자석 유지 부재(2)와, 도전성을 갖는 원통 형상의 도전 부재(5)와, 나사축(7)과 맞물리는 볼 너트(6)를 포함한다. 나사축(7)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영구 자석(3)은, 나사축(7)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2 영구 자석(4)은, 제1 영구 자석(3)들의 사이에 제1 영구 자석(3)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영구 자석(3)과 자극의 배치가 반전된다. 자석 유지 부재(2)는,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을 유지한다. 도전 부재(5)는,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볼 너트(6)는, 자석 유지 부재(2) 및 도전 부재(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석 유지 부재(2) 또는 도전 부재(5)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와전류식 댐퍼
본 발명은, 와전류식 댐퍼에 관한 것이다.
지진 등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제진 장치가 장착된다. 제진 장치는 건축물에 부여된 운동 에너지를 다른 에너지(예: 열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건축물의 큰 흔들림이 억제된다. 제진 장치는 예를 들면, 댐퍼이다. 댐퍼의 종류는 예를 들면, 오일식, 전단 저항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오일식이나 전단 저항식 댐퍼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일식 댐퍼는, 실린더 내의 비압축성 유체를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시킨다. 전단 저항식 댐퍼는, 점성 유체의 전단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시킨다.
그러나, 특히 전단 저항식 댐퍼에서 이용되는 점성 유체의 점도는, 점성 유체의 온도에 의존한다. 즉, 전단 저항식 댐퍼의 감쇠력은, 온도에 의존한다. 따라서, 전단 저항식 댐퍼를 건축물에 사용할 때에는,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점성 유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일식이나 전단 저항식 등의 유체를 이용하고 있는 댐퍼는, 온도 상승 등에 의하여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여, 실린더의 시일재 등의 기계적인 요소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감쇠력의 온도 의존이 매우 작은 댐퍼로서, 와전류식 댐퍼가 있다.
와전류식 댐퍼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평5-86496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9-177880호 공보(특허문헌 2) 및 일본국 특허공개 2000-320607호 공보(특허문헌 3)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의 와전류식 댐퍼는, 주통(主筒)에 장착된 복수의 영구 자석과, 나사축에 접속된 히스테리시스재와, 나사축과 맞물리는 볼 너트와, 볼 너트에 접속된 부통(副筒)을 포함한다. 복수의 영구 자석은, 자극의 배치가 번갈아 상이하다. 히스테리시스재는, 복수의 영구 자석과 대향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 와전류식 댐퍼에 운동 에너지가 부여되면, 부통 및 볼 너트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볼 나사의 작용에 의하여 히스테리시스재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의하여 운동 에너지가 소비된다. 또한, 히스테리시스재에 와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와전류 손실에 의하여 운동 에너지가 소비된다고 특허문헌 1에는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와전류식 댐퍼는, 도체봉과, 도체봉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링 형상의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도체봉은, 링 형상의 복수의 영구 자석의 내부를 관통한다. 도체봉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영구 자석으로부터 도체봉을 통과하는 자속(磁束)이 변화하여, 도체봉의 표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체봉은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을 받는다. 즉, 도체봉은 감쇠력을 받는다고 특허문헌 2에는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와전류식 댐퍼는, 나사축과 맞물리는 안내 너트와, 안내 너트에 장착된 도전체의 드럼과, 드럼의 내주면측에 설치된 케이싱과, 케이싱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드럼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나사축의 진퇴에 따라 안내 너트 및 드럼이 회전해도, 드럼 내주면과 영구 자석은 비접촉이기 때문에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오일식 댐퍼에 비하여 메인터넌스 횟수가 저감된다고 특허문헌 3에는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고 평5-8649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9-17788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32060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볼 너트가 나사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볼 너트의 가동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댐퍼의 사이즈가 크다. 특허문헌 2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링 형상의 영구 자석이 축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댐퍼의 사이즈가 크다. 특허문헌 3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안내 너트가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너트와 볼 나사의 사이에 더스트가 침입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3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안내 너트가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고, 안내 너트의 플랜지부가 드럼에 고정되며, 안내 너트의 원통부가 드럼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안내 너트의 원통부의 드럼과는 반대측의 끝과 건물에 고정된 장착구 사이의 거리(볼 나사의 스트로크 거리)를 길게 확보할 필요가 있어, 와전류식 댐퍼가 대형화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드럼 내주면과 영구 자석의 간극을 관리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와전류식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축과, 나사축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영구 자석과, 제1 영구 자석들의 사이에 제1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영구 자석과 자극의 배치가 반전된 복수의 제2 영구 자석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성을 가지며,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원통 형상의 도전 부재와, 자석 유지 부재 및 도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석 유지 부재 또는 도전 부재에 고정되고, 나사축과 맞물리는 볼 너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건물 내에 적용된 와전류식 댐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와전류식 댐퍼의 자기 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자극의 배치가 원주 방향인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와전류식 댐퍼의 자기 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축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과는 상이한 건물 내에 적용된 와전류식 댐퍼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1)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축과, 복수의 제1 영구 자석과, 복수의 제2 영구 자석과, 원통 형상의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성을 갖는 원통 형상의 도전 부재와, 나사축과 맞물리는 볼 너트를 포함한다. 제1 영구 자석은, 나사축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2 영구 자석은, 제1 영구 자석들의 사이에 제1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제1 영구 자석과 자극의 배치가 반전된다. 자석 유지 부재는,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유지한다. 도전 부재는,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볼 너트는, 자석 유지 부재 및 도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석 유지 부재 또는 도전 부재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볼 너트가 도전 부재 및 자석 유지 부재의 내부에 배치된다. 진동 등에 의하여 와전류식 댐퍼에 운동 에너지가 부여되어, 나사축이 축방향으로 이동해도, 볼 너트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와전류식 댐퍼에 볼 너트의 가동 영역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 및 도전 부재 등의 부품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와전류식 댐퍼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와전류식 댐퍼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이 간소한 구성이기 때문에, 와전류식 댐퍼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와전류식 댐퍼의 부품 비용 및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2) 상기 (1)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이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볼 너트가 자석 유지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2)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의 내주면이,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나사축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볼 너트 및 자석 유지 부재가 회전한다. 