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48B1 - 다공질 탄소, 조습 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및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다공질 탄소, 조습 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및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48B1
KR102328148B1 KR1020167008945A KR20167008945A KR102328148B1 KR 102328148 B1 KR102328148 B1 KR 102328148B1 KR 1020167008945 A KR1020167008945 A KR 1020167008945A KR 20167008945 A KR20167008945 A KR 20167008945A KR 102328148 B1 KR102328148 B1 KR 10232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porous carbon
vapor adsorption
adsorption amount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879A (ko
Inventor
다카노리 가와노
다카히로 모리시타
히로노리 오리카사
Original Assignee
토요 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1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less than 0.5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3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in the range 0.5-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6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more than 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Pore diameter being less than 2 nm, i.e. micropores or nan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3Pore diameter being in the range 2-50 nm, i.e. mes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88Pore-size distribution
    • B01J20/28092Bimodal, polymodal, different types of pores or different pore size distributions in different parts of the 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7/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 F25B17/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solid, e.g. sa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4Heat pumps of the sorption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07Gas diffus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083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02Dimensions
    • B01D2253/31Pore siz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6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다공질 탄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메소 구멍과 미크로 구멍을 구비하고,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1.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탄소로서, 특히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50m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흡착량 비율 =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1)

Description

다공질 탄소, 조습 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및 연료 전지{POROUS CARBON, HUMIDITY-CONTROLLING ADSORBENT MATERIAL, ADSORPTION-TYPE HEAT PUMP, AND FUEL CELL}
본 발명은 다공질 탄소 등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다공질 탄소 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흡착식 냉동기를 시작으로 하는 히트 펌프 등에서는 용매의 흡착량의 많음, 흡탈착 속도의 빠르기, 인가 압력에 대한 응답성의 높이가 요구되고 있다. 또,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일정한 화학적 안정성도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하기 비특허문헌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흡착재로서 평가되고 있는 활성탄이나 실리카 겔 등에서는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흡착 성능(흡착량, 흡탈착 속도)을 충분히 만족하는 재료는 없다. 특히,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재료가 없었다.
또, 석유 코크스를 650~800℃에서 건류해 얻어지는 조습재용 탄소재로서, 기공을 20용량% 이상, 30용량% 이하의 범위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재용 탄소재가 제안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7-209844호 공보
덴소테크니컬 리뷰 Vol.11 No.1 2006 Adsorption News Vol.10, NO.3, p12-16(July 1996)(일본 흡착 학회) 화학 공학 논문집 15(1), p38-43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조습재용 탄소재를 이용한 경우여도,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다공질 탄소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메소 구멍과 미크로 구멍을 구비하고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1.8 이상이고, 상기 메소 구멍의 용량이 0.9㎖/g 이상 2.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증기 흡착량 비율 =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1)
