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309B1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309B1
KR102319309B1 KR1020200029100A KR20200029100A KR102319309B1 KR 102319309 B1 KR102319309 B1 KR 102319309B1 KR 1020200029100 A KR1020200029100 A KR 1020200029100A KR 20200029100 A KR20200029100 A KR 20200029100A KR 102319309 B1 KR102319309 B1 KR 10231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hydraulic pressure
opening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851A (ko
Inventor
데츠야 후지모토
이쿠루 곤노
다케노리 구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0011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26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6Devices for pipe guiding and f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60T17/222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by filling or bleeding of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1)은 차실(4)과, 수용실(5; 6; 7)과, 상기 수용실(5; 6; 7)과 상기 차실(4)을 구획하는 격벽(8a)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실(5; 6; 7)은, 상기 차실(4)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벽(8a)에는, 상기 수용실(5; 6; 7)과 상기 차실(4)을 연통하는 개구(8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구(8b)에는, 상기 개구(8b)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덮개(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실(5; 6; 7)에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가 격납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는, 작동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25; 35)를 갖고, 상기 개구(8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발명은, 차실(車室) 및 상기 차실과 구획된 수용실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92762에는, 운전석의 하방(下方)의 차체 플로어를 상방(上方)으로 팽출(膨出)시켜, 상기 운전석과 상기 차체 플로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 내에 브레이크 액압 조정 장치를 배치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92762에는, 상기 운전석의 시트 쿠션을 차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함과 함께, 상기 시트 쿠션의 하방의 차체 플로어에, 상기 브레이크 액압 조정 장치에의 브레이크 배관의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 쿠션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현출(現出)시킨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92762에는, 상기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에 리저버 탱크를 구비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리저버 탱크를 차실 내로부터 메인티넌스할 수 있도록 한다는 기술 사상을 짐작하기가 곤란하다.
그런데, 최근, 차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주행시키는 자동 운전이 가능한 차량(이하, 자동 운전 차량이라고도 한다.)의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리저버 탱크를 갖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을 향상 가능하게 한 후, 탑승자의 이용 스페이스인 차실을 가급적 증대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차실 및 상기 차실과 구획된 수용실을 갖는 차량으로서, 리저버 탱크를 갖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을 향상 가능하게 한 후, 탑승자의 이용 스페이스인 차실을 가급적 증대 가능하게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차량이다. 상기 차량은 차실과,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과 상기 차실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실은 상기 차실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적어도 일방(一方)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수용실과 상기 차실을 연통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덮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실에는, 차륜 제동용의 브레이크 장치에 포함되는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가 격납되어 있다.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작동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를 갖고, 상기 리저버 탱크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가,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태양에 의하면, 만일, 정기적인 메인티넌스가 필요한 리저버 탱크 구비의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상기 수용실 내의 최상부에 배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또, 상기 개구와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 사이에 타(他) 부재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상기 개구로부터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메인티넌스할 때, 상기 차실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과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등, 상기 작업성이, 예를 들면,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상기 개구로부터 시인 곤란하게 되는 위치 또는 상기 개구로부터 먼 위치에 격납한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다.
게다가, 상기 제 1 태양에서는, 상기 차실 내에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격납하는 경우에 비하면, 상기 차실을 가급적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차실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차륜 브레이크 유닛에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 본체부와, 상기 리저버 탱크 내의 작동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액압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부에 상기 작동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동 모터를 가져도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부 및 상기 전동 모터도,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리저버 탱크 외에,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부 및 상기 전동 모터도 상기 개구로부터 시인하기 쉬워지므로, 그들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상기 리저버 탱크 내의 작동액이 공급되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피스톤을 스트로크시킴으로써 차륜 브레이크 유닛에 공급하는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을 스트로크시키는 구동 유닛을 가져도 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리저버 탱크가 차량 측면에서 보아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리저버 탱크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면, 상기 수용실을 차량 전후 방향에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차실을 차량 전후 방향에서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은, 차량 전후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일반의 수동 운전 차량과 같이 마스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가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수용실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차실을 가급적 넓게 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에는,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가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동작 불능시에, 상기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에 의해 상기 차륜 브레이크 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페일 세이프를 달성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게다가,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도 상기 개구로부터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메인티넌스할 때, 상기 차실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과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상기 리저버 탱크 내의 작동액이 공급되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피스톤을 스트로크시킴으로써 차륜 브레이크 유닛에 공급하는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스트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와, 이 가압 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유닛을 가져도 된다.