한편, 도전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으로부터 도전 부재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여, 도전 부재의 내주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 와전류에 의하여 반자계가 발생하여, 회전하는 자석 유지 부재에 반력(제동력)이 부여된다. 그 결과, 나사축이 감쇠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2)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가 자석 유지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전 부재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 결과, 도전 부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2)의 와전류식 댐퍼는 추가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보다 나사축의 선단측에 있어서, 도전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선단측 베어링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보다 나사축의 밑동측에 있어서, 도전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밑동측 베어링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3)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에 장착된 2개의 베어링이, 영구 자석을 사이에 두고 자석 유지 부재를 2점에서 지지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해도, 영구 자석과 도전 부재의 내주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쉽다.
(4) 상기 (1)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도전 부재가 자석 유지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이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볼 너트가 도전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4)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의 외주면이,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나사축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볼 너트 및 도전 부재가 회전한다. 한편, 자석 유지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으로부터 도전 부재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여, 도전 부재의 외주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 와전류에 의하여 반자계가 발생하여, 회전하는 도전 부재에 반력이 부여된다. 그 결과, 나사축이 감쇠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4)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자석 유지 부재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 결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4)의 와전류식 댐퍼는 추가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보다 나사축의 선단측에 있어서,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도전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선단측 베어링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보다 나사축의 밑동측에 있어서,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도전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밑동측 베어링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5)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자석 유지 부재에 장착된 2개의 베어링이, 영구 자석을 사이에 두고 도전 부재를 2점에서 지지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해도, 영구 자석과 도전 부재의 내주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쉽다.
(6) 상기 (1)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이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볼 너트가 도전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6)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의 내주면이,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나사축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볼 너트 및 도전 부재가 회전한다. 한편, 자석 유지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으로부터 도전 부재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여, 도전 부재의 내주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 와전류에 의하여 반자계가 발생하여, 회전하는 도전 부재에 반력이 부여된다. 그 결과, 나사축이 감쇠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6)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가 자석 유지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하는 도전 부재는 외기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그 결과, 도전 부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7) 상기 (1)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도전 부재가 자석 유지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이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볼 너트가 자석 유지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7)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도전 부재의 외주면이,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나사축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볼 너트 및 자석 유지 부재가 회전한다. 한편, 도전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으로부터 도전 부재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여, 도전 부재의 외주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 와전류에 의하여 반자계가 발생하여, 회전하는 자석 유지 부재에 반력이 부여된다. 그 결과, 나사축이 감쇠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7)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하는 자석 유지 부재는 외기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그 결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은 자석 유지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영구 자석은 자석 유지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상기 (8)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1개의 제1 영구 자석 및 1개의 제2 영구 자석 각각의 사이즈가 작아도, 복수의 제1 영구 자석 및 복수의 제2 영구 자석의 총 사이즈는 크다. 따라서, 와전류식 댐퍼의 감쇠력을 높게 하면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비용은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자석 유지 부재에 대한 장착도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건물 내에 적용된 와전류식 댐퍼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는, 예로서 제1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 및 건물의 일부를 나타낸다. 와전류식 댐퍼(1)는 예를 들면, 거주용, 상업용 등의 고층의 건물(B) 내에 적용된다. 건물(B)의 하측 빔(BD)에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가 제1 연결 부재(EN1)를 통하여 연결된다. 건물(B)의 상측 빔(BU)에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가 제2 연결 부재(EN2)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하측 빔(BD)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연장되는 제1 연결 부재(EN1)에 장착구(8a)가 장착되고, 상측 빔(BU)으로부터 연장되는 V자 브레이스 형상의 제2 연결 부재(EN2)에 장착구(8b)가 장착된다. 와전류식 댐퍼(1)는, 하측 빔(BD)과 상측 빔(BU)의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EN1) 및 제2 연결 부재(EN2)는, 강(鋼)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건물(B)에 대한 와전류식 댐퍼(1)의 연결 방법은 임의이며, 다른 적당한 방법(연결할 건물(B)의 부위를 포함한다)을 채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와전류식 댐퍼(1)는, 자석 유지 부재(2)와, 복수의 제1 영구 자석(3)과, 복수의 제2 영구 자석(4)과, 도전 부재(5)와, 볼 너트(6)와, 나사축(7)을 포함한다.
