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607B1 - 물품 뽑기 게임기 - Google Patents

물품 뽑기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607B1
KR101278607B1 KR1020100067712A KR20100067712A KR101278607B1 KR 101278607 B1 KR101278607 B1 KR 101278607B1 KR 1020100067712 A KR1020100067712 A KR 1020100067712A KR 20100067712 A KR20100067712 A KR 20100067712A KR 101278607 B1 KR101278607 B1 KR 101278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bar
lever
strik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132A (ko
Inventor
김병태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진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김병태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2010006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6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과 하측에 투명창(13)과 물품배출구(14)가 구비된 기기본체(10); 이 기기본체(10)의 내부에 종횡으로 배치되며 물품(1)이 상기 투명창(13)을 향하도록 진열되는 복수개의 물품진열대(20); 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에서 좌우 및 상하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진열된 물품(1)을 인출시키는 물품인출수단(50);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16); 및 상기 조작부(16)와 접속되어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품 뽑기 게임기{A picking commodity type game machine}
본 발명은 물품 뽑기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없는 새로운 뽑기방식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각 기기마다 뽑기확률이 달라지는 것이 방지되며, 기기의 전후방향 사이즈를 슬림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물품이 인출되는 과정이 전면에서 관찰되어 사용자의 쾌감과 성취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을 효과적으로 진열할 수 있으며, 핵심부품간의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되는 물품 뽑기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 뽑기 게임기는 보통 인형뽑기라고 불리우며,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성인들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이용하는 등 계층에 상관없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러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대부분 케이스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수납된 인형이나 장난감과 같은 물품을 크레인 등의 픽업기구에 의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물품 뽑기 게임기의 일례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게임기는 대개 전면에는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내부에 충전된 물품을 파지하여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픽업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 외부에 레버 또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신호입력부와, 이 신호입력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픽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게임기의 투입구에 정해진 금액을 투입하면 기기가 게임시작 대기상태로 전환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신호입력부의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픽업수단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 상기 신호입력부의 버튼 등을 조작하여 픽업수단을 정지시키면, 픽업수단이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물품을 집어 올린 후 X, Y축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배출구 측에서 떨어뜨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픽업방식에 의한 종래의 게임기는 케이스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물품이 수납되는데, 즉 여러 물품들이 서로 뒤엉켜 있는 경우에는 집게로 이루어진 픽업수단이 픽업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물품을 어떻게 수납하는지에 따라 물품의 인출성공률이 제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심지어 사용자들은 성공률이 높다고 알려진 장소에 설치된 게임기만 찾게 되는 경향이 생겨났다. 또한, 상기 픽업수단의 파지력이 약하게 조절되어, 설령 물품을 파지하였다고 하더라도 물품을 집어 올리는 과정에서 물품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여 물품이 원위치로 떨어지게 되므로 신뢰성이 더욱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더 이상의 흥미를 끌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허리를 숙여서 케이스 내부를 관찰하면서 게임을 진행해야 하므로 허리에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이용하기가 불편하며, 픽업수단과 물품이 정위치로 대응되는지 여부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픽업방식 대신에 푸셔를 이용한 푸싱방식의 게임기가 보급되어 있는데, 보통 물품이 진열된 물품진열대의 전방에 구비된 푸셔가 물품을 푸싱하여 물품이 물품진열대의 후방이나 물품진열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낙하하도록 된 것이어서, 즉, 푸셔와 물품진열대 및 물품이 낙하되는 공간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기기의 전후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설치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푸싱방식은 