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47B1 -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 Google Patents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647B1
KR102247647B1 KR1020180079656A KR20180079656A KR102247647B1 KR 102247647 B1 KR102247647 B1 KR 102247647B1 KR 1020180079656 A KR1020180079656 A KR 1020180079656A KR 20180079656 A KR20180079656 A KR 20180079656A KR 102247647 B1 KR102247647 B1 KR 10224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loor
household
generation
residenti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976A (ko
Inventor
강재현
김우곤
이우정
Original Assignee
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현 filed Critical 강재현
Priority to KR102018007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은 2층에 위치하며, 3층과 4층에는 제3세대와 제4세대가 위치하고, 제3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3현관문은 3층에, 제4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4현관문은 4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세대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이 1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1서브주거공간이 2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의 제2메인주거공간이 2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2서브주거공간이 1층에 위치하되, 제1메인주거공간은 제2서브주거공간에 비해, 제2메인주거공간은 제1서브주거공간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세대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3메인주거공간이 3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3서브주거공간이 4층에 위치하고, 제4세대의 제4메인주거공간이 4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4서브주거공간이 3층에 위치하되, 제3메인주거공간은 제4서브주거공간에 비해, 제4메인주거공간은 제3서브주거공간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Structure of apartment with securance exclusive outdoor space for each household}
본 발명은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용공간의 전용화, 공간구성을 통한 층간소음 문제 방지 및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이 확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 소음은 공동주택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 공해로 아이들 뛰는 소리, 발자국 소리, 화장실 물소리, 가구 끄는 소리, 피아노 소리, 오디오 소리, TV소리 등을 총칭하여 부르는 것이다.
층간 소음 문제는 국내 대표 거주형태인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며, 분쟁의 대부분은 바닥충격음, 그 중에서도 중량의 물체의 가진에 의한 고체전달 소음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층간 소음 문제는 정온한 실내 환경에 대한 거주자들의 요구 증가와 맞물려, 세대 간 분쟁 및 민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인명상해 사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신축 주택에 대한 층간 소음 차단성능 기준강화뿐만 아니라 층간 소음피해에 대한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등 층간 소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층간 소음 분쟁 발생시 피해를 입증할 만한 명확한 근거를 마련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공동주택에서 계단이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공용공간은 통상적으로 2개 이상 세대로 통하는 출입문이 면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세대가 공용공간을 공유한다. 이는 공용공간의 관리 문제 즉, 청소 또는 사유물의 적재 등으로 인한 다툼의 소지가 되기도 하거니와,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 새로운 공간구성을 통해 층간소음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공용공간의 전용화 및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20-0203230 (2000.09.04 등록)
본 발명은 상향식과 하향식의 공간 구조를 갖는 복층 주거 공간을 제공하고, 복층 세대의 조합을 통한 층간 소음 분쟁을 완화하며, 각 세대별 전용공간처럼 활용 가능한 공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가 소개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각 세대별 전용공간처럼 활용가능한 공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은 2층에 위치하며,3층과 4층에는 제3세대와 제4세대가 위치하고, 제3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3현관문은 3층에, 제4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4현관문은 4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제1세대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이 1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1서브주거공간이 2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의 제2메인주거공간이 2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2서브주거공간이 1층에 위치하되, 제1메인주거공간은 제2서브주거공간에 비해, 제2메인주거공간은 제1서브주거공간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세대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3메인주거공간이 3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3서브주거공간이 4층에 위치하고, 제4세대의 제4메인주거공간이 4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4서브주거공간이 3층에 위치하되, 제3메인주거공간은 제4서브주거공간에 비해, 제4메인주거공간은 제3서브주거공간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각층마다 현관문이 1개씩 배치되어 공용공간의 전용화가 이루어진다.
둘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향식과 하향식의 공간구조를 갖는 복층 주거 공간이 제공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1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2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3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4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다락층 또는 옥상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진동센서와 소음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1층 평면도, 도 4는 2층 평면도, 도 5는 3층 평면도, 도 6은 4층 평면도, 도 7은 다락층 또는 옥상 평면도, 도 8은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은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가 위치하고, 제1세대(100)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10)은 1층에, 제2세대(200)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20)은 2층에 위치한다.