본 발명에 의하면,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다공질 탄소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폴리아믹산 수지와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의 (b)는 혼합물을 열처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의 (c)는 다공질 탄소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탄소 A1~A3, Z1~Z5에서의 상대 습도와 수증기 흡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메소 구멍과 미크로 구멍을 구비하고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1.8 이상이고, 상기 메소 구멍의 용량이 0.9㎖/g 이상 2.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증기 흡착량 비율 =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1)
상기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1.8 미만인 경우, 상대 습도가 70%인 시점에서, 다공질 탄소의 수증기 흡착 여력이 거의 없는 상태(구체적으로는 다공질 탄소의 세공에 물이 대략 충만해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습도가 70%를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상의 수증기를 거의 흡착하지 못하고, 수증기 흡착량의 제어가 곤란해진다. 이것에 비해서, 상기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1.8 이상인 경우, 상대 습도가 70%인 시점에서, 다공질 탄소의 수증기 흡착 여력이 충분히 있는 상태(구체적으로는 다공질 탄소의 세공에 물이 충만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습도가 70%를 초과한 경우여도, 그 이상의 수증기를 흡착할 수 있고, 수증기 흡착량의 제어를 충분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소 구멍의 용량을 0.9㎖/g 이상 2.0㎖/g 이하로 규제하는 것은 이하에 나타내는 이유 때문이다. 메소 구멍의 용량이 0.9㎖/g 미만인 경우, 비표면적이 작아 고습도측에서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메소 구멍의 용량이 2.0㎖/g를 초과하면, 전체 세공에서의 미크로 구멍의 용량(비율)이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수증기를 흡착하기 위해 충분한 비표면적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2.0 이상이면, 고습도 분위기 하에서 수증기를 한층 흡착할 수 있으므로, 흡착재로서의 기능을 보다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50m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50mg/g 미만인 경우에는 흡착할 수 있는 수증기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흡착재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분야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300mg/g 이상 700m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300mg/g 미만인 경우, 흡착재로서의 기능이 낮고, 이용할 수 있는 분야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700mg/g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주로 흡착 현상이 생기는 미크로 구멍의 거의 모두가 수증기에 의해서 채워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착 거동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수증기의 흡착 현상이 생기는 것은 미크로 구멍이지만, 고습도측에서의 수증기의 흡착량은 메소 구멍 용량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메소 구멍의 구멍 지름이 3nm 이상 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메소 구멍의 구멍 지름이 4.5nm 이상 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소 구멍의 구멍 지름을 3nm 이상(특히, 4.5nm 이상)으로 규제하는 것은, 그것보다 작은 구멍 지름인 것을 제작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전체 세공 용량과, 미크로 구멍 용량과, 메소 구멍 용량의 관계는 하기 (2)식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다.
미크로 구멍 용량 = 전체 세공 용량 - 메소 구멍 용량···(2)
상기 미크로 구멍 용량이 0.3㎖/g 이상 0.7㎖/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크로 구멍 용량이 0.3㎖/g 미만이면, 비표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미크로 구멍 용량이 0.7㎖/g를 초과하면, 미크로 구멍 용량은 미크로 구멍으로의 수증기 확산 속도에 영향을 부여하는 것에 기인하고, 흡착재로서의 응답 속도(흡착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다공질 탄소를 조습 흡착재의 흡착재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술한 다공질 탄소를 흡착식 히트 펌프의 흡착재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다공질 탄소를 연료 전지용 전극의 탄소계 담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다공질 탄소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유기질 수지를 포함하는 유동성 재료와 산화물(주형 입자)을 용액 또는 분말 상태에서 습식 혹은 건식 혼합해 혼합물을 제작한다. 다음에, 이 혼합물을 비산화 분위기 혹은 감압 분위기 하, 예를 들면 500℃ 이상의 온도에서 탄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세정 처리함으로써 주형 입자를 없애고, 이것에 의해서, 다공질 탄소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다공질 탄소는 다수의 세공(메소 구멍과 미크로 구멍)을 가지고 있다. 단, 세공의 배치는 규칙적이지 않고, 랜덤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되어 있다.