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가 차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일반의 수동 운전 차량과 같이 마스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가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수용실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차실을 가급적 넓게 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압 부재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에는, 추가로 공조(空調) 장치가 격납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상기 공조 장치보다 상기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조 장치의 메인티넌스 빈도가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에 비하여 낮은 것을 고려하여, 상기 수용실 내에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와 공조 장치를 격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을 향상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차실에 상기 공조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차실을 가급적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차실의 내장 부품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용의 덮개(추가 부품)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지는 것 외에, 상기 차실 내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상기 차실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구성하는 내장 부품이 탑승자석으로 되어 있고, 이 탑승자석이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은, 차량 후방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용의 덮개(추가 부품)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지는 것 외에, 상기 차실 내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상기 차실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자동 운전을 위한 차량이다. 상기 차량은, 적어도 탑승자 및 짐을 수용하는 차실과, 차량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과 상기 차실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실은, 상기 차실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수용실과 상기 차실을 연통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탑승자석이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은, 차량 후방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자동 운전이란, 탑승자의 조작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한 자동 운전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보조적인 조작을 행하는 반자동 운전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태양에 의하면, 상기 차실을 가급적 크게 하는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차량 구성 부품이란, 리저버 탱크를 갖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 공조 장치, 구동용 전동 모터 및 냉각계의 열교환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와 같은 리저버 탱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배치하고, 그 하측에 상기 차량 구성 부품 중에서 상기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보다 메인티넌스 빈도가 낮은 것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차량 구성 부품 중에서, 메인티넌스 빈도가 높은 것을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메인티넌스 빈도가 낮은 것을 상기 개구보다 먼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과 제 2 태양에 의하면, 리저버 탱크를 갖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을 향상 가능하게 한 후, 탑승자의 이용 스페이스인 차실을 가급적 증대 가능하게 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브레이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브레이크 유닛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후방 소정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좌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차량(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행 방향(도 1의 화살표 참조)에 대략 대칭인 차체를 갖고 있는 점, 차륜(2, 3)이 극단적으로 양단(兩端)쪽에 배치되어 있는 점, 엔진 룸(모터 룸)을 덮는 본네트 등을 갖고 있지 않은 점, 차량 측면(1c)의 대략 전면(全面)이 출입구를 구성하는 점 등, 종래 일반의 운전석을 갖는 수동 운전 차량과는 크게 다른 외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차량(1)은 진행 방향 양측으로 대략 동일한 태양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 차량(1)에는 전후라는 개념은 없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1의 좌측을 전단(前端)부(1a)(부호 2를 전륜(前輪))라고 하고, 도 1의 우측을 후단(後端)부(1b)(부호 3을 후륜(後輪))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화살표 Fr은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을, 화살표 Rh는 차 폭 방향의 우측을, 화살표 Up은 상측을 각각 나타낸다. 또, 상기 수동 운전 차량이란, 유저가 앉은 상태에서 스티어링, 액셀러레이터 페달,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 가능한 운전석을 갖는 차량이다.
또한, 이 차량(1)은, 소위 「자동 운전」이 가능한 차량이며, 그에 따라, 외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해서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일반의 운전석을 갖는 수동 운전 차량과는 크게 다르다. 또한, 「자동 운전」이란, 탑승자의 조작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한 자동 운전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보조적인 조작을 행하는 반자동 운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차량(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 센서, 레이더, GPS 안테나 등으로부터의 정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외부 서버로부터의 지령 등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로서의 ECU(50)(도 4 참조)가, 구동용 전동 모터(51)(도 3 참조)나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도 3 참조) 등을 작동시킴으로써, 자동 운전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1)에서는, 소위 「운전자」의 존재가 필수로 되어 있지 않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4) 내에는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차실(4) 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옆으로 나란히 다수 탑승자용의 탑승자석(4a, 4b)이 차량 전후 방향에서 마주보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차실(4) 내에는, 차륜(2) 또는 차륜(3)과 기계적으로 연결한 스티어링휠이나 브레이크 페달과 같은 운전자의 조작부가, 차실(4) 내에 상설되어 있지 않고, 이 때문에, 차량(1) 전체에 있어서 차실(4)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져 있다. 또한, 「차실(4) 내에 상설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차량(1) 자체에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제 1 수용실(5), 제 2 수용실(7) 또는 제 3 수용실(6)에 가려져 있는 조작부가, 불측의 사태가 생긴 경우 등에, 예를 들면, 버튼 조작 등에 의해 차실(4) 내에 드러나는 경우 등도 포함한다.