또한, 3층과 4층에는 제3세대(300)와 제4세대(400)가 위치하고, 제3세대(300) 내부로 출입하는 제3현관문(30)은 3층에, 제4세대(400) 내부로 출입하는 제4현관문(40)은 4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세대(100)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110)이 1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1서브주거공간(120)이 2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200)의 제2메인주거공간(210)이 2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2서브주거공간(220)이 1층에 위치하되, 제1메인주거공간(110)은 제2서브주거공간(220)에 비해, 제2메인주거공간(210)은 제1서브주거공간(120)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3세대(300)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3메인주거공간(310)이 3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3서브주거공간(320)이 4층에 위치하고, 제4세대(400)의 제4메인주거공간(410)이 4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4서브주거공간(420)이 3층에 위치하되, 제3메인주거공간(310)은 제4서브주거공간(420)에 비해, 제4메인주거공간(410)은 제3서브주거공간(320)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메인주거공간을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침실, 주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주거공간과 서브주거공간은 그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으로, 서브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실, 안방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메인주거공간와 서브주거공간이 설정된 비율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평방미터 기준으로 1.5~1.8 : 1 비율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제1세대(100)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10)은 1층에, 제2세대(200)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20)은 2층에 위치하고, 제3세대(300) 내부로 출입하는 제3현관문(30)은 3층에, 제4세대(400) 내부로 출입하는 제4현관문(40)은 4층에 위치함으로써 각 층마다 현관문 1개씩을 배치하여 공용공간의 전용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에는 동일한 층에 다수 세대가 위치하고, 그 다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이 동일한 층에 위치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다면 이러한 공용공간을 각 세대별로 전용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1세대(100)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110)이 1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1서브주거공간(120)이 2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200)의 제2메인주거공간(210)이 2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2서브주거공간(220)이 1층에 위치하되, 제1메인주거공간(110)은 제2서브주거공간(220)에 비해, 제2메인주거공간(210)은 제1서브주거공간(120)에 비해 각각 설정된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동일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동일한 공간의 메인주거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세대가 서로 다른 층에 메인주거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층간소음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예를 들면, 제1세대(100)의 제1메인주거공간(110)은 1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200)의 제2메인주거공간(210)이 2층에 위치함으로써 동일한 층간에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제1세대(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4세대(400)의 메인주거공간 역시 3층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4층에 위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층간에 층간소음 문제도 해결하는 효과가 구현된다.
제3세대(300)와 제4세대(400) 간의 공간 구획 역시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간의 구조와 동일한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러한 층간 소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공간구성을 통한 해결이 되도록, 본 발명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세대의 메인주거공간과 서브주거공간의 차지하는 비율을 달리 설정하였다.
즉,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에 위치하는 제1세대(100)의 제1메인주거공간(110)이 제2세대(200)의 제2서브주거공간(220)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반대로 2층에 위치하는 제2세대(200)의 제2메인주거공간(210)이 제1세대(100)의 제1서브주거공간(120)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 구획을 통해 제1세대(100)의 주 활동구간을 1층으로 하고, 제2세대(200)의 주 활동구간을 2층으로 함으로써 1층과 2층에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가 위치하나, 서로간의 생활 활동 영역이 겹치지 않으면서도 각 세대별로 고유한 전용공간이 생기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3세대(300)와 제4세대(400)간의 공간 구획 역시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와 동일한바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대(100)의 제1현관문(1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1메인주거공간(110)에서 제1서브주거공간(120)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1계단(500)이 설치되고, 제2세대(200)의 제2현관문(2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2메인주거공간(210)에서 제2서브주거공간(220)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2계단(600)이 설치된다.
또한, 제3세대(300)의 제3현관문(3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3메인주거공간(310)에서 제3서브주거공간(320)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3계단(700)이 설치되고, 제4세대(400)의 제4현관문(4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4메인주거공간(410)에서 제4서브주거공간(420)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4계단(8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세대는 2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세대마다 엇갈린 방식으로 상향식 혹은 하향식 계단을 두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하였다.
예를 들면, 제1세대(100)는 1층에 제1현관문(10)이 위치하여, 이 현관문을 통해 제1세대(100)로 들어가면 바로 메인주거공간이 위치하고, 2층에 위치한 제1서브주거공간(120)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향식 제1계단(50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세대(200)는 2층에 제2현관문(20)이 위치하여, 이 현관문을 통해 제2세대(200)로 들어가면 바로 메인주거공간이 위치하고, 1층에 위치한 제2서브주거공간(220)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향식 제2계단(60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세대는 옆에 위치하고 있는 세대의 생활 활동 영역의 동선과 겹치지 않게 되며, 각각의 세대의 메인주거공간으로의 출입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전용하고 있는 현관문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물론, 상기 상향식, 하향식의 표현은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메인주거공간에서 서브주거공간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 그 이동 방향에 대한 표현이지만, 같은 공간에 위치하는 계단이지만 메인주거공간과 서브주거공간의 차지하는 공간의 효율적인 비율에 의해 층간 소음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도 3과 도 4 및 도 8을 살펴보면, 각각의 세대는 공용계단(50)을 통해 각각의 현관문에 사용자가 도달하되,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는 각 세대별 1층에 위치한 전면 창을 통해 1층에 위치하는 옥외공간과 연결되어, 1층에 위치하는 옥외 공간은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의 전용공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도 5와 도 6,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제3세대(300)와 제4세대(400)는 각각 제3세대(300)의 제3현관문(3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3메인주거공간(310)에서 제3서브주거공간(320)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3계단(700)을 통해 다락 및 옥외공간(옥상)으로 나갈 수 있어 이를 전용하게 되고, 제4세대(400)의 제4현관문(4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4메인주거공간(410)에서 제4서브주거공간(420)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4계단(800)을 통해 역시 다락 및 옥외공간(옥상)으로 나갈 수 있어 이를 전용하게 된다.
