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907B1 -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 Google Patents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907B1
KR102630907B1 KR1020220106090A KR20220106090A KR102630907B1 KR 102630907 B1 KR102630907 B1 KR 102630907B1 KR 1020220106090 A KR1020220106090 A KR 1020220106090A KR 20220106090 A KR20220106090 A KR 20220106090A KR 102630907 B1 KR102630907 B1 KR 10263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ousehold
courtyard
double spiral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남
노은주
Original Assignee
임형남
노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남, 노은주 filed Critical 임형남
Priority to KR102022010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은 건축물의 중앙에 배치되되 단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중정; 및 상기 중정의 외벽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되 꽈배기 형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는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되, 맞붙은 벽의 일부를 개방해 조성된 원형의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교차하며 접근되는 평면을 가지는 제1 가구와, 한 층을 오르면 바닥면이 옆 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되는 제2 가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Double helix step duplex}
본 발명은,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필지에서 2가구 이상의 주택이나 사용자가 다른 시설이 전체 대지의 전망과 채광, 환기 조건에 유리하도록 하며, 각 가구에 완벽하게 동등한 조건을 부여하는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필지에 크기가 한정된 2가구 이상의 다가구주택을 지을 경우, 대지 면적과 법규 등의 제약으로 한 가구에 할당되는 면적이나 조망에 대하여 제한이 있다. 다시 말해, 붙어있는 두 가구를 건축하다 보면 특히 계단은 출입을 위한 최소한의 면적만을 할애하게 된다.
보통 두 가구가 면한 벽은 폐쇄되고 주로 창고, 계단 등 창문이 필요치 않은 기능만을 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가구는 일정한 전망만을 확보하게 되어 단조롭고 불편한 구조를 개선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기능과 전망 등이 제한된 기존의 방식에 비해 다가구주택에 이중나선계단 형식을 적용할 경우, 2층 이상의 주택에서 마주한 다른 향의 주택의 상층으로 교차 진입하게 되어 단일한 전망이나 채광조건이 아닌 단독주택과 같은 모든 향의 전망과 채광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이중나선계단이 교차하면서 중심부에 원형의 중정이 형성되어 조경과 함께 계단부 및 연접 부분의 채광, 환기 조건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에 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4728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572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615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931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필지에서 2가구 이상의 주택이나 사용자가 다른 시설이 전체 대지의 전망과 채광, 환기 조건에 유리하도록 하며, 각 가구에 완벽하게 동등한 조건을 부여하는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중앙에 배치되되 단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중정; 및 상기 중정의 외벽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되 꽈배기 형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는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되, 맞붙은 벽의 일부를 개방해 조성된 원형의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교차하며 접근되는 평면을 가지는 제1 가구와, 한 층을 오르면 바닥면이 옆 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되는 제2 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중앙에 배치되되 단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중정; 및 상기 중정의 외벽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되 꽈배기 형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는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되, 이중나선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1 가구와, 이중나선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2 가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상기 제1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브가 되고, 다시 상기 제2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브가 상기 제1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가구와 상기 제2 가구는 각각이 대지의 4면 방향의 전망을 모두 확보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가구와 상기 제2 가구의 입구는 대지가 면한 도로면 어느 방향에서도 접근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정은 각 가구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마련되며, 각 층이 서로 교차하며 연접한 두 가구의 거주 조건이 동등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구가 중정을 둘러싸며 계단을 오르게 되어 내실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용이하고, 두 가구가 모두 대지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되어 대지의 전망을 