다만, 차량(1)은, ECU(50) 등에 의한 완전한 자동 운전뿐만 아니라, 차실(4) 내에 타고 있는, 감시자로서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보조적인 조작을 행하는 반자동 운전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소지하고 있는 태블릿 PC(도시 생략)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화상을 비춤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차량(1) 주변의 상황을 감시하거나, 태블릿 PC의 화상 상의 버튼 아이콘을 누름으로써, 긴급 정지 브레이크 등이 작동하거나 하도록 차량(1)의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퍼레이터에 대해서도, 차실(4) 내에 있어서의 그 존재가 필수로 되어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외부의 관리 센터의 오퍼레이터 등이 차실(4) 내의 오퍼레이터의 역할을 하도록 해도 되고, 외부 서버가 마찬가지의 역할을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차량(1)에서는 ECU(50), 구동용 전동 모터(51), 스티어링 액추에이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등과 같은 구동계 및 전기계 기기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5) 및 제 2 수용실(7)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4)의 일부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차량(1)의 전단부(1a) 및 후단부(1b)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제 1 수용실(5) 및 후측에 위치하는 제 2 수용실(7)은, 후술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65)(도 6 참조)나 크로스 멤버(63)(도 6 참조) 등의 프레임 부재나 차실(4)을 구성하는 캐빈의 패널 부재(이하, 프레임 부재(8) 등이라고도 한다.)에 의해서, 차실(4)과 구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차량(1)에서는, 제 1 수용실(5) 및 제 2 수용실(7)의 상방(上方)의 공간도 차실(4)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전동 차량(1)은, 구동용 전동 모터(51)가 후측의 차륜(3)에 구동력을 입력하는 구동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구동용 전동 모터(51)는, 전동 차량(1)의 차실(4)의 바닥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제 3 수용실(6)에 배치된 배터리(52)를 전원으로서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일반의 운전석을 갖는 수동 운전 차량과는 크게 다른 본 실시 형태의 차량(1)에서는, 여러 가지의 차량 탑재 기기의 구성, 구조 및 배치에 생각을 집중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 전체에 있어서의 차실(4)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차량 탑재 기기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5) 및 제 2 수용실(7)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차량을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상대적으로 넓은 차실(4)의 실현화의 일 요인이 되고 있는 브레이크 장치(10)의 기능적 구성 및 구조 및 배치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브레이크 장치(10)의 개략 구성)
브레이크 장치(10)는, 차륜(2, 3)을 제동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서브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유닛(30), 비상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페달 유닛(40), 하기 차륜 브레이크 유닛(부호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의 구성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은, 차량(1) 중앙부의 제 3 수용실(6)에 배치된 배터리(52)를 전원으로 하여 전동 모터(26, 36)(도 5 참조)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전기 작동식으로 되어 있고, 또,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제 3 수용실(6)에 배치된 에어 탱크(48)에 충전된 압축 공기에 의해서 작동하는 공기 작동식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차륜 브레이크 유닛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 의해 발생한 브레이크 액압에 의해 차륜(2, 3)을 제동(감속,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제 1∼제 4 브레이크 배관(11, 12, 13, 14), 제 1∼제 4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 13a, 14a), 제 1∼제 4 브레이크 디스크(11b, 12b, 13b, 14b)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브레이크 캘리퍼(11a) 및 제 1 브레이크 디스크(11b)는, 우 전측의 차륜(도 3 및 도 4에서는 부호 2a)을 지지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브레이크 캘리퍼(11a)는, 제 1 수용실(5) 내에서 차 폭 방향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브레이크 배관(11)을 개재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1 포트(23a)(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브레이크 캘리퍼(12a) 및 제 2 브레이크 디스크(12b)는, 좌 전측의 차륜(도 3 및 도 4에서는 부호 2b)을 지지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브레이크 캘리퍼(12a)는, 제 1 수용실(5) 내에서 차 폭 방향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브레이크 배관(12)을 개재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2 포트(23b)(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제 3 브레이크 캘리퍼(13a) 및 제 3 브레이크 디스크(13b)는, 우 후측의 차륜(도 3 및 도 4에서는 부호 3a)을 지지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브레이크 캘리퍼(13a)는, 제 1 수용실(5) 내에서 차 폭 방향의 좌측으로 연장된 후, 제 3 수용실(6)을 차량 전후 방향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제 2 수용실(7)에 이르고, 제 2 수용실(7) 내에서 차 폭 방향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브레이크 배관(13)을 개재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3 포트(24a)(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제 4 브레이크 캘리퍼(14a) 및 제 4 브레이크 디스크(14b)는, 좌 후측의 차륜(도 3 및 도 4에서는 부호 3b)을 지지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제 4 브레이크 캘리퍼(14a)는, 제 3 브레이크 배관(13)과 마찬가지로 제 2 수용실(7)에 이른 후, 제 2 수용실(7) 내에서 차 폭 방향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4 브레이크 배관(14)을 개재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4 포트(24b)(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의 상세 구성)
브레이크 장치(10)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액압의 전달 경로로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이 최상류에 위치하고, 이들의 하류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가 위치하고, 당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로부터, 제 1∼제 4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 13a, 14a)로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는, 브레이크 ECU(21), 액추에이터 본체부(22), 리저버 탱크(25), 전동 모터(2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ECU(21)는, ECU(50)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ECU(50)가 센서나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정보(차속, 정지선이나 장해물과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산출한 제동력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26)를 작동시켜, 작동액을 리저버 탱크(25)로부터 퍼올려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는, 필요할 때(ECU(50)의 요구시)에 필요한 만큼(ECU(50)의 요구량)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본체부(2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실(23)과 제 2 액실(24)로 나뉘어져 있다.
제 1 액실(23)에는, 제 1, 제 2 포트(23a, 23b)가 형성되어 있어, 브레이크 ECU(21)의 지령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26)에 의해 가압된 작동액이 이들 제 1, 제 2 포트(23a, 23b)로부터 제 1, 제 2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로 각각 공급된다.
