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60B1 -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 Google Patents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60B1
KR102318860B1 KR1020210018260A KR20210018260A KR102318860B1 KR 102318860 B1 KR102318860 B1 KR 102318860B1 KR 1020210018260 A KR1020210018260 A KR 1020210018260A KR 20210018260 A KR20210018260 A KR 20210018260A KR 102318860 B1 KR102318860 B1 KR 10231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ed
unit
household
commo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하
Original Assignee
박연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하 filed Critical 박연하
Priority to KR102021001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각 층마다 여러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축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공동주택(100)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동주택(100)의 중앙에 복수의 공간들이 방사형으로 구획되어 운영에 필요한 시설이 각각 설치되는 관리구역(10); 상기 관리구역(10)내에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동력을 통해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0); 상기 관리구역(10)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구획되어 각 세대별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공동복도(30); 상기 공동복도(30)의 외측으로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걸어서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공동계단(40); 상기 공동계단(40)들 사이마다 둘 이상으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주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세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중앙으로 관리구역과 엘리베이터 및 공동복도를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전개되는 사방향의 공동계단과 함께 공동계단들 사이마다 단위세대가 마주본 상태로 둘러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단위세대에 주어지는 전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단위세대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혼잡이나 기다림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Design structure of apartment houses with space utilization and 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이 각 층마다 여러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축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중앙으로 관리구역과 엘리베이터 및 공동복도를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전개되는 방사성 방향으로 공동계단과 함께 공동계단들 사이마다 단위세대가 마주본 상태로 둘러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단위세대에 주어지는 전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단위세대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혼잡이나 기다림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및 이동할 수 있는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Apartment)는 5층 이상의 층수를 가지는 한 채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한 공동주택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핵가족 현상 및 자녀수의 감소, 인터넷의 보급 등으로 개인 생활을 중시하는 구조 및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주부를 배려한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공사비가 적게 들면서 세대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하나의 엘리베이터로 3 내지 10세대가 사용하는 복도식 아파트로 구축하였다.
이러한 복도식 아파트는 복도 쪽 작은방 앞으로 사람들이 지나다녀야 하므로 사생활을 침해받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엘리베이터 하나로 2세대가 사용하는 계단식 아파트와 'Y'자의 타워형으로 쌓아올리는 탑상형 아파트로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계단식 및 탑상형 아파트는 같은 평수라도 복도식 보다 공유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전용면적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넓어진 전용면적으로 거실과 주방이 분리되고, 2개소 이상의 화장실과 함께 현관에서 바로 각자의 방으로 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개개인의 사생활은 존중될 수 있지만 가족 구성원간의 단절 및 친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복도식 아파트와 계단식 및 탑상형 아파트의 구조가 병합되게 구축하여 거주자에게 각 아파트의 장점만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1989호 (발명의 명칭: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중앙으로 관리구역과 엘리베이터 및 공동복도를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전개되는 사방향의 공동계단과 함께 공동계단들 사이마다 단위세대가 마주본 상태로 둘러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단위세대에 주어지는 전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단위세대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혼잡이나 기다림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및 이동할 수 있는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각 층마다 여러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축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동주택의 중앙에 복수의 공간들이 방사형으로 구획되어 운영에 필요한 시설이 각각 설치되는 관리구역; 상기 관리구역 내에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동력을 통해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상기 관리구역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구획되어 각 세대별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공동복도; 상기 공동복도의 외측으로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걸어서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공동계단; 상기 공동계단들 사이마다 둘 이상으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주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세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구역은, 상기 단위세대들의 통신과 환기를 담당하는 설비들이 설치되는 통신환기구역; 상기 엘리베이터 내지 단위세대들의 화재를 검출 및 진압하는 설비들이 설치되는 소방안전구역; 상기 단위세대들의 물과 