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989B1 -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989B1
KR102011989B1 KR1020180098611A KR20180098611A KR102011989B1 KR 102011989 B1 KR102011989 B1 KR 102011989B1 KR 1020180098611 A KR1020180098611 A KR 1020180098611A KR 20180098611 A KR20180098611 A KR 20180098611A KR 102011989 B1 KR102011989 B1 KR 10201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earing
bearing wall
longitudina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완
윤장근
김한석
김남근
엄주용
김광민
이현준
홍동진
최윤경
서인희
최영락
박성진
한성준
이영주
이승준
박신영
조민호
권경우
이현정
김세현
배진웅
김진우
김대수
서동영
한성만
박장섭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구조적으로 바닥하중을 지지하는 데 문제가 없는 최소한의 내력벽체만 존치하면서도 평면 가변성을 확보하여 거주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은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세대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체가 3개만 배치되되, 상기 3개의 내력벽체는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종방향 내력벽체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T자를 이루도록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내력벽체이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는 단위세대의 현관 측에 종방향 외벽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횡방향 내력벽체 단부와 종방향 외벽체 사이에 현관이 배치되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의 전면에는 단위세대 내 진입 복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Apartment house with variable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구조적으로 바닥하중을 지지하는 데 문제가 없는 최소한의 내력벽체만 존치하면서도 평면 가변성을 확보하여 거주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대한 것이다.
한정된 국토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공동주택 주거 형태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으며, 부족한 주택을 대체하기 위한 아파트가 대도시 주거 형태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자리 잡게 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공동주택은 각 실의 구획이 많아 스팬이 짧고 벽체량이 많은데다 층고 절감을 위해 보 없이 각 벽체가 하중을 지지하는 벽식 구조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 벽식 구조 공동주택은 침실, 거실, 주방, 욕실 등의 실 구분 개념으로 사용되는 벽체가 모두 내력벽체로 계획된다. 그러므로 내력벽체량이 과도하고, 골조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 구획에 따라 내부 내력벽체가 계획되므로, 내력벽체의 배치가 불규칙하여 평면 가변성 확보에 매우 불리하다. 이에 리모델링이 용이하지 않아 장수명 주택으로 부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내력벽체로 구획되어 있는 공간으로 거주자 동선이 제한될 뿐 아니라 실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팬트리(pantry)나 수납장 등의 공간 확보에 불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구조적으로 바닥하중을 지지하는 데 문제가 없는 최소한의 내력벽체만 존치하면서도 평면 가변성을 확보하고 거주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세대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체가 3개만 배치되되, 상기 3개의 내력벽체는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종방향 내력벽체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T자를 이루도록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내력벽체이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는 단위세대의 현관 측에 종방향 외벽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횡방향 내력벽체 단부와 종방향 외벽체 사이에 현관이 배치되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의 전면에는 단위세대 내 진입 복도가 배치되며, 상기 내력벽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내력벽체의 수직도를 유지하기 위한 철근콘크리트 비내력벽체가 내력벽체와 일체 시공되어 연결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비내력벽체에는 급수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유입된 용수가 급수처로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용수를 직렬로 연결되는 타 수전구의 유입부로 전달하는 분기부로 구성되는 수전구가 매립 설치되고, 상기 비내력벽체는 상부 슬래브와 구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공동주택을 지지하는 파일은 내력벽체의 하부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의 후방에는 주방이 배치되되, 주방 외측의 외벽은 벽체 일정 높이에 가로로 긴 개구부가 형성된 내력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동주택 단위세대 내부의 내력벽체를 상호 동일 선상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와 이에 직교하는 횡방향 내력벽체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방향 내력벽체가 좌우로 안방과 주방/거실을 분할하고 횡방향 내력벽체가 상하로 주방과 거실을 분할하여, 각 실의 실사용 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으로 바닥하중을 지지하는데 문제가 없는 선에서 내력벽체를 최소화하고 공간 구획 가변성을 극대화하여 거주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횡방향 내력벽체를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의 중앙에 위치시켜 전체적으로 T자를 이루도록 배치하면, 횡방향 내력벽체가 슬래브의 중앙에 위치하여 슬래브의 처짐 및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래브의 응력 분산으로 바닥 진동에 유리하며 층간 소음 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횡방향 내력벽체를 현관 측에 배치할 경우 현관 주변 하중을 횡방향 내력벽체가 지지하므로, 현관과 엘리베이터 홀 사이 벽체를 비내력벽체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난공간을 현관 주변에 배치하기 용이하며, 횡방향 내력벽체의 최적 배치로 불필요한 내력벽체를 삭제하고 평면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횡방향 내력벽체를 현관 측에 최외곽 종방향 외벽체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들을 현관 주변에 모아 가변성 및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내력벽체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내부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4는 슬래브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 슬래브의 처짐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투시도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내력벽체와 비내력벽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내력벽체와 비내력벽체가 동시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의 (a)와 (b)는 각각 기존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구조 평면도 및 파일 배치도.
