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635B1 - 원반투척게임기 - Google Patents

원반투척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635B1
KR102336635B1 KR1020190073902A KR20190073902A KR102336635B1 KR 102336635 B1 KR102336635 B1 KR 102336635B1 KR 1020190073902 A KR1020190073902 A KR 1020190073902A KR 20190073902 A KR20190073902 A KR 20190073902A KR 102336635 B1 KR102336635 B1 KR 10233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al
control unit
game
hol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210A (ko
Inventor
김재창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재창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창, 김태균 filed Critical 김재창
Priority to KR102019007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6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6Ring or disc tossing games, e.g. quoits; Throwing or tossing games, e.g. using balls; Games for manually rolling balls, e.g.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0Details of the playing surface, e.g. obstacles; Goal posts; Targets; Scoring or pocketing devices; Playing-body-actuated sensors, e.g. switches; Tilt indicators; Means for detecting misuse or errors
    • A63F7/305Goal posts; Winning posts for rolling-balls
    • A63F7/3065Electric
    • A63F7/307Electric with a score coun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1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 A63F2009/2454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with 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4Coin operated
    • A63F2250/142Coin operated with pay-out or rewarding with a pr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반투척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기본체(100); 골인홀(210)을 갖추고서 게임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200); 골인홀(210)을 통과하는 원반(D)을 감지해 출력하는 원반감지센서(300); 회전판(200)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400);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시작버튼(500)과; 원반(D)을 운반하는 컨베이어(600)와; 회전유닛(400)과 컨베이어(600)를 동작제어하고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점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0)와;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되어 점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토탈점수판(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하고 있는 회전판의 골인홀을 향해 원반을 던져 원반이 골인홀을 통과하였을 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반투척게임기{Flyingdisc throwing game machine}
본 발명은 원반을 이용한 오락적인 기능의 원반게임을 부가하고, 그 결과로서 상품도 타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흥미 유발 및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원반투척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유원지나 오락실 및 위락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는 사격, 농구, 다트 등과 같이 게임시설을 통해 이용자에게 재미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농구게임으로 통상 나무로 된 판체에 링을 고정한 다음 농구공을 넣으면 사람이 옆에 있다가 공을 넣은 숫자를 세어 기념품을 주거나, 농구대본체의 내부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공을 넣으면 감지센서에 의하여 점수판에 점수가 표시하여 일정점수가 되면 보너스로 공을 넣을 수 있는 기회를 더 주는 농구게임기가 안출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게임기 등을 매우 단순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어 찾는 이의 발길이 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170호(2013.01.17)
본 발명은 원반을 이용한 오락적인 기능의 원반게임을 부가하고, 그 결과로서 상품도 타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흥미 유발 및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원반투척게임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게임기본체;
원반이 통과되는 슬롯형상의 골인홀을 갖추고서 상기 게임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골인홀을 통과하는 원반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원반감지센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게임기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시작버튼;
상기 보드의 하부에 배치되게 게임기본체에 설치되어 낙하된 원반을 사용자에게 운반하는 이송수단;
상기 시작버튼으로부터 시작신호를 전달받아 회전유닛과 이송수단을 각각 동작제어하고, 각각의 원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점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보드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점수신호를 전달받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토탈점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하고 있는 회전판의 골인홀을 향해 원반을 던져 원반이 골인홀을 통과하였을 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회전판과 지지롤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에서 회전판의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판과 지지롤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측단면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회전판과 지지롤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에서 회전판의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는 게임기본체(100)와 회전판(200), 원반감지센서(300), 회전유닛(400), 시작버튼(500), 컨베이어(600), 제어부(700) 및 토탈점수판(8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흥미유발 및 