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509B1 -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509B1
KR101398509B1 KR1020130038127A KR20130038127A KR101398509B1 KR 101398509 B1 KR101398509 B1 KR 101398509B1 KR 1020130038127 A KR1020130038127 A KR 1020130038127A KR 20130038127 A KR20130038127 A KR 20130038127A KR 101398509 B1 KR101398509 B1 KR 10139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rize
main body
game
display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모
Original Assignee
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모 filed Critical 정성모
Priority to KR102013003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하여 게임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적절한 노력에 의해 상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한 변이 힌지 고정되고 상부에는 투명한 창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 부재 하부에는 돈 투입구와 조작부 및 경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부 상부에 내설되고 경품을 진열하는 복수 개 경품 적재소를 구비하는 경품 진열대와, 상기 경품 진열대 하부의 상기 본체 내에 내설되고 상부에서 중력의 힘으로 낙하하는 공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공 낙하 충돌부와, 상기 공 낙하 충돌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 통과홀과 상기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골대와, 상기 골대에 구비되는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할 때 상기 제3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경품 적재소에 놓여 있는 경품을 상기 경품 인출구로 투입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골대를 통과한 공을 상기 공 낙하 충돌부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 공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ACADE GAME APPARATUS USING BALL AND GAM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을 자유 낙하시키고, 충돌 장애물에 의해 골이 떨어지는 방향을 임의의 변경되도록 한 상태에서 게임자가 바스켓을 조이스틱으로 이동하여 떨어지는 공을 받을 경우에 경품을 지급하도록 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케이드 게임(arcade game)장치는 동전이나 지폐를 넣고 게임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대표적인 아케이드 게임으로 인베이더, 방구차, 갤러그, 벽돌깨기, 너구리와 같은 게임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아케이드 게임장치를 모아놓고 영업하는 오락실이라는 장소가 쇠퇴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업지 인근의 점포 앞에 한두 대 설치하여 게임자들이 지나가다가 가볍게 한 게임 정도 즐길 수 있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아케이드 게임장치 중에서 공을 이용하는 아케이드 게임장치가 여러 개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농구 게임장치이다. 농구 게임장치는 2m~3m 후방에 농구 골대링을 설치하고, 게임자들이 정해진 시간 동안 몇 개의 공을 넣느냐를 카운터 하여 이를 점수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렇듯 운동 종류에 가깝거나 재미 위주로 설치 운영되는 아케이드 게임장치 외에도 경품 제공을 하는 아케이드 게임장치가 있다.
경품을 제공하는 아케이드 게임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인형뽑기 게임장치를 들 수 있다. 인형뽑기 게임장치는 정해진 금액의 동전을 투입한 후, 레버를 조작하여 게임기 내부 바닥에 쌓여있는 인형 등의 상품을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집게를 이용하여 집어올려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집게에 의해 인형 등을 집어 들어올리는 게임방식이 시각적으로 흥미를 제공하게 되어 청소년들이 널리 사용하였다.
인형뽑기 게임장치는 비교적 큰 성공를 거둔 아케이드 게임장치인데, 그 성공요인으로는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선택하고 적절한 노력이 가해지면 선택한 상품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은 게임장치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대부분의 게임장치가 그러하듯 오랫동안 제공된 게임장치는 소비자들이 실증을 느끼게 되어 이용률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특허문헌에 제시된 게임장치는 공을 이용한 게임장치인데 대부분이 공을 어떤 방식으로 던지거나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튕겨올라 원하는 지점에 골인을 시키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특허문헌에 제시된 게임장치는 어느 정도 게임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는 하나 장시간 금방 실증을 느끼는 장치에 한정된다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미국등록특허 US6,357,744 (2002년 3월 19일 등록) 특허문헌 2: 미국등록특허 US5,664,777 (1997년 9월 9일 등록) 특허문헌 3: 미국등록특허 US5,851,012 (1998년 12월 22일 등록) 특허문헌 4: 미국등록특허 US3,958,806 (1976년 5월 25일 등록) 특허문헌 5: 미국등록특허 US4,149,725 (1979년 4월 17일 등록) 특허문헌 6: 미국등록특허 US4,291,879 (1981년 9월 29일 등록) 특허문헌 7: 미국등록특허 US4,611,812 (1986년 9월 16일 등록) 특허문헌 8: 미국등록특허 US5,312,285 (1994년 5월 17일 등록) 특허문헌 9: 미국등록특허 US5,492,334 (1996년 2월 20일 등록)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하여 게임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적절한 노력에 의해 상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는, 본체와, 본체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한 변이 힌지 고정되고 상부에는 투명한 창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 부재 