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074A -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074A
KR20210081074A KR1020190173265A KR20190173265A KR20210081074A KR 20210081074 A KR20210081074 A KR 20210081074A KR 1020190173265 A KR1020190173265 A KR 1020190173265A KR 20190173265 A KR20190173265 A KR 20190173265A KR 20210081074 A KR20210081074 A KR 2021008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kitchen
veranda
elevator
desig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작
Priority to KR102019017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074A/ko
Publication of KR2021008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0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효율적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순차·배치되어 채광 과 환기가 용이하며, 벽체를 대향하여 사무실 및 현관이 승강기와 접하게 배치되어 소음 등 유해요소을 방지하고, 승강기 의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며, 사무실과 사무실 사이에 공간이 더 구성되어사무실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the design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for effectivespace use}
본 고안은 효율적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순차·배치되어 채광 과 환기가 용이하며, 벽체를 대향하여 사무실 및 현관이 승강기와 접하게 배치되어 소음 등 유해요소을 방지하고, 승강기 의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며, 사무실과 사무실 사이에 공간이 더 구성되어사무실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는 5층 이상의 층수를 가지는 한 채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회사가 입주 할 수 있게 한 상가건물으로, 개인 생활을 중시하는 구조, 자녀 위주의 구조로 변화하고 있고, 또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주부를 배려한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변화로 같은 평수에 대해서, 그 내부 구조가 시대에 따라 많이 변화하였는데, 몇 가지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공사비가 적게 들고, 엘리베이터가 들어가 공간을 활용해 가구 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하나의 엘리베이터로 3 내지 10 사용하는 복도식 사무실구조가 많았으나, 복도 쪽 작은방 앞으로 사람들이 지나다녀 작 은 방 앞쪽에 방범창을 설치해야 하고, 사생활을 침해받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하나로 2가구가 사용 하는 계단식 상가와 ‘Y’자의 타워형으로 쌓아올리는 탑상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같은 평수라도 복도식 보 다 공유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전용면적 및 서비스면적의 공간활용도가 커지고, 구조적인 특성으로 베란다가 2면 또는 3면에 각각 형성되어, 개방형 설계가 가능하고, 환기 및 통풍에 더 용이한 장점이 있다.
기존의 상가는 공사비가 적게 들고, 엘리베이터가 들어가 공간을 활용해 가구 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하나의 엘리베이터로 3 내지 10가구가 사용하는 복도식 상가가 많았으나, 복도 쪽 작은방 앞으로 사람들이 지나다녀 작 은 방 앞쪽에 방범창을 설치해야 하고, 사생활을 침해받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하나로 2가구가 사용 하는 계단식 상가와 ‘Y’자의 타워형으로 쌓아올리는 탑상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같은 평수라도 복도식 보 다 공유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전용면적 및 서비스면적의 공간활용도가 커지고, 구조적인 특성으로 베란다가 2면 또는 3면에 각각 형성되어, 개방형 설계가 가능하고, 환기 및 통풍에 더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사무실과 벽체가 분리되지 않아서, 냄새 가 그대로 사무실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상 구조가 현관에서 내부까지 뚫린 형태로, 의 방음 이나 프라이버시도 전혀 보장되지 않았고, 또, 방마다 작은 붙박이장이 설치되어 있어서 많은 수납이 이루어지지 않 아 장롱을 더 구비해야했으나, 최근에는 계단식 사무실의 보급과 함께, 전용면적이 넓어져 현관을 중심으로, 공간 이 양옆으로 나눠지게 되었다.
따라서, 넓어진 전용면적으로 거실과 주방은 분리·형성되고, 현관에서 바로 각자의 방으로 갈 수 있도록 설계되며, 욕실은 기본적으로 2개 이상을 가지고, 서비스 공간으로 테라스가 제공됨에 따라,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구성원간의 단절 및 가족간의 친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이에 따른 보안이 필 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사무실은 공간효율을 위해 전면과 후면에 걸쳐,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외부복도 사이를 두고 각각 형성하고, 상기 외부복도를 두고 이웃하는 두 집의 현관이 마주하고 있어서, 현관문으로만은 철저한 방음 이 일어나지 않아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며, 엘리베이터 측면으로는 바로 접하게 되어 엘리 베이터 작동으로 인한 소음에 관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대향하여 현관이 승강기와 접하게 배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하고 승강기의 소음을 최소화 하며, 사무실 일부가 전면 방향으로 일부 돌출·형성한 룸을 구성하여, 공간 을 마련하고, 방1과 방3 사이에는 각 