다방향으로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구가 외기에 접하는 면이 많기 때문에 채광과 환기 등에서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정을 통한 굴뚝 효과로 인해 계단실 벽에 창문을 설치할 수 있어 기존 다가구주택의 폐쇄성으로 인한 환기, 채광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내부에 조경 가능한 정원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중나선계단과 중정을 이용한 다양한 공간구성으로서 거주자들의 다양한 공간 체험에 이바지하며, 좁은 대지를 활용한 다가구주택의 전망 확보 및 채광 유입, 넓고 크고 깊은 공간의 쾌적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이중나선계단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중정과 이중나선계단의 배치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의 요부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1층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2층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3층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4층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다락층 평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지붕층의 평면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의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이중나선계단의 개념도, 도 4는 중정과 이중나선계단의 배치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의 요부 사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1층의 평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2층의 평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3층의 평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4층의 평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다락층 평면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에서 지붕층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100)은 붙어있거나 연속되는 주택에 대한 채광, 환기, 전망 등의 문제를 해결하되 대지가 접한 각 방향의 전망을 확보하는 한편 대지의 전면에 접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가구주택(1)은 건축물의 중앙에 배치되되 단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중정(300)과, 중정(300)의 외벽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이중나선계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나선계단(400)은 꽈배기 형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중나선계단(410,420)을 포함한다. 즉 이중나선계단(400)은 이중나선 형식의 반원형 계단이 교차하면서 중앙에 형성되는 중정(300)이 연결되며, 이중나선계단(400)을 통해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2가구 이상의 주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다가구주택(1)은 이중나선계단(400)을 이용하여 다음 층으로 진입할 경우, 바닥면이 반대편 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가구주택(1)에 따르면, 이중나선계단(400)을 통해 중앙이 비는 중정(300)이 형성되어 통상 듀플렉스 주택이라 불리는 2가구 주택의 중심부에 환기 및 채광을 위한 여유공간이 생기고, 연접한 두 가구의 향과 외부를 향한 전망 조건이 동등해지기 때문에 각 층 및 각 실의 거주환경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가구주택(1)은 두 가구 이상이 붙어 지어지면서 하나의 벽 이상이 막히게 되는 기존 듀플렉스 주택(땅콩주택이라 함)의 불리한 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두 가구가 모두 대지의 다양한 면에 접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 전망을 복합적으로 경험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다가구주택(1)의 경우,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이나 공용부 공간을 둘 경우, 중정(300)으로의 접근을 편리하게 하고 깊고 좁은 대지에 지어지는 건축물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본 발명에 있어 다가구주택(1), 예컨대 두 가구용 주택의 중앙에는 원형의 중정(300)이 마련된다.
중정(300)은 제1 가구(100) 및 제2 가구(200)에서 각각 조망하거나 출입할 수 있으며, 때로는 제3 공간(500)인 근린생활시설이나 공용부 공간에서도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중정(300)을 통해 도심형 다가구주택에서 조경을 위한 공간이자 내부 경관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가구(100)는 중정(300)을 둘러가며 반원형으로 반대편 제2 가구(200)의 천장 윗부분을 바닥면으로 사용하게 된다.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층간소음은 바닥 슬라브의 두께를 240mm로 지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각 실의 높이 차이는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나 양쪽 가구의 동일한 층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해서 1층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가구(100)는 현관(111)으로 진입하여 제1 이중나선계단(410)으로 진입하면서 중정(300)을 둘러싸면서 2층으로 올라가면, 제2 가구(200)의 현관(211), 제2 이중나선계단(420)의 천장 상부를 바닥면으로 하는 2층으로 진입하게 된다. 물론, 제1 가구(100)와 제2 가구(200)의 출입은 별도의 공용부 공간인 제3 공간(500)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제3 공간(500)은 근린생활시설(510)이나 홀 등 다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을 가리킨다. 주요 동선으로서 이중나선계단(400) 외에도 노약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해서 2층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가구(1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1 이중나선계단(410)를 통해 2층 복도 양쪽 끝에 위치한 침실(115,116)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침실(116) 한쪽은 층고를 높게 하여 낮은 다락을 배치할 수 있는 복층 구조로 활용할 수 있다. 