하부에는 돈 투입구와 조작부 및 경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도어와, 본체 내부 상부에 내설되고 경품을 진열하는 복수 개 경품 적재소를 구비하는 경품 진열대와, 경품 진열대 하부의 본체 내에 내설되고 상부에서 중력의 힘으로 낙하하는 공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공 낙하 충돌부와, 공 낙하 충돌부 하부에 구비되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 통과홀과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골대와, 골대에 구비되는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할 때 제3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경품 적재소에 놓여 있는 경품을 경품 인출구로 투입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골대를 통과한 공을 공 낙하 충돌부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 공 가이드를 포함하고, 공 낙하 충돌부는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창과, 본체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경품 진열대의 하면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되는 상면과, 투명창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설치되는 앞면과, 앞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충돌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 경품정보를 게임자에게 제공하는 제 1단계와, 돈의 투입을 감지하고, 게임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제 2단계와, 공을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3단계와, 제 3단계에 의해 이동된 상부 위치에서 낙하시키고, 낙하 되는 공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장애물에 의해 공의 진행 경로를 변경시키는 제 4단계와, 제 4단계를 거치면서 낙하되는 공이 외부에 설치된 조작레버에 의해 조정되는 골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5단계와, 제 5단계에서 공이 골대 내로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경품을 제공하는 게임자에게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고, 제 2단계부터 상기 제 5단계는 정해진 시간 내에 수행되도록 게임자에게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는 간단한 진행 방식으로 누구나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노력과 운동 신경을 충분히 활용하면 원하는 경품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공을 간단한 작동 장치에 의해 상부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중력에 의해 낙하시키는 방식이므로 고장이 적고, 공이 떨어지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매번 예측하기 어렵게 변동됨으로써 약간의 운과 게임자의 운동 신경을 필요로 하므로 게임이 쉽게 질리지 않고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간략하게 표시한 A-A' 방향의 절단면도.
도 3은 공 낙하 충돌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에 적용된 일 실시예의 제 2 공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팬 벨트와 거취핀에 의해 올라가던 공이 제 3 공 가이드로 미끌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골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품 진열대를 형성하는 경품 적재소의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간략하게 표시한 A-A' 방향의 절단면도이며, 도 3은 공 낙하 충돌부(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본체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변이 본체 전면에 힌지 고정되며, 하부에는 돈(지폐 또는 동전) 투입구(15)와, 돈 반환구(17)와, 경품인출구(19)와, 조작부(12)가 형성되고, 상품에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아크릴 등의 투명 부재(18)로 처리된 도어(10)가 설치된다. 조작부(12)에는 조작레버(11)와, 표시부(14) 및 경품선택스위치(13)가 구비된다. 표시부(14)에는 게임 진행 시간과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창이 구비되며, 표시창은 세븐 세그먼트, LCD 또는 LED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 내부 상부에는 후면(89)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는 경품 진열대(30)가 설치되며, 경품 진열대(30) 아래로는 공 낙하 충돌부(50)가 설치된다. 공 낙하 충돌부(50)는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창(52)을 구비하고, 본체 후면(89)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경품 진열대(30)의 하면과 일정한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투명창(52)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후방으로 설치되는 앞면을 구비하는 충돌핀 지지부(53)가 구비된다. 충돌핀 지지부(53) 앞면에는 복수 개 수평 충돌핀(51)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설치된다. 충돌핀 지지부(53) 상면(87)과 경품 진열대(30)의 하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으로 공이 화살표 100e를 따라 전면으로 이동되어 충돌 지지부(53)의 전면과 투명창(52)이 이루는 공간 사이로 떨어지게 하였다. 따라서 충돌핀 지지부 상면(87)은 후면(89)과 둔각(θ)을 이루면서 형성하도록 하였다. 공 낙하 충돌부(50) 하면에는 조작레버(11)에 의해 좌우로 조절되는 골대(60)가 설치되고, 골대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한 공은 공 낙하 충돌부(50)의 하면(62)을 통해 후면 방향(100f)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 공 낙하 충돌부(50)의 하면(62) 끝 부분에는 제4감지센서(64)를 설치하여 공이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체 내부에는 조작레버(11), 조작 스위치(13), 돈 투입구(15) 및 복수 개 감지센서로부터 입력신호를 받고, 내부에 타이머를 구비하고, 게임 진행 시간과 투입된 돈을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게임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로기판(70)을 설치된다.
