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15B1 -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15B1
KR102300615B1 KR1020190100408A KR20190100408A KR102300615B1 KR 102300615 B1 KR102300615 B1 KR 102300615B1 KR 1020190100408 A KR1020190100408 A KR 1020190100408A KR 20190100408 A KR20190100408 A KR 20190100408A KR 102300615 B1 KR102300615 B1 KR 10230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module
module house
apartment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643A (ko
Inventor
김기일
Original Assignee
김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일 filed Critical 김기일
Priority to KR102019010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승강기홀이 형성되어 기초 지반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코어부와 각 층별로 복수 개의 모듈주택 삽입홈이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모듈주택 지지부 및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모듈주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Apartment House Using Separate Modular Housing}
본 발명은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이란 하나의 건축물의 벽, 복도, 계단, 그 밖의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각 세대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주택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건축물의 층수와 면적, 공유 정도에 따라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동주택은 정해진 토지에 다수의 사람들이 거주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건축물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모듈주택이란 기본 골조와 전기 배선, 온돌, 현관문, 욕실 등 집의 70~80%를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주택이 들어설 부지에서 블록을 맞추듯 조립만 하는 방식으로 짓는 주택으로서, 모듈러 주택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모듈주택은 일반 철근콘크리트 주택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지을 수 있으며, 철거가 쉬워 근래에 들어 전원 주택뿐 아니라 도시형 생활 주택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듈주택은 개별적인 독채로 활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모듈주택을 아파트, 호텔 등과 같은 다수의 사람들이 층별로 거주 또는 숙박을 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축물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대한건설 정책연구원은 한국의 모듈주택 건축 시장 규모는 2020년에는 1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한국 건설사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모듈주택은 일반 철근콘크리트 주택과 비교하여 소음이나 진동, 화재 등에 취약하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심리적으로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모듈주택은 박스 형태의 구조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디자인 면에서 답답함을 느끼고 개성을 표현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부감을 갖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 공동주택과 대비해도 소음이나 진동, 화재 등에 취약한 단점을 극복하여 쾌적한 주거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모듈주택이 모여 공동주택을 이룸으로써 디자인 측면에서 다양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코어부와 모듈주택 지지부 및 복수 개의 모듈주택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는중심부에승강기홀이 형성되어 기초 지반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는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상기 모듈주택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다.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각 층에는,복수 개의 모듈주택 삽입홈이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상기 모듈주택 지지부는 원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듈주택은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는 기초 지반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에 의하여 기초 지반과 이격되어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어느 일 층에 마련된 모듈주택 삽입홈은,해당 층과 수직 방향으로 이웃하는 최인접 층에 마련된 모듈주택 삽입홈과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코어부와 모듈주택 지지부 사이에는 환형의 복도 공간이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각 층의 복도 공간은 하나 이상의 계단부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홀에서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각 층과 대응하는 위치에는,하나 이상의 승강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통로는 해당 측의 모듈주택 삽입홈 방향을 향해 개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은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의 삽입부는상기 돌출부를 바라보는 면과 상부면을 제외한 4면(양측면,바닥면 및내측 단부면)이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를 바라보는 면을 제외한 5면(양측면,바닥면,천장면 및 외측 단부면)이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외벽과 접촉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된다.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삽입부와 대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확대된 공간을 가짐으로써 발생하는 단턱 형상일 수 있다.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규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반경방향 거리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방형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이에 따라,상기 모듈주택의 돌출부가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도,상기 모듈주택이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는 태양광모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모듈주택 사이에는 각각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화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단부는 원호 형상의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화단부측으로 화단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이웃하는 모듈주택 간의 소음이나 진동 등으로 인한 거주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각 세대별 조망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각 세대별 모듈주택 간의 차별화가 가능하므로 소비자 기호에 따라 각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0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단일층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있어서, 모듈 주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단일층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있어서, 모듈 주택의 사시도.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있어서, 모듈 주택의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일층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코어부(100)와 모듈주택 지지부(200) 및 모듈주택(300)을 포함한다.
