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870A -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870A
KR20100108870A KR1020090027140A KR20090027140A KR20100108870A KR 20100108870 A KR20100108870 A KR 20100108870A KR 1020090027140 A KR1020090027140 A KR 1020090027140A KR 20090027140 A KR20090027140 A KR 20090027140A KR 20100108870 A KR20100108870 A KR 20100108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floor
water
public
liv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섭
Original Assignee
김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섭 filed Critical 김태섭
Priority to KR102009002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870A/ko
Publication of KR2010010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돌출되어 위치하는 거실부와, 상기 거실부에 연하는 정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원부는 상기 거실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함으로써 2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하고 2면 이상이 외부로 개방된 개별정원을 소유할 수 있고, 외부면, 천정, 기둥과 측벽에 각각 반사판을 포함하여 태양광을 정원부 사각지역까지 유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천정에 하늘 풍광을 연출할 수 있고, 옥상의 옥상저수조를 통해 우수와 지하수 등을 정원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설계, 공중정원, 격층, 반사판, 친환경

Description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An Apartment Building with Hanging Gardens in Each Floor}
본 발명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돌출되어 위치하는 거실부와, 상기 거실부에 연하는 정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원부는 상기 거실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함으로써 2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하고 2면 이상이 외부로 개방된 개별정원을 소유할 수 있고, 외부면, 천정, 기둥과 측벽에 각각 반사판을 포함하여 태양광을 정원부 사각지역까지 유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천정에 하늘 풍광을 연출할 수 있고, 옥상의 옥상저수조를 통해 우수와 지하수 등을 정원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대도시로의 인구유입과 그에 따른 인구 과밀에 따라 좁은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이 주거형태의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은 전망이나 생활 편의성 면에서 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종래의 단독주택에 비해 녹지공간이 턱없이 부족하고 특히 1층이 아닌 상층부에 위치하는 개별 층이나 개별 세대별로 녹지공간을 제공하기가 어려워 원예, 조경 등 거주자의 취미를 살리거나 거주자의 정서함양을 도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공동주택은 거실 등에 있어 외부와 통하는 창호 등의 설치가 일면에 불과하여 충분한 태양광의 유입이나 조망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별적으로 베란다 등에 개인 정원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정원의 층고에 제약이 있어 식물이 충분한 채광 등을 받을 수 없어 원활하게 생육할 수 없고, 개인 정원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원부가 각층별로 거실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정원부가 2층 이상의 층고와 2면 이상의 외부로 개방된 면을 확보할 수 있어 충분한 채광과 조망이 가능한 세대별 독립된 정원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 설계시 건폐율 및 용적율 산정에 유리한 정원부 배치 설계를 통해 고층 건축이 가능하게 하여 수려한 전망과 과밀한 세대배치 방지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정원부의 외부면, 천정, 기둥과 측벽에 각각 반사판을 포함하여 태양광을 정원부 사각지역까지 유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천정에 하늘 풍광을 연출할 수 있어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과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의 옥상의 이중 슬래브 구조 사이에 옥상저수조를 형성하여 우수나 지하수를 활용하여 정원부에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정원부의 하부바닥에 수로를 형성하여 수공간을 연출하고 상기 수로에서 배수되는 물은 여과과정을 거쳐 다시 옥상저수조로 순환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침실과 주방을 포함하는 침실및주방부와, 상기 침실및주방부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거실부와, 상기 거실부에 연하여 위치하는 정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원부는 상기 거실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함으로써 2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 상기 정원부는 외부와 접하는 외부면에 설치되는 외부반사판과, 상부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반사판을 포함함으로써, 태양광을 실내로 충분히 유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 천정에 하늘 풍광을 투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 상기 정원부는 기둥이나 측벽에 설치되는 측면반사판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자연상태의 태양광이 유입될 수 없는 정원부의 사각지역으로도 태양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 상기 공동주택의 옥상은 이중 슬래브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슬래브 사이에 우수와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옥상 