공은 도 1에 도시된 100a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공 가이드(71)를 통해 후면에서 전면으로 이동하며, 전면으로 이동된 공은 팬 벨트를 갖는 제 2 공 가이드(73)에 의해 100b 방향으로 표시된 전면 상부로 이동한 후, 후면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제 3 공 가이드(75)를 통해 100c 방향의 후면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 4 공 가이드(77)를 통해 100d 방향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핀 지지부(53) 상면에 설치되는 충돌부재(81)에 부딪힌 후 임의의 방향으로 충돌핀 지지부(53) 상면(87)과 경품 진열대(30)의 하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에서 100e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임의의 수직 충돌핀(83, 84, 85)에 부딪히게 된다. 수직 충돌핀(83, 84, 85)에 부딪힌 공은 충돌 지지부(53)의 전면과 투명창(52)이 이루는 사이 공간으로 떨어진다. 이때 공이 너무 좌우 모서리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돌부재(81)의 전면 좌우측에는 중앙으로 인도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51)를 대략 삼각형상으로 구비하였다. 공은 떨어지면서 수평 충돌핀(51)과 부딪히면서 진로가 임으로 변경되고, 골대(60)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한 공은 공 낙하 충돌부(50)의 하면을 통해 후면 방향(100f)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제 1 공 가이드(71)를 따라 100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순환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에 적용된 일 실시예의 제 2 공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좌표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좌표 방향과 동일하게 표시하였으나 설명의 편의상 바라본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도시하였다. 제 1 공 가이드(7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공은 제 2 공 가이드(73)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 2 공 가이드(73)는 일정한 크기의 가이드 홈에 360°회전하는 팬 벨트(91)와, 팬 벨트(91)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 거취핀(93)이 가이드 홈 전면에 설치되는 지지판(73a)으로 구성된다. 팬 벨트(91)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 거취핀(93)을 설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취핀(93)이 팬 벨트(91)에 설치되므로 공(100b)이 제 2 공 가이드(73)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외부로 떨어질 수 있는데 지지판(73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였다. 제 2 공 가이드(73)의 아래 부분 일 측에 제1감지센서(92)를 설치하여 공이 제 2 공 가이드(73)로 이동되고 있음을 제어부에 알려 주도록 하였다. 유사하게 제 3 공 가이드(75)의 진입 부분에도 제2감지센서(94)를 설치하여 공이 제 3 공 가이드(75)로 진입하고 있음을 제어부에 알려 주도록 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공 가이드를 따라 공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공 가이드(71)를 따라 후면에서 전면으로 이동된 공은 팬 벨트(91)에 설치된 거취핀(93)에 의해 제 2 공 가이드(73)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 3 공 가이드(73)까지 도달하면 공은 중력의 힘에 의해 후방으로 제 3 공 가이드(73)을 따라 슬라이딩 된 후, 제 4 공가이드(77)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 2 공 가이드(73)가 팬 벨트(91)에 의해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부로 공을 올릴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구현 예로서 팬 벨트(91) 대신에 체인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걸림쇠로 스프링을 압축시켰다가 공이 위치할 경우 상부로 쏘아주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팬 벨트와 거취핀에 의해 올라가던 공이 제 3 공 가이드로 미끌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a)는 도 5에 표시된 ⓐ 방향에서 내부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도 5의 ⓑ 방향의 일부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팬 벨트(91)의 좌우측 지지판(78)에는 걸림부재(76a, 76b)가 설치된다. 걸림부재(76a, 76b)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분이 도면상의 앞쪽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취핀(93)에 실려 올라가던 공(100b)의 상부가 걸림부재(76a, 76b)의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 자연스럽게 앞으로 미끄러지면서 제 3 공 가이드(75)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끌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골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대(60)는 관통홀(61)이 구비되고, 일 측에 제3감지센서(63)를 구비하는 몸체부(68)와, 몸체부(68)의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골대 가이드(65)와, 골대 가이드(65) 양측에 구비되는 제1회전부재(69a) 및 제2회전부재(69b)와, 몸체부(68) 양 측에 부착되고 제1 및 제2 회전부재(69a, 69b)에 감겨지는 스트링 부재(67)로 구성하였다. 제1회전부재(69a)의 축은 도면에는 미 도시된 모터의 축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게임자가 조작레버(11)를 조작하면 제어부를 이를 감지한 후 제1회전부재(69a)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제1회전부재(69a) 및 제2회전부재(69b)가 회전하면 스트링 부재(67)가 이동되며, 이에 따라 골대 몸체부(68)가 이동되어 좌우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골대의 구성도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골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는 리니어 가이드, 캔티레버 등의 여러 가지 구현 방식에 의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품 진열대를 형성하는 경품 적재소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품 진열대의 경품 적재소(38)는 전면에 표시등(31)을 가지면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슬롯(34a, 34b)과, 슬롯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동기되어 움직이는 수평 이동바(33a, 33b)를 갖는 경품대(37)로 구성된다. 