제 2 액실(24)에는, 제 3 및 제 4 포트(24a, 24b)가 형성되어 있어, 브레이크 ECU(21)의 지령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26)에 의해 가압된 작동액이 이들 제 3 및 제 4 포트(24a, 24b)로부터 제 3 및 제 4 브레이크 캘리퍼(13a, 14a)로 각각 공급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 본체부(22)를 제 1 액실(23)과 제 2 액실(24)의 2실로 나눔으로써, 만일 편방(片方)의 액실이 파손 등 되더라도, 브레이크 액압을 소실하지 않고, 타방(他方)의 액실로부터 차륜(2, 3)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는, 브레이크 유닛(30)의 하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유닛(30)에 문제가 생긴 경우이더라도, 단독으로 제 1∼제 4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 13a, 14a)로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브레이크 유닛(30)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상대적으로 큰 제동력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를 보조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한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를 대신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유닛(30)은 브레이크 ECU(31), 마스터 실린더(32), 리저버 탱크(35), 전동 모터(36), 어큐뮬레이터(37), 제 1 전자 밸브(38), 제 2 전자 밸브(3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실린더(3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하우징(33) 내를 슬라이딩하는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의 스트로크에 따라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32)의 실린더 하우징(33)과 제 1, 제 2 피스톤(34a, 34b) 및 입력 피스톤(41)과의 사이에는, 제 1∼제 5 액실(R1, R2, R3, R4, R5)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제 1 액실(R1)은, 리저버 탱크(35) 및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1 액실(23)과 연결되어 있어, 제 1 액실(R1)의 내부의 작동액이 제 1 피스톤(34a)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액실(R2)은, 제 1 피스톤(34a)과 제 2 피스톤(34b)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 리저버 탱크(35) 및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2 액실(24)과 연결되어 있고, 제 2 액실(R2)의 내부의 작동액이 제 2 피스톤(34b)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피스톤(34b)에는 플랜지부(34c)가 마련되어 있어, 플랜지부(34c)의 일방측(제 1, 제 2 액실(R1, R2)측)에 제 4 액실(R4)이 구획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플랜지부(34c)의 타방측(제 3 액실(R3)측)에 제 5 액실(R5)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제 3 액실(R3)은, 리저버 탱크(35) 및 제 4 액실(R4)과 연결되어 있어, 제 3 액실(R3)의 내부의 작동액이 입력 피스톤(41)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3 액실(R3)과 제 4 액실(R4)은, 통전 상태에서 개방되는 제 1 전자 밸브(38)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전동 모터(36)는, 리저버 탱크(35)로부터 퍼올린 작동액을 가압하고, 이 가압한 작동액을 어큐뮬레이터(37)에 모아 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37)는, 통전 상태에서 개방되는 제 2 전자 밸브(39)를 개재하여 제 5 액실(R5)과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ECU(31)는, ECU(50)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ECU(50)가 산출한 제동력 요구에 기초하여, 제 2 전자 밸브(39)를 개방하여 고압의 작동액을 해방하고, 이러한 고압의 작동액에 의해서,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을 실린더 하우징(33) 내에서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ECU(31)는,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작동시키는 경우 이외에는, 제 1 전자 밸브(38)를 통전 상태(밸브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브레이크 유닛(30)을 작동시키는 경우 이외에는, 제 2 전자 밸브(39)를 비통전 상태(밸브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의 스트로크에 따라서 발생한 브레이크 액압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2)의 제 1, 제 2 포트(32a, 32b)로부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1, 제 2 액실(23, 24)을 개재하여, 제 1∼제 4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 13a, 14a)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유닛(30)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와는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전기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이더라도, 제 1, 제 2 액실(23, 24)의 적어도 일방이 손상되어 있지 않으면, 차륜(2, 3)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주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나 브레이크 유닛(30)의 동작 불능시의 비상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차량(1)이 정전된 경우 등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나 브레이크 유닛(30)을 대신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피스톤(41), 로드(42), 브레이크 페달(43), 에어 실린더(44), 솔레노이드 BOX(45), 호스(46), 호스(47), 에어 탱크(4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 피스톤(41)은, 브레이크 유닛(30)의 실린더 하우징(33) 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로드(42)는 입력 피스톤(41)과 브레이크 페달(43)을 연결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43)은,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서, 입력 피스톤(41)을 가압측으로 밀어넣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가압되고 있고, 솔레노이드 BOX(45)의 내부의 밸브가 폐쇄되면,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44)는, 통전 상태에서 내부의 밸브가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BOX(45)를 개재하여, 에어 탱크(48)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에어 실린더(44)는, 차량(1)의 정전 등과 같은 소정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 솔레노이드 BOX(45)의 내부의 밸브(도시 생략)가 개방됨으로써, 에어 탱크(48)에 충전된 압축 공기에 의해서 작동되어, 브레이크 페달(43)을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BOX(45)는, ECU(50)로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작동시키는 경우를 제외하고, 통전됨으로써 상기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밸브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호스(46)는 에어 실린더(44)와 솔레노이드 BOX(45)를 연통(連通)하는 것이고, 호스(47)는 솔레노이드 BOX(45)와 에어 탱크(48)를 연통하는 것이다.
또한, 에어 실린더(44), 솔레노이드 BOX(45), 호스(46, 47) 및 에어 탱크(48)가 공기압 공급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서는, 에어 실린더(44)에 의해서 브레이크 페달(43)을 회동시켜, 입력 피스톤(41)(도 5 참조)을 가압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마스터 실린더(32)의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킨다.
이 마스터 실린더(32)에 의해 발생한 브레이크 액압은, 제 1, 제 2 포트(32a, 32b)로부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제 1, 제 2 액실(23, 24)을 개재하여, 제 1∼제 4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 13a, 14a)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서도 마스터 실린더(32)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유닛(30)과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 의해 단일의 마스터 실린더(32)를 공통 이용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과는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예를 들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의 전기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이더라도, 소정 조건이 성립하면, 차륜(2, 3)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브레이크 장치(10)의 동작)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A) 전기 계통에 문제 등이 없는 통상시에는, 메인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로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가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한다.
이에 비하여, (B) 전기 계통 등의 문제에 의한 이상시에 있어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에 문제가 생긴 경우(B-1)는, 브레이크 유닛(30)이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고, 정전 등에 의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에 문제가 생긴 경우(B-2)에는,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이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한다.
또한, 상술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한 긴급 정지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액압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의 어느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렇게 하여, 제 1∼제 4 브레이크 캘리퍼(11a, 12a, 13a, 14a)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휠 실린더와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일반적으로 공지의 구성으로서, 상기 휠 실린더에 제 1∼제 4 포트(23a, 23b, 24a, 24b)로부터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제 1∼제 4 브레이크 디스크(11b, 12b, 13b, 14b)에 각각 눌림으로써 마찰 제동력을 발생하여, 차량(1)을 감속,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A)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만을 작동시키고, 상기 (B-1)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유닛(30)을 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B-2)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구성의 일례를 간단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A)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ECU(31)가 제 2 전자 밸브(39)를 폐쇄한 상태(비통전 상태)로 하고,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의 브레이크 ECU(21)가, 전동 모터(26)를 작동시켜 리저버 탱크(25)로부터 작동액을 퍼올려 가압하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만의 브레이크 액압에 의해 차량(1)의 감속, 정지가 행해지게 된다.