복도에는 침실의 편의성을 더하기 위한 화장실(114)이 배치된다. 계단 외에도 노약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가 선택 사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구(2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2 이중나선계단(420)를 통해 2층 복도 양쪽 끝에 위치한 침실(215,216)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침실(216) 한쪽은 층고를 높게 하여 낮은 다락을 배치할 수 있는 복층 구조로 활용할 수 있다. 복도에는 침실의 편의성을 더하기 위한 화장실(214)이 배치된다. 역시, 계단 외에도 노약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해서 3층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가구(1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1 이중나선계단(410)를 통해 3층 복도(117)에 도착한다. 복도 양쪽으로 거실(118)과 주방(119)이 배치된다. 2층의 반대쪽 방향으로 도착했기 때문에 각 실의 창문은 2층과 다른 경관을 갖게 된다. 2층 침실(216)이 복층이라 그 상부 주방(119)이 거실(118)보다 단차가 높게 형성되어 높낮이가 다른 공간감을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구(2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2 이중나선계단(420)를 통해 3층 복도(217)에 도착한다. 복도 양쪽으로 거실(218)과 주방(219)이 배치된다. 2층의 반대쪽 방향으로 도착했기 때문에 각 실의 창문은 2층과 다른 경관을 갖게 된다. 2층 침실(116)이 복층이라 그 상부 주방(219)이 거실(218)보다 단차가 높게 형성되어 높낮이가 다른 공간감을 갖게 된다. 각 실에는 높이차가 있으므로, 공간 분리가 확실하게 되고 각 공간마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해서 4층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가구(1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1 이중나선계단(410)를 통해 4층 복도(120)에 도착한다. 복도 양쪽으로 침실(123,124)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화장실(122)과 세탁실(121)이 배치된다. 3층의 반대쪽 방향으로 도착했기 때문에 각 실의 창문은 3층과 다른 경관을 갖게 되고 전망이 면한 방향은 2층과 동일하다. 제2 가구(2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2 이중나선계단(420)를 통해 4층 복도(220)에 도착한다. 복도 양쪽으로 침실(222)과 가족실(223)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화장실(211)이 배치된다. 3층의 반대쪽 방향으로 도착했기 때문에 각 실의 창문은 3층과 다른 경관을 갖게 되고 전망이 면한 방향은 2층과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해서 다락층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가구(1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1 이중나선계단(410)를 통해 다락층(125)에 도착한다. 다락방은 지붕 하부 창고 공간(127)과 테라스(126)으로 접근 가능하다. 제2 가구(200)는 1층에서 출발한 제2 이중나선계단(420)를 다락층(224)에 도착한다. 다락방은 지붕 하부 창고 공간(226)과 테라스(225)으로 접근 가능하다. 다락층의 테라스는 경계벽을 세울 수도 있고 연결될 수도 있어서 1층의 공용공간과 마찬가지로 다가구 두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커뮤니티 공간이 될 수 있다. 지붕층의 구조는 도 11과 같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다가구주택(1)은 각 공간이 이중나선 계단실을 통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풍부한 공간 연출이 가능하고, 계단 자체가 의장적 요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계단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의 통로가 아이들에게는 놀이공간처럼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이 중정(300)을 둘러가며 형성되면서, 제1 가구(100)가 대지의 4면에 모두 접하게 되고, 각 실 마다 조망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채광과 환기에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있어서도 2가구씩 단위를 이루어 이중나선계단과 중정으로 환기 및 채광이 가능한 구조라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붙어있거나 연속되는 주택에 대한 채광, 환기, 전망 등의 문제를 해결하되 대지가 접한 각 방향의 전망을 확보하는 한편 대지의 전면에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2층 이상의 주택에서 마주한 다른 향의 주택의 상층으로 교차 진입하게 되어 단일한 전망이나 채광조건이 아닌 단독주택과 같은 모든 향의 전망과 채광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나선계단이 교차하면서 중심부에 원형의 중정이 형성되어 조경과 함께 계단부 및 연접 부분의 채광, 환기 조건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다가구주택 100 : 제1 가구
111 : 제1 가구 현관 113 : 제1 가구 2층 복도
114 : 제1 가구 2층 화장실 115 : 제1 가구 2층 제1 침실
116: 제1 가구 2층 제2 침실 117 : 제1 가구 3층 복도
118 : 제1 가구 3층 거실 119 : 제1 가구 3층 주방
120 : 제1 가구 4층 복도 121 : 제1 가구 4층 세탁실
122 : 제1 가구 4층 화장실 123 : 제1 가구 4층 제3 침실
124 : 제1 가구 4층 제4 침실 125 : 제1 가구 다락층 다락
126 : 제1 가구 다락층 테라스 127 : 제1 가구 다락층 창고
200 : 제2 가구 211 : 제2 가구 현관
213 : 제2 가구 2층 복도 214 : 제2 가구 2층 화장실
215 : 제2 가구 2층 제1 침실 216 : 제2 가구 2층 제2 침실
217 : 제2 가구 3층 복도 218 : 제2 가구 3층 거실
219 : 제2 가구 3층 주방 220 : 제2 가구 4층 복도
221 : 제2 가구 4층 화장실 222 : 제2 가구 제3 침실
223 : 제2 가구 4층 가족실 224 : 제2 가구 다락층 다락
225 : 제2 가구 다락층 테라스 226 : 제1 가구 다락층 창고
300 : 중정 400 : 이중나선계단
410 : 제1 이중나선계단 420 : 제2 이중나선계단
500 : 제3 공간 510 : 근린생활시설

Claims (4)

  1. 건축물의 중앙에 배치되되 단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중정; 및