도 9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구조 평면도 및 파일 배치도.
도 10의 (a)와 (b)는 각각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주방 외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벽체를 도시하는 입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외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 분배기에 의한 1대1 수전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 분배기에 의한 배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점프 배관식 수전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점프 배관식 수전구에 의한 배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내력벽체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내부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은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세대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체(13, 14, 15)가 3개만 배치되되, 상기 3개의 내력벽체(13, 14, 15)는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종방향 내력벽체(13)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14)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T자를 이루도록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내력벽체(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구조적으로 바닥하중을 지지하는 데 문제가 없는 최소한의 내력벽체(13, 14, 15)만 존치하면서도 평면 가변성을 확보하여 거주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은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내력벽체(13, 14, 15)가 3개만 배치된다.
상기 내력벽체(13, 14, 15)는 세대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횡방향 내력벽체(15)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종방향은 창문이 있어 전후면으로 개방된 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은 좌우가 외벽으로 폐쇄된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도면의 아래쪽을 전면, 도면의 위쪽을 후면이라 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상 검은 선은 내력벽체이고, 회색 선은 비내력벽체를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3 베드 단위세대(1)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종방향 내력벽체(13, 14)는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종방향 내력벽체(13)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는 상기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대부분의 경우 안방(21), 주방(22) 및 거실(23)은 독립된 공간으로 서로 분리하여 구성하며, 공간적으로 통폐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내력벽체(13, 14, 15)를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횡방향 내력벽체(15)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방향 내력벽체(13, 14)는 좌우로 안방(21)과 주방(22)/거실(23)을 분할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횡방향 내력벽체(15)는 상하로 주방(22)과 거실(23)을 분할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종래 각 실의 실사용 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내력벽체(13, 14, 15)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공간 구획 가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내력벽체(13, 14)는 제1 종방향 내력벽체(13)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14)가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종방향 내력벽체(13)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14) 사이의 공간으로 사용자가 안방(21)으로 출입할 수 있는 동선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 도 3등에서 단위세대(1)의 외부 벽체들의 경우에도 내력벽체인 외부 내력벽체(11a, 11b, 11c, 11d)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하주차장의 경우 비내력벽체(16)를 제거할 수 있어 넓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주차장 계획이 매우 용이하다.
도 4는 슬래브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 슬래브의 처짐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는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T자를 이루도록 배치되되,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를 대략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13, 14)의 중앙에 위치시켜 T자를 이루도록 배치하면, 횡방향 내력벽체(15)가 슬래브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래브의 처짐 및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슬래브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 슬래브에 발생하는 처짐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 내력벽체(15)의 위치를 조절하면, 슬래브의 응력 분산으로 바닥 진동에 유리하며 층간 소음 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를 현관(27) 측에 배치할 경우 현관(27) 주변 하중을 횡방향 내력벽체(15)가 지지한다. 그러므로 현관(27)과 엘리베이터 홀(29) 사이 벽체를 비내력벽체(16)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난공간(28)을 현관(27) 주변에 배치하기 용이하다.