[자석 유지 부재]
자석 유지 부재(2)는, 주통(2A)과, 선단측 부통(2B)과, 밑동측 부통(2C)을 포함한다.
주통(2A)은,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주통(2A)의 나사축(7)의 축방향의 길이는,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나사축(7)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선단측 부통(2B)은, 주통(2A)의 선단측(나사축(7)의 자유단측 또는 장착구(8a)측)의 끝으로부터 연장된다. 선단측 부통(2B)은,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선단측 부통(2B)의 외경은, 주통(2A)의 외경보다 작다.
도 3을 참조하여, 밑동측 부통(2C)은, 주통(2A)의 밑동측(장착구(8b)측)에, 볼 너트의 플랜지부(6A)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밑동측 부통(2C)은, 플랜지 고정부(21C)와, 원통 형상 지지부(22C)를 포함한다. 플랜지 고정부(21C)는,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며, 볼 너트의 플랜지부(6A)에 고정된다. 원통 형상 지지부(22C)는, 플랜지 고정부(21C)의 밑동측(장착구(8b)측)의 끝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통 형상이다. 원통 형상 지지부의 외경은, 플랜지 고정부(21C)의 외경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자석 유지 부재(2)는, 볼 너트의 원통부(6B) 및 나사축(7)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다. 자석 유지 부재(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자석 유지 부재(2)의 재질은, 투자율(透磁率)이 높은 강 등이 바람직하다. 자석 유지 부재(2)의 재질은 예를 들면, 탄소강, 주철 등의 강자성체이다. 이 경우, 자석 유지 부재(2)는, 요크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으로부터의 자속이 외부로 누출되기 어려워져, 와전류식 댐퍼(1)의 감쇠력이 높아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석 유지 부재(2)는 도전 부재(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도 6에서는 나사축 등의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도 4~도 6을 참조하여, 복수의 제1 영구 자석(3) 및 복수의 제2 영구 자석(4)은, 자석 유지 부재(2)(주통(2A))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제1 영구 자석(3)은, 나사축의 둘레에(즉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제2 영구 자석(4)은, 나사축의 둘레에(즉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2 영구 자석(4)은, 제1 영구 자석(3)들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즉,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영구 자석(3)과 제2 영구 자석(4)은, 번갈아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자극은, 자석 유지 부재(2)의 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영구 자석(4)의 자극의 배치는 제1 영구 자석(3)의 자극의 배치와 반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석 유지 부재(2)의 경방향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3)의 N극은 외측에 배치되고, 그 S극은 내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1 영구 자석(3)의 S극이 자석 유지 부재(2)와 접한다. 한편, 자석 유지 부재(2)의 경방향에 있어서, 제2 영구 자석(4)의 N극은 내측에 배치되고, 그 S극은 외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2 영구 자석(4)의 N극이 자석 유지 부재(2)와 접한다.
제2 영구 자석(4)의 사이즈 및 특질은 제1 영구 자석(3)의 사이즈 및 특질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하여 자석 유지 부재(2)에 고정된다. 또한, 접착제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전 부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전 부재(5)는, 중앙 원통부(5A)와, 선단측 원뿔부(5B)와, 선단측 원통부(5C)와, 밑동측 원뿔부(5D)와, 밑동측 원통부(5E)를 포함한다.
중앙 원통부(5A)는,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중앙 원통부(5A)의 내주면은,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중앙 원통부(5A)의 내주면과 제1 영구 자석(3)(또는 제2 영구 자석(4))의 간극의 거리는, 나사축(7)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하다. 중앙 원통부(5A)의 나사축(7)의 축방향의 길이는,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나사축(7)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선단측 원뿔부(5B)는,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뿔 형상이다. 선단측 원뿔부(5B)는, 중앙 원통부(5A)의 선단측(나사축(7)의 자유단측 또는 장착구(8a)측)의 끝으로부터 연장되고, 선단측(나사축(7)의 자유단측 또는 장착구(8a)측)을 향함에 따라 외경 및 내경이 작아진다.
선단측 원통부(5C)는,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선단측 원통부(5C)는, 선단측 원뿔부(5B)의 선단측(나사축(7)의 자유단측 또는 장착구(8a)측)의 끝으로부터 연장된다. 선단측 원통부(5C)의 선단측(나사축(7)의 자유단측 또는 장착구(8a)측)의 끝은, 장착구(8a)에 고정된다.
밑동측 원뿔부(5D)는,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뿔 형상이다. 밑동측 원뿔부(5D)는, 중앙 원통부(5A)의 밑동측(장착구(8b)측)의 끝으로부터 연장되고, 밑동측(장착구(8b)측)을 향함에 따라 외경 및 내경이 작아진다.
밑동측 원통부(5E)는, 나사축(7)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밑동측 원통부(5E)는, 밑동측 원뿔부(5D)의 밑동측(장착구(8b)측)의 끝으로부터 연장된다. 밑동측 원통부(5E)의 밑동측(장착구(8b)측)의 끝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전 부재(5)는, 자석 유지 부재(2), 제1 영구 자석(3), 제2 영구 자석(4), 볼 너트(6) 및 나사축(7)의 일부를 수용 가능하다. 또한, 자석 유지 부재(2)는 도전 부재(5)의 내측에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5)의 내주면(중앙 원통부(5A)의 내주면)에 와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도전 부재(5)는 자석 유지 부재(2)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도전 부재(5)와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된다.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는, 건물 지지면 또는 건물 내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도전 부재(5)는 나사축(7) 둘레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전 부재(5)는, 도전성을 갖는다. 도전 부재(5)의 재질은 예를 들면, 탄소강, 주철 등의 강자성체이다. 그 외에, 도전 부재(5)의 재질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등의 약자성체여도 되고, 알루미늄 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구리 합금 등의 비자성체여도 된다.