물품 자체를 푸싱하는 것이어서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비교적 사이즈가 큰 물품은 난이도가 쉬워져서 사용자의 성취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인출하는 방식이 전에 없던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여 사용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물품이 인출되는 과정이 전면에서 관찰되어 사용자의 쾌감과 성취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으며 물품의 배열 및 크기에 무관하게 뽑기확률이 일정해져서 사용자에게 신뢰를 주는 물품 뽑기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달리 물품인출수단이 설치된 공간과 물품의 낙하공간이 별도로 구획 형성될 필요가 없어서 기기의 전후방향 사이즈를 슬림화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아서 설치가 용이한 물품 뽑기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한편, 물품을 인출시키는 핵심부품의 결합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고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물품 뽑기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과 하측에 투명창(13)과 물품배출구(14)가 구비된 기기본체(10); 이 기기본체(10)의 내부에 종횡으로 배치되며 물품(1)이 상기 투명창(13)을 향하도록 진열되는 복수개의 물품진열대(20); 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에서 좌우 및 상하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진열된 물품(1)을 인출시키는 물품인출수단(50);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16); 및 상기 조작부(16)와 접속되어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진열대(20)는 기기본체(10)의 후면판(11)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벽(21)과, 선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부(22a)가 상기 양 측벽(21)에 힌지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로 힌지회동되는 받침판(22)과, 상기 측벽(21)에 상하회동 또는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가 측벽(21)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인출레버(30)와, 이 인출레버(30)의 상하회동 또는 승강에 의해 상기 받침판(22)의 후단부를 승강되게 회동시키는 승강작동부재(40)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은 구동모터(63)에 의해 상하회동 또는 승강되어 상기 인출레버(3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된 타격바(80)를 포함하는 이동블록(60)과, 이 이동블록(60)을 좌우 및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하좌우이동수단(90)으로 구성되어, 상기 타격바(80)가 상기 인출레버(3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승강작동부재(40)에 의해 받침판(22)의 후단부가 승강됨으로써, 받침판(22)에 거치된 물품(1)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격바(80)는 상기 이동블록(60)에 상하회동 또는 승강되게 구비된 제1타격바(81)와, 기단부가 상기 제1타격바(81)의 선단 타격힌지부(85)에 결합되어 제1타격바(81)의 회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타격바(83)와, 상기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와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제2타격바(83)를 위치정렬시키는 탄성체(82)로 구성되어, 상기 제2타격바(83)의 선단이 인출레버(30)의 타격중심(c)을 벗어나게 되면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에서 측방으로 회동되면서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타격바(83)의 선단부 저면은 적어도 좌우로 만곡된 형상이며, 상기 인출레버(30)는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원의 중심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둘레부 상면의 타격중심(c)에 상기 제2타격바(83)의 저면 중심부가 안착되는 조준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물품진열대(20)의 물품(1)이 놓여지는 받침판(22)의 후단부가 승강되도록 회동시켜서 물품(1)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픽업이나 푸싱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의 게임기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1)이 낙하되는 공간과 물품인출수단(50)이 구비된 공간을 동일하게 활용함으로써, 종래 펀칭에 의해 물품을 뽑는 게임기에 비해 기기본체(10)의 전후방향 사이즈를 줄여서 보다 슬림화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효과가 있다. 즉, 물품인출수단(50)의 측벽(21)에 구비된 인출레버(30)를 가압하여 양 측벽(21)의 중앙에 위치한 받침판(22)에 놓여진 물품(1)이 낙하하게 되므로, 물품인출수단(50)과 물품진열대(20)의 설치공간 이외에 물품(1)이 낙하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물품인출수단(50)의 이동경로상으로 물품(1)이 낙하될 수 있어서, 기기본체(10)의 전후방향 사이즈를 줄여서 더욱 더 슬림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진열대(20)의 인출레버(30)를 타격하는 물품인출수단(50)의 타격바(80)를 상하회동되는 제1타격바(81)와, 기단부가 이 제1타격바(81)의 회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된 제2타격바(83)와, 이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와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제2타격바(83)를 위치정렬시키는 탄성체(82)로 구성함으로써, 인출레버(30) 자체를 원상회복시키기 위한 구조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간의 조립이 용이하며 비용도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 없이도 제2타격바(83)의 위치정렬이 가능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작동불능의 우려가 없다.