여기서, 주형 입자의 지름이나 유기질 수지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세공 지름, 다공질 탄소의 세공 분포, 및 탄소질벽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 입자의 지름과 유기질 수지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보다 큰 세공 용량을 가지는 다공질 탄소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질 수지로서는 단위 구조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소 혹은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폴리이미드는 산 성분과 디아민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단, 이 경우 산 성분 및 디아민 성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 혹은 불소 원자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인 폴리아미드산을 성막하고, 용매를 가열 제거함으로써 폴리아미드산막을 얻는다. 다음에, 얻어진 폴리아미드산막을 200℃ 이상에서 열이미드화함으로써 폴리이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으로서는 2,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2,2-Bis(4-aminophenyl)hexafluoropropane],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2,2'-Bis(trifluoromethyl)-benzidine], 4,4'-디아미노옥타플루오로비페닐이나, 3,3'-디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디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3,3'-디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3,3'-디플루오로-4,4'-디아미노벤조페논, 3,3',5,5'-테트라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5,5'-테트라(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5,5'-테트라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3,3',5,5'-테트라(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3,3',5,5'-테트라플루오로-4,4-디아미노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1,3-디아미노-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메틸-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메톡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2,4,6-트리플루오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클로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퍼브로모-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메틸-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메톡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3,4,6-트리플루오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클로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브로모-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3-(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메틸-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메톡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3,6-트리플루오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클로로-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퍼브로모-5-(퍼플루오로노네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메틸-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메톡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2,4,6-트리플루오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클로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3-디아미노-4-브로모-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메틸-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메톡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3,4,6-트리플루오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클로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2-디아미노-4-브로모-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3-(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메틸-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메톡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3,6-트리플루오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클로로-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 1,4-디아미노-2-브로모-5-(퍼플루오로헥세닐옥시)벤젠이나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p-페닐렌디아민(PPD), 디옥시디아닐린 등의 방향족 디아민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디아민 성분은 상기 각 방향족 디아민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한편, 산 성분으로서는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무수물(6FDA), 및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3,4,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2무수물(BPDA),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PMDA)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이미드 전구체의 용매로서 이용하는 유기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드화의 수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고분자 학회편 「신고분자 실험학」공립 출판, 1996년 3월 28일, 제3권 고분자의 합성·반응(2) 158페이지 참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혹은 화학 이미드화의 어느 쪽의 방법에 따라도 되며, 본 발명은 이 이미드화의 방법에는 좌우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이미드 이외의 수지로서는 석유계 타르 피치,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화물로서 이용하는 원료는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등) 외에, 열처리에 의해 열분해 과정에서 산화마그네슘으로 상태가 변화하는 금속 유기산(구연산 마그네슘, 옥살산마그네슘, 구연산칼슘, 옥살산칼슘 등),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산화물을 제거하는 세정액으로서는 염산, 황산, 질산, 구연산, 아세트산, 포름산 등 일반적인 무기산이나 유기산을 사용하고, 2mol/l 이하의 묽은 산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80℃ 이상의 열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탄화는 비산화 분위기 혹은 감압 분위기에서, 500℃ 이상, 1500℃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탄소 수율의 수지는 고분자이기 때문에, 500℃ 미만에서는 탄소화가 불충분하고 세공의 발달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한편, 1500℃ 이상에서는 수축이 크고, 산화물이 소결해 조대화하기 때문에, 세공의 사이즈가 작아져 비표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비산화성 분위기란, 아르곤 분위기 혹은 질소 분위기 등이며, 감압 분위기란 133Pa(1torr) 이하의 분위기이다.
또한, 상기 다공질 탄소의 부피 밀도는 0.1g/cc 이상 1.0g/c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피 밀도가 0.1g/cc 미만이면, 비표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탄소질벽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는 한편, 부피 밀도가 1.0g/cc를 초과하면, 3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고, 세공의 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형 입자로서의 산화마그네슘 분말(MgO, 평균 입경은 5nm)(2)와 탄소 전구체로서의 유기물 수지(폴리비닐알코올) (1)를 3:2의 중량비로 혼합했다. 다음에,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혼합물을 불활성 분위기 하 900℃에서 2시간 열처리하고, 폴리비닐알코올을 열분해시킴으로써, 탄소질벽(3)을 구비한 소성물을 얻었다. 그 다음에,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소성물을 1mol/l의 비율로 첨가된 황산 용액으로 세정하여 MgO를 완전하게 용출시켰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세공(4)을 가지는 비정질의 다공질 탄소(5)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다공질 탄소 재료를, 이하 재료 A1이라고 칭한다.
(참고예)
주형 입자로서 평균 입경이 20nm인 산화마그네슘 분말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다공질 탄소를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다공질 탄소 재료를, 이하 재료 A2라고 칭한다.
(실시예 3)
주형 입자로서 마그네슘염(초산 마그네슘)을 이용해 탄소 전구체로서의 유기물 수지(폴리비닐알코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다공질 탄소를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다공질 탄소를, 이하 재료 A3이라고 칭한다.
(비교예 1)
시판의 활성탄(와코준야쿠 공업주식회사 제 활성탄(제품 번호 037-02115))을 이용했다.