경품대(37) 내부 수평 이동바(33a, 33b) 하부에는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체와 모터(미 도시)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게임자가 골대에 공을 골인시킬 경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 및 구조체에 의해 수평 이동바(33a, 33b)가 도면에 도시된 33a 및 33b의 위치에서 33a' 및 33b' 위치로 이동되면서 경품이 경품대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떨어지게 된다. 경품대(37) 좌우측변에는 이웃하는 경품 적재소와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둔턱(35a, 35b)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감지센서, 제2감지센서, 제3감지센서 및 제4감지센서는 공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로서, 공의 이동을 압력으로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의 물리적인 감지센서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레이저센서 등의 광학을 이용하는 광학감지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게임자가 돈 투입구(15)에 돈을 투입하면, 표시부(14)에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게임자가 조작스위치 (13) 가운데 위치하는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한 후 게임 시작을 알리고 타이머를 카운터하기 시작하면서 이를 표시창(14)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게임 장치에 카운터를 표시하는 이유는 일정한 시간 동안만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여 뒷사람이 장시간 기다리거나 또는 돈만 넣고 게임을 진행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게임자가 조작 스위치(13) 좌우에 구비된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경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경품 진열대(30)를 구성하는 각 경품대(37) 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등(31)을 설치하여 게임자가 선택하는 버튼에 따라 표시등(31)을 점등하여 어느 경품을 선택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품 선택이 완료되고 게임자가 조작 스위치(13) 가운데 위치하는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에 경품 선택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는 제2가이드(73)에 설치된 팬 벨트를 동작시켜 공을 투입한다. 이때 투입된 공은 제 2 공 가이드(73)를 통해 수직 상부로 이동한 후, 제 3 공 가이드(75), 및 제 4 공 가이드(77)를 거친 후 충돌부재(81)에 부딪힌 후 임의의 방향으로 충돌핀 지지부(53) 상면(87)과 경품 진열대(30)의 하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에서 이동하다가 임의의 수직 충돌핀(83, 84, 85)에 부딪히게 된다. 수직 충돌핀(83, 84, 85)에 부딪힌 공은 충돌 지지부(53)의 전면과 투명창(52)이 이루는 사이 공간으로 떨어진다. 공은 떨어지면서 수평 충돌핀(51)과 부딪히면서 진로가 임으로 변경된다. 이때 게임자는 조작레버(11)를 조작하면서 떨어지는 공을 골대(60)에 골인시키게 된다. 공이 제대로 투입되는지 여부는 제1감지센서(92)와 제2감지센서(94)에 의해 감지되고, 골인 여부는 제3감지센서(63)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가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제4감지센서(64)를 이용하여 공이 완전히 빠져나감을 감지하고 게임을 종료시킨다. 게임 종료 전에 제3감지센서(63)에 의해 골인이라고 판별되면, 제어부는 경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경품 진열대(30)의 해당 경품의 수평 이동바(33a, 33b)를 앞쪽으로 이동시켜 경품이 경품토출구(21)로 떨어지도록 한다. 게임자는 해당 경품을 경품인출구(19)를 통해 인출함으로써 경품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도어 11: 조작레버
12: 조작부 13: 경품선택스위치
14: 표시부 15: 투입구
17: 돈 반환구 18: 투명 부재
19: 경품인출구 30: 경품 진열대
31: 표시등 33a, 33b: 수평 이동바
34a, 34b: 슬롯 35a, 35b: 둔턱
37: 경품대 38: 경품 적재소
50: 공 낙하 충돌부 51: 수평 충돌핀
52: 투명창 53: 충돌핀 지지부
60: 골대 61: 관통홀
63: 제3감지센서 64: 제4감지센서
65: 골대 가이드 67: 스트링 부재
68: 몸체부 69a: 제1회전부재
69b: 제2회전부재 71: 제 1 공 가이드
73: 제 2 공 가이드 73a: 지지판
75: 제 3 공 가이드 76a, 76b: 걸림부재
77: 제 4 공 가이드
87: 충돌핀 지지부 상면 89: 후면
91: 팬 벨트 92: 제1감지센서
93: 거취핀 94: 제2감지센서

Claims (7)

  1. 삭제
  2.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한 변이 힌지 고정되고 상부에는 투명한 창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 부재 하부에는 돈 투입구와 조작부 및 경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부 상부에 내설되고 경품을 진열하는 복수 개 경품 적재소를 구비하는 경품 진열대와,
    상기 경품 진열대 하부의 상기 본체 내에 내설되고 상부에서 중력의 힘으로 낙하하는 공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공 낙하 충돌부와,
    상기 공 낙하 충돌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 통과홀과 상기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골대와,
    상기 골대에 구비되는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할 때 상기 제3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경품 적재소에 놓여 있는 경품을 상기 경품 인출구로 투입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골대를 통과한 공을 상기 공 낙하 충돌부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 공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공 낙하 충돌부는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창과,
    본체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경품 진열대의 하면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투명창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설치되는 앞면과, 상기 앞면에 설치되는 상기 복수 개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충돌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핀 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본체 후면을 둔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적재소에는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등과,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슬롯과, 상기 슬롯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동기되어 움직이는 수평 이동바를 갖는 경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5. 삭제