방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와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 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잇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가 설계구조에서, 승강기 및 외부복도와 연결 되는 계단실로 구성되는 공용부가 바깥 방향으로 일부 돌출 되게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는, 전면베란다와 접하 도록 주방, 거실 및 방1을 구성하며, 상기 거실 및 방1을 대향하여 방2, 테라스 및 방3이 후면베란다와 접하도록 형 성되어, 전면베란다와 후면베란다 및 테라스의 다양한 용도 활용이 가능하고, 채광과 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주방을 대향하여 욕실1및 현관이 승강기와 접하게 배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하고 승강기의 소음을 최소화 하며, 주방의 일부가 전면베란다 방향으로 일부 돌출·형성한 다이닝룸이 구성되어, 주방과 별도로 식사를 위한 공간 을 마련되고, 방1과 방3 사이에는 욕실2가 형성되어 방1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효율적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면베란다와 접하도록 주방, 거실 및 방1 이 순차·배치되고, 상기 거실 및 방1을 대향하여 방2, 테라스 및 방3이 후면베란다와 접하도록 순차·배치되어 채광 과 환기가 용이하며, 상기 주방을 대향하여 욕실1 및 현관이 승강기와 접하게 배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하고, 승강기 의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며, 방1과 방3 사이에 욕실2가 더 구성되어 있어 각 방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와 안방사용자 의 욕실사용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가 설계 구조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하나의 승강기(11)로 둘 내지 세 업체가 공용하 고, 전면베란다(21)와 다수의 후면베란다(22)를 가지는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로, 외부복도(12)를 사이로 두고 승강 기(11)가 내측에 형성되고, 계단실(13)이 바깥으로 일부 돌출한 외관 구조를 형성하며, 그 내부로는 상기 전면베란 다(21)에 접하도록 주방(33), 거실(32), 및 방1(31a)이 구성되어 3베이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주방(33)을 접하는 전면베란다(21)에는 다용도실(21′)을 구성하며, 상기 주방(33)과 벽면이 접하는 욕실1(34a), 현관(35)을 승강기 (11)의 외벽과 접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거실(32) 및 방1(31a)을 대향하여 방2(31b), 테라스(23), 방3(31c)을 순차 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마주보는 방1(31a)과 방3(31c) 사이로는 방1(31a)과 연결되어 안방전용으로 사용되는 욕실 2(34b)를 형성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가 설계구조를 도1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먼저, 상가 외 관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이는 하나의 승강기(11)의 사용에 있어, 각 가구(독립세대)의 평면 배치 형태가, ‘一’형 일 때는 두 가구가 사용하고, 교차점이 형성하는 ‘Y’자 형일 때는 세 가구가 사용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로, 승강기 (11) 및 현관(35)이 형성되는 쪽으로는 후면베란다 (22), 이에 마주하는 쪽으로는 전면베란다(21)가 형성되는데, 외 부복도(12)를 사이로 두고 형성하는 승강기(11) 및 계단실(13)로 구성되는 공용부(10)의 배치를 살펴보면, 이 공용 부(10)는 후면베란다(22) 측에서, 승강기(11)가 내측에 배치되고, 계단실(13)이 바깥쪽으로 일부 돌출 되게 배치된 다.
따라서, 승강기(11)의 배면으로 한 가구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용면적에 대해서, 기존의 획일적인 직사각 형상을 벗어나 내부 구조의 배치가 다양해지고, 이 전용면적에 접하는 공용부(10)가 기존보다 적어지므로, 공동으 로 사용되어 공용부(10)에서 발생한 소음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더욱이, 계단실(13)이 바깥쪽으로 돌출·형성 되므로, 계단실(13)의 창문을 통한 자연 채광으로 계단실(13) 및 외부복도(12) 밝게 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 며, 또,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지 않는 계단실(13)의 특성상, 외부에서 승강기(11)를 이용하지 않는 외부 인의 출입을 쉽게 알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관 구조에 따른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전면베란다(21)를 접하도록 주방(33)과 거 실(32) 및 방1(31a)이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3베이의 구조를 가지며, 주방(33)과 거실(32)은 일자로 형성되어 구분 짓는 벽은 없으나, 주방(33)의 일부를 전면베란다(21) 쪽으로 약간 돌출 되게 형성하고, 이에 식탁을 놓아 다이닝룸 (33′)을 형성하여, 조리의 공간인 주방(33)과 식사를 하는 공간인 다이닝룸(33′), 가족 공동의 공간 손님 접대 공간인 거실(32)의 기능을 더욱 분화할 수 있으며, 또한, 주방(33)에 접하는 전면베란다(21)에는 냉장고 또는 바비큐 도구 를 놓아 보조 주방으로의 이용이 가능하며, 또, 주방(33)에 접하는 전면베란다(21)의 일부를 주방(33)보다 낮게 형 성하고, 배수구를 형성하여, 세탁기 및 보일러를 놓아 다용도실(21′)로의 이용이 가능하며, 상기 방1(31a)은 제일 큰 방으로 구성하여 안방(내실)으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언급한 베이(bay)를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기둥과 기둥 사이의 한 구획을 말하는 건축 용어로, 통상 아파트에서 전면에 위치한 베란다에 접하고 있는 방이나 거실 및 주방의 개수를 말할 때 사용하는 용어로, 이와 같 이, 베란다에 방을 접하게 되면, 방에 창문이 형성되므로 