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920B1 - 파워볼 게임기 - Google Patents

파워볼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920B1
KR101719920B1 KR1020150140505A KR20150140505A KR101719920B1 KR 101719920 B1 KR101719920 B1 KR 101719920B1 KR 1020150140505 A KR1020150140505 A KR 1020150140505A KR 20150140505 A KR20150140505 A KR 20150140505A KR 101719920 B1 KR101719920 B1 KR 10171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all
game
display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14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4Coin operated
    • A63F2250/142Coin operated with pay-out or rewarding with a pr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하여 임의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성공에 따라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볼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본체부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부; 제어장치부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고정 설치되고, 레일을 구비하여,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상기 레일을 따라 전진시켜 주기 위한 게임판부; 게임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이머에 의해 볼을 가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버부; 및 게임판부의 상부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진열한 상품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상품진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워볼 게임기{Power-Ball Game Machin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파워볼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을 이용하여 임의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성공에 따라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볼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게임기는, 일반적으로 아케이드 게임장 등에서 사용하며, 게임의 흥미를 부가하기 위하여 게임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별도로 구비된 상품을 게이머에게 주는 방식을 종종 이용한다. 이때, 게임장의 사업자 또는 종업원은 게이머가 한 게임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직접 확인한 후에 해당 상품을 주었다. 또한, 게임기는, 내부에 소정의 상품을 구비하여, 게이머의 게임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상품을 배출하는 형태를 사용하거나, 게이머가 조정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가져가는 형태(예를 들어, 포크레인 게임기)를 사용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8509호(2014.05.16 등록)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본체와, 본체 전면의 한 변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를 고정하고, 상부에 투명한 창이 구비되며, 투명한 창 하부에 돈 투입구와 조작부와 경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도어와, 본체 내부 상부에 내설되고, 경품을 진열하는 복수 개의 경품 적재소를 구비하는 경품 진열대와, 경품 진열대 하부의 본체 내에 내설되고, 상부에서 중력의 힘으로 낙하하는 공의 경로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공 낙하 충돌부와, 공 낙하 충돌부 하부에 구비되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 통과홀과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골대와, 골대에 구비되는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할 때 제3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경품 적재소에 놓여 있는 경품을 경품 인출구로 투입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골대를 통과한 공을 공 낙하 충돌부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 공 가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공을 간단한 작동 장치에 의해 상부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중력에 의해 낙하시키는 방식이므로 고장이 적고, 공이 떨어지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매번 예측하기 어렵게 변동됨으로써 약간의 운과 게임자의 운동 신경을 필요로 하므로 게임이 쉽게 질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1569호(2014.08.12 등록)는 코인 투입 후에 게임 미션을 성공시킬 경우 게임 장치와 연동되는 경품 진열장 도어의 로킹상태가 해제되어 게이머가 직접 진열경품을 획득함에 따라, 게임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를 최소화하여 유지비용 및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품 진열장이 구비되는 게임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코인 투입구와, 게임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에 의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게임기 본체와, 이송체인에 의해 공급되는 미션용 볼을 소정위치에 낙하시키는 슈트와, 슈트로부터 낙하되는 미션용 볼의 이동통로를 구획하는 가이더가 배열되는 게임미션용 보드와, 입력수단의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게임기 본체의 내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볼캡처와, 게임미션용 보드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캡처를 통과하여 카운팅되는 숫자를 표시하는 미션결과표시부와, 게임미션용 보드의 일측에 설치되고, 게이머가 게임미션 시작 전에 임의의 경품을 지정할 수 있도록 지정된 경품에 해당되는 표시부가 표기되는 경품선택부와, 경품선택부의 표시부와 일치되는 표시부가 표기되고, 게임미션 성공 시에 게이머가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경품이 수용되는 경품 진열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게임기는, 집게를 이용한 선물을 뽑는 게임기의 경우에, 단순하게 집게를 좌우만을 이동하여 선물을 선택하고 뽑으므로, 게임에 대한 난이도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막대기를 이용하여 밀어내는 게임기의 경우에도, 단순하게 막대기를 밀어서 선물을 선택하여 뽑으므로, 게임에 대한 난이도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게임기는, 집게와 밀어내기 패널을 사용한 게임기의 경우에, 단순하게 선물을 옮겨 원하는 위치에 놓아야 하며, 패널에 선물이 모여 있어야만 선물이 나오므로, 선물을 옮겨도 선물을 뽑을 수가 없어 게이머가 허무함을 