이와 같은 활성탄을, 이하 재료 Z1라고 칭한다.
(비교예 2)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질소 분위기 하, 9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탄소 재료를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재료를, 이하 재료 Z2라고 칭한다.
(비교예 3)
시판의 합성 제올라이트계 흡착재(와코준야쿠 공업주식회사 제 합성 제올라이트 A-3(제품 번호 269-00555)을 이용했다.
이와 같은 재료를, 이하 재료 Z3라고 칭한다.
(비교예 4)
시판의 합성 제올라이트계 흡착재(와코준야쿠 공업주식회사 제 합성 제올라이트 F-9(제품 번호 261-00635))를 이용했다.
이와 같은 재료를, 이하 재료 Z4라고 칭한다.
(비교예 5)
시판의 이산화규소(Sigma-Aldrich사 제 MCM-41type 643645)를 이용했다.
이와 같은 재료를, 이하 재료 Z5라고 칭한다.
(실험)
상기, 재료 A1~A3, Z1~Z5에서의 BET 비표면적 등에 대해서, 하기 방법으로 조사했으므로, 그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먼저, 밀폐된 흡착 측정용 유리 셀 내에 재료 A1~A3, Z1~Z5를 배치한 후, 진공 하, 300℃ 2시간의 탈기 처리를 실시했다.
(2) 질소를 흡착 가스로서 이용하고, 77K(-196℃)에서 측정해 질소 흡착 등온선을 구했다. 상기 측정에는 일본 벨 주식회사 제의 자동 가스/증기 흡착량 측정 장치 BELSORP-18을 이용했다. BET 비표면적은 상대압(P/P0)=0.05~2.20의 범위의 측정점에서 산출했다.
전체 세공 용량은 상대압(P/P0) 0.95에서의 흡착량에서 구하고, 미크로 구멍의 용량은 Dubinin-Radushkevitch(DR)법에 따라 구했다. 또, 메소 구멍 용량은 상기 전체 세공 용량과 상기 미크로 구멍의 용량의 차이로부터 구했다.
(3) 메소 구멍 지름 및 미크로 구멍 지름의 도출
메소 구멍 지름은 BJH(Berret-Joyner-Halenda)법으로 구하고, 미크로 구멍 지름은 HK(Horvath-Kawazoe)법으로 구했다.
(4) 수증기 흡착 측정
수증기 흡착 측정은 일본 벨 주식회사 제의 자동 가스/증기 흡착량 측정 장치 BELSORP-18을 이용해서 실시했다. 측정 조건은 흡착 온도를 25℃로 하고 상대압(P/P0) 0~0.9의 범위에서 실시했다. 또, 흡착질이 되는 물로서는 동결 및 탈포 처리를 4~5회 반복함으로써 고순도화한 증류수를 이용했다. 얻어진 흡착 등온선은 가로축을 수증기 상대압(P/P0)으로 하고, 세로축을 시료 1g당에 흡착한 수증기의 양(mg/g)으로서 묘화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그리고, 도 2에서 25℃에서의 수증기 상대압 P/P0가 0.70(상대 습도가 70%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RH70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과, P/P0=0.90(상대 습도가 90%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RH90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을 조사해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수증기 흡착량 비율을 산출했다.
수증기 흡착량 비율 = RH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RH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1)
Figure 112016032923213-pct00004
표 1 및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재료 Z1~Z5에서는 RH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RH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하, RH90/RH70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값이 1.0~1.7인데 비하여, 재료 A1~A3에서는 RH90/RH70의 값이 2.3~7.8이다. 이것으로부터, 재료 A1~A3는 재료 Z1~Z5에 비해, RH90/RH70의 값이 커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료 Z1~Z5에서는 RH70의 시점에서 다공질 탄소의 수증기 흡착 여력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되고 있기 때문에, RH90이 된 경우에 수증기를 거의 흡착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비해서, 재료 A1~A3에서는 RH70의 시점에서, 다공질 탄소의 수증기 흡착 여력이 충분히 있는 상태가 되고 있기 때문에, RH90가 된 경우여도, 수증기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된 것은 고습도에서의 수증기 흡착량은 메소 구멍 용량에 의존하는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재료 A1~A3에서는 메소 구멍 용량이 0.834~1.861㎖/g로서, 매우 커지고 있는데 비하여, 재료 Z1~Z5에서는 메소 구멍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고 있어도 그 용량이 0.024~0.455㎖/g로서 매우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험 결과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조습·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연료 전지용 전극 담체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폴리아믹산 수지
2: 산화마그네슘
3: 탄소질벽
4: 세공
5: 다공질 탄소

Claims (16)

  1. 메소 구멍과 미크로 구멍을 구비하고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1.8 이상이며, 상기 메소 구멍의 용량이 0.9㎖/g 이상 2.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탄소.