즉, 종래의 4층 공동주택의 경우 1층에 위치하는 세대가 주로 옥외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4층에 위치하는 세대가 주로 옥상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서 2층과 3층에 위치하는 세대의 경우 옥외공간 혹은 옥상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해 제1,2세대는 1층의 옥외공간을 전용할 수 있게 하고, 제3,4세대는 옥상공간을 전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세대(100)는 공용계단(50)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갈 수도 있지만, 제1현관문(10)을 나서게 되면 바로 옥외 공간과 연결된다. 이때, 제2세대(200)는 공용계단(50)을 통해 2층의 제2현관문(20)을 통해 바로 제2메인주거공간(210)으로 출입할 수도 있고, 이 공용계단(50)을 통해 1층으로 내려오게 되면 바로 옥외 공간과 연결된다.
특히,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세대(100)와 제2세대(200)는 1층에 인접하고 있은 창문을 통해 1층에 위치한 옥외공간을 전용할 수 있게된다.
물론, 제3세대(300)와 제4세대(400)에 거주하는 사람 역시 옥외 공간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지만, 종래의 구조에 비해 2층에 거주하는 제2세대(200)의 사람이 공용계단(50)을 통해 자신만의 메인주거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고, 이 공용계단(50)이 마치 자신만의 전용계단으로 인식되어 옥외공간으로의 진입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4층에 위치하는 제4세대(400)는 바로 하향식 제4계단(800)을 통해 역시 다락 및 옥외공간(옥상)으로 나갈 수 있어 이를 전용하게 되고, 3층에 위치하는 제3세대(300) 역시 상향식 제3계단(700)을 통해 다락 및 옥외공간(옥상)으로 나갈 수 있어 이를 전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종래 2층과 3층에 위치하는 거주자들의 옥외 공간과 옥상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도면상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한다면 공용실 즉, 공용계단(50) 혹은 엘리베이터 대기실의 경우 각 세대별로 서로 동선이 겹쳐지지 않은 채 전용실로 되는 효과 역시 구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층간소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 층간 소음 분쟁을 완화할 수 있고, 이하 설명하는바와 같이 각 세대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층간소음문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이러한 작동 관계가 구현될 수 있는 앱 실행의 화면과, 진동센서와 소음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각 세대의 거주자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60)에는 상기 각 세대의 거주자들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별도의 앱(70)이 설치되고, 앱 실행시 상기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크기를 알 수 있는 세대별층간소리창(80)이 생성된다.
제1세대(100)에는 동, 호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세대별로 서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창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세대에는 소정 지점에 진동센서(91)와 소음센서(92)가 설치되어 진동센서(91)와 소음센서(92)에 의해 센싱된 신호 크기가 스마트폰(60)에 전송되고, 스마트폰(60)의 앱(70) 실행시 각각의 세대별층간소리창(80)을 클릭하게 되면 각 세대별 소리와 진동을 알 수 있게 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세대와 제2세대 사이에 위치한 벽 내부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제1세대와 제2세대 및 제3세대와 제4세대 사이에 위치한 층간 벽 내부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세대별 출입할 수 있는 제1,2,3,4 현관문의 주변에도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제1,2,3,4계단에도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거주자들이 살고 있는 해당 건물의 단면도에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설정된 소음 혹은 진동 기준값보다 큰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위치가 어디인지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진동센서와 소음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부가 공동주택 구조의 주변에 설치되고, 이 제어부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실에 설치되거나 경비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진동센서와 소음센서에 의해 그 진동과 소음이 센싱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제어부에 전송되고, 제어부에서는 각 공동주택에 설치된 음향부로 현재 '소음 혹은 진동이 크니 유의하십시요' 등의 안내 방송이 송출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소음 기준값과 설정된 진동 기준값 이상으로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 기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알람은 진동 혹은 문자로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세대의 스마트폰(60)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주간의 경우 43dB, 야간의 경우 38dB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진동 혹은 문자로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소음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서로간에 분쟁이 있을 수 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각 세대별 이 기준값을 서로 달리 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한다면 본 발명의 구조 이외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도 층간소음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설계로 층간 소음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제1세대(100)와 상기 제4세대(400)의 층간, 상기 제2세대(200)와 상기 제3세대(300)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111)와 바닥 마감재(112) 사이에는, 최하측과 최상측에는 스티포폼(113)층이 형성되고, 스티로폼층 사이에는 PU발포체(114)층이 위치하고, PU발포체층(114) 상단에는 다공성 무기재료(115)층이 요철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브와 바닥 마감재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조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건축물의 목적이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PU 발포체 역시 폴리우레탄을 기재로 하여 발포한 발포체로써 이 기술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수단이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조성 및 조성비로 이루어진 발포체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공성 무기재료를 요철형식으로 구현하여 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기둥 및 전체적인 건축물의 하중을 감소시키게 한다.