이에 비하여, 상기 (B-1)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ECU(31)는, 제 2 전자 밸브(39)를 통전 상태로 하여 이것을 개방하고, 가압된 상태에서 어큐뮬레이터(37)에 모아 둔 작동액을 제 5 액실(R5)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 1 전자 밸브(38)가 통전 상태(밸브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제 3 액실(R3)의 액압은, 대향실인 제 4 액실(R4)의 액압과 상쇄되므로, 제 2 피스톤(34b)은 제 5 액실(R5)의 액압에 의해서만 동작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B-1)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유닛(30)만의 브레이크 액압에 의해 차량(1)의 감속, 정지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B-2)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정전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38)가 폐쇄됨과 함께, 솔레노이드 BOX(45)의 내부의 밸브가 개방된다.
그러면, 에어 탱크(48)에 충전된 압축 공기에 의해서 에어 실린더(44)가 작동하고, 브레이크 페달(43)을 회동시킴으로써, 입력 피스톤(41)이 가압측으로 밀려들어가, 제 3 액실(R3)의 액압이 상승한다.
여기서, 제 1 전자 밸브(38)가 폐쇄되어 있으면, 제 3 액실(R3)의 액압은, 대향실인 제 4 액실(R4)의 액압과 상쇄되지 않으므로, 제 2 피스톤(34b)은 제 3 액실(R3)의 액압에 의해서만 동작하게 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만의 브레이크 액압에 의해 차량(1)의 감속, 정지가 행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차량(1)에서는, 통상은 배터리(52)의 전력에 의해, 또, 차량(1)의 정전시 등에는 운전자의 답력(踏力)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에어 탱크(48)의 압축 공기에 의해, 차량(1)의 감속, 정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을 차실(4) 내에 상설하지 않는 레이아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배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브레이크 페달 유닛(40) 및 공조 장치로서의 에어 컨디셔너 유닛(53)은 제 1 수용실(5) 내에 격납되어 있고, 차량(1)의 구동원인 구동용 전동 모터(51)는 제 1 수용실(5)과는 반대측의 제 2 수용실(7) 내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전후의 중량 배분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4)과 제 1 수용실(5)을 구획하는 격벽(8a)에 형성된 개구(8b)와 대향하는 위치(개구(8b)에 가까운 위치)에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8b)와 대향하는 위치」란, 예를 들면, 개구(8b)를 차실측으로부터 정면시하였을 때에, 자신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개구(8b)로부터 보이는 위치여도 된다. 이 개구(8b)에는, 당해 개구(8b)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덮개(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덮개(9)는, 전용 부품으로 되어 있고, 이 덮개(9) 위에 탑승자석(4a)이 배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의 브레이크 페달(43)이 개구(8b)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격벽(8a)은 프레임 부재(8)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9)는, 예를 들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차실(4)의 내장 부품(예를 들면, 선반, 내장 패널, 탑승자석(4a) 등)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9)가 필요없어지므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이에 의해, 덮개(9)로 개구(8b)를 폐색하면, 차실(4)측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이 차실(4)측에 노정(露呈)하지 않게 되는 한편, 덮개(9)를 떼어내어 개구(8b)를 개방하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이 차실(4)측에 노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메인티넌스할 때, 차실(4)측으로부터 개구(8b)를 통과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등, 당해 작업성이, 예를 들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개구(8b)로부터 시인 불가능하게 되는 위치 또는 개구(8b)로부터 먼 위치에 격납한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다.
다음으로, 제 1 수용실(5)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수용실(5)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의 제 3 수용실(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차 폭 방향의 양단측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레일(61)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사이드 레일(61)은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멤버(6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레일(61)의 전단부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하로 2단 늘어세운 크로스 멤버(63, 64)에 있어서의 하측의 크로스 멤버(64)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크로스 멤버(63, 64)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에 제 1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크로스 멤버(63)의 차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65)가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들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65)의 전단부는 크로스 멤버(6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65)에는, 당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65) 및 크로스 멤버(63, 66)보다 낮은 위치에서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크로스 멤버(67, 68)(도 8 참조)가 걸쳐져 있다.
각 크로스 멤버(67, 68)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그 양단부가 차 폭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上方)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어, 프론트 사이드 멤버(65)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부호 69는, 서스 타워(서스펜션 타워)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1 수용실(5)은,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65)에 의해서 좌우가 구획되고, 또한, 크로스 멤버(63, 66)에 의해서 전후가 구획됨과 함께, 크로스 멤버(67, 68)에 의해서 하측이 구획되어 있다.
브레이크 유닛(30)에서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2)의 길이 방향, 즉,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하우징(33)의 상측에, 실린더 하우징(33)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저버 탱크(35)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유닛(30) 전체로서도, 실린더 하우징(33)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길이 직각 방향)의 길이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실린더 하우징(33)의 연장되는 방향(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있다. 또한, 브레이크 ECU(31)는 실린더 하우징(33)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 하우징(33)의 연장되는 방향(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의 슬라이딩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브레이크 유닛(3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이 차 폭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제 1 수용실(5)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로 늘어선 2개의 크로스 멤버(67, 68)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브래킷(67a)이 걸쳐져 있다.