도전 부재(5)는 자석 유지 부재(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자석 유지 부재(2)의 지지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와전류식 댐퍼(1)는 추가로, 선단측 베어링(9A)과, 밑동측 베어링(9B)을 포함한다. 선단측 베어링(9A)은,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보다 나사축(7)의 선단측(나사축(7)의 자유단측 또는 장착구(8a)측)에 있어서, 도전 부재(5)(선단측 원통부(5C))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자석 유지 부재(2)(선단측 부통(2B))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또한, 밑동측 베어링(9B)은,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보다 나사축(7)의 밑동측(장착구(8b)측)에 있어서, 도전 부재(5)(밑동측 원통부(5E))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자석 유지 부재(2)(원통 형상 지지부(22C))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나사축(7)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양측에서, 자석 유지 부재(2)가 지지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2)가 회전해도, 제1 영구 자석(3)(제2 영구 자석(4))과 도전 부재(5)의 간극이 일정한 거리로 유지되기 쉽다. 간극이 일정한 거리로 유지되면, 와전류에 의한 제동력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간극이 일정한 거리로 유지되면,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도전 부재(5)와 접촉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간극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5)를 통과하는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으로부터의 자속량이 증가하여, 제동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고, 또는 영구 자석의 수를 줄여도 원하는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자석 유지 부재(2)의 축방향에 있어서, 자석 유지 부재(2)와 도전 부재(5)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0)이 설치된다. 또한, 선단측 베어링(9A), 밑동측 베어링(9B) 및 스러스트 베어링(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볼식, 롤러식, 슬라이딩식 등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중앙 원통부(5A), 선단측 원뿔부(5B), 선단측 원통부(5C), 밑동측 원뿔부(5D) 및 밑동측 원통부(5E)는 각각, 별도의 부재이며, 볼트 등에 의하여 연결되어 조립된다.
[볼 너트]
볼 너트(6)는, 플랜지부(6A)와, 원통부(6B)를 포함한다. 플랜지부(6A)는 원통 형상이다. 플랜지부(6A)는, 자석 유지 부재의 주통(2A)의 밑동측(장착구(8b)측)의 끝과, 밑동측 부통(2C)의 플랜지 고정부(21C)의 선단측(장착구(8a)측)의 끝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자에 고정된다. 원통부(6B)는, 플랜지부(6A)보다 나사축(7)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플랜지부(6A)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볼 너트(6)는, 자석 유지 부재(2) 및 도전 부재(5)의 내부에 배치된다. 볼 너트(6)는, 자석 유지 부재(2)에 고정되기 때문에, 볼 너트(6)가 회전하면, 자석 유지 부재(2)도 회전한다. 볼 너트(6)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볼 너트(6)는, 주지의 볼 너트를 이용해도 된다. 볼 너트(6)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볼 너트(6)의 원통부(6B)의 일부의 묘화를 생략하여, 나사축(7)이 보이도록 되어 있다.
[나사축]
나사축(7)은, 볼 너트(6)를 관통하고, 볼을 통하여 볼 너트(6)와 맞물린다. 나사축(7)의 외주면에는, 볼 너트(6)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7) 및 볼 너트(6)는, 볼나사를 구성한다. 볼나사는, 나사축(7)의 축방향의 이동을 볼 너트(6)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나사축(7)에 장착구(8b)가 접속된다.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는, 건물 지지면 또는 건물 내에 고정된다. 와전류식 댐퍼(1)가, 예를 들면 건물 내와 건물 지지면 사이의 면진층에 설치되는 사례의 경우,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가 건물 내에 고정되고,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는 건물 지지면에 고정된다. 와전류식 댐퍼(1)가, 예를 들면 건물 내의 임의의 층간에 설치되는 사례의 경우는,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가 임의의 층간의 상부 빔측에 고정되고,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는 임의의 층간의 하부 빔측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나사축(7)은 축 둘레로 회전하지 않는다.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 및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의 고정은, 상술한 설명의 역이어도 된다. 즉,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가 건물 지지면에 고정되고,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가 건물 내에 고정되어도 된다.