한편, 인출레버(30)가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원의 중심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 둘레부 상면의 타격중심(c)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조준홈(31)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타격바(83)의 선단 저면이 좌우로 만곡되어, 제2타격바(83)의 저면 중심부가 상기 조준홈(31)의 타격중심(c)에 정확하게 안착되는 경우에만 인출레버(30)를 가압하고,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제2타격바(83)가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게임의 정밀성이 요구되어 좀 더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준홈(31)의 폭 또는 제2타격바(83)의 선단부 만곡면의 곡률을 조절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뽑기 게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물품진열대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이동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의 요부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예 중 승강작동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뽑기 게임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물품진열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이동블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인데, 도 7은 작동을 위한 요부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뽑기 게임기는 전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투명창(13)과 물품배출구(14)가 형성된 기기본체(10)와, 이 기기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물품(1)이 거치되는 물품진열대(20)와, 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에서 좌우 및 상하로 이동되면서 물품(1)을 인출하는 물품인출수단(50)과, 이 물품인출수단(50)에 의해 물품진열대(20)에서 낙하된 물품(1)이 상기 물품배출구(14)측으로 이동되는 이동통로(100)와,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16)와, 이 조작부(16)와 접속되어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기본체(10)는 내부 상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 상측에는 투명창(13)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기기본체(10)의 전면 하측에는 물품(1)을 인출할 수 있는 물품배출구(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13)과 물품배출구(14) 사이에는 후술할 물품인출수단(50)을 조작하는 조작레버(17)와 조작버튼(18) 및 코인수와 타이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창(19)으로 이루어진 조작부(16)가 구비된다. 또한, 기기본체(10)의 전면 하측에는 게임시작을 위해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도록 된 투입구(15)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16)를 통해 사용자는 후술할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품진열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면판(11)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벽(21)과, 이 한 쌍의 측벽(21) 사이에 구비되어 물품(1)이 놓여지는 받침판(22)과, 상기 측벽(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인출레버(30)와, 이 인출레버(30)의 회동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작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벽(21)의 후면에는 상기 후면판(11)의 걸림공(1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6)가 형성되어, 측벽(21)이 후면판(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21)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인출레버(30)와 승강작동부재(40)가 중공부에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판(22)의 선단부 양측면에는 힌지부(22a)가 형성되어 양 측벽(21)의 선단부 측면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받침판(22)의 후단부는 힌지부(22a)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양 측벽(21)의 저부를 연결하는 지지판(24)이 구비되어 받침판(22)이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판(22)의 상면 선단에는 돌출턱(23)이 형성되어, 기기본체(10)가 흔들리더라도 물품(1)이 임의적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돌출턱(23)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물품(1)이 낙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하시에 수평이동거리를 좀 더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받침판(22)의 후단부에는 물품(1)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지지판(25)이 구비되는데, 이 후면지지판(25)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인출레버(30)는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의 중심부를 향하는 가상선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인출레버(30)의 둘레부 상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조준홈(31)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준홈(31)은 직상방으로 개구된 형상이며, 도 7에서와 같이 인출레버(30)의 타격중심(c)에 형성된다. 또한, 이 인출레버(30)는 물품진열대(20)의 일측벽(21)의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이 측벽(21)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되거나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작동부재(40)는 인출레버(30)의 상하회동에 따라 받침판(22)의 후단부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인출레버(30)의 후단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바(41)와, 이 연장바(41)의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받침판(22)과 지지판(24) 사이를 가로지르는 승강바(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출레버(30)와 근접된 연장바(41)의 기단부에 형성된 레버힌지부(42)가 측벽(21)에 결합되어, 이 레버힌지부(42)를 중심으로 인출레버(30)와 연장바(41)가 시소형태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측벽(21)에는 승강바(43)의 승강루트에 대응되는 장공(21a)이 형성된다. 