즉, 횡방향 내력벽체(15)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내력벽체를 삭제하고 평면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를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면, 주방(22)과 거실(23) 사이의 출입 공간을 확보하고 개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투시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는 단위세대(1)의 현관(27) 측에 종방향 외벽체(11b)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횡방향 내력벽체(15) 단부와 종방향 외벽체 사이에 현관(27)이 배치되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의 전면에는 단위세대(1) 내 진입 복도가 배치된다.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를 현관(27) 측에 배치하되, 최외곽의 종방향 외벽체(11b)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들을 현관(27) 주변에 모아 가변성 및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관(27) 옆 횡방향 내력벽체(15)를 기준으로 주방(22)과 거실(23)을 분할하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횡방향 내력벽체(15)의 전면에서 침실 2(24), 침실 3(25) 및 거실(23)을 통폐합하고, 횡방향 내력벽체(15)의 후면 측에서 팬트리(26)와 주방(22)을 통폐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등과 같이 횡방향 내력벽체(15)의 후면을 넓은 공간의 팬트리(26)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팬트리(26)를 현관(27)과 통폐합할 수도 있다.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의 전면은 단위세대(1) 내 진입 복도를 형성하므로 진입 동선을 최적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전면 발코니에 배치된 에어컨 실외기실(28)을 후면의 팬트리(26) 후방으로 이동시켜 피난공간(28)과 통합하면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다른 공간들의 평면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면에는 거실(23)과 침실들(24, 25)만 배치되므로 전면부 개방감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내력벽체와 비내력벽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내력벽체와 비내력벽체가 동시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력벽체(13, 14, 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내력벽체(13, 14, 15)의 수직도를 유지하기 위한 철근콘크리트 비내력벽체(16)가 내력벽체(13, 14, 15)와 일체 시공되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내력벽체들(13, 14, 15)이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내력벽체(13, 14, 15)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시, 직교 방향으로 지지되는 다른 거푸집이 없으면 벽체의 수직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비내력벽체(16)를 활용하여 내력벽체(13, 14, 15)와 이에 연결된 비내력벽체(16)를 묶어서 시공함으로써 벽체 정밀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내력벽체(16)는 내력벽체(13, 14, 15) 보다 두께가 얇은 벽체로 구성하여 균열 제어를 위한 최소 철근만 배근하면 충분하다.
이에 따라 철근 및 콘크리트 등 골조 물량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위치한 테두리 난간벽체(12)의 경우에도 거푸집 시공시 벽체 수직도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테두리 난간벽체(12) 또한 비내력벽체(16)와 묶어서 배치하고, 난간벽체(12)와 비내력벽체(16)를 동시 시공하도록 하면 벽체 시공의 정밀도를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는 각각 기존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구조 평면도 및 파일 배치도이고, 도 9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구조 평면도 및 파일 배치도이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내력벽체(16)는 상부 슬래브와 구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공동주택을 지지하는 파일(3)은 내력벽체(13, 14, 15)의 하부에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의 구조 평면도 및 파일 배치도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서는 단위세대(1) 내부에 내력벽체가 촘촘하게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파일(3) 또한 내력벽체 하부에 촘촘하게 배치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기존 단위세대(1) 내부의 내력벽체 일부를 비내력벽체(16)로 구성하고, 비내력벽체(16)가 하부의 벽체로 수직 하중을 전달하지 않도록 비내력벽체(16)를 상부 슬래브와 구조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내력벽체(16) 부분에서는 하중이 기초까지 전달되지 않고, 각 층 하부 슬래브에서만 지지되게 된다.
또한, 하중이 기초까지 전달되지 않으므로 기초 하부의 파일(3)은 내력벽체(13, 14, 15)의 하부에만 배치하면 되고, 비내력벽체(16)의 하부에는 파일(3)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 공동주택 대비 파일(3) 개수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어 시공성이 개선되고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도 8, 도 9에는 각각 4개의 단위세대(1)가 구비된 평면이 도시된다.