나사축(7)은, 자석 유지 부재(2) 및 도전 부재(5)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하여, 와전류식 댐퍼(1)에 운동 에너지가 부여되면, 나사축(7)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사축(7)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볼 나사의 작용에 의하여 볼 너트(6)가 나사축 둘레로 회전한다. 볼 너트(6)의 회전에 따라, 자석 유지 부재(2)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자석 유지 부재(2)와 일체인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도전 부재(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도전 부재(5)에는 와전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와전류식 댐퍼(1)에 감쇠력이 생겨, 진동을 감쇠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1)에 의하면, 볼 너트(6)가 도전 부재(5) 및 자석 유지 부재(2)의 내부에 배치된다. 진동 등에 의하여 와전류식 댐퍼(1)에 운동 에너지가 부여되어, 장착구(8b)와 일체인 나사축(7)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볼 너트(6)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와전류식 댐퍼(1)에 볼 너트(6)의 가동 영역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2) 및 도전 부재(5) 등의 부품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와전류식 댐퍼(1)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와전류식 댐퍼(1)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볼 너트(6)가 도전 부재(5) 및 자석 유지 부재(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볼 너트(6)와 나사축(7)의 사이에 더스트가 침입하기 어려워져, 장기간에 걸쳐 나사축(7)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볼 너트(6)가 도전 부재(5) 및 자석 유지 부재(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장착구(8b)의 선단측(장착구(8a)측)의 끝과 도전 부재(5)의 밑동측(장착구(8b)측)의 끝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와전류식 댐퍼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이 간소한 구성이기 때문에, 와전류식 댐퍼(1)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와전류식 댐퍼(1)의 부품 비용 및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또한, 도전 부재(5)는 내부에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을 수용한다. 즉, 도전 부재(5)의 나사축(7)의 축방향의 길이는, 제1 영구 자석(3)(제2 영구 자석(4))의 나사축(7)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도전 부재(5)의 체적이 크다. 도전 부재(5)의 체적이 커지면, 도전 부재(5)의 열용량도 크다. 그 때문에, 와전류가 발생하는 것에 의한 도전 부재(5)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도전 부재(5)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면, 도전 부재(5)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온도 상승에 의한 감자(減磁)가 억제된다.
계속해서, 와전류의 발생 원리 및 와전류에 의한 감쇠력의 발생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와전류에 의한 감쇠력]
도 7은, 와전류식 댐퍼의 자기 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영구 자석(3)의 자극의 배치는, 인접하는 제2 영구 자석(4)의 자극의 배치와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영구 자석(3)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은, 인접하는 제2 영구 자석(4)의 S극에 도달한다. 제2 영구 자석(4)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은, 인접하는 제1 영구 자석(3)의 S극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구 자석(3), 제2 영구 자석(4), 도전 부재(5) 및 자석 유지 부재(2) 중에서,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과, 도전 부재(5) 사이의 간극은 충분히 작기 때문에, 도전 부재(5)는 자계 중에 있다.
자석 유지 부재(2)가 회전하면(도 7 중의 화살표 참조),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도전 부재(5)에 대하여 이동한다. 그 때문에, 도전 부재(5)의 표면(도 7에서는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대향하는 도전 부재(5)의 내주면)을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전 부재(5)의 표면(도 7에서는 도전 부재(5)의 내주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와전류가 발생하면, 새로운 자속(반자계)이 발생한다. 이 새로운 자속은, 자석 유지 부재(2)(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와 도전 부재(5)의 상대 회전을 방해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자석 유지 부재(2)의 회전이 방해된다. 자석 유지 부재(2)의 회전이 방해되면, 자석 유지 부재(2)와 일체인 볼 너트(6)의 회전도 방해된다. 볼 너트(6)의 회전이 방해되면, 나사축(7)의 축방향의 이동도 방해된다. 이것이 와전류식 댐퍼(1)의 감쇠력이다. 진동 등에 따른 운동 에너지에 의하여 발생하는 와전류는, 도전 부재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즉, 와전류식 댐퍼에 부여된 운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감쇠력이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의하면, 제1 영구 자석의 자극의 배치가, 자석 유지 부재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과 인접하는 제2 영구 자석의 자극의 배치와 반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에 의한 자계가 자석 유지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발생한다. 또한, 자석 유지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복수 배열함으로써, 도전 부재에 도달하는 자속의 양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전 부재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커져, 와전류식 댐퍼의 감쇠력이 높아진다.
[자극의 배치]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자극의 배치는, 자석 유지 부재의 경방향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자극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자극의 배치가 원주 방향인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자극의 배치는,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을 따른다. 이 경우이더라도, 제1 영구 자석(3)의 자극의 배치는, 제2 영구 자석(4)의 자극의 배치와 반전되어 있다. 제1 영구 자석(3)과 제2 영구 자석(4)의 사이에는, 강자성체의 폴 피스(11)가 설치된다.
도 9는, 도 8의 와전류식 댐퍼의 자기 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1 영구 자석(3)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은, 폴 피스(11)을 통과하여, 제1 영구 자석(3)의 S극에 도달한다. 제2 영구 자석(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구 자석(3), 제2 영구 자석(4), 폴 피스(11) 및 도전 부재(5) 중에서,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과 마찬가지로, 와전류식 댐퍼(1)에 감쇠력이 얻어진다.
[영구 자석의 축방향으로의 배치]
와전류식 댐퍼(1)의 감쇠력을 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는, 도전 부재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크게 하면 된다. 큰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으로부터 나오는 자속의 양을 증가시키면 된다. 즉,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사이즈를 크게 하면 된다. 그러나, 사이즈가 큰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비용이 비싸고, 자석 유지 부재(2)에 대한 장착도 용이하지 않다.
