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506B1 -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506B1
KR101711506B1 KR1020160120630A KR20160120630A KR101711506B1 KR 101711506 B1 KR101711506 B1 KR 101711506B1 KR 1020160120630 A KR1020160120630 A KR 1020160120630A KR 20160120630 A KR20160120630 A KR 20160120630A KR 101711506 B1 KR101711506 B1 KR 101711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housing
rotation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임교인
강남호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코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뮤즈 filed Critical (주)코뮤즈
Priority to KR102016012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09Input means, e.g. buttons, touch scree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게임방법은, 하우징 전면에 공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이 회전판 하부에 복수의 공을 각각 진입시켜 점수판을 활성화하는 탈출구를 형성하며, 하우징의 하부 전면에 회전판을 회전작동시키는 조작핸들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핸들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 상의 방향유도못에 공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공을 연속충돌시켜 공의 이동방향을 사용자 임의로 변경하면서, 공이 복수의 탈출구 중 어느하나로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능력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경된 공이 탈출구 상으로 진입되어 점수판을 활성화 시키고, 이에따라, 활성화된 점수판 갯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티켓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유도못이 설치된 회전판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회전시켜 공의 이동방향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판 상의 방향유도못에 공이 충돌되면서, 공의 이동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되며, 또한, 회전판의 삽입홈을 통해 방향유도못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게임기의 패턴을 변경할수 있고, 이러한, 패턴 변경으로 공의 낙하위치를 손쉽게 파악하지 못해 게임의 흥미 유발성이 상승되고, 사용자의 조작능력에 따른 승패의 결정으로, 게임 성공시 사용자의 성취감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Control method and game ticket vending machines}
본 발명은 게임기의 게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으로 공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되, 공을 탈출구로 진입시켜 점수판을 활성화함으로써, 이 점수판에 대응하는 갯수의 티켓이 티켓출구로 배출되어, 티켓을 획득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 자판기는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 지정된 경품을 획득하는 장치로서, 게임을 즐기는 목적에서 더 한층 성취감을 얻도록 경품지급기를 구비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게임 자판기는 사용자의 조작 능력에 따라 그 승패 결과가 결정되어,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성취감을 얻고, 이와 동시에 경품도 회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도어의 전단에 설치된 조작레버와, 본체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경품을 수납하는 경품진열대와, 이 경품진열대 하부에 설치되어 공의 낙하 방향을 임으로 결정하는 공낙하충돌부와, 공낙하충돌부 하단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낙하충돌부 하부로 낙하되는 공을 골인시키는 골대로 구성된다.
이때, 돈투입구로 돈을 투입하게 되면, 공가이드를 따라 공이 순회되어 공낙하충돌부로 공급되고, 이 공이 복수개로 고정 설치된 수평 충돌판에 연속하여 충돌되면서 그 이동 방향이 임의로 변경된다.
그러면, 공의 이동 방향이 임의로 변경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고, 이때,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골대를 수평이동시키면서, 이 골대에 낙하되는 공을 골인시키게 되면, 이 공에 대응하는 신호가 경품진열대로 전달되어, 이 공에 대응하는 경품이 경품토출구로 낙하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공이 이동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제어하지 못하고, 단순하게 하방으로 낙하되는 공을 골대에 골인시켜야 하며, 공낙하충돌부 상에서 공이 동일한 패턴으로 낙하되어, 사용자가 공의 낙하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능력에 관계없이 공이 낙하되는 위치 파악으로 게임이 단순화되고, 사용자의 실력이 아닌 공의 이동방향에 대한 운으로 게임의 승패가 결정되어, 게임 성공시 사용자의 성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98509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전면에 공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이 회전판 하부에 복수의 공을 각각 진입시켜 점수판을 활성화하는 탈출구를 형성하며, 하우징의 하부 전면에 회전판을 회전작동시키는 조작핸들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핸들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 상의 방향유도못에 공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공을 연속충돌시켜 공의 이동방향을 사용자 임의로 변경하면서, 공이 복수의 탈출구 중 어느하나로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능력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경된 공이 탈출구 상으로 진입되어 점수판을 활성화 시키고, 이에따라, 활성화된 점수판 갯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티켓을 획득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는, 중공형상으로 전면 하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작핸들을 형성하고, 상단에 공의 배출을 안내하는 공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을 형성하며, 이 삽입홈에 공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유도못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상기 조작핸들 사이의 상기 하우징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에서 낙하되는 공을 통과시키는 탈출부; 상기 탈출부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탈출부로 통과되는 공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탈출부 하부에 설치되고, 일렬로 병렬배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활성화 작동되는 점수판;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탈출부를 통해 낙하되는 공을 상기 하우징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의 공배출구로 순환시키는 공 순환장치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을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배출구 일측에 상기 공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의 갯수를 표시하는 공갯수표시창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공배출구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탈출부 