재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시작버튼(500)과 컨베이어(60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게임기본체(100)는 전체적으로‘ㄴ’자 형상을 이루며 외관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00)는 구멍(진원)을 갖춘 전면판(110)을 구비하며, 전면판(110)의 후방에는 회전판(200)이 배치되고, 전면판(110)의 구멍으로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슬롯형상의 구멍)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00)의 전면판(110) 후방으로 후판(110')이 배치되며, 이 후판(110')에는 회전유닛(4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00)는 전면판(110)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투명한 아크릴판(120)이 입설되게 설치되며, 여기서 아크릴판(120)은 전면판(110)을 맞고 튀어나오는 원반(D)이 게임기본체(100)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00)에는 화폐가 투입되는 화폐투입기(130)와, 경품이 배출되는 경품배출기(140)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화폐투입기(130)와 경품배출기(140)는 시작, 종료, 경품당첨시 주변으로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110)의 하단부에는 화폐의 양을 표시하는 화폐표시부(150)와, 게임진행시간이 카운트되는 타임표시부(160)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화폐투입기(130)에 화폐를 투입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화폐표시부(150)에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타임표시부(160)에는 설정된 게임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작버튼(500)을 터치하게 되면, 시작버튼(500)의 시작신호가 제어부(700)로 전달되고, 제어부(700)는 타임표시부(160)를 동작제어하여 시간을 카운트(예:60초 → 0초)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의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어부(700)는 토탈점수판(800)에 표시된 토탈점수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게 되고, 토탈점수가 기설정된 값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경품이 인출되도록 경품배출기(14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화폐표시부(150)와 타임표시부(160)는 통상의 7 세그먼트 표시 장치(seven-segment display)이다.
도 1과 도 2,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200)은 원반(D)이 통과되는 슬롯형상의 골인홀(210)을 갖춘 원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게임기본체(100)를 구성하는 전면판(1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전면판(110)의 구멍으로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이 노출되며, 노출된 골인홀(210)은 전면판(110)의 구멍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골인홀(210)은 길이가 긴 장공으로 다각형상의 구멍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상의 구멍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장축(a)과 단축(b)으로 구성된 타원형상의 구멍으로 제작하였다.
한편, 상기 회전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400)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됨에 따라 선단부가 자중에 의해 처지기 쉽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판(2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져 회전판(200)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롤러(R)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지지롤러(R)는 전면판(110)에 브라켓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판(20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회전판(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지지롤러(R)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0)의 외주면 일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홈(R-1)을 구비하며, 이 홈(R-1)에 회전판(200)을 끼우게 되면 회전판(20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은 물론 안정적인 지지 및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R)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0)의 외주면에 방사상(상측에 2개, 하측에 2개)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지지롤러(R)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게 되면, 회전판(200)을 게임기본체(100)에 축 회전가능하게 별도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원반감지센서(300)는 광센서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회전판(200)에 설치되어 각각의 골인홀(210)을 통과하는 원반(D)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반감지센서(300)는 골인홀(210)을 사이에 두고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배치되며,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로 원반(D)이 통과하게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광센서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어떠한 것으로도 대체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유닛(400)은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되어 회전판(20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전유닛(400)은 프레임(410)과 종동풀리(420), 모터(430), 구동풀리(440) 및 벨트(450)로 구성되어 회전판(200)을 회전시킨다.
상기 프레임(410)은 십자형상을 이루며 후판(110')에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십자편(411)과, 십자편(411)의 말단으로부터 회전판(200)을 향해 연장되어 회전판(200)에 설치되는 연장편(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십자편(411)은 연장편(412)의 길이만큼 회전판(20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통과하는 원반(D)과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종동풀리(420)는 프레임(410)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프레임(410)을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430)는 후판(110')에‘ㄷ’자 형상의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며,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한다.