도 10은, 축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1개의 자석 유지 부재(2)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1개의 제1 영구 자석(3) 및 1개의 제2 영구 자석(4) 각각의 사이즈는 작아도 된다. 한편, 자석 유지 부재(2)에 장착된 복수의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총 사이즈는 크다. 따라서,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비용은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자석 유지 부재(2)에 대한 설치도 용이하다.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의 배치는, 상술과 마찬가지이다. 즉,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영구 자석(3)과 제2 영구 자석(4)은 번갈아 배치된다.
와전류식 댐퍼(1)의 감쇠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자석 유지 부재(2)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3)은 제2 영구 자석(4)과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자기 회로가 자석 유지 부재(2)의 원주 방향뿐만이 아니라, 축방향에 있어서도 생긴다. 따라서, 도전 부재(5)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커진다. 그 결과, 와전류식 댐퍼(1)의 감쇠력이 커진다.
그러나, 자석 유지 부재(2)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자석 유지 부재(2)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 영구 자석(3)은 제1 영구 자석(3)의 옆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영구 자석(4)의 옆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이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또한 자석 유지 부재가 회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는,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하지 않는다. 와전류는, 내측의 도전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 부재의 배치 관계가 제1 실시 형태와 역전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의 자석 유지 부재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의 도전 부재와 같고, 제2 실시 형태의 도전 부재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의 자석 유지 부재와 같다. 그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자석 유지 부재 및 도전 부재의 상세한 형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자석 유지 부재(2)는, 도전 부재(5), 볼 너트(6) 및 나사축(7)을 수용 가능하다.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자석 유지 부재(2)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전 부재(5)의 외주면이,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장착구(8a)는 자석 유지 부재(2)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2)는 나사축(7) 둘레로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볼 너트(6)는, 도전 부재(5)에 접속된다. 따라서, 볼 너트(6)가 회전하면, 도전 부재(5)는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 유지 부재(2)와 일체인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도전 부재(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도전 부재(5)에는 와전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와전류식 댐퍼(1)에 감쇠력이 생겨,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과는 상이한 건물 내에 적용된 와전류식 댐퍼의 개략도이다. 도 13에서는 예로서 제3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 및 건물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건물은 예를 들면, 건물의 기초 상에 세워 설치된 거주용 또는 상업용의 고층 건축물이다. 이 건물의 기초는, 면진 구조이다. 이 기초는, 기초 빔(FB)과, 콘크리트 슬래브(CS)와, 2개의 고정부(FI)를 포함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기초 빔(FB)은, 우물정자 형상으로 조합된 복수의 기초 빔 중, 상방에 장착된 1개의 기초 빔(상측 기초)이다. 1개의 고정부(FI)는, 기초 빔(FB)에 장착된다. 또 하나의 고정부(FI)는, 콘크리트 슬래브(CS)에 장착된다. 면진 장치(SI)는, 2개의 고정부(FI)의 사이에 설치되어, 2개의 고정부(FI)를 연결한다. 상측 기초(기초 빔(FB)) 및 건물(B)의 본체 부분은, 면진 장치(SI)를 통하여 콘크리트 슬래브(CS)(하측 기초)에 지지된다.
건물(B)의 하측 기초(콘크리트 슬래브(CS))에 도전 부재(5)와 일체인 장착구(8a)가 제1 연결 부재(EN1)를 통하여 연결된다. 건물(B)의 상측 기초(기초 빔(FB))에 나사축(7)과 일체인 장착구(8b)가 제2 연결 부재(EN2)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하측 기초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연장되는 제1 연결 부재(EN1)에 장착구(8a)가 장착되고, 상측 기초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연장되는 제2 연결 부재(EN2)에 장착구(8b)가 장착된다. 와전류식 댐퍼(1)는, 하측 기초와 상측 기초의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는, 자석 유지 부재가 도전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하지 않는다. 와전류는, 외측의 도전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한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도전 부재(5)는, 자석 유지 부재(2), 볼 너트(6) 및 나사축(7)을 수용 가능하다.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자석 유지 부재(2)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전 부재(5)의 내주면이,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장착구(8a)는 자석 유지 부재(2)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2)는 나사축(7) 둘레로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볼 너트(6)는, 도전 부재(5)에 접속된다. 따라서, 볼 너트(6)가 회전하면, 도전 부재(5)는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 유지 부재(2)와 일체인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도전 부재(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도전 부재(5)에는 와전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와전류식 댐퍼(1)에 감쇠력이 생겨,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는, 도전 부재가 자석 유지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하지 않는다. 와전류는, 외측의 자석 유지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한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의 축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자석 유지 부재(2)는, 도전 부재(5), 볼 너트(6) 및 나사축(7)을 수용 가능하다.