또한, 승강바(43)가 받침판(22)의 측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장공(21a)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장공(21a)이 후면판(25)에 의해 은폐되도록 측벽(21)의 끝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 승강작동부재(40)가 연장바(41)와 승강바(43)로 이루어진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인출레버(30)의 회동에 따라 받침판(22)의 후단부를 승하강시키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인출레버(30)와 별체로 이루어져서, 인출레버(30)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스위치 또는 센서가 감지하여 잭과 같은 기구가 받침판(22)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은 물품진열대(20)의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 물품(1)을 인출시키는 이동블록(60)과, 이 이동블록(60)을 좌우 및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상하좌우이동수단(90)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60)은 케이스(61)와, 이 케이스(61)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63), 회전축(65), 접지바(66, 67), 리미티드스위치(70) 및 타격바(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61)의 전면에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타이머와 코인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61)의 내부에 블록지지체(62)가 결합되고, 이 블록지지체(62)의 상면에 구동모터(63)와, 이 구동모터(6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5)이 구비된다. 이때, 구동모터(63)와 회전축(65)은 기어박스(64) 내부에 구비된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블록지지체(62)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65)의 둘레부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접지바(66, 67)가 구비된다. 그리고, 블록지지체(62)의 일측면에는 양측면에 접지점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접지바(66, 67)와 각각 접지되는 리미티드스위치(70)가 구비되어, 회전축(65)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이때, 리미티드스위치(70)는 유동블록(71)에 설치되며, 이 유동블록(71)의 양단부면에 구비된 돌기(72)가 블록지지체(62)에서 돌출 설치된 지지대(74)에 관통 결합된다. 이때, 돌기(72)에 스프링(73)이 결합되어, 유동블록(71)이 좌우 유동되면서 리미티드스위치(70)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65)의 회전력에 의해 접지바(66, 67)가 리미티드스위치(70)를 가압하더라도 스프링(73)에 의해 유동블록(71)이 유동되어 리미티드스위치(70)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므로 리미티드스위치(70)의 손상,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회전축(65)의 선단은 케이스(61)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회전축(65) 선단 둘레부에 타격바(80)가 구비되는데, 이 타격바(80)는 상기 회전축(65)의 선단 둘레부에 결합된 제1타격바(81)와, 기단부가 이 제1타격바(81)의 선단에 힌지결합된 제2타격바(83)와, 상기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와 동축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탄성체(82)로 구성된다. 이때, 제1타격바(81)는 일측 접지바(66)가 리미티드스위치(70)의 일측 접지점과 접지된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축(65)의 회전에 따라 제1타격바(81)가 전방 하측으로 회동되며, 타측 접지바(67)가 타측 접지점과 접지되면 회전축(65)이 역회전되어 제1타격바(81)가 원상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타격바(83)의 기단부는 제1타격바(81)의 선단 타격힌지부(8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1타격바(81)의 회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즉, 제1타격바(81)가 회동되어 선단부가 인출레버(30)와 접할 때, 제2타격바(83)의 선단이 수평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82)는 제1타격바(81)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것으로, 상기 제2타격바(83)의 말단에 결합되어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에서 회동될 때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와 동축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과 같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타격바(83)의 선단 저면은 좌우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타격바(83)의 선단에 가압볼(84)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가압볼(84)의 직경을 인출레버(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가압볼(84)의 무게중심이 조준홈(31)의 중심인 타격중심(c)에서 약간 벗어나더도 가압볼(84)이 인출레버(30)를 가압할 수 있다. 반면, 가압볼(84)의 직경을 인출레버(3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할 경우, 가압볼(84)의 무게중심이 조준홈(31)의 타격중심(c)에서 약간 벗어나게 되면, 가압볼(84)이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하강되며 인출레버(30)를 가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볼(84)의 직경 또는 조준홈(31)의 폭을 변경하면, 게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좌우이동수단(90)은 상기 이동블록(60)을 좌우 및 상하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벨트 방식을 예시하였다. 