느낄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움직이는 형상을 홈에 넣어 원하는 상품을 뽑는 게임기의 경우에는, 게이머의 착시를 이용한 방법이기 때문에 게이머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850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3156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을 이용하여 임의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성공에 따라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볼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부; 상기 제어장치부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고정 설치되고, 레일을 구비하여,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상기 레일을 따라 전진시켜 주기 위한 게임판부; 상기 게임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이머에 의해 볼을 가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버부; 및 상기 게임판부의 상부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진열한 상품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상품진열부를 포함하는 파워볼 게임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파워볼 게임기는, 본체부의 하부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게임을 실행하거나 상기 상품진열부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부재 및 게임의 횟수와 게임 진행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거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볼을 가격하기 위한 팁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면서, 상기 팁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팁부재를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부재; 상기 팁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팁부재와 연동하여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볼 가격 후에 상기 이동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파워볼 게임기는, 상기 상품진열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품진열부로부터 하강하는 상품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상품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게임판부는, 상기 제어장치부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게임판부재; 상기 게임판부재에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전진시켜 주기 위한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상기 레일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볼 가격 시에 볼을 전진하도록 함과 동시에 볼의 후진을 막아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볼이 전진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센서부재; 및 상기 제1센서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부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볼이 도달해야 할 도달지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게임판부는, 상기 게임판부재의 후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에 대한 상태를 표시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제2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품진열부는,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진열바부재; 상기 제1진열바부재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진열바부재; 상기 제1진열바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모터부재;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에 진열된 상품을 밀어주기 위한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바부재;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기어와 기어를 접촉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바부재를 연결해 주는 솔레노이드부재;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에 의해 연결된 솔레노이드바부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제2모터부재; 및 상기 제어장치부로부터 상품배출명령을 전달받아, 상품배출명령에 해당되는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제1진열바부재 또는 제2진열바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모터부재로 인가하고,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부재 및 상기 제2모터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품배출부는,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제1진열바부재 또는 상기 제2진열바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상품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부에 전달해 주기 위한 제2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파워볼 게임기는,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에 진열한 상품에 대한 최초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파워볼 게임기는, 상기 세팅스위치부의 입력에 따라 최초 위치를 세팅한 후에,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에 진열한 상품들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를 얻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을 이용하여 임의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성공에 따라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볼 게임기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지정된 위치가 게임을 할 때마다 변하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난이도가 상당하며, 이에 게이머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게이머가 레버를 사용하여 직접 볼을 가격할 수 있어 게임에 더욱 더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품 진열대를 상단과 하단으로 구비하여 게이머에게 상품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으며, 게임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나누어서 상품을 획득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단계와 점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의 