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은, 자석 유지 부재(2)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전 부재(5)의 외주면이,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장착구(8a)는 도전 부재(5)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도전 부재(5)는 나사축(7) 둘레로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볼 너트(6)는, 자석 유지 부재(2)에 고정된다. 따라서, 볼 너트(6)가 회전하면, 자석 유지 부재(2)는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 유지 부재(2)와 일체인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도전 부재(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도전 부재(5)에는 와전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와전류식 댐퍼(1)에 감쇠력이 생겨,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전류식 댐퍼가 감쇠력을 발생하면, 도전 부재의 온도는 상승한다.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은, 도전 부재와 대향한다. 따라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은, 도전 부재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할지도 모른다. 영구 자석의 온도가 상승하면, 자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도전 부재(5)가 자석 유지 부재(2)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도전 부재(5)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전 부재(5)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 때문에, 도전 부재(5)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자석 유지 부재(2)가 도전 부재(5)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자석 유지 부재(2)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자석 유지 부재(2)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2)를 통하여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도전 부재(5)가 자석 유지 부재(2)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도전 부재(5)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또한, 도전 부재(5)는, 나사축(7) 둘레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하는 도전 부재(5)는 외기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그 때문에, 도전 부재(5)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서는, 자석 유지 부재(2)가 도전 부재(5)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자석 유지 부재(2)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한다. 또한, 자석 유지 부재(2)는, 나사축(7) 둘레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하는 자석 유지 부재(2)는 외기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그 때문에, 자석 유지 부재(2)를 통하여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도전 부재(5)에, 예를 들면 강재 등으로 구성되는 부가 추(錘)를 부여해도 된다. 나사축(7)의 축방향의 이동이 볼 너트(6)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면, 볼 너트(6)의 회전 운동은 볼 너트(6)와 일체인 도전 부재(5)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전 부재(5)가 볼 나사의 축 둘레로 회전한다. 부가 추에 의하여 도전 부재(5)의 관성 질량이 커진다. 즉, 부가 추에 의하여 도전 부재(5)의 볼 나사의 축 둘레의 관성 모멘트가 커진다. 그 결과, 볼 너트(6)가 회전하기 어려워져, 나사축(7)의 축방향의 이동이 방해되어, 건물의 진동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자석 유지 부재(2)에, 예를 들면 강재 등으로 구성되는 부가 추를 부여해도 된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부가 추에 의하여 자석 유지 부재(2)의 볼 나사의 축 둘레의 관성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에, 건물의 진동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다.
부가 추를 부여하여 적극적으로 도전 부재(5) 또는 자석 유지 부재(2)의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는 경우, 2개의 장착구(8a, 8b) 중 적어도 한쪽은, 탄성체를 통하여 제1 연결 부재(EN1) 또는 제2 연결 부재(EN2)에 장착되어도 된다(도 1 참조). 장착구가 탄성체를 통하여 연결 부재에 장착되면, 탄성체에 의하여 더욱 나사축(7)의 축방향의 이동이 방해되어, 건물의 진동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탄성체는 와전류식 댐퍼에 있어서 부가 진동계를 구성한다. 탄성체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접시 스프링 등이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와전류식 댐퍼에 대하여 설명했다. 와전류는 도전 부재(5)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이 도전 부재(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된다. 또한, 도전 부재(5)가 제1 영구 자석(3) 및 제2 영구 자석(4)에 의한 자계 중에 존재하는 한, 도전 부재(5)와 자석 유지 부재(2)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와전류식 댐퍼는, 건조물의 제진 장치 및 면진 장치에 유용하다.
1: 와전류식 댐퍼 2: 자석 유지 부재
3: 제1 영구 자석 4: 제2 영구 자석
5: 도전 부재 6: 볼 너트
7: 나사축 8a, 8b: 장착구
9: 레이디얼 베어링 10: 스러스트 베어링
11: 폴 피스

Claims (8)

  1.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영구 자석과,
    상기 제1 영구 자석들의 사이에 상기 제1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과 자극의 배치가 반전된 복수의 제2 영구 자석과,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을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원통 형상의 도전 부재와,
    상기 자석 유지 부재 및 상기 도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축과 맞물리는 볼 너트와,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 유지 부재 또는 상기 도전 부재를 지지하는 2개의 베어링을 구비하는, 와전류식 댐퍼로서,
    상기 자석 유지 부재가 상기 도전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이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볼 너트가 상기 자석 유지 부재에 고정된, 와전류식 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베어링은,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보다 상기 나사축의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선단측 베어링과,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보다 상기 나사축의 밑동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밑동측 베어링을 포함하는, 와전류식 댐퍼.