각각으로 공이 진입되면, 활성화 작동되는 보너스 티켓 표시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핸들 후면에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조작핸들과 일체로 회전작동되는 회전구동판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구동판 하부에 상기 회전구동판의 회전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판의 회전방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감지센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중앙부 후면에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밸트풀리와; 상기 회전판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내측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밸트풀리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밸트풀리로 전달하여, 상기 밸트풀리를 회전시키는 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방향유도못 사이에 상기 방향유도못 사이로 통과되는 공을 차단하여, 공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유도밴드가 걸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배출구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 순환장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탈출부로 통과된 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안내프레임과; 상기 공안내프레임 말단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 하로 순환작동되는 밸트를 형성하고, 이 밸트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안내프레임 말단에 위치된 공을 상기 공배출구로 이동시키는 공이송포크를 형성한 수직이송컨베이어; 상기 공이송포크에 의해 이송된 공이 한 쌍의 상기 공배출구 각각으로 교차 반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분배기; 및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트를 순환작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공분배기는, 상기 하우징의 공배출구와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돌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정돌부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은, 동전투입구로 동전을 투입하여, 모터로 수직이송컨베이어의 밸트를 순환작동시키고, 이 밸트에 형성된 공이송포크로 공을 하우징의 공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와; 공이송포크에 의해 이동된 공을 공분배기를 통해 한 쌍으로 형성된 공배출구로 교차반복 배출하는 제2단계; 조작핸들로 회전판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판 상에 설치된 방향유도못에 공을 충돌시켜 공이 이동되는 방향을 조정하는 제3단계; 복수개의 탈출부 각각으로 공을 진입시켜, 감지센서를 작동시키고, 이 감지센서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복수의 점수판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탈출부로 진입된 공을 공순환장치부의 공안내프레임으로 안내하여, 공을 수직이송컨베이어 하단에 위치시키는 제5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활성화된 점수판 갯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티켓을 티켓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6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공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의 갯수는 구획형성된 복수의 탈출부 갯수에 대응하고, 상기 공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남은 공 갯수는 상기 공갯수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조작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구동판의 회전방향을 회전감지센서로 감지하되, 이 회전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로 회전판의 구동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 구동하여, 구동모터와 밸트로 연결된 밸트풀리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회전판을 회전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속도로 구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상기 회전감지센서 보다 상대적으로 상승된 속도 또는 상기 회전감지센서 보다 상대적으로 저하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탈출부로 공이 진입되어 상기 점수판이 활성화 된 후, 동일한 상기 탈출부로 공이 진입되면, 활성화된 상기 점수판이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탈출부로 공이 진입되어 상기 점수판이 활성화 된 후, 동일한 상기 탈출구로 공이 진입되더라도, 활성화된 상기 점수판이 활성화 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복수의 상기 탈출부 각각으로 공이 순차적으로 진입되어, 복수의 상기 점수판이 모두 활성화되면, 보너스 티켓 표시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6단계에서 티켓출구를 통해 보너스 티켓 표시부에 활성화된 숫자에 대응하는 티켓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유도못이 설치된 회전판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회전시켜 공의 이동방향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판 상의 방향유도못에 공이 충돌되면서, 공의 이동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되며, 또한, 회전판의 삽입홈을 통해 방향유도못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게임기의 패턴을 변경할수 있고, 이러한, 패턴 변경으로 공의 낙하위치를 손쉽게 파악하지 못해 게임의 흥미 유발성이 상승되고, 사용자의 조작능력에 따른 승패의 결정으로, 게임 성공시 사용자의 성취감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공배출구로 공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탈출구로 공이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점수판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보너스 티켓표시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나탄내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의 게임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전면 하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작핸들(101)을 형성하고, 상단에 공(B)의 배출을 안내하는 공배출구(102)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하부 전면에 서로 대향되게 동전투입구(105) 및 티켓출구(106)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동전투입구(105) 상부에 상기 동전투입구(105)로 투입된 동전의 갯수를 알리는 동전갯수표시창(105a)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티켓출구(106) 상부에 게임완료시 상기 티켓출구(106)로 배출되는 티켓의 수를 표시하는 티켓수표시창(106a)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공배출구(102) 일측에 상기 공배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B)의 갯수를 표시하는 공갯수표시창(103)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공배출구(102)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탈출부(300) 각각으로 공(B)이 진입되면, 활성화 작동되는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를 더 형성한다.