저수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옥상 저수조의 물을 상기 정원부의 천정에 설치된 노즐부를 통해 급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 상기 정원부는 하부 바닥에 수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노즐부를 통해 급수된 물과 상기 정원부에서 배수된 물이 수로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되어 수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 상기 수로에서 배수되어 지상으로 모인 물은 여과장치를 거쳐 양수펌프에 의해 상기 옥상 저수조로 순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원부가 각층별로 거실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정원부가 2층 이상의 층고와 2면 이상의 외부로 개방된 면을 확보할 수 있어 충분한 채광과 조망이 가능한 세대별 독립된 정원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축 설계시 건폐율 및 용적율 산정에 유리한 정원부 배치 설계를 통해 고층 건축이 가능하게 하여 수려한 전망과 과밀한 세대배치 방지로 쾌적한 주 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원부의 외부면, 천정, 기둥과 측벽에 각각 반사판을 포함하여 태양광을 정원부 사각지역까지 유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천정에 하늘 풍광을 연출할 수 있어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과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옥상의 이중 슬래브 구조 사이에 옥상저수조를 형성하여 우수나 지하수를 활용하여 정원부에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원부의 하부바닥에 수로를 형성하여 수공간을 연출하고 상기 수로에서 배수되는 물은 여과과정을 거쳐 다시 옥상저수조로 순환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사시도이고, 도 2과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상하로 연하는 2개 층의 하층부와 상층부의 평면도이고,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서 측면 반사판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서 물이 순환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침실(110)과 주방(120)을 포함하는 침실및주방부(10)와, 상기 침실및주방부(10)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거실부(20)와, 상기 거실부(20)에 연하여 위치하는 정원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정원부(30)는 상기 거실부(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함으로써 2개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실및주방부(1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평면상에서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침실(110)과 주방(120)을 포함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개념이며, 가족이 함께 모여 이야기하고 소통하는 거실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그 배치설계는 일자형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실및주방부(10)의 배치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거실부(2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평면상에서 가족이 함께 모여 이야기하고 소통하는 공간으로, 일반적인 경우 거실이 침실이나 주방과 같은 라인으로 평면배치되는 경우와 달리,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거실부(20)가 상기 침실및주방부(10)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거실부(20)의 양 측면에 연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여기에 정원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거실부(20)는 2면 이상에서 외부와 접하게 되어 충분한 채광과 조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원부(30)는 상기 거실부(20)가 상기 침실및주방부(10)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함에 따라 상기 거실부(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원예, 조경, 휴식 등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정원으로, 특히 상기 거실부(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2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연속하는 2개의 층 중 하층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실및주방부(10)로부터 돌출된 상기 거실부(20)의 좌측면에서 상기 침실및주방부(10) 및 거실부(20)와 연하는 공간에 상기 정원부(30)가 형성되었다면, 연속하는 2개의 층 중 상층부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실및주방부(10)로부터 돌출된 상기 거실부(20)의 우측면에서 상기 침실및주방부(10) 및 거실부(20)와 연하는 공간에 상기 정원부(30)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공동주택의 모든 층에 반복적으로 적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실부(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실부(20)의 좌측면에 형성된 정원부(30)는 그 바로 위 상층부에서는 정원부(30)가 거실부(2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좌측면은 보이드(void)한 공간으로 남게 됨에 따라 2개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2면 이상이 외부에 개방될 수 있어, 충분한 채광과 조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높이에 따른 제약 때문에 극히 제한적이던 식재식물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어 거주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는 원예와 조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정원부(30)의 존재로 인해 상기 거실부(20) 역시 2면 이상이 외부와 접할 수 있게 되어 거실부(20) 내에서의 조망이나 채광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은 2개층 이상의 층고와 2면 이상의 