브레이크 유닛(3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67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브래킷(70)의 상단부에, 실린더 하우징(33)의 플랜지부(32c)가 볼트(103)로 체결됨으로써, 길이 방향이 차 폭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유닛(30)과 마스터 실린더(32)를 공통 이용하는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유닛(30)과 차 폭 방향으로 늘어서, 제 1 수용실(5)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하우징(33)에 삽입되어 있는 입력 피스톤(41)에 연결되는 로드(42)가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로드(4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레이크 페달(43)도, 브레이크 유닛(30)과 차 폭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또, 브레이크 페달(43)을 회동시키는 에어 실린더(44)는,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43)과 차 폭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프론트 사이드 멤버(65)로부터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래킷(65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44)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48)는, 제 1 수용실(5)보다 후방에 마련된 크로스 멤버(6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 유닛(30)과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이, 차 폭 방향에서 대략 일직선 상에 늘어서 있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ECU(21)와, 액추에이터 본체부(22)(리저버 탱크(25)를 포함함)와, 전동 모터(26)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27)이, 이 순서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전체로서도, 이들의 늘어선 방향(배열 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배열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있다.
이와 같이,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수용실(5)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페달(43)의 차량 전후 방향의 후측(브레이크 유닛(30)의 근방이고 또한 브레이크 유닛(30)보다 차량 전후 방향의 후측)에, 그 길이 방향(배열 방향)이 차 폭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크로스 멤버(63)에는, 당해 크로스 멤버(63)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折曲)되어 차 폭 방향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L자 형상의 제 2 브래킷(8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 2 브래킷(80)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브래킷(70)의 상단부는, 볼트(101, 102)를 통하여 각각 액추에이터 브래킷(90)과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 1, 제 2 브래킷(70, 80) 및 액추에이터 브래킷(90)은 일체가 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는, 액추에이터 브래킷(90)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43)의 차량 전후 방향의 후측에서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제 1 수용실(5)에 배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페달(43)은, 통상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회동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42)의 하측에서 회동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실린더(44)에 의해 회동시키기 때문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42)의 상측에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수용실(5) 내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의 하측에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생겨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에 에어 컨디셔너 유닛(공조 장치)(53)을 배치하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기적인 메인티넌스가 필요한 구성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를 개구(8b)와 대향하도록 차실(4)과는 구획된 제 1 수용실(5)에 격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을 메인티넌스할 때, 차실(4)측으로부터 상기 개구(8b)를 통하여 시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등, 당해 작업성이, 예를 들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을 개구(8b)로부터 시인 불가능하게 되는 위치 또는 개구(8b)로부터 먼 위치에 격납한 경우에 비하여, 향상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실(4) 내에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을 격납하는 경우에 비하면, 탑승자의 이용 스페이스인 차실(4)을 가급적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차실(4)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유닛(30)을, 마스터 실린더(32)의 길이 방향, 즉,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의 슬라이딩 방향이 차 폭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수용실(5) 내에 있어서, 차 폭 방향을 따르는 도시하지 않은 차축이나 크로스 멤버(63, 67, 68) 등과 브레이크 유닛(30)을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유닛(30)을 예를 들면, 종래 일반의 운전석을 갖는 수동 운전 차량과 같이 차량 전후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하는 경우, 환언하면,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기기, 부재와 차량 전후 방향과 평행해지는 브레이크 유닛(30)이 혼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 1 수용실(5)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차실(4)을 가급적 넓게 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및 브레이크 유닛(30)의 동작 불능시에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32)의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페일 세이프를 달성할 수 있는 외에,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브레이크 유닛(30)과 차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수용실(5)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개구(8b)와 대향하도록 제 1 수용실(5)에 격납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공기 작동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차량(1)이 정전된 경우이더라도, 운전자의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확실하게 차량(1)을 감속, 정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 및 이것에 상당하는 것을 차실(4)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실(4)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를 브레이크 유닛(30)보다 차량 전후 방향의 후측(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차량 충돌시에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외측)에 배치된 브레이크 유닛(30)이 파손된 경우에도,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가 파손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만일, 브레이크 유닛(30)이 파손된 경우이더라도,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는, 액압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유닛(30)보다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어, 브레이크 유닛(30)과는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10) 전체가 동작 불량에 빠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를 제 1 수용실(5)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유닛(30)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제 1∼제 4 브레이크 배관(11, 12, 13, 14)을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수용실(5)의 컴팩트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제 1 수용실(5)에 배치하고, 제 1 수용실(5) 내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10)의 하방의 빈 공간에 에어 컨디셔너 유닛(공조 장치)(53)을 배치함으로써, 환언하면, 에어 컨디셔너 유닛(53)이,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에 비하여 메인티넌스 빈도가 낮은 것을 고려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의 하측에 에어 컨디셔너 유닛(53)을 배치함으로써,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을 향상 가능하게 하면서, 차실(4)에 에어 컨디셔너 유닛(53)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 1 수용실(5)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리저버 탱크(25, 35)를 갖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에어 컨디셔너 유닛(공조 장치)(53), 구동용 전동 모터(51) 및 도시하지 않은 냉각계의 열교환기 등 중에서, 메인티넌스 빈도가 높은 것을 개구(8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메인티넌스 빈도가 낮은 것을 개구(8b)보다 먼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게 하여, 이러한 제 1 수용실(5)의 컴팩트화와, 제 1 수용실(5) 및 제 2 수용실(7)을 차실(4)의 일부에 차량 전후 방향에서 오버랩시키도록 하는 것의 상승 작용에 의해서, 차실(4)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넓게 할 수 있다.