상기 공갯수표시창(103)은 상기 공배출구(102)에서 배출되어 상기 회전판(200) 상으로 낙하되기 이전의 남은 공 갯수를 표시한다.
상기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는 복수의 상기 탈출부(300) 각각에 공(B)이 진입되어, 복수의 상기 점수판(500)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티켓출구(106)를 통해 복수의 티켓을 출력한다.
상기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에 표시된 티켓의 수량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그 수량은 상기 점수판(500)이 모두 활성화된 상태의 티켓수 합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조작핸들(101) 후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조작핸들(101)과 일체로 회전작동되는 회전구동판(101a)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구동판(101a) 하부에 상기 회전구동판(101a)의 회전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판(101a)의 회전방향신호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는 회전감지센서(101b)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는 상기 회전구동판(101a)에 근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판(101a)의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이 공배출구(102) 사이에 상기 공갯수표시창(103)을 형성한다.
상기 공배출구(200)는 서로 대향되는 양측부분을 통해 교차반복적으로 공을 배출하여, 상기 회전판(200) 상으로 공(B)을 낙하시킨다.
회전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삽입홈(201)을 형성하며, 이 삽입홈(201)에 공(B)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유도못(202)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조작핸들(10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판(200)은 복수의 상기 삽입홈(201)에 상기 방향유도못(202)을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상기 방향유도못(202)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방향유도못(202)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볼(B)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방향유도못(202) 사이에는 상기 방향유도못(202) 사이로 통과되는 공을 차단하여, 공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유도밴드(202a)가 걸림 고정된다.
상기 방향유도밴드(202a)는 사용자에 의해 그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00)은 중앙부 후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판(200)을 회전시키는 밸트풀리(203)와, 상기 회전판(200)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204) 및 상기 밸트풀리(203)와 상기 구동모터(204)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204)의 회전동력을 상기 밸트풀리(203)로 전달하여, 상기 밸트풀리(203)를 회전시키는 밸트(2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04)는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의 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204)는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상기 회전판(2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상기 조작핸들(10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출부(300)는 상기 회전판(200)과 상기 조작핸들(101) 사이의 상기 하우징(100)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0)에서 낙하되는 공(B)을 통과시킨다.
상기 탈출부(300)는 상기 회전판(200) 상에서 낙하되는 공(B)을 통과시켜, 상기 감지센서(400)에 공이 감지되도록 한다.
상기 탈출부(300)의 갯수는 점수판(500)의 갯수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400)는 상기 탈출부(300)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탈출부(300)로 통과되는 공(B)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400)는 공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 시킨다.
점수판(500)은 상기 탈출부(300) 하부에 설치되고, 일렬로 병렬배치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에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활성화 작동된다.
상기 점수판(500)은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활성화된다.
상기 점수판(500)은 제어부(700)에 의해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활성화, 비활성화 상태로 연속 전환된다.
상기 점수판(500)은 그 활성화 갯수 신호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하여, 상기 티켓출구(106)로 출력되는 티켓수를 결정한다.
공 순환장치부(6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탈출부(300)를 통해 낙하되는 공(B)을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로 순환시킨다.