크기 및 종류를 달리함으로써 게이머가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워볼 게임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게임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레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도 1에 있는 상품진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상품배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워볼 게임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볼 게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파워볼 게임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워볼 게임기(10)는, 본체부(100), 제어장치부(200), 게임판부(300), 레버부(400), 상품진열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 하부에 제어장치부(200)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전면과 후면과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게이머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투명창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장치부(200)는, 상부에 게임판부(300)를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고정 설치하고, 상부 중앙부분에 상품진열부(500)를 고정 설치하고, 하부에 레버부(400)를 형성하며, 본체부(100)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이머가 화폐투입구를 통해 화폐를 투입하면, 투입한 화폐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폐에 대한 금액에 대응하는 게임 횟수와 게임 시간에 대한 게임횟수알림신호와 시간알림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게임횟수알림신호와 시간알림신호를 거치부(600)의 디스플레이부재(620)로 전달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재(620)는, 제어장치부(200)로부터 게임횟수알림신호와 시간알림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게임횟수알림신호와 시간알림신호에 대응하는 게임 횟수 및 게임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이머가 거치부(600)의 버튼부재(610)(즉, 게임실행버튼)를 누르는 경우에, 버튼부재(610)의 게임실행버튼을 감지하여, 게임판부(300)의 걸림부재(330)(도 2 참조)의 제2연결바에 연결된 라인에 연결 설치된 모터가 구동하도록 하며, 모터가 구동하면, 라인을 전방향으로 잡아당겨 걸림부재(330)(즉,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가 눕혀지고, 이에 게임판부(300)의 레일부재(320)의 상단에 위치하던 볼이 레버부의 (400)의 팁부재(420)(도 3 참조)까지 굴러 내려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부(200)는, 게임판부(300)의 제1표시부재(350)(도 2 참조)가 볼이 도달해야 할 위치를 알려주도록 위치알림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위치알림신호를 제1표시부재(350)로 전달한다. 이때, 제1표시부재(350)는, 제어장치부(200)로부터 위치알림신호를 전달받아 볼이 도달해야 할 위치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이머가 레버부(400)의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겨 볼을 가격하면 볼이 레일부재(320)를 따라 전진하고, 걸림부재(330)에 걸려 멈추면, 게임판부(300)의 제1센서부재(340)(도 2 참조)가 볼의 위치를 감지하며, 볼이 도달지정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성공알림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성공알림신호를 게임판부(300)의 제2표시부재(360)(도 2 참조)로 전송한다. 이 때, 제2표시부재(360)는, 제어장치부(200)로부터 성공알림신호를 전달받아 "POWER BALL HIT"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이머가 상품진열부(500)의 제1진열바부재(510)(도 4 참조)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도 4 참조)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할 시에, 선택한 상품에 대한 상품배출명령을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상품배출명령을 상품진열부(500)의 제어부재(570)(도 4 참조)로 전달한다. 이 때, 제어부재(570)는, 제어장치부(200)로부터 상품배출명령을 전달받아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품진열부(500)의 제1모터부재(530)로 인가하고,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품진열부(500)의 솔레노이드부재(550) 및 제2모터부재(560)로 인가하여,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를 회전시켜 해당 상품이 상품배출부(70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여, 게임의 전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공의 처음 위치 선정, 남은 게임 횟수 카운팅, 상품의 최초 위치 선정, 볼의 도달지정위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임이 시작될 때마다 볼의 도달지정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임판부(300)의 제1표시부재(350)를 사용하여 난이도 단계를 조절하고, 난이도 단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상품군을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이도 단계는, 1단계의 경우, 제1표시부재(350)가 볼의 도달지정위치 구간을 3구간(즉, 3칸)으로 표시하며, 2단계의 경우, 2구간(즉, 2칸), 3단계의 경우, 1구간(즉, 1칸)으로 표시하여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군은, 1단계의 경우에 제1진열바부재(510)에 진열된 상품 중에서 1번~ 5번이며, 1단계의 경우에 제1진열바부재(510)에 진열된 상품 중에서 6번~ 10번이며, 3단계의 경우에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된 상품(즉, 11번~ 15번)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점수는, 난이도 단계에 따라 다르게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는, 1단계의 경우에 10점, 2단계의 경우에 20점, 3단계의 경우에 30점으로 책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예를 들어 게이머가, 1단계를 성공한 경우에, 10점을 획득하며, 상품진열부(500)의 제1진열바부재(510)의 1번~ 5번 상품 중에서 원하는 상품을 거치부(600)의 버튼부재(610)를 눌러 선택하면, 선택한 상품이 상품배출부(7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200)는, 게임이 끝나면, 모터(즉, 걸림부재(330)의 제2연결바에 연결된 라인에 연결 설치된 모터)를 제어하도록 모터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모터제어신호를 모터로 전달한다. 이에 모터는, 제어장치부(200)부터 모터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제2연결바에 연결된 라인을 전방향으로 잡아당겨 게임판부(300)의 레일부재(320)에 걸려 있던 볼을 굴려 원래의 위치(즉, 레버부(400)의 팁부재(420)에 대향하는 위치)로 위치시켜 줄 수 있다.