즉, 기기본체(10)의 내부이며 물품진열대(20)의 전방에 한 쌍의 수평가이드(91)와 이에 연결된 하나의 수직가이드(92)를 설치하고, 수직가이드(92)가 수평가이드(91)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60)은 수직가이드(92)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에 의해 벨트가 구동되며, 벨트의 구동에 의해 수직가이드(92) 및 이동블록(60)이 이동되고, 상기 모터는 후술할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벨트 방식 이외에도 체인방식이나 랙과 피니언 등 여러 가지 방식의 상하좌우이동수단(90)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조작부(16) 중 레버(17)의 좌우 및 상하조작에 따라 상하좌우이동수단(90)이 수평가이드(91) 및 수직가이드(92)가 각각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16) 중 버튼(18)을 누르면 이동블록(60)의 제1타격바(81)가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로(100)는 물품진열대(20)에서 낙하되는 물품(1)이 물품배출구(14)측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기기본체(10) 내부 투명창(13) 하측에 형성된 호퍼(101)와, 이 호퍼(101)의 하측에서 물품배출구(14)까지 이어지는 통로(102)로 이루어진다. 이때, 통로(102)상에는 통로(102)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부재(103)가 구비되며, 이 개폐부재(103)는 게임시작전에는 통로(102)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부정한 방법으로 물품(1)을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게임이 시작되더라도 통로(102)를 여전히 폐쇄할 수 있으며, 물품(1)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통로(10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인출레버(30)가 작동될 때를 감지하여 개폐부재(103)가 통로(102)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어부(110)는 조작부(16)의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이동수단(90)의 작동과 이에 따른 이동블록(60)의 이동 및 이동거리, 제1타격바(81)의 회동 등을 제어한다. 즉, 상하좌우이동수단(9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와 이동블록(60)의 제1타격바(81) 회동을 위한 구동모터(63)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물품(1)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예를 들면, 제1타격바(81)의 회동에 의해 인출레버(30)가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부재(103)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물품 뽑기 게임기의 작동상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기기본체(10)의 투입구(15)에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조작부(16)와 물품인출수단(50)이 작동 대기상태로 전환되고, 표시창(19)에는 게임시간과 코인수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조작부(16) 중 조작레버(17)를 좌우 및 상하로 조작하면, 상하좌우이동수단(90)이 작동하여 이동블록(60)이 위치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블록(60)의 제2타격바(83)가 물품진열대(20)의 인출레버(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올 때까지 조작레버(17)를 조작하며, 상기 대응되는 위치에 오면 조작버튼(18)을 누르면 된다. 이에 따라, 제1타격바(81)가 회동하여 제2타격바(83)가 인출레버(30)를 가압하게 되고, 인출레버(30)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승강작동부재(40)에 의해 받침판(22)의 후단부가 승강됨으로써, 물품(1)이 물품진열대(20)에서 전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제2타격바(83)가 인출레버(30)를 가압하기 위해서는, 제2타격바(83)의 가압볼(84)이 인출레버(30)의 타격중심(c)을 정확히 타격해야만 하므로, 상기 가압볼(84)이 조준홈(31)의 전후방향을 따른 양측 입구에 동시에 접해야만 한다. 즉,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제2타격바(83)의 가압볼(84)이 상기 조준홈(31)의 일측 입구에만 접할 경우에는 가압볼(84)의 무게중심이 인출레버(30)의 타격중심(c)에서 벗어난 부분을 타격하게 되므로, 가압볼(84)은 원통체인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의 회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제1타격바(81)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제2타격바(83)는 측방으로 회동되면서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게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과정을 사용자가 볼 수 있으므로 짜릿한 쾌감이 더해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낙하된 물품(1)은 호퍼(101)에 의해 통로(102)로 이동되어 물품배출구(14)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어부(110)에 의해 개폐부재(103)가 통로(102)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받침판(22)에 놓여진 물품(11)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으로 낙하할 때, 물품(1)이 받침판(22)에 구비된 돌출턱(23)에 부딪치면서 수평이동거리가 좀 더 길어져서, 물품진열대(22)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낙하하게 되므로, 하측에 구비된 물품진열대(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인출레버(30)에 부딪치는 것이 방지되어, 타격바(80)가 근접되지 않은 인출레버(30)가 임의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판(22)의 후단부가 승강되게 회동되면, 후면지지판(25)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동되려고 하므로, 물품(1)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어 물품(1)이 보다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타격바(80)와 인출레버(30)가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격바(80)가 회동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타격바(83)의 가압볼(84)이 원통체인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어 승강작동부재(4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물품(1)은 물품진열대(20)에 그대로 있게 된다. 이때, 제1타격바(81)는 리미티드스위치(7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제2타격바(83)는 측방으로 회동되면서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승강된다.