외부로 개방된 면을 확보할 수 있는 정원부(30)를 공동주택의 각 층의 개별세대마다 소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공동주택이 갖지 못하는 개별 녹지공간을 제공하거나 녹지공간의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거주자의 정서함양이나 원예, 조경, 애완동물 사육, 운동, 사교 활동 등 거주자의 취미를 살릴 수 있고, 식물에서 발생되는 음이온과 피톤치드 등의 성분과 충분한 채광으로 보다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정원부(30)의 배치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일 뿐, 상기 정원부(30)가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응용하여 3개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원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한 층에 1세대가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합벽이나 격벽 등을 이용해 상기 도 1에 도시된 1세대를 한층에 연속배치함으로써 한 층에 여러 세대가 위치하는 공동주택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활용할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상기 정원부(30)는 외부와 접하는 외부면에 설치되는 외부반사판(310)과, 상부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반사판(320)을 포함함으로써 태양광을 실내로 충분히 유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 천정에 하늘 풍광을 투영시킬 수 있고, 기둥이나 측벽에 설치되는 측면반사판(330)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자연상태의 태양광이 유입될 수 없는 정원부(30)의 사각지역으로도 태양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반사판(310)은 상기 정원부(30)의 외부와 접하는 외부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정원부(30) 외부면의 슬래브나 난간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태양광을 잘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일 예로 볼록거울이나 알루미늄판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반사판(310)은 수평으로 설치됨으로써 하향으로 상기 외부반사판(310)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상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정원부(30)의 천정으로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하게 될 천정반사판(320)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정원부(30) 및 거실부(20)를 포함한 실내로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천정에 설치된 천정반사판(320)에 하늘 풍광이 투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시스템은 태양의 고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뜨거운 태양의 직사광선이 직접 거실부(20)를 포함한 실내로 반사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천정반사판(320)은 상기 정원부(30)의 상부 천정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반사판(310)을 통해 반사되어 유입되는 태양광을 다시 정원부(30)나 실내로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정원부(30) 상부 천정면의 전체 또는 일정 부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태양광을 잘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일 예로 볼록거울이나 알루미늄판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반사판(310)을 통해 반사되어 상향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은 상기 천정반사판(320)에 하향으로 반사되어 상기 정원부(30) 및 거실부(20)를 포함한 실내로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천정반사판(320)에는 상기 외부반사판(310)을 통해 하늘 풍광이 투영됨으로써 정원부(30)에 들어서면 마치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하늘 정원에 들어선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시스템은 태양의 고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뜨거운 태양의 직사광선이 직접 거실부(20)를 포함한 실내로 반사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반사판(330)은 상기 정원부(30)의 기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정원부(30)의 기둥면이나 측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태양광을 잘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일 예로 볼록거울이나 알루미늄판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원부(30)의 기둥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면반사판(330)을 일 예로 살펴보면, 남동방향에서 상기 정원부(30)로 입사되는 태양광은 상기 정원부(30)의 우상측 모서리 지역으로는 직접 입사될 수 없어 상기 정원부(30)의 우상측 모서리 지역은 태양광이 입사되지 않는 사각지역으로 남게 되는데, 상기 측면반사판(330)의 존재함으로 인해 남동방향에서 상기 정원부(30)로 입사되는 태양광이 상기 측면반사판(330)에 반사되어 상기 정원부(30)의 우상측 모서리 지역으로도 입사될 수 있어 상기 정원부(30) 전체에 걸쳐 어느 때나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은 상기 외부반사 판(310), 천정반사판(320) 및 측면반사판(330)의 작용으로 인해 정원부(30) 및 거실부(20)를 포함한 실내로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정원부(30)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육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정원부(30) 천정에 투영된 하늘 풍광으로 인해 거주자가 마치 야외에 있는 하늘 정원에 들어선 느낌과 실내에서도 하늘 풍광을 감상할 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옥상(40)은 이중 슬래브(410)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슬래브(410) 사이에 우수와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옥상 