일 예로, 상기 모터(430)는 DC모터, 서보모터(servomotor),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게임방식에 따라 적용대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동풀리(440)는 모터(430)의 축에 고정되어 모터(43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벨트(450)는 구동풀리(440)와 종동풀리(420)를 상호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구동풀리(440)의 회전력을 종동풀리(4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일 예로서 타이밍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구동풀리(440)와 종동풀리(420) 및 벨트(450) 대신 구동/종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회전유닛(400)의 동작관계를 설명해 보면, 제어부(700)에 의해 모터(430)가 구동되어 구동풀리(440)를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풀리(440)의 회전에 의해 벨트(45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풀리(420)가 회전하게 되며, 종동풀리(42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41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회전판(20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200)이 회전함에 따라 슬롯형상의 골인홀(210)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200)에 설치된 원반감지센서(300)는 전선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는데, 회전판(200)이 회전하게 되면 전선에 꼬임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공지의 슬립링(slip ring)을 종동풀리(420)에 설치하여 회전판(200)이 회전되더라도 전선은 꼬이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슬립링(SR)은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 슬립링(SR)을 통해 이후에 설명되는 LED(900) 역시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작버튼(500)은 게임기본체(100)의 전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폐투입기(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시작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600)는 게임기본체(100)의 전면판(110) 하단과 일정간격으로 이격(G:도 1 및 도 3 참조)되게 전면판(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원반(D)을 사용자에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600)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봉과, 롤러봉을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운반용 벨트와, 한 쌍의 롤러봉 중 어느 하나와 타이밍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6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D)을 운반하는 운반용 벨트가 상방으로 노출되며, 전면판(110)을 맞고 추락되는 원반(D)이나,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통과한 다음 낙하되는 원반(D)은 운반용 벨트에 안착되어 사용자에게로 전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통상의 컨트롤러로서, 게임기본체(100)에 내설된다.
일 예로서, 상기 시작버튼(500)을 사용자가 터치하게 되면, 시작버튼(500)으로부터 시작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700)로 전달되고, 제어부(700)는 시작신호를 전달받아 컨베이어(600)와 회전유닛(400)의 모터(43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회전판(200)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던진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원반감지센서(300)가 감지하게 되고, 원반감지센서(30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700)는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점수신호를 토탈점수판(800)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하고 있는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원반(D)을 던져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였을 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어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탈점수판(800)은 통상의 7 세그먼트 표시 장치(seven-segment display)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면판(110)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제어부(700)로부터 점수신호를 전달받아 시각적으로 숫자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임기본체(100)의 화폐투입기(130)에 화폐를 투입하게 되면, 제어부(700)에 의해 화폐표시부(150)에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타임표시부(160)에는 설정된 게임시간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기본체(100)에 설치된 시작버튼(500)을 터치하게 되면, 시작버튼(500)의 시작신호가 제어부(700)로 전달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타임표시부(160)에 표시된 숫자는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며, 이와 동시에 컨베이어(600)와 회전유닛(400)이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하게 되며, 회전유닛(400)에 의해 회전판(2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400)의 모터(430)는 DC모터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200)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반(D)을 잡고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던지면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던진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원반감지센서(3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700)는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점수신호를 토탈점수판(800)으로 출력하게 되며, 토탈점수판(800)에는 점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설정된 시간의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어부(700)는 토탈점수판(800)에 표시된 토탈점수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게 되는데, 토탈점수가 기설정된 값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경품이 인출되도록 경품배출기(14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회전판(200)의 회전이 멈추도록 회전유닛(400)을 동작제어하고, 컨베이어(600)의 동작이 멈추도록 동작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하고 있는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원반(D)을 던져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였을 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에 위치(예: 1시, 3시, 6시 등)에 따라 점수를 각기 다르게 부여하여 게임의 흥미도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유닛(400)의 모터(430)로 서보모터(servomotor)나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가 적용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10)에는 골인홀(210)의 위치(예: 1시, 3시, 6시 등)에 따라 해당 위치의 골인홀(210)을 통과한 원반(D)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골인표시부(170)가 더 보강 구비되고, 제어부(700)는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위치의 