한편, 도 8은 상기 실시예 중에서 승강작동부재(40)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물품진열대(20)의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승강작동부재(40)는 인출레버(30)에서 연장된 연장바(41)와, 양단부가 상기 물품진열대(20)의 양측벽(2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축부재(45)와, 일단이 상기 축부재(45)의 일단부에 직교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바(41)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전달부재(44)와, 상기 축부재(45)의 중간부에서 측방인 물품진열대(20)의 후단부쪽으로 돌출된 인출바(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축부재(45)와 인출바(46)는 물품진열대(20)의 받침판(22)의 하측에 구비되며, 인출바(46)는 축부재(45)의 회전에 따라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2)과 축부재(45) 사이에는 받침판(22)을 지지하는 도시안된 지지판이 구비되며, 이 지지판에는 인출바(46)가 승강되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또한, 받침판(22)의 후단에 도시안된 후면지지판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타격바(80)의 타격에 의해 인출레버(30)가 하강함에 따라 연장바(41)가 레버힌지부(4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승강되며, 이에 따라 승강전달부재(44)에 의해 축부재(45)가 회전되면서 인출바(46)가 승강되어 받침판(22)의 후단부가 승강된다. 이와 같은 승강작동부재(40)에 의하면, 물품인출수단(20)의 측벽(21)에 장공(21a)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외관이 보다 미려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뽑기 게임기는 물품진열대(20)마다 물품(1)이 규칙적으로 진열되어 종래 불규칙적으로 뒤엉켜있는 물품을 집게형상의 픽업수단으로 뽑는 게임기에 비해 기기마다 뽑기 성공률이 다르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 한편, 물품인출수단(50)의 이동블록(60)에 제1타격바(81)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리미티드스위치(70)를 구비함으로써, 제2타격바(83)와 인출레버(30)의 선단이 거의 근접된 경우에만 제2타격바(83)가 인출레버(30)를 완전히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판(22)의 회동각이 일정수치 이상이 되어 물품(1)이 낙하되도록 하여, 게임의 정밀성이 더욱 요구되어 이용자의 흥미를 좀 더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인출수단(50)에 의해 물품(1)이 낙하될 때에는 제어부(110)가 이를 감지하여 물품배출구(14)에 이르는 통로(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3)를 구비함으로써, 정상적인 게임에 의해서만 통로(102)가 개방되어 부정한 방법으로 물품(1)을 무단인출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인출레버(30) 자체가 비틀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자전되도록 구성되어 승강작동부재(40)와 다시 결합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인출레버(30)의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승강작동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어서 조립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6), 물품인출수단(50), 물품배출구(14) 및 이동통로(100) 등이 하나씩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수량은 두 개 이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레버(30)와 제1타격바(81)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출레버(30)와 제1타격바(81) 자체가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블록(60)과 승강작동부재(40)의 구성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과 하측에 투명창(13)과 물품배출구(14)가 구비된 기기본체(10); 이 기기본체(10)의 내부에 종횡으로 배치되며 물품(1)이 상기 투명창(13)을 향하도록 진열되는 복수개의 물품진열대(20); 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에서 좌우 및 상하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진열된 물품(1)을 인출시키는 물품인출수단(50);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16); 및 상기 조작부(16)와 접속되어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품진열대(20)는 기기본체(10)의 후면판(11)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벽(21)과, 선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부(22a)에 의해 상기 양 측벽(21)에 힌지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로 힌지회동되는 받침판(22)과, 상기 측벽(21)에 상하회동 또는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가 측벽(21)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인출레버(30)와, 이 인출레버(30)의 상하회동 또는 승강에 의해 상기 받침판(22)의 후단부를 승강되게 회동시키는 승강작동부재(40)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은 구동모터(63)에 의해 상하회동 또는 승강되어 상기 인출레버(3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된 타격바(80)를 포함하는 이동블록(60)과, 이 이동블록(60)을 좌우 및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하좌우이동수단(90)으로 구성되며,