    수증기 흡착량 비율 =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소 구멍의 구멍 지름이 3nm 이상 50nm 이하인 다공질 탄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소 구멍의 구멍 지름이 4.5nm 이상 50nm 이하인 다공질 탄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흡착량 비율이 2.0 이상인 다공질 탄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 습도가 7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50mg/g 이상인 다공질 탄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300mg/g 이상 700mg/g 이하인 다공질 탄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크로 구멍 용량이 0.3㎖/g 이상 0.7㎖/g 이하인 다공질 탄소.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대 습도가 90%일 때의 수증기 흡착량이 512mg/g 이상 700mg/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탄소.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다공질 탄소를 흡착재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흡착재.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다공질 탄소를 흡착재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히트 펌프.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다공질 탄소를 전극의 탄소계 담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KR1020167008945A 2013-09-06 2014-06-16 다공질 탄소, 조습 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및 연료 전지 KR102328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4729 2013-09-06
JP2013184729A JP5695147B2 (ja) 2013-09-06 2013-09-06 多孔質炭素、調湿吸着材、吸着式ヒートポンプ、及び燃料電池
PCT/JP2014/065925 WO2015033643A1 (ja) 2013-09-06 2014-06-16 多孔質炭素、調湿吸着材、吸着式ヒートポンプ、及び燃料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879A KR20160051879A (ko) 2016-05-11
KR102328148B1 true KR102328148B1 (ko) 2021-11-18

Family

ID=5262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45A KR102328148B1 (ko) 2013-09-06 2014-06-16 다공질 탄소, 조습 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및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37405B2 (ko)
EP (1) EP3042877B1 (ko)
JP (1) JP5695147B2 (ko)
KR (1) KR102328148B1 (ko)
CN (1) CN105531224B (ko)
CA (1) CA2922942C (ko)
MX (1) MX2016001521A (ko)
TW (1) TWI638771B (ko)
WO (1) WO2015033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2447A1 (ja) * 2015-03-26 2016-09-2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の担体炭素材料及び触媒
JP6671719B2 (ja) * 2015-11-16 2020-03-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イオ燃料電池用のガス拡散電極材、及び、ガス拡散電極材の作製方法、ガス拡散電極材を備えるバイオ燃料電池
TWI647175B (zh) * 2017-10-25 2019-01-11 台灣中油股份有限公司 生質油製作多重孔洞碳材之方法
JP7125892B2 (ja) * 2018-11-20 2022-08-25 株式会社クレハ アミロイドβ除去器具、生体由来液浄化システム、アミロイドβ除去方法およびアミロイドβ除去用吸着材
US20230369608A1 (en) 2020-09-29 2023-11-16 N.E. Chemcat Corporation Catalyst for electrodes, composition for forming gas diffusion electrode, gas diffusion electrod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stack
JPWO2022071320A1 (ko) 2020-09-29 2022-04-07
FR3122585A1 (fr) 2021-05-04 2022-11-11 Universite Claude Bernard Lyon 1 Solide mésoporeux pour réguler l’humidité dans les espaces clos
WO2024082307A1 (zh) * 2022-10-21 2024-04-2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碳质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含有其的二次电池和用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3323A1 (en) 2009-03-11 2010-09-1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Methods for increasing mesopores into microporous carbon
US20110315922A1 (en) 2008-11-04 2011-12-29 Donaldson Company Inc. Custom water adsorption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7127A (ja) * 1989-01-14 1990-07-23 Osaka Gas Co Ltd 除湿材