채광이나 통풍에 좋고, 베란다에 주방을 접하고 있으면 보 조 주방이나 다용도 실로 쓸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 이점이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전면베란다(21)에 주방 (33)과 거실(32) 및 방1(31a)이 접하고 있어 3베이의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주방(33)을 대향하여, 욕실1(34a)과 현관(35)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욕실1(34a)은 주방(33)의 벽 면과 승강기(11)의 배면벽 사이에 배치되고, 현관(35)은 승강기(11)의 일측벽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욕실 1(34a)은 씻는 기능과 용변을 해결 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주로 가족 구성원 및 방문 손님이 이용하며, 상기 현관(35)은 거실(32)의 바닥면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하고, 출입문 양측으로 반침을 형성하여 신발을 정리하거나 기타 물건을 수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실(32) 및 방1(31a)을 대향하여 현관(35) 옆으로 각각 방2(31b)와 테라스(23) 및 방3(31c)이 후면 베란다(22)에 접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방2(31b) 사이와 방3(31c) 사이에 형성되는 테라스(23)는 서비스 공간으로, 취향에 따라 휴게실, 서재 등으로 꾸미거나 거실(32) 또는 방으로의 확장 등 주거자의 의도에 따라 다용도 로 활용이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32)로 바로 통하는 문을 설치하여, 거실(32)에서 테라스(23) 이 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1(31a)과 방3(31c) 사이에는 방1(31a)에서 통하는 욕실2(34b)가 배치되어, 부부 또는 연로하신 분들 의 사용이 편리하며, 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을 보고, 간단한 세면을 할 수 있는 화장실(34b ′)과 샤워 또 는 목욕이 가능한 샤워룸(34b ″)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기능을 더욱 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내부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승강기(11)의 일측면에 배치된 현관 (35)을 대향하여, 주방(33)과 거실(32) 및 방1(31a)이 전면베란다(21)와 접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주방 (33)을 대향하여 승강기(11)의 배면벽과 접하는 욕실1(34a)이 구성되며, 상기 거실(32) 및 방1(31a)을 대향하여, 방2(31b)와 테라스(23) 및 방3(31c)이 현관(35)의 측면으로 후면베란다(22)와 접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방1(31a)과 방3(31c) 사이로는 방1(31a)과 연결되는 욕실2(34b)가 구성된다.
따라서, 각 가구의 현관은 승강기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그 거리로 한 가구 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단절되므로 사생 활을 보호할 수 있으며, 현관에 들어서면서 바로 주방 또는 거실과 마주하지 않으므로 내부 생활이 유출될 염려가 없고, 가사 노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방과 접하는 전면베란다를 주방 공간을 확장한 보조주방 및 다용도실로 전 환하여 주방일과 세탁일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주방은 방1과 방2 및 방3과의 동선과도 겹치지 않으므로 주방일을 할 때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움직임에 방해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현관과 연결되는 거실은 욕실1과 각 방1, 방2 및 방3과 모두 연결되어 있어 동선이 짧고, 각 방1과 방2 방3은 각각 테라스, 욕실2를 사이에 두어 배치되므로 사생활이 보장됨과 동시에, 모두 거실과 연결되어 있어, 가족 구성원 간의 단절을 방지하며, 각 방1과 방2 및 방3, 주방 및 거실은 전면베란다 및 후면베란다와 접하고 있어서, 다른 용도 로의 변환이 가능하고, 채광과 통풍 용이하고 효율적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는, 통상, 일반적인 공동주택 이외에도, ‘一’자 형의 계단식 아파트 및 ‘Y’ 자 형을 가지는 탑상형 아파트의 교차 부분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적용되는 평수가 지나치게 작으면, 각 방 및 주방 및 거실이 좁아지며, 적용되는 평수가 너무 크면, 각 방이 너무 커지고, 방의 개수가 평수에 비해 작으므로, 이는 전 용면적이 20평대에서 30평대인 공동주택이 적당하지만, 평수가 더욱 클 경우, 방2를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 출입문 을 달거나, 거실의 비율을 높이는 등의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응용이 가능 하다.
고안의 효과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베란다 및 후면베란다가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승강기 및 외부복도와 연결 되는 계단실로 구성되는 공용부가 바깥 방향으로 일부 돌출 되게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는, 전면베란다와 접하 도록 주방, 거실 및 방1을 구성하며, 상기 거실 및 방1을 대향하여 방2, 테라스 및 방3이 후면베란다와 접하도록 형 성되어, 전면베란다와 후면베란다 및 테라스의 다양한 용도 활용이 가능하고, 채광과 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주방을 대향하여 욕실1및 현관이 승강기와 접하게 배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하고 승강기의 소음을 최소화 하며, 주방의 일부가 전면베란다 방향으로 일부 돌출·형성한 다이닝룸이 구성되어, 주방과 별도로 식사를 위한 공간 을 마련되고, 방1과 방3 사이에는 욕실2가 형성되어 방1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면베란다와 후면베란다를 가지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있어서,