저수조(4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옥상 저수조(420)의 물을 상기 정원부(30)의 천정에 설치된 노즐부(340)를 통해 급수할 수 있고, 상기 정원부(30)는 하부 바닥에 수로(3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노즐부(340)를 통해 급수된 물과 상기 정원부(30)에서 배수된 물이 수로(350)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되어 수 공간을 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수로(350)에서 배수되어 지상으로 모인 물은 여과장치(50)를 거쳐 양수펌프(60)에 의해 상기 옥상 저수조(420)로 순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상(40)은 이중 슬래브(410)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중 슬래브(410) 구조는 옥상에 설치되는 옥상저수조(420)의 하중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공동주택의 사용자가 옥상저수조(420)로 인해 옥상을 활용하는데 지장을 받지 않도록 후술할 옥상저수조(420)를 옥상의 상부가 아닌 상기 이중 슬래브(4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옥상저수조(420)는 상기 옥상(40)에 형성된 이중 슬래브(4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형성되어 우수나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을 말하며, 상기 옥상저수조(420)는 상기 이중 슬래브(41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공동주택의 사용자가 옥상을 활용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은 물론 다량의 물을 저장해야 하는 옥상저수조(420)의 하중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옥상저수조(420)에는 강우시에 옥상(40)의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미도시)와 저장된 물을 각 층별 세대마다 형성되어 있는 정원부(30)의 노즐부(340)로 이송시킬 수 있는 배관라인(미도시)과 각 층에서 배수되어 지상으로 모여 여과장치(50)를 거친 물이 양수펌프(60)를 통해 다시 옥상저수조(420)로 순환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라인(미도시)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옥상저수조(420)에는 우수나 지하수를 저장하여 정원수로 활용하거나 화재시에는 소화에 사용되는 소방수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부(340)는 상기 정원부(30)에 식재된 식재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정원부(30)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원부(30) 전역에 골고루 물(w)을 공급하기 위해 스프링쿨러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3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옥상(40)에 설치되는 상기 옥상저수조(420)에 저장된 우수나 지하수를 정원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옥상저수조(420)와 배관라인(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수로(350)는 상기 정원부(30)의 하부 바닥에 정원부(30)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정원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물(w)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노즐부(340)를 통해 정원부(30)에 공급된 물이나 거주자가 개별적으로 식재된 식물에 공급하여 정원부(30) 바닥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수로(350)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됨으로써 운치 있는 수공간을 정원부(30) 내에 연출할 수 있어 정원의 분위기를 살리고 정원부(30)에 들어선 거주자가 보다 쾌적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로(350)를 통해 흐르거나 저장된 물은 배수라인을 통해 공동주택의 최하층 내지 지상으로 모이게 되고 이 물은 여과장치(50)를 거쳐 양수펌프(60)를 통해 상기 옥상저수조(420)로 순환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서 물이 순환공급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옥상(40)에는 이중 슬래브(410) 사이에 형성된 옥상저수조(420)에 강우시에 옥상(40)에 고인 우수나 지하에서 펌핑된 지하수가 저장되게 되고, 옥상저수조(420)에 저장된 물은 배관라인을 통해 각 층에 형성된 정원부(30)의 천정 노즐부(340)에 공급된다. 상기 노즐부(340)를 통해 정원부(30)에 공급된 물이나 거주자가 개별적으로 정원부(30)의 식재식물에 공급한 물은 배수되어 상기 수로(350)를 통해 흐르거나 저장되고, 상기 수로(350)에서 배수된 물은 공동주택의 최하층이나 지상에 모이게 되고 여과 장치(50)를 거쳐 양수펌프(60)에 의해 다시 상기 옥상저수조(420)로 순환공급되어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은 우수나 지하수를 정원에 공급하는 정원수 내지 소방수로 활용함은 물론, 정원에 공급된 물을 사용하여 정원에 수공간을 연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한 번 사용한 물도 여과를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개별 공중정원을 유지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정원부(30)의 식물과 수공간, 옥상(40)의 옥상저수조(420)가 직사광선과 외기를 완충하여 공동주택의 냉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사시도
도 2과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상하로 연하는 2개 층의 하층부와 상층부의 평면도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서 측면 반사판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에서 물이 순환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침실및주방부 20: 거실부 30: 정원부 40: 옥상
50: 여과장치 60: 양수펌프
110: 침실 120: 주방
310: 외부반사판 320: 천정반사판 330: 측면반사판
340: 노즐부 350: 수로
410: 이중 슬래브 420: 옥상저수조

Claims (6)