골인표시부(170)에 통과한 원반(D)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골인표시부(17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골인표시부(170)는 전면판(110)에 22.5°로 16개를 배치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해당 골인홀(210)을 통과한 원반(D)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골인표시부(170)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승부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골인표시부(170)는 통상의 7 세그먼트 표시 장치(seven-segment display)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게임기본체(100)의 화폐투입기(130)에 화폐를 투입하게 되면, 제어부(700)에 의해 화폐표시부(150)에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타임표시부(160)에는 설정된 게임시간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기본체(100)에 설치된 시작버튼(500)을 터치하게 되면, 시작버튼(500)의 시작신호가 제어부(700)로 전달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타임표시부(160)에 표시된 숫자는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며, 이와 동시에 컨베이어(600)와 회전유닛(400)이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하게 되며, 회전유닛(400)에 의해 회전판(2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400)의 모터(430)는 서보모터(servomotor) 또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중 어느 하나이며, 본 실시 예에서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를 적용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0)이 모터(430)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반(D)을 잡고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던지면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던진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원반감지센서(3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모터(430)의 회전각도에 따른 점수신호를 토탈점수판(800)으로 출력하게 되며, 토탈점수판(800)에는 점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골인홀(210)과 동축상에 배치된 해당 골인표시부(170)에 통과한 원반(D)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모터(430)를 동작제어하여 회전판(20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 멈추도록 한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고, 회전판(200)이 연속적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거나 신호 입력이 없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430)를 동작제어하여 회전판(200)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설정된 시간의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어부(700)는 토탈점수판(800)에 표시된 토탈점수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게 되는데, 토탈점수가 기설정된 값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경품이 인출되도록 경품배출기(14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회전판(200)의 회전이 멈추도록 회전유닛(400)을 동작제어하고, 컨베이어(600)의 동작이 멈추도록 동작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하고 있는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원반(D)을 던져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였을 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골인홀(210)의 위치(예: 1시, 3시, 5시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점수를 부여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으며, 골인홀(210)의 위치(예: 1시, 3시, 5시 등)에 따른 골인홀(210)을 통과한 원반(D)의 수가 골인표시부(170)에 시각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도전의식과 승부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200)의 골인홀(210) 둘레에는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되어 불빛을 방출하는 LED(900)가 더 보강 구비되고, LED(900)의 불빛이 회전판(200)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판(200)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인홀(210)이 회전되는 과정에 골인홀(210) 주변의 LED(900)가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며, 이때 LED(900)가 점등된 골인홀(210)의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이벤트를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이벤트라 함은 설정시간을 추가해주는 것일 수도 있고, 추가점수를 주는 것일 수도 있고, 경품의 추가획득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LED(900)가 점등된 골인홀(210)의 원반감지센서(3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 제어부(700)는 점등된 LED(900)가 소등되도록 동작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게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함으로써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어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회전유닛(400)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유닛(400')과 같이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회전판과 지지롤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상기 회전유닛(400')은 다수의 지지롤러(410')와 종동풀리(420), 모터(430), 구동풀리(440) 및 벨트(4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롤러(410')는 회전판(200)의 외주면에 방사상(상측에 2개, 하측에 2개)으로 배치되며, 회전판(2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져 회전판(200)을 지지하면서 회전판(200)의 이탈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지지롤러(4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0)의 외주면 일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홈(411')을 구비하며, 이 홈(411')에 회전판(200)을 끼우게 되면 회전판(20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은 물론 안정적인 지지 및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지지롤러(410')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게 되면, 회전판(200)을 게임기본체(100)에 축 회전가능하게 별도로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종동풀리(420)는 다수의 지지롤러(4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지롤러(410')를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동풀리(420)에 의해 회전된 지지롤러(410')는 회전판(200)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있어 마찰력을 매개로 회전판(200)을 회전시켜주게 된다.
상기 모터(430)는 게임기본체(100)의 전면판(110)에‘ㄷ’자 형상의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며,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한다.
일 예로, 상기 모터(430)는 DC모터, 서보모터(servomotor),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 예로 대신한다.