    상기 중정의 외벽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는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교차하며 접근되는 평면을 가지는 제1 가구와, 한 층을 오르면 바닥면이 상기 제1 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되는 제2 가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구와 상기 제2 가구는 각각이 대지의 4면 방향의 전망을 모두 확보하게 마련되며,
    상기 중정은 각 가구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2. 건축물의 중앙에 배치되되 단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중정; 및
    상기 중정의 외벽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는 이중나선계단을 포함하되,
    이중나선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1 가구와, 이중나선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 가며 한 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2 가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상기 제1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브가 되고, 다시 상기 제2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브가 상기 제1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되고,
    상기 제1 가구와 상기 제2 가구는 각각이 대지의 4면 방향의 전망을 모두 확보하게 마련되며,
    상기 중정은 각 가구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3. 삭제
  4. 삭제
KR1020220106090A 2022-08-24 2022-08-24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KR10263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090A KR102630907B1 (ko) 2022-08-24 2022-08-24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090A KR102630907B1 (ko) 2022-08-24 2022-08-24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907B1 true KR102630907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090A KR102630907B1 (ko) 2022-08-24 2022-08-24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9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284A (ko) 1999-10-27 2002-06-21 스타르크, 카르크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디에스테르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글리콜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속 방법
KR20040057254A (ko) 2002-12-26 2004-07-0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시회 정보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KR20060072930A (ko) * 2004-12-24 2006-06-28 이재민 단위공간의 수직적 집약구조를 갖는 건물의 구조
KR20080061529A (ko) 2006-12-28 2008-07-03 남양공업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JP2009263885A (ja) * 2008-04-22 2009-11-12 Shimizu Corp 多層建築物
KR20130093111A (ko) 2010-08-06 2013-08-21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유지 링에 의한 기판 엣지 튜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284A (ko) 1999-10-27 2002-06-21 스타르크, 카르크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디에스테르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글리콜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속 방법
KR20040057254A (ko) 2002-12-26 2004-07-0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시회 정보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KR20060072930A (ko) * 2004-12-24 2006-06-28 이재민 단위공간의 수직적 집약구조를 갖는 건물의 구조
KR20080061529A (ko) 2006-12-28 2008-07-03 남양공업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JP2009263885A (ja) * 2008-04-22 2009-11-12 Shimizu Corp 多層建築物
KR20130093111A (ko) 2010-08-06 2013-08-21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유지 링에 의한 기판 엣지 튜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KR102630907B1 (ko)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WO2018209730A1 (zh) 别墅叠拼、复式住宅改良构造
CN106760639A (zh) 一种具有社交功能的群居性住宅
JP4095523B2 (ja) 蔵型収納付き建物
CN214659091U (zh) 一种动静分区的住宅楼
CN201809996U (zh) 新式联体别墅
JP4236211B2 (ja) 収納室を持つ建物
JP6668026B2 (ja) 建物
CN214659090U (zh) 一种动静分离的住宅楼
KR101711946B1 (ko) 발코니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킨 발코니하우스
KR101414432B1 (ko)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KR20190017321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CN218205941U (zh) 空中院落式度假住宅
CN101967890A (zh) 新式联体别墅
JP2013204324A (ja) 集合住宅
JP4966369B2 (ja) 集合住宅
JP4216677B2 (ja) 集合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3814101B2 (ja) 住宅
JP2004108101A (ja) 建物
CN205713221U (zh) 一种多户型高层复式住宅
CN1032661C (zh) 独立单元侧跃层式住宅
JP3776294B2 (ja) 多層型収納付き建物
JP3199662U (ja) 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