도 10의 (a)와 (b)는 각각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주방 외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벽체를 도시하는 입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외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b),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의 후방에는 주방(22)이 배치되되, 주방(22) 외측의 외벽은 벽체 일정 높이에 가로로 긴 개구부(111)가 형성된 내력벽체(11c)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벽식 구조 아파트는 후면부 벽체가 개구부에 의해 분리되어 횡력에 대한 저항이 약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위세대(1)의 주방(22) 후면부 벽체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지진하중이나 풍하중 등으로 인한 횡력에 대한 비틀림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건물 내진 성능이 개선되어 벽체 철근량 감소, 풍하중에 대한 진동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주방(22)에도 개구부(111)가 필요하므로 주방(22) 창호는 가로로 긴 와이드 창호를 적용한다.
이때, 가로로 긴 개구부(111)의 크기는 주방 후면부 벽체 전체 면적의 10% 수준에 해당하는 작은 면적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로 고려할 수 있으며, 주방 후면부 벽체 전체를 내력벽체로 구조설계할 경우 지진 발생에 의한 수벽 즉, 상하부 벽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가로로 긴 개구부(111)에 의해 세대 내 맞통풍에 유리하고 개방된 시야로 주방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한 결과, 건물주기는 도 10의 (a)와 같이 분리형 벽체를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13% 감소하였다. 이에 실제 내진 성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종래 분배기에 의한 1대1 수전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종래 분배기에 의한 배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점프 배관식 수전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점프 배관식 수전구에 의한 배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내력벽체(16)에는 급수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전구(4)가 매립 설치되되, 상기 수전구(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41), 상기 본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42), 유입된 용수가 급수처로 배출되는 배출부(43) 및 상기 유입부(42)를 통과한 용수를 직렬로 연결되는 타 수전구(4')의 유입부(42)로 전달하는 분기부(44)로 구성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수전(6)은 하나의 분배기(5)에 복수 개가 각각 연결되어, 각 수전(6)까지 1대1로 배관이 구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도 13과 같이 슬래브에 매립되는 배관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유량 불균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4와 같이 수전구(4, 4')를 직렬로 연결하여 점프 배관 수전구(4)로 구성함으로써, 도 15와 같이 슬래브 매립배관 물량을 줄여 시공성을 개선하고 유량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종래 수전구는 통상적으로 조적벽으로 시공되는 칸막이벽에 매립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수전구(4)는 기존 수전구에 비해 급수 및 급탕의 각각 분기부(44)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기존과 같이 조적벽에 수전구(4)를 고정할 경우 조적벽 공사가 번거롭고, 방수 등 타 공정과 간섭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조적벽 대신 일체 타설되는 비내력벽체(16)를 활용함으로써 점프 배관식 수전구(4)의 매립 작업이 용이하고, 골조 공사 이후에 별도의 조적 공사가 필요 없으며, 타 공정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전구(4)는 본체부(41), 유입부(42), 배출부(43) 및 분기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부(42)는 본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41)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부(42)는 세대에 용수를 공급하는 배출부(43) 또는 타 수전구(4')의 분기부(44)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출부(43)는 유입된 용수를 싱크대, 세탁기, 욕조, 세면기, 변기 등의 각 급수처로 배출한다.
상기 분기부(44)는 유입부(42)를 통과한 용수를 직렬로 연결되는 타 수전구(4')의 유입부(42)로 전달한다.