게임판부(300)는, 제어장치부(200)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고정 설치되고, 레일을 구비하여,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레일을 따라 전진시켜 준다.
레버부(400)는, 게임판부(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이머에 의해 볼을 가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부(400)는, 돌출형태가 아닌 나선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게이머가 손으로 레버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본체부(100) 주변의 게이머 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품진열부(500)는, 게임판부(300)의 상부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진열한 상품을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진열부(500)는, 게임판부(300)의 상부 중앙부분(즉, 본체부(100) 내부의 상부면 부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진열부(500)는, 다수 개의 단(바람직하게는, 상단과 하단)으로 나뉘어 다양한 상품들을 진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파워볼 게임기(10)는, 거치부(600), 상품배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60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게임을 실행하거나 상품진열부(500)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부재(610) 및 게임의 횟수와 게임 진행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재(620)를 거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600)는, 하부에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화폐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600)는, 게임판부(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600)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부재(610)(즉, 게임실행버튼)와 상품진열부(500)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부재(610)(즉, 선택버튼)를 각각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600)는, 게임의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재(620)와 게임 진행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재(620)를 각각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재(620)는, 예를 들어 화폐투입구에 5000원을 투입한 경우, 게임의 횟수 0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게이머에게 6번의 게임을 한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상품배출부(700)는, 상품진열부(50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품진열부(500)로부터 하강하는 상품을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배출부(700)는, 본체부(100) 내부에서 상품진열부(50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품을 외부로 배출시켜 게임에 성공한 게이머가 상품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파워볼 게임기(10)는, 게임판부(300)에 구비된 볼을 이용하여 임의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성공에 따라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임의로 지정된 위치가 게임을 할 때마다 변하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난이도가 상당하며, 이에 게이머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게이머가 레버부(400)를 사용하여 직접 볼을 가격할 수 있어 게임에 더욱 더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품진열부(500)를 상단과 하단으로 구비하여 게이머에게 상품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으며, 게임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나누어서 상품을 획득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단계와 점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의 크기 및 종류를 달리함으로써 게이머가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게임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임판부(300)는, 게임판부재(310), 레일부재(320), 다수 개의 걸림부재(330), 다수 개의 제1센서부재(340), 다수 개의 제1표시부재(350)를 포함한다.
게임판부재(310)는, 레일부재(320)를 일정한 형태로 형성하고, 제어장치부(200)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게임판부재(310)는, 예를 들어 약 2도~10도의 일정한 경사각도(바람직하게는, 5도)를 가지도록 제어장치부(200)의 상부(즉, 본체부(100) 내부의 중앙부분)에 비스듬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재(320)는, 제1센서부재(340)에 대응하여 양측에 제1표시부재(350)를 각각 형성하고, 하부에 걸림부재(330)를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하고, 게임판부재(310)에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전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일부재(320)는, 일정한 형태(예를 들면, 〈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330)는,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1센서부재(340)를 각각 형성하고, 레일부재(320)를 따라 레일부재(32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볼 가격 시에 볼을 전진하도록 함과 동시에 볼의 후진을 막아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부재(330)는, 볼을 걸어주기 위한 제1연결바와 제1연결바에 연결된 제2연결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 사이에 힌지를 구비하여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부재(330)는, 예를 들어, 힌지에 V 타입 스프링을 설치하여, 볼이 지나갈 때에 볼에 의해 압축되어 제1연결바가 눌려지다가, 볼이 지나간 후에 복원되어 제2연결바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제1연결바에 볼이 걸려 후진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부재(330)는, 제2연결바를 라인으로 연결하고, 해당 라인에 별도의 모터를 설치하며, 모터를 구동하여 라인을 전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에, 회전 구동하여 볼이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를 구동하여 라인을 후방향으로 밀어줄 경우에, 회전 구동하여 제1연결바가 세워지면서 볼이 후진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부재(330)는, 바람직하게는 26개로 형성되어, 볼이 26개의 구간을 전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센서부재(340)는, 걸림부재(33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즉, 