  1.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침실과 주방을 포함하는 침실및주방부와, 상기 침실및주방부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거실부와, 상기 거실부에 연하여 위치하는 정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원부는 상기 거실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재그형태로 격층으로 위치함으로써 2층 이상의 층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부는 외부와 접하는 외부면에 설치되는 외부반사판과, 상부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반사판을 포함함으로써, 태양광을 실내로 충분히 유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 천정에 하늘 풍광을 투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부는 기둥이나 측벽에 설치되는 측면반사판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자연상태의 태양광이 유입될 수 없는 정원부의 사각지역으로도 태양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옥상은 이중 슬래브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슬래브 사이에 우수와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옥상 저수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옥상 저수조의 물을 상기 정원부의 천정에 설치된 노즐부를 통해 급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부는 하부 바닥에 수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노즐부를 통해 급수된 물과 상기 정원부에서 배수된 물이 수로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되어 수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서 배수되어 지상으로 모인 물은 여과장치를 거쳐 양수펌프에 의해 상기 옥상 저수조로 순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KR1020090027140A 2009-03-30 2009-03-30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KR20100108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140A KR20100108870A (ko) 2009-03-30 2009-03-30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140A KR20100108870A (ko) 2009-03-30 2009-03-30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870A true KR20100108870A (ko) 2010-10-08

Family

ID=4313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140A KR20100108870A (ko) 2009-03-30 2009-03-30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87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34B1 (ko) * 2011-09-06 2012-03-14 이종진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
KR101314742B1 (ko) * 2010-07-16 2013-10-14 김상열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CN104652849A (zh) * 2015-03-13 2015-05-27 沈昌 一种交叉错层住宅楼
CN104831948A (zh) * 2015-03-12 2015-08-12 徐馨仪 每层楼都有一个院子的楼
KR20190090169A (ko) 2018-01-24 2019-08-01 (주)시공건설건축사사무소 공용주택
CN110094077A (zh) * 2018-01-31 2019-08-06 中铁房地产集团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带有空中露台的住宅楼
KR20210020643A (ko) * 2019-08-16 2021-02-24 김기일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42B1 (ko) * 2010-07-16 2013-10-14 김상열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KR101119034B1 (ko) * 2011-09-06 2012-03-14 이종진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
CN104831948A (zh) * 2015-03-12 2015-08-12 徐馨仪 每层楼都有一个院子的楼
CN104652849A (zh) * 2015-03-13 2015-05-27 沈昌 一种交叉错层住宅楼
KR20190090169A (ko) 2018-01-24 2019-08-01 (주)시공건설건축사사무소 공용주택
CN110094077A (zh) * 2018-01-31 2019-08-06 中铁房地产集团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带有空中露台的住宅楼
KR20210020643A (ko) * 2019-08-16 2021-02-24 김기일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870A (ko) 층별 공중정원을 갖는 공동주택
CN205777664U (zh) 城市森林高层别墅
JP2019511658A (ja) 都市森林高層別荘
KR101270267B1 (ko) 이동식 화단.
Friedman Innovative houses: Concepts for sustainable living
KR101119034B1 (ko)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
CN201962969U (zh) 一种院落式别墅和叠加式别墅结合的建筑结构
Pfeifer et al. Freestanding houses: a housing typology
CN212027239U (zh) 一种适用于建筑物的种植花园和带花园的建筑物
CN204634487U (zh) 一种双面墙块
CN201056864Y (zh) 新农村功能家园
CN201933801U (zh) 一种院落式别墅
CN111877800A (zh) 一种具有花园庭院的复式楼房
CN201933802U (zh) 一种退台景观洋房
CN109235928A (zh) 一种中式新型空中别墅
CN201137309Y (zh) 一种小面积经济适用型别墅
CN211114975U (zh) 一种竖向花园别墅结构
CN201962966U (zh) 一种多功能居室空间的三层联体别墅
Prihatmaji et al. Design of Flat House in Terban, Yogyakarta with Bioclimatic Concept
CN2825836Y (zh) 超小户型联体别墅
Gharahshir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architecture patterns in hot and dry regions of Iran by investigating on vernacular sustainable architecture patterns
Lavington Flats
CN2835442Y (zh) 带大花园的小面积叠加式别墅
JP200400322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
Ranara Publikum Nynäshamn: Social-ecological Architecture in Public Municipal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