코어부(100)는 중심부에 승강기홀(110)이 형성되어 기초 지반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코어부(100)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부(100)의 하단은 기초 지반 위에 결합되며, 상단은 폐쇄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기홀(110)에는 승강기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를 점검하기 위한 공간은 상기 코어부(100)의 상,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듈주택 지지부(200)는 각 층별로 복수 개의 모듈주택 삽입홈(210)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모듈주택 삽입홈(210)은 상기 코어부(1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 지반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220)에 의하여 기초 지반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둥(220)에 의하여 모듈주택 지지부(200)와 기초 지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주차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는 모듈주택 삽입홈(210)이 수직 방향으로 최인접 층에 교차하여 엇갈림 배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개별 거주 공간인 모듈주택(300)은 상기 모듈주택삽입홈(210)에 각각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듈주택(300)은 수평 방향으로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는 엇갈려 배치되도록형성된다.즉 수직 방향으로 각 모듈주택(300)은 상호 인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 하측으로 모듈주택(300)이 직접 인접하지 아니하여 층간 소음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또한 동일 층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모듈주택(300) 간에 시야가 차단된다.이에 따라 세대별 프라이버시를 강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모듈주택(300)은 기본 골조와 전기 배선, 온돌, 현관문, 욕실 등 집의 70~80%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건설 현장에 제공될 수 있다.그리고 상기 모듈주택(300)은 현장에서상기 모듈주택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모듈주택삽입홈(210)의 내측 벽에는상기 모듈주택의 삽입과 인출을 안내하는 삽입홈롤러(21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주택(300)의 삽입 설치 시공과 분리 시공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홈 롤러(211)는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의반경 방향의 평균 길이보다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상기 삽입홈 롤러(211)는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주택(300)을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삽입하기 시작하는 초기 시공 과정에서,모듈주택 삽입홈(210)에 대한 모듈주택(300)의 정렬 오차나 상기 모듈주택(300)의 양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흔들림 등으로 인해, 모듈주택(300)과 모듈주택 지지부(200)이 부딪혀 양측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코어부(100)와 모듈주택 지지부(200)가 완공된 후,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타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모듈주택(300)을 모듈주택삽입홈(210)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종래에는 공동주택에서 인테리어 공사 등을 할 때,진동과 소음으로 이웃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불가피했다.그러나, 상기 모듈주택(300)은 타워 크레인 등에 의하여 상기 모듈주택삽입홈(210)으로부터분리될 수 있다.따라서 비교적 대규모의 인테리어 공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모듈주택(300)을 모듈주택 지지부(200)로부터 분리 시공한 뒤 외부에서 인테리어 작업을 함으로써,이웃에게 진동과 소음 피해를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동일 층 내에서,이웃하는 두 모듈주택(3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이러한 공간은 소화전이나 배수구, 전기 배선 등의 시설이 설치될 수 있고,각 세대의 창고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상기코어부(100)와 모듈주택 지지부(200) 사이에 환형의 복도 공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공간은,각 층에 시공된 세대의 공동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가령,해당 공간은, 손님맞이 공간,어린이 놀이공간,주부들의 쉼터,남자들의 휴게실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도 공간(400)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단부(41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상기 계단부(410)는 일반적인 직선형 계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그러면,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 시,거주자들은 승강기 대신 상기 계단부(410)를 통하여 1층이나 옥상으로 대피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있어서, 모듈 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승강기홀(110)에는 각 층에 모듈주택 삽입홈(210)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기 통로(111)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기 통로(111)는 상기 복도 공간(400)을 출입할 수 있는 통로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승강기 통로(111)는 각 층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나, 한 층에 다수의 모듈주택(300)이 형성되는 경우 관통형 승강기, 직각 관통형승강기 등을 설치하여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주택(300)은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300)은 삽입부(310)와 돌출부(320)에 연속적으로 방이나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주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310)는 상측과 반경방향 외측을 제외한 4면이 폐쇄되고,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삽입되면 상측이 모듈주택 지지부(200)에 의하여 밀폐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삽입이 용이하고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양측면과 저면에 삽입부 롤러(312)를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 롤러(312)는 상기 삽입부(310)의 반경 방향의 평균 길이보다 상기 코어(100)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주택(300)을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삽입 시공하는 초기에,흔들림 등으로 인해 모듈주택(300)과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양측이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삽입부(310) 측을 제외한 5면이 폐쇄되어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20)의 상측에는 태양광모듈(322)이 설치되어 개별 모듈주택(300)에서 소요되는 전기를 보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10)와 돌출부(320) 사이에는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벽과 접촉되는 테두리부(330)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테두리부(33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삽입부(3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 및 돌출부(32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돌출부(32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폭 또는 높이가 삽입부(3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폭 또는 높이보다 클 수 있고, 돌출부(32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와 삽입부(3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를 연결시키기 위해 테두리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또한, 테두리부(330)는 삽입부(310)가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3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상기 테두리부(330)는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와 접촉되는 면과 씰링되어 상기 모듈주택(300)을 외부와 밀폐시키며, 상기 모듈주택(300)이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으로 과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300)은 상기 삽입부(310)의 반경 거리가 상기 돌출부(320)의 반경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주택(300)은 무게 중심이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 내측에 위치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주택(300)은 상기 삽입부(310)의 반경 거리가 상기 돌출부(320)의 반경 거리와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주택(300)은 상기 삽입부(310)를 구성하는 자재가 상기 돌출부(320)를 구성하는 