상기 구동풀리(440)는 모터(430)의 축에 고정되어 모터(43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벨트(450)는 구동풀리(440)와 종동풀리(420)를 상호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구동풀리(440)의 회전력을 종동풀리(4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일 예로서 타이밍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구동풀리(440)와 종동풀리(420) 및 벨트(450) 대신 구동/종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회전유닛(400')의 동작관계를 설명해 보면, 제어부(700)에 의해 모터(430)가 구동되어 구동풀리(440)를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풀리(440)의 회전에 의해 벨트(45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풀리(420)가 회전하게 되며, 종동풀리(420)의 회전에 의해 지지롤러(41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41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롤러(410')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있는 회전판(200)은 마찰력을 매개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200)이 회전함에 따라 슬롯형상의 골인홀(210)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430)로 서보모터(servomotor)나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를 적용할 경우 대형의 서보모터나 스테핑모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상에 부담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서감지부(220)와 다수의 위치감지센서(1000)를 통해 이를 해소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센서감지부(220)는 회전판(200)과 함께 회전하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회전판(2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프레임(4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000)는 골인표시부(170)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게 회전판(20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센서감지부(220)를 감지해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700)는 위치감지센서(10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회전판(200)의 회전각도를 산출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임기본체(100)의 화폐투입기(130)에 화폐를 투입하게 되면, 제어부(700)에 의해 화폐표시부(150)에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타임표시부(160)에는 설정된 게임시간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기본체(100)에 설치된 시작버튼(500)을 터치하게 되면, 시작버튼(500)의 시작신호가 제어부(700)로 전달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타임표시부(160)에 표시된 숫자는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며, 이와 동시에 컨베이어(600)와 회전유닛(400)이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하게 되며, 회전유닛(400)에 의해 회전판(2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400)의 모터(430)는 DC모터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200)이 회전하는 과정에 회전판(200)과 함께 회전하는 센서감지부(220)가 위치감지센서(10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위치감지센서(1000)는 센서감지부(220)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반(D)을 잡고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던지면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던진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원반감지센서(3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위치감지센서(10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산출하고, 회전각도에 따른 점수신호를 토탈점수판(800)으로 출력하게 되며, 토탈점수판(800)에는 점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골인홀(210)과 동축상에 배치된 해당 골인표시부(170)에 통과한 원반(D)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설정된 시간의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어부(700)는 토탈점수판(800)에 표시된 토탈점수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게 되는데, 토탈점수가 기설정된 값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경품이 인출되도록 경품배출기(14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회전판(200)의 회전이 멈추도록 회전유닛(400)을 동작제어하고, 컨베이어(600)의 동작이 멈추도록 동작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하고 있는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원반(D)을 던져 원반(D)이 골인홀(210)을 통과하였을 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골인홀(210)의 위치(예: 1시, 3시, 5시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점수를 부여함으로서 게임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 및 승부욕을 보다 더 자극할 수 있으며, 골인홀(210)의 위치(예: 1시, 3시, 5시 등)에 따른 골인홀(210)을 통과한 원반(D)의 수가 골인표시부(170)에 시각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도전의식과 승부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로서, 앞서 언급한 센서감지부(220)와 다수의 위치감지센서(1000)를 도 10의 원반투척게임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감지부(220)는 회전판(200)과 함께 회전하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회전판(2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프레임(4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000)는 회전판(20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센서감지부(220)를 감지해 제어부(7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700)는 위치감지센서(10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회전판(200)의 회전각도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4실시 예는 지지롤러(410')에 의해 회전판(200)이 회전된다는 점만 상이할 뿐 센서감지부(220)와 위치감지센서(1000) 및 제어부(700)의 기능이 제3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3실시 예로 대신한다.