추가하여,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은, 운전자의 답력에 대신하여 공기압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브레이크 페달(43)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32)의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종래 일반의 수동 운전 차량에서 이용하는 마스터 실린더 및 브레이크 페달 등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코스트 업을 억제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당해 범위와 균등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장치(10)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마련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린더 하우징 내를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의 스트로크에 따라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킴과 함께, 피스톤의 슬라이딩 방향이 차 폭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수용실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라면,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1개여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공기 작동식으로 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 유닛(30)의 동작 불능시에 제 1, 제 2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유압 작동식 또는 전기 작동식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유닛(30)과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차 폭 방향으로 늘어세움과 함께, 이들보다 차량 전후 방향 후측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를 배치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차 폭 방향으로 늘어세워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이 작동하는 경우로서, (B-2)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차량(1)이 주차하는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파킹 브레이크로서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수용실(5)에 3개의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와 에어 컨디셔너 유닛(공조 장치)(53)을 격납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에어 컨디셔너 유닛(53)은, 제 1 수용실(5)에 격납하지 않고 제 2 수용실(7)에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을 제 1 수용실(5)에 격납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및 브레이크 페달 유닛(40) 중 어느 2개 (20, 30) 또는 (20, 40) 또는 (30, 40)을 제 1 수용실(5)에 격납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유닛(30)과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 마스터 실린더(32)를 공통 이용하도록 구성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브레이크 유닛(30)과 브레이크 페달 유닛(40)에 각각 마스터 실린더(32)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수용실(5)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브레이크 페달 유닛(40) 및 에어 컨디셔너 유닛(53)(공조 장치)을 격납하고, 제 2 수용실(7)에 구동용 전동 모터(51)를 격납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와는 반대로, 제 1 수용실(5)에 구동용 전동 모터(51)를 격납하고, 제 2 수용실(7)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브레이크 페달 유닛(40) 및 에어 컨디셔너 유닛(53)(공조 장치)을 격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용 전동 모터(51)에 의해 후측의 차륜(3)에 구동력을 입력하는 구동 방식으로 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 1 수용실(5)에 구동용 전동 모터(51)를 격납하고, 제 2 수용실(7)에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0), 브레이크 유닛(30), 브레이크 페달 유닛(40) 및 에어 컨디셔너 유닛(53)(공조 장치)을 격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구동용 전동 모터(51)에 의해 전측의 차륜(2)에 구동력을 입력하는 구동 방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수용실(5)과 제 3 수용실(6) 사이, 및 제 2 수용실(7)과 제 3 수용실(6)의 사이에 대해서는, 완전히 칸막이할 필요는 없고, 연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자동 운전 가능한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차실에 운전석을 마련하고 있는 차량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실(4) 내에 오퍼레이터용의 보조석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의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은, 차실을 가급적 넓게 한 점에서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의 메인티넌스의 작업성이 우수한 차량의 보급에 공헌할 수 있다.

Claims (13)

  1. 차량(1)으로서,
    차실(4);
    상기 차실(4)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용실(5; 6; 7); 및,
    상기 수용실(5; 6; 7)과 상기 차실(4)을 구획하는 격벽(8a)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실(5; 6; 7)에는, 차륜 제동용의 브레이크 장치(10)에 포함되는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가 격납되어 있고,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는 작동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25; 35)를 갖고,
    상기 격벽(8a)에는, 상기 차실(4)로부터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의 메인티넌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실(5; 6; 7)과 상기 차실(4)을 연통하는 개구(8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구(8b)에는, 상기 개구(8b)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덮개(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저버 탱크(25; 35)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가, 상기 개구(8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는, 차륜 브레이크 유닛에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 본체부(22)와,
    상기 리저버 탱크(25) 내의 작동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액압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부(22)에 상기 작동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동 모터(26)를 갖고,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부(22) 및 상기 전동 모터(26)는, 상기 개구(8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30)는, 상기 리저버 탱크(35) 내의 작동액이 공급되는 실린더 하우징(33) 내에서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킴으로써 차륜 브레이크 유닛에 공급하는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실린더(32)와,
    상기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유닛(31; 38; 39)을 갖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32)와 상기 리저버 탱크(35)가 차량 측면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32)의 길이 방향은, 차량 전후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는 차량(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5; 6; 7)에는,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가 상기 개구(8b)와 대향하는 위치에 격납되어 있는 차량(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는, 상기 리저버 탱크(35) 내의 작동액이 공급되는 실린더 하우징(33) 내에서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킴으로써 차륜 브레이크 유닛에 공급하는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실린더(32)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32)의 피스톤(34a; 34b)을 스트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41; 42; 43)와,
    상기 가압 부재(41; 42; 43)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유닛(44; 45; 46; 47)을 갖고,
    상기 가압 부재(41; 42; 43)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32)가 차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차량(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5; 6; 7)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41; 42; 43)가 상기 개구(8b)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1).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5; 6; 7)에는, 추가로 공조 장치(53)가 격납되어 있고, 상기 제 1 브레이크 액압 발생 장치(20; 30; 40)는, 상기 공조 장치(53)보다 상기 개구(8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1).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9)는, 상기 차실(4)의 내장 부품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9)를 구성하는 내장 부품이 탑승자석(4a)으로 되어 있고, 상기 탑승자석(4a)이 상기 차량(1)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은, 차량 후방인 차량(1).