JP2000072426A (ja) * 1998-08-21 2000-03-07 Daikyo Kensetsu Kk 活性炭製造方法、調湿用活性炭及び調湿用建材
JP2002080213A (ja) * 2000-09-07 2002-03-19 Mitsubishi Chemicals Corp 炭素質多孔材
JP4245522B2 (ja) * 2003-07-07 2009-03-25 東洋炭素株式会社 炭素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GB0506278D0 (en) * 2005-03-29 2005-05-0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orous carbon materials and smoking articles and smoke filters therefor incorporating such materials
JP4571883B2 (ja) * 2005-04-25 2010-10-27 株式会社タクマ 含塩有機物を用いた蒸気吸放出材料
JP2007099612A (ja) * 2005-09-06 2007-04-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均一な粒子径を有するメソ多孔性炭素ビーズ、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該メソ多孔性炭素ビーズを担体とする水処理用触媒、該触媒の性能評価装置と、該触媒を用いた実廃水処理装置
JP5057671B2 (ja) * 2006-02-07 2012-10-24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調湿用炭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13503B2 (ja) * 2006-02-16 2012-08-29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疎水性活性炭の製造方法
JP4875562B2 (ja) * 2007-07-20 2012-02-15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用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装置
JP2010208887A (ja) * 2009-03-10 2010-09-24 Toyo Tanso Kk 多孔質炭素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4473B2 (ja) * 2009-04-07 2013-11-20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親水性炭素微細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5734B2 (ja) * 2010-02-05 2014-05-07 株式会社実践環境研究所 活性炭の製造方法及び活性炭
GB201007667D0 (en) * 2010-05-07 2010-06-2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Method of preparing porous carbon
JP5935039B2 (ja) * 2012-02-23 2016-06-15 地方独立行政法人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活性炭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5922A1 (en) 2008-11-04 2011-12-29 Donaldson Company Inc. Custom water adsorption material
JP2012508094A (ja) 2008-11-04 2012-04-05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スタム水吸着材料
WO2010103323A1 (en) 2009-03-11 2010-09-1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Methods for increasing mesopores into microporous carb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3643A1 (ja) 2015-03-12
TWI638771B (zh) 2018-10-21
CA2922942C (en) 2022-09-13
MX2016001521A (es) 2017-01-11
JP2015051891A (ja) 2015-03-19
TW201515993A (zh) 2015-05-01
EP3042877A4 (en) 2017-05-10
CA2922942A1 (en) 2015-03-12
US20160199809A1 (en) 2016-07-14
EP3042877A1 (en) 2016-07-13
JP5695147B2 (ja) 2015-04-01
US10137405B2 (en) 2018-11-27
KR20160051879A (ko) 2016-05-11
CN105531224B (zh) 2018-10-16
EP3042877B1 (en) 2021-02-17
CN105531224A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148B1 (ko) 다공질 탄소, 조습 흡착재, 흡착식 히트 펌프 및 연료 전지
US9156694B2 (en) Porous carb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916979B1 (ko) 다공질 탄소 및 그 제조 방법
JP5860600B2 (ja) 多孔質炭素
KR20150041053A (ko) 커패시터
JP5860602B2 (ja) 多孔質炭素
JP6350918B2 (ja) 吸着/脱離剤
JP2008100186A (ja) ガス吸着処理装置
JP2015057373A (ja) 多孔質炭素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8321B2 (ja) 多孔質炭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42922B2 (ja) 炭素多孔体、その製法及びアンモニア吸着材
JP2016028014A (ja) 多孔質炭素
EP3130561A1 (en) Porous carb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adsorption/desorption device using porous carbon
WO2015137107A1 (ja) 多孔質炭素シート
WO2014038005A1 (ja) 多孔質炭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3886A (ko) 메조 기공이 발달된 입상 활성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