레일부재(32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볼이 전진한 위치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센서부재(340)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 광센서 등의 근접센서를 사용하여, 볼이 걸림부재(330)에 의해 걸려있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센서부재(340)는, 바람직하게는 26개로 형성되어, 26개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볼이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고, 게임의 성공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센서부재(340)는, 게임판부재(310)의 우측 하단에 형성되어, 볼의 초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제1표시부재(350)는, 제1센서부재(340)에 대응하여 레일부재(3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볼이 도달해야 할 도달지정위치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표시부재(350)는, 예를 들어, LED 모듈을 사용하여, 불빛으로 볼의 도달지정위치(즉, 볼이 도달해야할 구간)를 게이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표시부재(350)는, 바람직하게는 25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게임판부(300)는, 다수 개의 제2표시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표시부재(360)는, 게임판부재(310)의 후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에 대한 상태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표시부재(360)는, 예를 들어, LED 모듈을 사용하여, 게임 진행에 대한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약 4개 ~ 5개의 개수로 게임판부재(310)의 후부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표시부재(360)는, 게임에 대한 시작, 종료, 도전 진행에 대한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재(360)는, 게임이 종료 되었을 경우, 'GAME OVER'에 위치한 LED 모듈을 밝혀주며, 도전 진행일 경우, 'POWER BALL HIT'에 위치한 LED 모듈을 밝혀주어 게임 진행 상태를 게이머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레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버부(400)는, 고정부재(410), 팁부재(420), 손잡이부재(430), 이동부재(440), 두 개의 지지부재(450), 두 개의 제1탄성부재(460), 제2탄성부재(47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10)는, 일측에 팁부재(420)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 손잡이부재(430)를 연결 형성하며, 거치부(600)에 고정 설치된다.
팁부재(420)는, 일측에 손잡이부재(430)를 고정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 이동부재(440)를 연결 형성하며, 고정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볼을 가격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팁부재(420)는, 충격을 줄여줄 수 있는 소재(예를 들어, 우레탄)로 형성되어, 볼을 가격할 때의 레버부(400)가 받는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손잡이부재(430)는, 고정부재(41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면서, 팁부재(420)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팁부재(420)를 잡아당긴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재(430)는, 고정부재(410)의 다른 일측에 돌출형태가 아닌 나선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게이머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재(440)는, 팁부재(42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팁부재(420)와 연동하여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440)는, 두 개의 지지부재(450)를 관통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홀과 두 개의 홀 중앙부분에 팁부재(420)와 손잡이부재(430)를 연결하는 바를 관통시켜주기 위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450)는, 외측에 제1탄성부재(460)를 각각 형성하고, 이동부재(440)의 양측과 고정부재(410)의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부재(440)를 지지해 준다.
제1탄성부재(460)는, 지지부재(45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면서, 이동부재(440)의 양측과 고정부재(410)의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볼 가격 후에 이동부재(4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탄성부재(460)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게이머가 볼을 가격하기 위해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길 때에 압축되어 있다가,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긴 후에 복귀되어 이동부재(4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다.
제2탄성부재(470)는, 고정부재(410)와 손잡이부재(430) 사이에 형성되어, 손잡이부재(4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탄성부재(470)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게이머가 볼을 가격하기 위해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길 때에 압축되어 있다가,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긴 후에 복귀되어 손잡이부재(4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레버부(400)는, 게이머가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길 시에, 손잡이부재(430)와 연결된 팁부재(420)도 잡아당겨지며, 이때 팁부재(420)는, 이동부재(440)를 밀어주고, 이동부재(440)에 의해 제1탄성부재(460)가 압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레버부(400)는, 게이머가 손잡이부재(430)를 잡아당긴 후 놓으면, 제1탄성부재(460)의 압축이 복귀되면서 이동부재(440)를 밀어주며, 이때 이동부재(440)는, 팁부재(420)를 밀어주어 볼을 가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레버부(400)는, 게이머가 손잡이부재(430)를 타격하면, 손잡이부재(430)가 제2탄성부재(470)를 압축하여 손잡이부재(430)와 연결된 팁부재(420)를 밀어 팁부재(420)가 볼을 가격할 수 있고, 볼을 가격한 후에 제2탄성부재(470)의 압축이 복귀되면서 손잡이부재(430)와 팁부재(4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및 도 5는 도 1에 있는 상품진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품진열부(500)는, 다수 개의 제1진열바부재(510), 다수 개의 제2진열바부재(520), 제1모터부재(530),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바부재(540), 솔레노이드부재(550), 제2모터부재(560), 제어부재(570)를 포함한다.