  12.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자동 운전을 위한 차량(1)으로서,
    적어도 탑승자 및 짐을 수용하는 차실(4);
    차량 구성 부품을 수용하고, 상기 차실(4)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수용실(5; 6; 7); 및,
    상기 수용실(5; 6; 7)과 상기 차실(4)을 구획하는 격벽(8a)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8a)에는, 상기 수용실(5; 6; 7)과 상기 차실(4)을 연통하는 개구(8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구(8b)에는, 상기 개구(8b)를 덮도록, 탑승자석(4a)이 상기 차량(1)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의 전진 주행시와 다른 방향은, 차량 후방인 차량(1).
KR1020200029100A 2019-04-03 2020-03-09 차량 KR102319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1276 2019-04-03
JP2019071276A JP7143806B2 (ja) 2019-04-03 2019-04-03 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51A KR20200117851A (ko) 2020-10-14
KR102319309B1 true KR102319309B1 (ko) 2021-10-29

Family

ID=6978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100A KR102319309B1 (ko) 2019-04-03 2020-03-09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00910B2 (ko)
EP (1) EP3718843B1 (ko)
JP (1) JP7143806B2 (ko)
KR (1) KR102319309B1 (ko)
CN (1) CN1117918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0234B2 (ja) * 2019-04-03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2762A (ja) * 2011-03-15 2012-10-11 Suzuki Motor Corp ブレーキ液圧調整装置の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4940A (en) * 1953-06-22 1958-07-29 Clarence W Huber Master cylinder
US3076314A (en) * 1959-06-15 1963-02-05 Olof E E Stromberg Auxiliary control for automobile brakes
CH392281A (it) * 1963-09-06 1965-05-15 Indutecnica S A Installazione per il doppio comando dei pedali di un autoveicolo
US3714780A (en) * 1971-06-30 1973-02-06 Gen Motors Corp Vehicle brake control module and mounting means
JPS5141254B2 (ko) * 1973-07-02 1976-11-09
JPS59177547U (ja) * 1983-05-16 1984-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作動装置
US5033267A (en) * 1987-05-28 1991-07-23 Brake And Clutch Industries Australia Pty. Ltd. Pivotably-mounted master cylinder and pedal lever arrangement
JPH07376Y2 (ja) * 1989-05-22 1995-0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リザーブタンクの保持装置
JPH03258618A (ja) * 1990-03-09 1991-11-18 Mazda Motor Corp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構造
JPH11208529A (ja) 1998-01-30 1999-08-03 Isuzu Motors Ltd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取付構造
FR2778594B1 (fr) * 1998-04-17 2000-07-13 Gilles Bompuis Pousse-pedale pneumatique
JP2000025657A (ja) * 1998-07-15 2000-01-25 Isuzu Motors Ltd ブレーキ装置,エアコン等の取り付け構造
JP2000185644A (ja) * 1998-12-22 2000-07-04 Suzuki Motor Corp リザーバタンクの取付構造
JP2002355143A (ja) 2001-05-31 2002-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椅子及び車両
JP2003191757A (ja) * 2001-12-28 2003-07-09 Yamaha Motor Co Ltd 電動移動車
JP4512020B2 (ja) 2005-10-04 2010-07-28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0842008B1 (ko) * 2006-09-29 2008-06-27 박병섭 브레이크페달 자동 조작장치
JP5379113B2 (ja) * 2010-11-17 2013-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の入力装置
JP5503696B2 (ja) * 2012-06-28 2014-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の支持構造
JP6115943B2 (ja) * 2013-05-24 2017-04-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6117038B2 (ja) * 2013-07-12 2017-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コン装置
JP6267094B2 (ja) * 2014-10-21 2018-01-24 オートリブ日信ブレーキシステムジャパン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JP6403570B2 (ja) 2014-12-26 2018-10-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倍力装置
CN107406060A (zh) * 2015-03-31 2017-11-28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制动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10569657B2 (en) * 2016-02-16 2020-02-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brake system
JP6335956B2 (ja) * 2016-03-01 2018-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US10108218B2 (en) * 2016-05-25 2018-10-23 Fontaine Modification Company Brake assembly for retrofitting a motor vehicle with a dual-position brake system
EP3351445A1 (en) * 2017-01-23 2018-07-25 FCA Italy S.p.A. Brake system for motor-vehicles
US10106206B1 (en) * 2017-08-31 2018-10-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ructural storage compartment in a vehicle cabin
US10809720B2 (en) * 2017-11-14 2020-10-20 Chian Chiu Li Bi-directional autonomous vehicle
JP6477856B1 (ja) * 2017-12-26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2762A (ja) * 2011-03-15 2012-10-11 Suzuki Motor Corp ブレーキ液圧調整装置の配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8843B1 (en) 2022-12-07
KR20200117851A (ko) 2020-10-14
CN111791856A (zh) 2020-10-20
US11400910B2 (en) 2022-08-02
JP2020168932A (ja) 2020-10-15
JP7143806B2 (ja) 2022-09-29
EP3718843A1 (en) 2020-10-07
CN111791856B (zh) 2022-10-28
US20200317179A1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67004A1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KR20210127684A (ko) 전동 차량
KR102316402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2319309B1 (ko) 차량
JP7092084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2020168933A (ja) 車両
JP7078008B2 (ja)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の支持構造
JP7192689B2 (ja) ブレーキエア抜き装置
JP5715382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JP5602596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WO2022071388A1 (ja) 制動液圧供給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