    상기 물품인출수단(50)의 타격바(80)는 상기 이동블록(60)에 상하회동 또는 승강되게 구비된 제1타격바(81)와, 기단부가 상기 제1타격바(81)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제1타격바(81)의 회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타격바(83)와, 상기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와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제2타격바(83)를 위치정렬시키는 탄성체(82)로 구성되어,
    상기 타격바(8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출레버(30)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승강작동부재(40)에 의해 받침판(22)의 후단부가 승강되게 회동됨으로써, 받침판(22)에 거치된 물품(1)이 물품진열대(20)의 전방으로 낙하되고, 상기 제2타격바(83)의 선단부가 인출레버(30)의 타격중심(c)을 벗어나게 되면 제2타격바(83)가 제1타격바(81)에서 측방으로 회동되면서 인출레버(30)의 둘레면을 따라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격바(83)의 선단부 저면은 적어도 좌우로 만곡된 형상이며, 상기 인출레버(30)는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원의 중심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둘레부 상면의 타격중심(c)에 상기 제2타격바(83)의 저면 중심부가 안착되는 조준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
KR1020100067712A 2010-07-14 2010-07-14 물품 뽑기 게임기 KR10127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12A KR101278607B1 (ko) 2010-07-14 2010-07-14 물품 뽑기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12A KR101278607B1 (ko) 2010-07-14 2010-07-14 물품 뽑기 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32A KR20120007132A (ko) 2012-01-20
KR101278607B1 true KR101278607B1 (ko) 2013-06-26

Family

ID=4561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712A KR101278607B1 (ko) 2010-07-14 2010-07-14 물품 뽑기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48A1 (ko) * 2016-12-21 2018-06-28 김문기 이용자의 스킬에 의해 승패를 결정하는 타켓 푸싱게임기
JP2021027899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タイトー 押し付け機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522B1 (ko) * 2013-01-31 2013-08-23 (주)코뮤즈 게임 자판기
KR101881884B1 (ko) * 2016-12-28 2018-08-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하는 경품을 획득하기 위한 경품게임기 및 그의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070A (ja) * 1996-09-04 1998-03-24 Tasuko Kk 景品獲得遊戯機
JP2008114047A (ja) 2006-10-13 2008-05-22 Sega Corp 景品取得ゲーム機及び景品載置台
KR20100005013U (ko) * 2008-11-06 2010-05-14 송희석 경품배출 게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070A (ja) * 1996-09-04 1998-03-24 Tasuko Kk 景品獲得遊戯機
JP2008114047A (ja) 2006-10-13 2008-05-22 Sega Corp 景品取得ゲーム機及び景品載置台
KR20100005013U (ko) * 2008-11-06 2010-05-14 송희석 경품배출 게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48A1 (ko) * 2016-12-21 2018-06-28 김문기 이용자의 스킬에 의해 승패를 결정하는 타켓 푸싱게임기
JP2021027899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タイトー 押し付け機構
JP7339061B2 (ja) 2019-08-09 2023-09-05 株式会社タイトー 押し付け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32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58B2 (en) Article capturing game machine
US7731587B2 (en) Prize game apparatus
US9183696B2 (en) Merchandi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game thereof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US20160379450A1 (en) Vacuum crane arcade game
KR101141717B1 (ko) 상품인출 게임장치
US10741014B2 (en) Adjustable prize chute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KR20100009785U (ko) 상품 인출형 게임기
KR101292834B1 (ko) 경품용 아케이드 게임기
KR101398509B1 (ko)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101165578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KR20150001545U (ko) 경품 게임 장치
KR101165577B1 (ko)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KR101276436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용 자동토출 상품진열대
KR101299522B1 (ko) 게임 자판기
KR200256585Y1 (ko) 상품이 지급되는 축구 게임기
KR101376508B1 (ko) 경품 유출 게임기
KR200436048Y1 (ko) 경품게임기 경품 받침대
KR101501424B1 (ko) 경품 유출 게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1884B1 (ko) 이동하는 경품을 획득하기 위한 경품게임기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4097528A (ja) ゲーム機
JP3702156B2 (ja) 遊技媒体収容器用転倒防止装置
KR200194499Y1 (ko) 경품 교환용 오락기
KR200398938Y1 (ko) 보너스 게임기가 장착된 상품 뽑기 오락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