제1진열바부재(510)는, 상부에 제1모터부재(530)를 설치하고, 하부에 제2진열바부재(520)를 연결 형성하며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형성하고,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진열바부재(510)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 개(바람직하게는, 10개)의 상품을 걸어서 진열할 수 있다.
제2진열바부재(520)는, 하부에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형성하고, 제1진열바부재(5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진열바부재(520)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 개(바람직하게는, 5개)의 상품을 걸어서 진열할 수 있으며, 제1진열바부재(510)보다 더 큰 부피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는, 고리를 부착한 상품을 거치하여 상품을 진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하여, 진열한 상품이 엉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모터부재(530)는, 제1진열바부재(5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모터부재(530)는, 예를 들어 스태핑모터로서, 배출시킬 상품이 진열된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를 상품배출부(700)의 상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모터부재(530)는,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를 각각 회전시켜 상품배출부(700)의 근처로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를 내려 줄 수 있다.
솔레노이드바부재(540)는,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된 상품을 밀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솔레노이드바부재(540)는, 예를 들어, 샤프트로서, 외부면에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솔레노이드부재(550)의 구동에 의해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를 밀어주면서 스프링을 압축하여 진열된 상품을 밀어줄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재(550)는, 제어부재(570)로부터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기어(551)와 기어(551)를 접촉시켜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연결해 준다.
제2모터부재(560)는,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부재(550)에 의해 연결된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모터부재(560)는, 예를 들어 DC 모터로서, 소음과 전력 소비가 낮고 세밀하게 속도를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구동시켜 제1진열바부재(510)또는 제2진열바부재(520)에 거치된 상품이 상품배출부(700)에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재(570)는, 제어장치부(200)로부터 상품배출명령을 전달받아, 상품배출명령에 해당되는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1모터부재(530)로 인가하고,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솔레노이드부재(550) 및 제2모터부재(560)를 제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570)는, 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회전제어신호를 제1모터부재(530)로 인가한다. 이 때, 제1모터부재(530)는, 제어부재(570)로부터 회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를 회전시켜 상품배출부(7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570)는, 배출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솔레노이드부재(550) 및 제2모터부재(560)로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솔레노이드부재(550)는, 제어부재(570)로부터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기어(551)와 기어(551)를 접촉시켜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연결하고, 제2모터부재(560)는, 제어부재(570)로부터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솔레노이드부재(550)에 의해 연결된 솔레노이드바부재(540)를 구동시켜 제1진열바부재(510)또는 제2진열바부재(520)에 거치된 상품이 상품배출부(700)에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상품배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품배출부(700)는, 제2센서부재(710)를 포함한다.