오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배관들이 설치되는 배관설비구역; 상기 엘리베이터 내지 단위세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들이 설치되는 전기공급구역;으로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공동복도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내외부로 출입되게 마련되는 현관; 상기 공동계단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마련되는 주방; 상기 주방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구원이 모여서 생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거실; 상기 주방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둘 이상의 방; 상기 현관이나 방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씻거나 대/소변을 배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둘 이상의 화장실;로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현관 및 방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종 식품, 약재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팬트리;가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외벽에 위치하는 방으로부터 구획되어 전망이나 휴식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발코니;가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주방으로부터 외벽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세탁기나 조리기구가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다용도실;이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화장실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옷이나 이불 등을 정리정돈 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옷방;이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발코니로부터 구획되어 화재나 범죄와 같은 비상상황 시 대피할 수 있게 마련되는 대피소;가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다용도실로부터 외벽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실외기실;이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화장실과 옷방 사이에 설치되어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진열할 수 있게 마련되는 화장대;가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중앙으로 관리구역과 엘리베이터 및 공동복도를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전개되는 사방향의 공동계단과 함께 공동계단들 사이마다 단위세대가 마주본 상태로 둘러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단위세대에 주어지는 전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단위세대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혼잡이나 기다림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적어도 각 층마다 여러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축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공동주택(100)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관리구역(10)과 엘리베이터(20) 및 공동복도(30) 그리고 공동계단(40)과 단위세대(5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리구역(10)은 공동주택(100)을 운영하기 위한 필수 설비들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관리구역(10)은 도 1 및 도 2처럼 공동주택(100)의 중앙에 복수의 공간들이 방사형으로 구획되어 운영에 필요한 시설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공동주택(100)이 도 1처럼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구역(10)도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동주택(100)이 도 2처럼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구역(10)도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리구역(10)은 도 3과 같이 통신환기구역(11)과 소방안전구역(12) 및 배관설비구역(13)과 전기공급구역(14)으로 구획 편성된다.
통신환기구역(11)은 좌측 상단에 할당되어 각 단위세대(50)들의 통신과 환기를 담당하는 설비들이 설치된다.
소방안전구역(12)은 우측 상단에 할당되어 엘리베이터(20) 내지 단위세대(50)들의 화재를 검출 및 진압하는 설비들이 설치된다.
배관설비구역(13)은 우측 하단에 할당되어 각 단위세대(50)들의 물과 오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배관들이 설치된다.
전기공급구역(14)은 좌측 하단에 할당되어 엘리베이터(20) 내지 단위세대(5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관리구역(10)이 공동주택(100)의 중앙에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구조물이나 건축물을 구축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관리구역(10)이 단일의 장소에 모여 있으므로 접근성과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됨에 따라 전반적인 공동주택(100)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20)는 도 1 및 도 2처럼 관리구역(10)내에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동력을 통해 거주자나 물건을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엘리베이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환기구역(11) 내지 전기공급구역(14) 사이마다 할당되어 4개소로 운영된다.
따라서 각 층마다 단위세대(50)의 수를 증가시켜도 거주자의 접근이 용이함에 따라 생활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무엇보다 엘리베이터(20)가 공용공간인 관리구역(10)내에 할당됨으로써, 단위세대(50)의 전용면적이나 수를 늘릴 수가 있어 거주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복도(30)는 도 1 및 도 2처럼 상기 관리구역(10)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구획되어 각 세대별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여기서 공동주택(100)이 도 1처럼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복도(30)도 도넛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동주택(100)이 도 2처럼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복도(30)도 사각틀형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공동복도(30)가 원형으로 둘러지거나 각형으로 꺾어지게 형성됨과 함께 각 단위세대(50)의 현관(51)마다 엘리베이터(20)가 설치됨에 따라 원활한 진/입출을 기대할 수가 있다.
무엇보다 서로 마주보는 단위세대(50)의 현관(51)이 관리구역(10)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사생활을 보호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계단(40)은 도 1 및 도 2처럼 공동복도(30)의 외측으로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걸어서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공동계단(40)은 엘리베이터(20)와 마주보는 위치마다 4개소로 마련되어 원활한 진/입출로 인해 화재나 재난과 같은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가 있다.