한편, 컨베이어(600)의 운반용 벨트가 비록 아크릴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원반(D)을 무단으로 획득해 회전판(200)의 골인홀(210)을 향해 던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1100)을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차폐판(1100)은 컨베이어(600)의 일측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반(D)을 무단으로 인출할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차폐판(1100)을 설치했음에 불구하고 컨베이어(600)의 운반용 벨트가 게임기본체(100)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무단으로 운반용 벨트에 얹혀진 원반(D)을 던져보거나 원반(D)을 훔쳐갈 소지가 매우 다분하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게임기본체(100)에 차단유닛(1200)을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원반투척게임기의 측단면 확대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단유닛(12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차단유닛(1200)은 케이스(1210)와 차폐망(1220), 권취봉(1230), 스파이럴 스프링(1240) 및 드럼모터(125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컨베이어(600)의 상부를 덮어 원반(D)의 무단인출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210)는 컨베이어(600)의 상부에 위치되게 게임기본체(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드럼모터(1250)는 컨베이어(600)와 차폐판(1100) 사이에 배치되게 게임기본체(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21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공지의 함체로서, 내부에는 차폐망(1220)과 권취봉(1230) 및 스파이럴 스프링(1240)이 내설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차폐망(1220)은 게임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컨베이어(600)의 상부를 덮어 원반(D)의 무단이탈을 방지하고, 게임 중에는 케이스(1210)에 내설되어 컨베이어(600)가 상방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차폐망(1220)의 일단은 권취봉(1230)에 연결되고, 타단은 드럼모터(1250)의 드럼(941)에 줄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권취봉(1230)은 케이스(1210)에 내설되어 차폐망(1220)을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240)은 케이스(1210)에 내설되어 복원력을 매개로 권취봉(12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럼모터(1250)는 통상의 서보모터로서, 차폐망(1220)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드럼(1251)을 구비하며,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되어 드럼(125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시작버튼(500)을 터치하게 되면, 시작버튼(500)으로부터 시작신호가 제어부(500)로 입력되고, 제어부(500)는 드럼모터(1250)를 동작제어하여 차폐망(1220)의 줄을 권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폐망(1220)이 권출됨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1240)은 복원력을 매개로 권취봉(12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권취봉(1230)에는 차폐망(1220)이 권취되면서 컨베이어(600)의 상부를 덮고 있던 차폐망(1220)이 오픈된다.
한편, 상기 게임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드럼모터(1250)를 동작제어하여 차폐망(1220)의 줄을 권취하게 되고, 줄이 권취됨에 따라 권취봉(1230)에 권취되어 있던 차폐망(1220)이 차폐판(1100)을 향해 이동되어 컨베이어(600)의 상부를 덮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600)의 상부가 차단유닛(120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원반(D)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게임기본체 110: 전면판 120: 아크릴판
130: 화폐투입기 140: 경품배출기 150: 화폐표시부
160: 타임표시부 170: 골인표시부 200: 회전판
210: 골인홀 220: 센서감지부 300: 원반감지센서
400,400': 회전유닛 410: 프레임 410': 지지롤러
420: 종동풀리 430: 모터 440: 구동풀리
450: 벨트 500: 시작버튼 600: 컨베이어
700: 제어부 800: 토탈점수판 900: LED
1000: 위치감지센서 1100: 차폐판 1200: 차단유닛
1210: 케이스 1220: 차폐망 1230: 권취봉
1240: 스파이럴 스프링 1250: 드럼모터

Claims (12)

  1. 구멍을 갖춘 전면판을 구비하는 게임기본체;
    상기 전면판의 구멍으로 노출되며 원반이 통과되는 슬롯형상의 골인홀을 갖추고서 구멍을 중심으로 슬롯형상의 골인홀이 회전될 수 있게 게임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골인홀을 통과하는 원반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원반감지센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게임기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시작버튼;
    상기 게임기본체의 전면판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전면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원반을 사용자에게 운반하는 컨베이어;
    상기 시작버튼으로부터 시작신호를 전달받아 회전유닛과 컨베이어를 각각 동작제어하고, 각각의 원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점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점수신호를 전달받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토탈점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게임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종동풀리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져 회전판을 지지하면서 회전판의 이탈을 잡아주는 다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다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종동풀리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센서감지부;