상기 공 순환장치부(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탈출부(300)로 통과된 공(B)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안내프레임(601)과, 상기 공안내프레임(601) 말단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 하로 순환작동되는 밸트(602a)를 형성하고, 이 밸트(602a)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안내프레임(601) 말단에 위치된 공(B)을 상기 공배출구(102)로 이동시키는 공이송포크(602b)를 형성한 수직이송컨베이어(602)와, 상기 공이송포크(602b)에 의해 이송된 공(B)이 한 쌍의 상기 공배출구(102) 각각으로 교차 반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분배기(603) 및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트(602a)를 순환작동시키는 모터(604)로 구성된다.
상기 공안내프레임(601)은 상기 탈출부(300)에서 낙하된 공을 안내하여,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하단에 일렬로 위치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의 공이송포크(602b)는 상기 공(B)을 떠받쳐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분배기(603)는,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와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의(B)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돌부(603a)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정돌부(603a)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B)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부(603b)를 형성한다.
상기 결정돌부(603a)는 좌, 우로 회전되면서 공(B)의 배출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경사면부(603b)는 상기 공(B)에 의해 눌림되어 상기 결정돌부(603a)의 회전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모터(604)는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되거나 혹은 정지되어, 상기 밸트(602a)를 순환작동시킨다.
제어부(7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 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500)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구동모터(204) 및 모터(604)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고, 특히,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204)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204)를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에 대응하는 속도로 구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구동모터(204)의 회전속도를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 보다 상대적으로 상승 된 속도 또는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 보다 상대적으로 저하된 속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한 후, 동일한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으면, 활성화된 상기 점수판(500)을 비활성화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한 후, 동일한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더라도,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한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복수의 상기 감지센서(400) 신호를 모두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500)을 모두 활성화 시킨 후 상기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를 활성화하고, 상기 티켓출구(106)를 통해 상기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에 활성화된 숫자에 대응하는 티켓을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동전투입구(101)를 통해 동전을 투입하게 되면, 상기 공순환장치부(600)의 모터(604)가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의 밸트(602a)를 순환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에 형성된 상기 공이송포크(602b)가 상기 밸트(602a)를 따라 순환작동되다가 상기 공안내프레임(601) 말단에 위치된 상기 공(B)을 떠받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이송포크(602b)가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의 상단에 도달한 후, 순환 이동되면서 상기 볼(B)을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 주변에 낙하시킨다.(S100)
여기서,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상단에서 상기 공배출구(102) 주변으로 낙하된 공은, 상기 공분배기(603)를 거쳐 한 쌍의 상기 공배출구(102) 각각으로 서로 교차 반복하여 배출된다.
즉, 상기 공(B)이 상기 공분배기(603)의 결정돌부(603a)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분배기(603)의 경사면부(603b)를 눌러 가압하고, 이때, 상기 공분배기(603)의 결정돌부(603a)가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공배출구(102)로 상기 공(B)을 배출한다.(S200)
그 다음, 상기 공(B)이 상기 공분배기(603)로 연속하여 공급되고, 이때, 상기 공(B)이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결정돌부(603a)를 지나쳐 상기의 경사면부(603b)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경사면부(603b)를 눌러 가압한 후, 상기 공배출구(102)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결정돌부(603a)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결정돌부(603a)를 지나치는 상기 공(B)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상기 경사면부(603b)가 연속하여 눌림 되면서, 상기 결정돌부(603a)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공배출구(102)로 서로 교차 반복하여 공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공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의 갯수는 상기 공갯수표시창(103)에 표시된다.
이후, 상기 공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된 공(B)은 상기 회전판(200)으로 낙하되고, 이때, 상기 조작핸들(1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200)이 조작핸들(101)과 동일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방향유도못(202) 및 상기 방향유도밴드(202a)에 공이 연속하여 충돌된다.
이때, 상기 방향유도못(202) 및 방향유도밴드(202a)에 충돌된 공(B)은 그 이동방향이 변경되면서, 상기 방향유도못(202)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또다시, 상기 조작핸들(101)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판(200)이 회전되면서 또 다른 방향유도못(202) 및 방향유도밴드(202a)에 공(B)을 충돌시켜, 연속하여 공(B)의 이동 방향이 변경된다.(S300)
여기서, 상기 조작핸들(1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구동판(101a)이 상기 조작핸들(101)과 일체로 회전되고, 이때, 상기 회전구동판(101a)의 회전방향이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에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구동모터(204)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이 구동모터(204)와 밸트(205)로 연결된 상기 밸트풀리(203)가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회전판(20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회전감지센서(400)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204)를 회전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보다 상대적으로 상승된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204)를 회전작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회전감지센서(101b)보다 상대적으로 저하된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204)를 회전작동 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회전판(200)을 통과한 공(B)은 복수의 상기 탈출부(300)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 시켜 불(B)을 점등한다.(S400)
이때, 상기와 다른 탈출부(300)로 공이 통과되면, 상기와 다른 상기 감지센서(400)가 작동되어 상기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점수판(50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활성화 시켜, 연속하여 불을 점등한다.