    후면베란다(22)측에서, 외부복도(12)와 이를 사이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승강기(11) 및 계단실(13)로 구성되는 공용 부(10)가 바깥으로 일부 돌출한 외관 구조를 형성하며, 그 내부로는 상기 전면베란다(21)에 접하도록 주방(33), 거 실(32), 및 방1(31a)을 구성하고, 상기 주방(33)을 대향하여 욕실1(34a), 현관(35)을 공용부(10)와 접하도록 형성하 며, 상기 거실(32) 및 방1(31a)을 대향하여 방2(31b), 테라스(23), 방3(31c)을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마주보는 방1(31a)과 방3(31c) 사이로는 욕실2(34b)가 배치된 공동주택이 구성되어,

    채광과 통풍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33)의 일부가 전면베란다(21) 쪽으로 돌출·형성한 다이닝룸(33′)을 구성하여,

    조리를 하는 주방과 식사를 하는 다이닝룸의 구분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 택의 설계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2(34b)는, 용변을 보고, 간단한 세면이 가능한 화장실(34b ′)과, 샤워 및 목욕이 가능한 샤워룸(34b ″)으로 분리되어,

    욕실 기능의 분화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방(33)과 접하는 전면베란다(21)의 일부를 낮게 형성하고, 배수구를 형성한 다용도실(21′)이 구비되어,

    세탁실 및 보일러실로의 이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KR1020190173265A 2019-12-23 2019-12-23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KR20210081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65A KR20210081074A (ko) 2019-12-23 2019-12-23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65A KR20210081074A (ko) 2019-12-23 2019-12-23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074A true KR20210081074A (ko) 2021-07-01

Family

ID=7686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265A KR20210081074A (ko) 2019-12-23 2019-12-23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3124A (zh) * 2022-08-18 2022-09-16 江苏艾佳家居用品有限公司 关注长期居住需求的数字化智能家装设计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3124A (zh) * 2022-08-18 2022-09-16 江苏艾佳家居用品有限公司 关注长期居住需求的数字化智能家装设计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1074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KR102318860B1 (ko)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20210094349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CN214498510U (zh) 新型建筑结构
WO2018209730A1 (zh) 别墅叠拼、复式住宅改良构造
KR20210024718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KR20210017395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KR101414432B1 (ko)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KR200380652Y1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공동 주택의 설계구조
CN201953093U (zh) 一种复式三跃层结构房屋
KR102247647B1 (ko)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KR200380653Y1 (ko) 아파트의 구조물
JP4236211B2 (ja) 収納室を持つ建物
CN201090034Y (zh) 一种多层楼房建筑的楼梯结构
JP2017025606A (ja) 住宅
KR200423410Y1 (ko) 건축물의 단위세대 구조
KR200267694Y1 (ko)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CN216553204U (zh) 一种具有独立入户电梯的建筑结构装置
JP7310451B2 (ja) 建築物
KR102630907B1 (ko)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KR200380654Y1 (ko) 4.5 베이를 가지는 아파트의 구조물
KR20210116117A (ko) 로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
JP3814101B2 (ja) 住宅
JP4216677B2 (ja) 集合住宅
JP4150463B2 (ja) 住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