  3.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영구 자석과,
    상기 제1 영구 자석들의 사이에 상기 제1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과 자극의 배치가 반전된 복수의 제2 영구 자석과,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을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자석 유지 부재와,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원통 형상의 도전 부재와,
    상기 자석 유지 부재 및 상기 도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축과 맞물리는 볼 너트와,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 유지 부재 또는 상기 도전 부재를 지지하는 2개의 베어링을 구비하는, 와전류식 댐퍼로서,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이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볼 너트가 상기 도전 부재에 고정된, 와전류식 댐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베어링은,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보다 상기 나사축의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전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선단측 베어링과,
    상기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2 영구 자석보다 상기 나사축의 밑동측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전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밑동측 베어링을 포함하는, 와전류식 댐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 자석은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은 상기 자석 유지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와전류식 댐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7008242A 2017-08-29 2018-08-24 와전류식 댐퍼 KR102339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4572 2017-08-29
JPJP-P-2017-164572 2017-08-29
PCT/JP2018/031458 WO2019044722A1 (ja) 2017-08-29 2018-08-24 渦電流式ダン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067A KR20200044067A (ko) 2020-04-28
KR102339773B1 true KR102339773B1 (ko) 2021-12-15

Family

ID=6552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242A KR102339773B1 (ko) 2017-08-29 2018-08-24 와전류식 댐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55407B2 (ko)
EP (1) EP3677812A4 (ko)
JP (1) JP6905594B2 (ko)
KR (1) KR102339773B1 (ko)
CN (1) CN111033078B (ko)
TW (1) TWI674368B (ko)
WO (1) WO2019044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031B2 (en) * 2019-03-04 2023-10-24 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Axial displacement amplified eddy current damper
JP7136727B2 (ja) * 2019-03-14 2022-09-13 株式会社免制震ディバイス 渦電流式ダンパの異常判定装置
US11754140B2 (en) * 2019-09-20 2023-09-12 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Coupling beam eddy current damper with shear displacement amplification
US11713795B2 (en) * 2020-05-29 2023-08-01 ActiBioMotion, LLC Vibration dampening system
CN112065915B (zh) * 2020-08-12 2022-05-24 宁波赛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非牛顿流体的腔磁体互斥的防护机构
CN117222825A (zh) * 2021-05-27 2023-12-12 日本制铁株式会社 涡电流式阻尼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9837A (ja) 2009-01-09 2010-07-22 Jtekt Corp 電磁緩衝器
JP2017511867A (ja) * 2014-09-15 2017-04-27 政清 陳 アウタカップ回転型軸方向渦電流ダンパー
CN106760016A (zh) 2016-12-30 2017-05-31 同济大学 一种惯性电涡流调谐阻尼装置
CN206338351U (zh) 2016-11-30 2017-07-18 浙江建科减震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涡流旋转阻尼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37A (ja) 1985-06-28 1987-01-10 Sanwa Tekki Corp ヒステリシスを利用した緩衝方法およびダンパ
JPH039144A (ja) * 1989-06-07 1991-01-17 Sankyo Seiki Mfg Co Ltd 入力対応制動装置
JP3145440B2 (ja) 1991-09-27 2001-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装用仮付け冶具
JPH09177880A (ja) 1995-12-27 1997-07-11 Kawasaki Heavy Ind Ltd 電磁ダンパ
JP2000320607A (ja) 1999-05-14 2000-11-24 Kumagai Gumi Co Ltd 渦電流式ダンパ
DE102006053139B4 (de) * 2006-11-10 2016-06-16 Compact Dynamics Gmbh Antriebsvorrichtung mit einer elektrischen Maschine
JP2010038241A (ja) * 2008-08-05 2010-02-18 Jtekt Corp 電磁緩衝器
JP2011196507A (ja) * 2010-03-23 2011-10-06 Toyota Motor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12002300A (ja) * 2010-06-18 2012-01-05 Jtekt Corp リニアガイ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磁緩衝器
JP2012165554A (ja) * 2011-02-07 2012-08-30 Nissan Motor Co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13244841A (ja) * 2012-05-25 2013-12-09 Ntn Corp 車両用懸架装置
JP2014167320A (ja) * 2013-02-28 2014-09-1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磁サスペンション装置
GB2511856B (en) * 2013-03-15 2015-07-01 Goodrich Actuation Systems Ltd Damping arrangement for aircraft landing gear, for example a nosewheel
US20150167769A1 (en) * 2013-12-13 2015-06-18 Chi Hua Fitness Co., Ltd. Linear damper
CN103821861B (zh) * 2014-03-21 2015-05-20 湖南大学 一种基于螺旋传动方式的轴向电涡流阻尼器
EP2993374B1 (en) * 2014-09-05 2020-04-22 Goodrich Actuation Systems Ltd. Magnetic damping systems
CN207053362U (zh) * 2017-06-13 2018-02-27 江苏磁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永磁联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9837A (ja) 2009-01-09 2010-07-22 Jtekt Corp 電磁緩衝器
JP2017511867A (ja) * 2014-09-15 2017-04-27 政清 陳 アウタカップ回転型軸方向渦電流ダンパー
CN206338351U (zh) 2016-11-30 2017-07-18 浙江建科减震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涡流旋转阻尼器
CN106760016A (zh) 2016-12-30 2017-05-31 同济大学 一种惯性电涡流调谐阻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067A (ko) 2020-04-28
TW201920850A (zh) 2019-06-01
EP3677812A1 (en) 2020-07-08
CN111033078B (zh) 2021-11-05
US20200263759A1 (en) 2020-08-20
CN111033078A (zh) 2020-04-17
US11255407B2 (en) 2022-02-22
TWI674368B (zh) 2019-10-11
EP3677812A4 (en) 2021-08-25
WO2019044722A1 (ja) 2019-03-07
JPWO2019044722A1 (ja) 2020-07-09
JP6905594B2 (ja)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773B1 (ko) 와전류식 댐퍼
JP6104678B2 (ja) 減衰装置
JP6863465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6926996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2019157947A (ja) マスダンパ
JP6947224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H1089406A (ja) 誘導電流を利用した減衰装置
JP2019173933A (ja) マスダンパ
WO2020116344A1 (ja) 渦電流式ダンパ
JP7185393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7040350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7040357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6897525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6897523B2 (ja) 渦電流式ダンパ
JP2020070825A (ja) 渦電流式ダンパ
JP2020020464A (ja) 渦電流式ダンパ
JP2019078331A (ja) 渦電流式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