1: 공동주택 단위세대 11a, 11b, 11c, 11d: 외부 내력벽체
111: 개구부 12: 난간벽체
13: 제1 종방향 내력벽체 14: 제2 종방향 내력벽체
15: 횡방향 내력벽체 16: 비내력벽체
21: 안방 22: 주방
23: 거실 24: 침실 2
25: 침실 3 26: 팬트리
27: 현관 28: 피난공간 또는 실외기실
29: 엘리베이터 홀 3: 파일
4: 수전구 41: 본체부
42: 유입부 43: 배출부
44: 분기부 5: 분배기
6: 수전

Claims (7)

  1.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세대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체(13, 14, 15)가 3개만 배치되되,
    상기 3개의 내력벽체(13, 14, 15)는 공동주택 단위세대(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종방향 내력벽체(13)와 제2 종방향 내력벽체(14)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내력벽체(13, 14)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T자를 이루도록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내력벽체(15)이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는 단위세대(1)의 현관(27) 측에 종방향 외벽체(11b)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횡방향 내력벽체(15) 단부와 종방향 외벽체(11b) 사이에 현관(27)이 배치되고,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의 전면에는 단위세대(1) 내 진입 복도가 배치되며,
    상기 내력벽체(13, 14, 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내력벽체(13, 14, 15)의 수직도를 유지하기 위한 철근콘크리트 비내력벽체(16)가 내력벽체(13, 14, 15)와 일체 시공되어 연결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비내력벽체(16)에는 급수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41), 상기 본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42), 유입된 용수가 급수처로 배출되는 배출부(43) 및 상기 유입부(42)를 통과한 용수를 직렬로 연결되는 타 수전구(4')의 유입부(42)로 전달하는 분기부(44)로 구성되는 수전구(4)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비내력벽체(16)는 상부 슬래브와 구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공동주택을 지지하는 파일(3)은 내력벽체(13, 14, 15)의 하부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횡방향 내력벽체(15)의 후방에는 주방(22)이 배치되되, 주방(22) 외측의 외벽은 벽체 일정 높이에 가로로 긴 개구부(111)가 형성된 내력벽체(11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7. 삭제
KR1020180098611A 2018-08-23 2018-08-23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KR102011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11A KR102011989B1 (ko) 2018-08-23 2018-08-23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11A KR102011989B1 (ko) 2018-08-23 2018-08-23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989B1 true KR102011989B1 (ko) 2019-08-19

Family

ID=6780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11A KR102011989B1 (ko) 2018-08-23 2018-08-23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860B1 (ko) 2021-02-09 2021-10-27 박연하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548A (ja) * 2002-02-08 2003-08-27 Sumitomo Fudosan Kk 建築物の設計方法
KR20030082211A (ko) * 2002-04-17 2003-10-22 예인인터내쇼날주식회사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548A (ja) * 2002-02-08 2003-08-27 Sumitomo Fudosan Kk 建築物の設計方法
KR20030082211A (ko) * 2002-04-17 2003-10-22 예인인터내쇼날주식회사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860B1 (ko) 2021-02-09 2021-10-27 박연하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5414B (zh) 一种预制装配式钢结构房屋建造体系及其构建方法
CN203531136U (zh) 一种预制装配式钢结构房屋建造体系
RU2677504C2 (ru) Концептуальное здание, вертикальный кана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й компоновки пространств внутри здания
KR102011989B1 (ko) 가변형 벽식 구조 공동주택
EP2792803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RU212103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жилого дома и многоэтажный жилой дом
CN205839980U (zh) 新型的模块化房屋
JP3066744B2 (ja) 集合住宅
JP6732073B2 (ja) 建築物構造
JP4632275B2 (ja) Si集合住宅
JP2002303053A (ja) 高層集合住宅
JP3584979B2 (ja) 集合住宅
RU2140509C1 (ru) Жилой дом первых массовых серий с мансардным этажом из объемных блок-комнат,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мансардного этажа и комплексн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дома
JP3701726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配管構造
JPH08120955A (ja) 集合住宅
JP2003056188A (ja) 片廊下型集合住宅
CN218643966U (zh) 一种具有独立卫浴房间的活动板房
JP7194568B2 (ja) 集合住宅建築物
JP2004211495A (ja) 集合住宅建物
JPH0835341A (ja) 集合住宅
ES2246100B2 (es) Habitacion modular prefabricada, particularmente un cuarto de aseo o de baño.
RU170796U1 (ru) Жилой дом вторичной застройки
JP2024074727A (ja) 排水構造、排水構造の施工方法、及び建築物
RU58583U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ряд сблокированных нежилых модулей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коридорного или подъезного типа
JP2015145606A (ja) 多層建物のエアコン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