자재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모듈주택(300)은 무게 중심이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300)의 삽입부(310)는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210)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한될 수 있지만,상기 모듈주택(300)의 돌출부(320)는 비교적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각 모듈주택(300)은 무게 중심이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 내측에 위치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돌출부(320)가 주거자 취향에 따라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나 돌출부(320)의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외부로 보여지는 돌출부(320)의 변형을 통하여 각 세대별 모듈주택 간의 개성을 살려 거주자 기호에 따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일층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있어서, 모듈 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은 동일한 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모듈주택(300) 사이에는 각각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의 외측으로 원호 형상의 화단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단부(500)는 외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화단부격벽(510), 즉 난간에 의하여 거주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0) 일측에는상기화단부(500) 측으로 출입할 수 있는 화단도어(3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별 모듈주택(300)의 거주자는 상기 화단도어(321) 측에 위치한 화단부(500)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단도어(321)는 모듈주택(300)에 한 개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단부(500) 상측에는 주택모듈(300)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20)의 저면 일측에 배수로를 구비하여 에어컨 등에서 발생하는 물이 상기 배수로를 통하여 상기 화단부(500)에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단부(500)는 화단, 텃밭 등과 같은 용도로 각 모듈주택(300)의 거주자가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에 있어서, 모듈 주택의 상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주택(3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모듈주택(300)은 상기 복도 공간(400) 측으로 출입할 수 있는 도어(3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주택(300)은 H빔 등을 이용하여 골조를 형성 후, 콘크리트 타설로 바닥, 내부벽, 천장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골조는 천장과 바닥은 각각 H빔 4개로, 양측면은 각각 H빔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는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200) 외벽에 용접 또는 볼트 조립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0) 측에는 화재 등의 재난 시 양측, 하측. 대각 측 중 적어도 1개 이상 이웃한 모듈주택(300)의 돌출부(320) 상측에 형성되는 지붕으로 대피할 수 있는 통로, 사다리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코어부
110. 승강기홀
111. 승강기 통로
200. 모듈주택 지지부
210. 모듈주택 삽입홈
211. 삽입홈 롤러
220. 기둥
300. 모듈주택
310. 삽입부
311. 도어
312. 삽입부 롤러
320. 돌출부
321. 화단도어
322. 태양광모듈
330. 테두리부
400. 복도 공간
410. 계단부
500. 화단부
510. 화단부격벽

Claims (10)

  1. 중심부에 승강기홀이 형성되어 기초 지반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코어부;
    각 층별로 복수 개의 모듈주택 삽입홈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모듈주택 지지부; 및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모듈주택;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주택은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삽입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 및 돌출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삽입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모듈주택 지지부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모듈주택 지지부 사이에는 환형의 복도 공간을 포함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도 공간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단부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홀에는 각 층별로 모듈주택 삽입홈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기 통로가 형성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폭 또는 높이가 상기 삽입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폭 또는 높이보다 더 큰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측과 반경방향 외측을 제외한 4면이 폐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 측을 제외한 5면이 폐쇄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주택의 삽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모듈주택 삽입홈의 내측 벽에 삽입홈 롤러가 구비되거나 상기 삽입부(310)의 측면 또는 저면에 삽입부 롤러가 구비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주택은 상기 삽입부의 반경 거리가 상기 돌출부의 반경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9. 제 1항에 있어서,
    동일한 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모듈주택 사이에는 각각 상기 모듈주택 지지부 외측으로 원호 형상의 화단부가 형성되는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화단부 측으로 화단도어가 형성되는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KR1020190100408A 2019-08-16 2019-08-16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KR10230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08A KR102300615B1 (ko) 2019-08-16 2019-08-16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08A KR102300615B1 (ko) 2019-08-16 2019-08-16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43A KR20210020643A (ko) 2021-02-24
KR102300615B1 true KR102300615B1 (ko) 2021-09-08

Family

ID=7468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408A KR102300615B1 (ko) 2019-08-16 2019-08-16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92B1 (ko) * 2022-12-16 2024-01-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모듈구조를 가진 가변 가능형 공동주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70A (ko) * 2009-03-30 2010-10-08 김태섭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KR20140046322A (ko) * 2012-10-10 2014-04-18 건웅건설(주) 모듈주택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과 이의 시공방법.
KR20160092603A (ko) * 2015-01-28 2016-08-05 김용구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43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3390A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US20120180403A1 (en) Modular habitat structure
KR20160092603A (ko)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KR102300615B1 (ko)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US9068352B2 (en) Framework serving as structural support and utility space
JP4092315B2 (ja) 建物
KR102318860B1 (ko)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JP3840501B2 (ja) 工業化住宅
JPS6365785B2 (ko)
JP403145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2020051146A (ja) 集合住宅
JP3584979B2 (ja) 集合住宅
JP4966369B2 (ja) 集合住宅
KR102500200B1 (ko) 단위세대별 단독 돌출 테라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건축 방법과 이를 통해 형성된 건물 내 단위세대 구조
JP7319216B2 (ja) ユニット建物
JP3494372B2 (ja) 建 物
KR101281853B1 (ko)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JP5646838B2 (ja) 板状集合住宅
JP4011568B2 (ja) ゆとりのある居住空間構造
JP2005200914A (ja) 集合住宅
JP2022059190A (ja) 戸建て住宅
JPH1171918A (ja) 建築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KR20130062309A (ko) 블록형 조합 주택 및 그 건축방법
KR20010023583A (ko) 철근 콘크리트 조립에 의한 1층 2단 거주형 맨션의 구조형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