그리고 공동계단(40)은 2개소의 단위세대(50)별로 상호 이격시켜줌으로써,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위세대(50)는 도 1 및 도 2처럼 공동계단(40)들 사이마다 둘 이상으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주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여기서 공동주택(100)이 도 1처럼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세대(50)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동주택(100)이 도 2처럼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세대(50)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호형의 단위세대(50)는 도 4와 같이 공동계단(40) 사이마다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편성된다.
그리고 각형의 단위세대(50)는 도 5와 같이 ㄱ형과 ㅁ형이 교합되는 구조로 편성된다.
이러한 각 단위세대(50)는 기본적으로 현관(51), 주방(52), 거실(53), 방(54), 화장실(55)이 구획 편성된다.
현관(51)은 공동복도(30)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내외부로 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주방(52)은 공동계단(40)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마련된다.
거실(53)은 주방(52)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구원이 모여서 생활할 수 있게 마련된다.
방(54)은 주방(52)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마련된다.
화장실(55)은 현관(51)이나 방(54)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씻거나 대/소변을 배출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단위세대(50)는 현관(51) 및 방(54)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종 식품, 약재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팬트리(56)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호형의 단위세대(50)는 도 4와 같이 현관(51)과 주방(52) 사이에 배치되고, ㅁ형의 단위세대(50)는 도 5의 하단부와 같이 방(54)과 화장실(55) 사이에 배치된다.
물론, 도 5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ㄱ형의 단위세대(50)와 같이 별도의 팬트리(56)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단위세대(50)는 공동주택(100)의 외벽에 위치하는 방(54)으로부터 구획되어 전망이나 휴식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발코니(57)가 구획 편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코니(57)에는 소정 면적으로 구획되어 도 4와 같이 화재나 범죄와 같은 비상상황 시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소(57a)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대피소(57a)는 별도의 공간으로 독립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마주하는 단위세대(50)의 대피소(57a)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단위세대(50)는 주방(52)으로부터 외벽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세탁기나 조리기구가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다용도실(58)이 구획 편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용도실(58)에는 외벽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실외기실(58a)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생략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공동주택(100)의 외관미를 향상할 수가 있다.
한편, 단위세대(50)는 도 4와 같이 화장실(55)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옷이나 이불 등을 정리정돈 할 수 있도록 옷방(55a, 드레스룸)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실(55)과 옷방(55a) 사이에는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진열할 수 있게 마련되는 화장대(55b)가 더 설치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100)의 중앙으로 관리구역(10)과 엘리베이터(20) 및 공동복도(30)를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전개되는 사방향의 공동계단(40)과 함께 공동계단(40)들 사이마다 단위세대(50)가 마주본 상태로 둘러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단위세대(50)에 주어지는 전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단위세대(50)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혼잡이나 기다림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및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관리구역
11: 통신환기구역
12: 소방안전구역
13: 배관설비구역
14: 전기공급구역
20: 엘리베이터
30: 공동복도
40: 공동계단
50: 단위세대
51: 현관
52: 주방
53: 거실
54: 방
55: 화장실
55a: 옷방
55b: 화장대
56: 펜트리
57: 발코니
57a: 대비실
58: 다용도실
58a: 실외기실
100: 공동주택

Claims (7)

  1. 적어도 각 층마다 여러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축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공동주택(100)의 설계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100)의 중앙에 복수의 공간들이 방사형으로 구획되어 운영에 필요한 시설이 각각 설치되는 관리구역(10);
    상기 관리구역(10)내에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동력을 통해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0);
    상기 관리구역(10)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구획되어 각 세대별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공동복도(30);
    상기 공동복도(30)의 외측으로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걸어서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공동계단(40);
    상기 공동계단(40)들 사이마다 둘 이상으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주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세대(50);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구역(10)은,