  6. 공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 경품정보를 게임자에게 제공하는 제 1단계와,
    돈의 투입을 감지하고, 게임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제 2단계와,
    공을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 의해 이동된 상부 위치에서 낙하시키고, 낙하 되는 공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장애물에 의해 공의 진행 경로를 변경시키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를 거치면서 낙하되는 공이 외부에 설치된 조작레버에 의해 조정되는 골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에서 공이 골대 내로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경품을 제공하는 게임자에게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계부터 상기 제 5단계는 정해진 시간 내에 수행되도록 게임자에게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
  7.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한 변이 힌지 고정되고 상부에는 투명한 창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 부재 하부에는 돈 투입구와 조작부 및 경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부 상부에 내설되고 경품을 진열하는 복수 개 경품 적재소를 구비하는 경품 진열대와,
    상기 경품 진열대 하부의 상기 본체 내에 내설되고 상부에서 중력의 힘으로 낙하하는 공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 수평 충돌핀을 구비하는 공 낙하 충돌부와,
    상기 공 낙하 충돌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 통과홀과 상기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골대와,
    상기 골대에 구비되는 공 통과홀에 공이 통과할 때 상기 제3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경품 적재소에 놓여 있는 경품을 상기 경품 인출구로 투입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골대를 통과한 공을 상기 공 낙하 충돌부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 공 가이드와,
    상기 경품 적재소에는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등과,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슬롯과, 상기 슬롯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동기되어 움직이는 수평 이동바를 갖는 경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KR1020130038127A 2013-04-08 2013-04-08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10139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27A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3-04-08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27A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3-04-08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509B1 true KR101398509B1 (ko) 2014-05-27

Family

ID=5089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127A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3-04-08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506B1 (ko) 2016-09-21 2017-03-03 (주)코뮤즈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7-03-24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파워볼 게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374A (ja) * 1995-02-09 1996-08-27 Unie Kiki:Kk ボールゲーム機
KR200283050Y1 (ko) * 2002-05-08 2002-07-25 김석은 코인을 이용한 게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374A (ja) * 1995-02-09 1996-08-27 Unie Kiki:Kk ボールゲーム機
KR200283050Y1 (ko) * 2002-05-08 2002-07-25 김석은 코인을 이용한 게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20B1 (ko) 2015-10-06 2017-03-24 주식회사 송정하이테크 파워볼 게임기
KR101711506B1 (ko) 2016-09-21 2017-03-03 (주)코뮤즈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587B2 (en) Prize game apparatus
JP5058556B2 (ja) 遊技機
JP4811110B2 (ja) スリット付きチャッカ及びメダルゲーム装置
US20090163261A1 (en) Shooting game
US11276269B2 (en) Amusement game machine and method of play having a transmissive electronic display panel overlying play field
KR101719920B1 (ko) 파워볼 게임기
KR101398509B1 (ko)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2014028315A (ja) メダルゲーム機
JP5155062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H0956924A (ja) メダルゲーム機
JP5097645B2 (ja) メダル投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ダルゲーム機
JP2008183310A (ja) ゲームシステム
KR101376508B1 (ko) 경품 유출 게임기
JP2007301111A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2010046135A (ja) ゲーム機
JP5563040B2 (ja) メダルゲーム機
KR101165578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US2863667A (en) Game device
KR102176083B1 (ko) 원반투척게임기
KR101276436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용 자동토출 상품진열대
KR200256585Y1 (ko) 상품이 지급되는 축구 게임기
JP7158704B2 (ja) ゲーム用商品補充装置
KR101165577B1 (ko)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KR101498911B1 (ko) 확률조절대를 구비한 메달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