여기서, 일 예로, 상기 탈출부(300)로 공(B)이 통과되어 상기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킨 후, 동일한 상기 탈출부(300)로 공(B)이 통과되어 상기 감지센서(400)를 재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부(700)가 활성화되어있는 상기 점수판(500)의 불을 소등하여, 상기 점수판(500)을 비활성화한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상기 탈출부(300)로 공(B)이 통과되어 상기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킨 후, 동일한 상기 탈출부(300)로 공(B)이 통과되어 상기 감지센서(400)를 재작동시키더라도,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하여 불을 점등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상기 점수판(5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출부(300) 각각으로 공(B)이 통과되어 복수의 상기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점수판(5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모든 점수판(500)을 점등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가 상기 점수판(500)과 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점등되어, 상기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에 표시된 티켓이 상기 티켓출구(106)를 통해 배출된다.(S600)
이후, 상기 탈출부(300)로 통과된 공(B)은 상기 공안내프레임(601)에 안내되어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하단에 일렬로 배치되고(S500), 그 상태에서 상기 공이송포크(602b)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B)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순환되어 상기 공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상기 동전갯수표시창(105a)은, 상기 동전투입구(105)로 투입된 동전갯수를 표시하는 것이고, 티켓수표시창(106a)은 상기 점수판(500) 활성화 갯수에 대응하여, 상기 티켓출구(106)를 통해 배출되는 티켓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200)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공(B)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되, 이 공(B)이 탈출구(400) 각각에 진입되도록 하여, 점수판(500) 활성화 갯수에 대응하는 티켓을 획득하는 구조는, 방향유도못(202)이 설치된 회전판(200)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회전시켜 공(B)의 이동방향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판(200) 상의 방향유도못(202)에 공(B)이 충돌되면서, 공(B)의 이동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되며, 또한, 회전판(200)의 삽입홈(201)을 통해 방향유도못(202)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게임기의 패턴을 변경할수 있고, 이러한, 패턴 변경으로 공(B)의 낙하위치를 손쉽게 파악하지 못해 게임의 흥미 유발성이 상승된다.
100 : 하우징 101 : 조작핸들
101a : 회전구동판 101b : 회전감지센서
102 : 공배출구 103 : 공갯수표시창
104 : 보너스 티켓 표시부 105 : 동전투입구
105a : 동전갯수표시창
106 : 티켓출구 106a : 티켓표시창
200 : 회전판
201 : 삽입홈 202 : 방향유도못
202a : 방향유도밴드 203 : 밸트풀리
204 : 구동모터 205 : 밸트
300 : 탈출부 400 : 감지센서
500 : 점수판 600 : 공 순환장치부
601 : 공안내프레임 602 : 수직이송컨베이어
602a : 밸트 602b : 공이송포크
603 : 공분배기 603a : 결정돌부
603b : 경사면부 604 : 모터
700 : 제어부 B : 공

Claims (14)

  1. 중공형상으로 전면 하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작핸들(101)을 형성하고, 상단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공(B)의 배출을 안내하는 공배출구(102)를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삽입홈(201)을 형성하며, 이 삽입홈(201)에 공(B)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유도못(202)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조작핸들(10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는 회전판(200);
    상기 회전판(200)과 상기 조작핸들(101) 사이의 상기 하우징(100)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0)에서 낙하되는 공을 통과시키는 탈출부(300);
    상기 탈출부(300)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탈출부(300)로 통과되는 공(B)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00);
    상기 탈출부(300) 하부에 설치되고, 일렬로 병렬배치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에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활성화 작동되는 점수판(5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탈출부(300)를 통해 낙하되는 공(B)을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로 순환시키는 공 순환장치부(6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점수판(500)을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700);
    로 구성되고,