    상기 단위세대(50)들의 통신과 환기를 담당하는 설비들이 설치되는 통신환기구역(11);
    상기 엘리베이터(20) 내지 단위세대(50)들의 화재를 검출 및 진압하는 설비들이 설치되는 소방안전구역(12);
    상기 단위세대(50)들의 물과 오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배관들이 설치되는 배관설비구역(13);
    상기 엘리베이터(20) 내지 단위세대(5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들이 설치되는 전기공급구역(14);으로 편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20)는 관리구역(10)내에 동서남북 사방향으로 구획되어 동력을 통해 거주자나 물건을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단위세대(50)는,
    상기 공동복도(30)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내외부로 출입되게 마련되는 현관(51);
    상기 공동계단(40)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마련되는 주방(52);
    상기 주방(52)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구원이 모여서 생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거실(53);
    상기 주방(52)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획되어 가구원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둘 이상의 방(54);
    상기 현관(51)이나 방(54)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씻거나 대/소변을 배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둘 이상의 화장실(55);
    상기 현관(51) 및 방(54)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종 식품, 약재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팬트리(56);
    상기 외벽에 위치하는 방(54)으로부터 구획되어 전망이나 휴식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발코니(57);
    상기 주방(52)으로부터 외벽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세탁기나 조리기구가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다용도실(58);이 편성되며,
    상기 화장실(55)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옷이나 이불 등을 정리정돈 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옷방(55a);
    상기 화장실(55)과 옷방(55a) 사이에 설치되어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진열할 수 있게 마련되는 화장대(55b);가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세대(50)는,
    상기 발코니(57)로부터 구획되어 화재나 범죄와 같은 비상상황 시 대피할 수 있게 마련되는 대피소(57a);
    가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실(58)로부터 외벽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획되어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실외기실(58a);
    이 더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0210018260A 2021-02-09 2021-02-09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31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60A KR102318860B1 (ko) 2021-02-09 2021-02-09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60A KR102318860B1 (ko) 2021-02-09 2021-02-09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60B1 true KR102318860B1 (ko) 2021-10-27

Family

ID=7828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260A KR102318860B1 (ko) 2021-02-09 2021-02-09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862B1 (ko) * 2022-02-21 2023-02-06 박연하 공간활용 및 드론과 자율운반차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257A (ko) * 2008-10-04 2010-04-14 임승경 백설 구조 건축물
KR102011989B1 (ko) 2018-08-23 2019-08-19 대림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257A (ko) * 2008-10-04 2010-04-14 임승경 백설 구조 건축물
KR102011989B1 (ko) 2018-08-23 2019-08-19 대림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862B1 (ko) * 2022-02-21 2023-02-06 박연하 공간활용 및 드론과 자율운반차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2603A (ko)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KR102318860B1 (ko)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JP6376733B2 (ja) 住戸
CN112031468A (zh) 一种带有斜向露台的多边住宅楼
KR101314742B1 (ko)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KR102300615B1 (ko)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KR20210081074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JP2009013581A (ja) ロフト付き集合住宅
JP4236211B2 (ja) 収納室を持つ建物
CN203716522U (zh) 公寓
KR20190017321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EP3147426B1 (en) Multi-family housing prototype with split-level, variable height apartments
JP7500186B2 (ja) 共同住宅
CN201763005U (zh) 错层嵌套的空间组合式住宅
KR102630907B1 (ko)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CN216553204U (zh) 一种具有独立入户电梯的建筑结构装置
KR101414432B1 (ko)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JP5674365B2 (ja) 高齢者介護ブロックユニット、及びその設計方法
JP2016216925A (ja) 集合住宅
KR100766416B1 (ko) 탑상형 아파트
CN105201228A (zh) 一种一梯多户高层住宅楼
KR20210094349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JP4216677B2 (ja) 集合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2023008534A (ja) 共同住宅およびリフォー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