제2센서부재(710)는, 상품배출부(700)의 내부에 설치하여,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에서 배출된 상품을 감지하여, 제어부재(560)에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센서부재(570)는, 제1진열바부재(510) 또는 제2진열바부재(520)에서 배출된 상품을 감지할 경우에 상품배출알림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상품배출알림신호를 제어부재(5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재(560)는, 제2센서부재(570)로부터 상품배출알림신호를 전달받아 상품진열부(500)의 회전을 멈춰주기 위해서 모터부재(530)를 제어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센서부재(570)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 광센서 등의 근접센서를 사용하여, 제2진열바부재(520)에서 배출된 상품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센서부재(570)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일 경우에 일측에 송광소자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수광소자가 형성되어, 평상시에 송광소자에서 보내는 적외선을 수광소자가 받고 있다가, 상품이 배출되었을 시에 송광소자에서 보내는 적외선을 배출된 상품이 차단하여 수광소자가 적외선을 받지 못함으로써 상품이 배출되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상품배출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워볼 게임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파워볼 게임기(10)는, 본체부(100), 제어장치부(200), 게임판부(300), 레버부(400), 상품진열부(500), 거치부(600), 상품배출부(700), 세팅스위치부(800), 센서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제어장치부(200), 게임판부(300), 레버부(400), 상품진열부(500) 거치부(600), 상품배출부(7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세팅스위치부(800)는,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한 상품에 대한 최초 위치를 세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팅스위치부(210)는,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로서,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한 상품의 번호와 처음 위치 설정을 세팅함으로써,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초기 절대 좌표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제어장치부(200)는, 세팅스위치부(800)의 입력에 따라 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1모터부재(530)로 인가해 준다. 이에 제1모터부재(530)는, 제어장치부로부터 인가되는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제어장치부(200)는, 버튼부재(610)를 통한 상품(예를 들어, 1번 상품) 선택 시에,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한 상품(예를 들어, 1번 상품)을 상품배출부(700)의 상부에 최초 위치로 설정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한 상품 중에서 게이머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도록 초기 절대 좌표를 생성시켜 줄 수 있다.
센서부(900)는,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한 상품들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를 얻는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900)는, 예를 들어 포터 인터럽트 또는 엔코더 센서를 사용하여, 세팅스위치부(800)의 입력에 따라 최초 위치를 세팅한 후에, 제1진열바부재(510)와 제2진열바부재(520)에 진열한 상품들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제어장치부(200)는, 센서부(900)로부터 얻은 최초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게이머의 상품 선택 시에 해당 선택된 상품이 상품배출부(700)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파워볼 게임기
100: 본체부
200: 제어장치부
300: 게임판부
310: 게임판부재
320: 레일부재
330: 걸림부재
340: 제1센서부재
350: 제1표시부재
360: 제2표시부재
400: 레버부
410: 고정부재
420: 팁부재
430: 손잡이부재
440: 이동부재
450: 지지부재
460: 제1탄성부재
470: 제2탄성부재
500: 상품진열부
510: 제1진열바부재
520: 제2진열바부재
530: 제1모터부재
540: 솔레노이드바부재
550: 솔레노이드부재
551: 기어
560: 제2모터부재
570: 제어부재
600: 거치부
610: 버튼부재
620: 디스플레이부재
700: 상품배출부
710: 제2센서부재
800: 세팅스위치부
900: 센서부

Claims (10)

  1.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부;
    상기 제어장치부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고정 설치되고, 레일을 구비하여,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상기 레일을 따라 전진시켜 주기 위한 게임판부;
    상기 게임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게이머에 의해 볼을 가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버부; 및
    상기 게임판부의 상부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진열한 상품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상품진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판부는, 상기 제어장치부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게임판부재; 상기 게임판부재에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볼 가격 시에 가격된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볼을 전진시켜 주기 위한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상기 레일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볼 가격 시에 볼을 전진하도록 함과 동시에 볼의 후진을 막아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볼이 전진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센서부재; 및 상기 제1센서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부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볼이 도달해야 할 도달지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하부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게임을 실행하거나 상기 상품진열부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부재 및 게임의 횟수와 게임 진행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거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볼을 가격하기 위한 팁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면서, 상기 팁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팁부재를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부재;
    상기 팁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팁부재와 연동하여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볼 가격 후에 상기 이동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진열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품진열부로부터 하강하는 상품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상품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부는,
    상기 게임판부재의 후부에 형성되어, 게임 진행에 대한 상태를 표시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제2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진열부는,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진열바부재;
    상기 제1진열바부재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진열바부재;
    상기 제1진열바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모터부재;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에 진열된 상품을 밀어주기 위한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바부재;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기어와 기어를 접촉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바부재를 연결해 주는 솔레노이드부재;
    배출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에 의해 연결된 솔레노이드바부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제2모터부재; 및
    상기 제어장치부로부터 상품배출명령을 전달받아, 상품배출명령에 해당되는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제1진열바부재 또는 제2진열바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모터부재로 인가하고,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부재 및 상기 제2모터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배출부는,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제1진열바부재 또는 상기 제2진열바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상품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부에 전달해 주기 위한 제2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에 진열한 상품에 대한 최초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장치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진열바부재와 상기 제2진열바부재에 진열한 상품들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를 얻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볼 게임기.