    상기 공 순환장치부(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탈출부(300)로 통과된 공(B)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안내프레임(601)과, 상기 공안내프레임(601) 말단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 하로 순환작동되는 밸트(602a)를 형성하고, 이 밸트(602a)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안내프레임(601) 말단에 위치된 공(B)을 상기 공배출구(102)로 이동시키는 공이송포크(602b)를 형성한 수직이송컨베이어(602), 상기 하우징(100)의 공배출구(102)와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의(B)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돌부(603a)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정돌부(603a)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B)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부(603b)를 형성하여, 상기 공이송포크(602b)에 의해 이송된 공(B)이 한 쌍의 상기 공배출구(102) 각각으로 교차 반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분배기(603) 및 상기 수직이송컨베이어(602)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트(602a)를 순환작동시키는 모터(6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공배출구(102) 일측에 상기 공배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B)의 갯수를 표시하는 공갯수표시창(103)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공배출구(102)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탈출부(300) 각각으로 공(B)이 진입되면, 활성화 작동되는 보너스 티켓 표시부(104)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조작핸들(101) 후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조작핸들(101)과 일체로 회전작동되는 회전구동판(101a)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구동판(101a) 하부에 상기 회전구동판(101a)의 회전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판(101a)의 회전방향신호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는 회전감지센서(101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0)은,
    중앙부 후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판(200)을 회전시키는 밸트풀리(203)와;
    상기 회전판(200)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204); 및
    상기 밸트풀리(203)와 상기 구동모터(204)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204)의 회전동력을 상기 밸트풀리(203)로 전달하여, 상기 밸트풀리(203)를 회전시키는 밸트(2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0)은,
    상기 방향유도못(202) 사이에 상기 방향유도못(202) 사이로 통과되는 공을 차단하여, 공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유도밴드(202a)가 걸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20630A 2016-09-21 2016-09-21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1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30A KR101711506B1 (ko) 2016-09-21 2016-09-21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30A KR101711506B1 (ko) 2016-09-21 2016-09-21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506B1 true KR101711506B1 (ko) 2017-03-03

Family

ID=5841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630A KR101711506B1 (ko) 2016-09-21 2016-09-21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275A (ja) * 1997-10-21 1999-05-11 Taihei Giken Kogyo Kk ゲーム機
JP2010213821A (ja) * 2009-03-16 2010-09-30 Natsume Kk ゲーム装置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4-05-27 정성모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275A (ja) * 1997-10-21 1999-05-11 Taihei Giken Kogyo Kk ゲーム機
JP2010213821A (ja) * 2009-03-16 2010-09-30 Natsume Kk ゲーム装置
KR101398509B1 (ko) 2013-04-08 2014-05-27 정성모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3139A1 (en) Prize game apparatus
EP1310927B1 (en) Token-operated game machine
JPH06254223A (ja) パチンコ遊技機
JP3873067B2 (ja) メダル投入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メダルゲーム機
KR101711506B1 (ko) 티켓 출력용 게임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JP5284757B2 (ja) パチンコ遊技機
WO2006055611A2 (en) Game with object suspended by air
JP5424615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5782337B2 (ja) ゲーム機
JP3604092B2 (ja) アレンジボール機の入賞装置
KR101398509B1 (ko)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JP4408304B2 (ja) 遊技機
JP2005102821A (ja) 遊技機
US20230061253A1 (en) Pusher amusement device with pivoting arm and game piece propulsion feature
JPH06269562A (ja) メダル落とし遊技機
US11288930B1 (en) Game method using ticket output game machine
CN217024005U (zh) 游艺机及其传送机构
JP4896266B2 (ja) ゲーム機
JP4682113B2 (ja) メダル投入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ゲーム機
US7055821B1 (en) Coin rolling game apparatus
WO2023033912A1 (en) Pusher amusement device with pivoting arm and game piece propulsion feature
JP2007252807A (ja) 遊技媒体揚送装置
KR200399604Y1 (ko) 게임기용 코인순환장치
KR101227868B1 (ko) 퍽 드롭 게임기
JP4682171B2 (ja) 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