    상기 회전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센서감지부를 감지해 제어부로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위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골인홀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불빛을 방출하는 LED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골인홀 주변의 LED가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고, LED가 점등된 골인홀의 원반감지센서가 원반을 감지하면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상부에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폐판이 보강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반을 무단으로 인출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에는 골인홀의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의 골인홀을 통과한 원반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골인표시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원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골인표시부에 통과한 원반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에는 골인홀의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의 골인홀을 통과한 원반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골인표시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원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골인표시부에 통과한 원반의 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에 설치되며 화폐가 투입되는 화폐투입기;
    상기 게임기본체의 전면판에 설치되며 화폐의 양을 표시하는 화폐표시부;
    상기 게임기본체의 전면판에 설치되며 게임진행시간이 카운트되는 타임표시부;
    상기 게임기본체에 설치되며 경품이 배출되는 경품배출기;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시작버튼으로부터 시작신호를 전달받아 타임표시부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되도록 동작제어하고, 설정된 카운트가 완료되면 토탈점수판에 표시된 토탈점수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경품배출기로부터 경품이 배출될 수 있게 경품배출기를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에 설치되며 화폐가 투입되는 화폐투입기;
    상기 게임기본체의 전면판에 설치되며 화폐의 양을 표시하는 화폐표시부;
    상기 게임기본체의 전면판에 설치되며 게임진행시간이 카운트되는 타임표시부;
    상기 게임기본체에 설치되며 경품이 배출되는 경품배출기;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시작버튼으로부터 시작신호를 전달받아 타임표시부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되도록 동작제어하고, 설정된 카운트가 완료되면 토탈점수판에 표시된 토탈점수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경품배출기로부터 경품이 배출될 수 있게 경품배출기를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인입출가능하게 내설되어 컨베이어의 상부를 덮어 원반의 무단인출을 방지토록 하는 차폐망과,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차폐망을 권취하는 권취봉과,
    복원력을 매개로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차폐망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드럼을 갖추고서, 컨베이어와 차폐판 사이에 배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로 구성된 차단유닛이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시작버튼으로부터 시작신호를 전달받아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된 차폐망이 권취봉에 권취될 수 있게 드럼모터를 동작제어하여 차폐망이 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투척게임기.
KR1020190073902A 2019-06-21 2019-06-21 원반투척게임기 KR10233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02A KR102336635B1 (ko) 2019-06-21 2019-06-21 원반투척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02A KR102336635B1 (ko) 2019-06-21 2019-06-21 원반투척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10A KR20200145210A (ko) 2020-12-30
KR102336635B1 true KR102336635B1 (ko) 2021-12-09

Family

ID=7408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902A KR102336635B1 (ko) 2019-06-21 2019-06-21 원반투척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6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6078A (ja) 2002-02-20 2003-08-26 Zukku:Kk ボールゲーム装置
JP2007125097A (ja) 2005-11-01 2007-05-24 Unie Kiki:Kk 輪投げゲーム装置
JP2008110111A (ja) 2006-10-31 2008-05-15 Hirano Seiki Kogyo Kk 投げだま遊具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7-03-24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파워볼 게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02A (ko) * 2002-02-26 2003-08-30 (주)이도전자 석궁 게임기
KR20060125975A (ko) * 2005-06-01 2006-12-07 정대철 투호 유희구
KR101223170B1 (ko) 2010-10-29 2013-01-17 최경화 원반경기용 타겟장치
KR101877537B1 (ko) * 2016-12-07 2018-08-0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하키 게임장치 및 그의 점수 산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6078A (ja) 2002-02-20 2003-08-26 Zukku:Kk ボールゲーム装置
JP2007125097A (ja) 2005-11-01 2007-05-24 Unie Kiki:Kk 輪投げゲーム装置
JP2008110111A (ja) 2006-10-31 2008-05-15 Hirano Seiki Kogyo Kk 投げだま遊具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7-03-24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파워볼 게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10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5556B2 (ja) 抽選装置
JP5746743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4925283B2 (ja) 遊技機
KR102336635B1 (ko) 원반투척게임기
JP5155062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3629758B2 (ja) ボールゲーム装置
JP2008245745A (ja) 遊技機
JP6806180B2 (ja) 遊技機
KR102176083B1 (ko) 원반투척게임기
JP2009005953A (ja) 遊技機
JP5467384B2 (ja) 遊技機
JP3934988B2 (ja) 遊技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563040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4699325B2 (ja) 遊技機
JP4831846B2 (ja) 遊技台
JP4699323B2 (ja) 遊技機
JP2007307164A (ja) 遊技機
JP2010046177A (ja) メダル投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ダルゲーム機
JPH0214072B2 (ko)
JP3574039B2 (ja) パチンコ装置
JP3573787B2 (ja) パチンコ装置
JP4699324B2 (ja) 遊技機
JPH0310350B2 (ko)
JP2020182884A (ja) 遊技機
JP2007075457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