KR1020150140505A 2015-10-06 2015-10-06 파워볼 게임기 KR10171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05A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5-10-06 파워볼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05A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5-10-06 파워볼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920B1 true KR101719920B1 (ko) 2017-03-24

Family

ID=5850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05A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5-10-06 파워볼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9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7857A (zh) * 2017-12-22 2018-04-27 中国科学技术馆 一种互动展示系统
CN110176112A (zh) * 2019-06-11 2019-08-27 金海正 一种出票游戏机
KR102135623B1 (ko) * 2019-01-29 2020-07-22 (주)코뮤즈 티켓 출력용 게임기
KR20200145210A (ko) * 2019-06-21 2020-12-30 김재창 원반투척게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0703B2 (ja) * 1994-11-17 1998-09-21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景品取得機
KR20100095764A (ko) * 2009-02-23 2010-09-01 김재경 아케이드 게임기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4-05-27 정성모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101431569B1 (ko) 2014-01-21 2014-08-28 (주)크레노바 경품 진열장이 구비되는 게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0703B2 (ja) * 1994-11-17 1998-09-21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景品取得機
KR20100095764A (ko) * 2009-02-23 2010-09-01 김재경 아케이드 게임기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4-05-27 정성모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101431569B1 (ko) 2014-01-21 2014-08-28 (주)크레노바 경품 진열장이 구비되는 게임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7857A (zh) * 2017-12-22 2018-04-27 中国科学技术馆 一种互动展示系统
CN107967857B (zh) * 2017-12-22 2023-12-05 中国科学技术馆 一种互动展示系统
KR102135623B1 (ko) * 2019-01-29 2020-07-22 (주)코뮤즈 티켓 출력용 게임기
CN110176112A (zh) * 2019-06-11 2019-08-27 金海正 一种出票游戏机
CN110176112B (zh) * 2019-06-11 2021-08-13 金海正 一种出票游戏机
KR20200145210A (ko) * 2019-06-21 2020-12-30 김재창 원반투척게임기
KR102336635B1 (ko) 2019-06-21 2021-12-09 김재창 원반투척게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20B1 (ko) 파워볼 게임기
US6139429A (en) Video crane game
US20090163261A1 (en) Shooting game
US8448948B1 (en) Vertically arranged arcade game
JP4811110B2 (ja) スリット付きチャッカ及びメダルゲーム装置
US20120228828A1 (en) Amusement machine including a crane game in combination with a win every time game and a game of chance
US7192342B2 (en) Crane game with ticket dispenser
US11276269B2 (en) Amusement game machine and method of play having a transmissive electronic display panel overlying play field
US20170352228A1 (en) Crane Machine with Camera and Visual Targeting Assistance
US20180330577A1 (en) Vacuum crane game with perforated targets
JP2014028315A (ja) メダルゲーム機
JP5155062B2 (ja) メダルゲーム機
KR101292834B1 (ko) 경품용 아케이드 게임기
KR101398509B1 (ko)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JP5813348B2 (ja) ゲーム用媒体、およびこのゲーム用媒体を用いて構成されたゲーム機
JP5097645B2 (ja) メダル投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ダルゲーム機
JP2007301111A (ja) メダルゲーム装置
KR101276436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용 자동토출 상품진열대
JP5164605B2 (ja) ゲーム装置
KR101165578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JP7158704B2 (ja) ゲーム用商品補充装置
JP5563040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5004827B2 (ja) ゲーム装置
JP2002113256A (ja) メダル飛ばしゲーム装置およびメダル飛ばしゲーム方法
JP4775564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