이를 위해 스코리아, 부석 또는 숯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층간소음의 방지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코리아(비중 13), 부석(비중 05), 숯(비중 04 ~ 06)과 같은 낮은 비중의 다공성 무기재료를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100 : 제1세대 200 : 제2세대
300 : 제3세대 400 : 제4세대
500 : 제1계단 600 : 제2계단
700 : 제3계단 800 : 제4계단

Claims (5)

  1.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각 층마다 현관문 1개씩을 배치하여 각각의 세대별로 공용공간의 전용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은 2층에 위치하며,
    3층과 4층에는 제3세대와 제4세대가 위치하고, 제3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3현관문은 3층에, 제4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4현관문은 4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세대가 서로 다른 층에 메인주거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각각의 세대별로 생활 활동 영역이 겹치지 않게 하여 층간소음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세대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이 1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1서브주거공간이 2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의 제2메인주거공간이 2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2서브주거공간이 1층에 위치하여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2세대의간의 동일한 층간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제1메인주거공간은 제2서브주거공간에 비해, 제2메인주거공간은 제1서브주거공간에 비해 각각 평방미터 기준으로 1.5~1.8 : 1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세대의 거실,안방,화장실을 포함하는 제3메인주거공간이 3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3서브주거공간이 4층에 위치하고, 제4세대의 제4메인주거공간이 4층에, 그 외의 공간인 제4서브주거공간이 3층에 위치하여 상기 제3세대와 상기 제4세대의간의 동일한 층간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제3메인주거공간은 제4서브주거공간에 비해, 제4메인주거공간은 제3서브주거공간에 비해 각각 평방미터 기준으로 1.5~1.8 : 1 비율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세대마다 메인주거공간에서 서브주거공간으로의 이동시 생활 영역이 겹치지 않게 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각각의 세대의 메인주거공간으로의 출입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전용하고 있는 현관문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세대의 제1현관문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1메인주거공간에서 제1서브주거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1계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2세대의 제2현관문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2메인주거공간에서 제2서브주거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2계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3세대의 제3현관문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3메인주거공간에서 제3서브주거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3계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4세대의 제4현관문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4메인주거공간에서 제4서브주거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4계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세대는 공용계단을 통해 각각의 현관문에 사용자가 도달하되,
    상기 제1세대는 제1현관문을 통해 옥외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세대는 공용계단을 통해 옥외 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2세대는 1층의 옥외공간을 전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2세대는 각각 1층에 위치한 창을 매개로 1층에 위치하는 옥외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1층에 위치하는 옥외 공간은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2세대의 전용공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세대와 상기 제4세대는 옥상공간을 전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세대와 상기 제4세대는 각각 상향식 제3계단과 하향식 제4계단을 통해 옥상에 위치하는 옥외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옥상에 위치하는 옥외 공간은 상기 제3세대와 상기 제4세대의 전용공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 세대의 거주자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상기 각 세대의 거주자들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별도의 앱이 설치되고,
    상기 앱 실행시 상기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크기를 알 수 있는 세대별층간소리창이 생성되며,
    상기 각 세대에는 소정 지점에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센서와 상기 소음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 크기가 상기 세대별층간소리창에 표시되어 각 세대별 소리와 진동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2세대 사이에 위치한 벽 내부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세대와 제2세대 및 제3세대와 제4세대 사이에 위치한 층간 벽 내부에도 지그재그 방식으로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현관문, 제2현관문, 제3현관문 및 제4현관문의 주변에도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계단, 제2계단, 제3계단 및 제4계단에도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와 소음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부가 상기 공동주택 구조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상기 앱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거주자들이 살고 있는 해당 건물의 단면도가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설정된 소음 혹은 진동 기준값보다 큰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위치가 어디인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설정된 소음 기준값과 설정된 진동 기준값 이상으로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 기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음향부로 안내방송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세대의 거주자가 구비한 스마트폰으로 진동 또는 문자로 알람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음 기준값은 주간의 경우 43dB, 야간의 경우 38dB를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4세대의 층간, 상기 제2세대와 상기 제3세대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와 바닥 마감재 사이에는,
    최하측과 최상측에는 스티포폼층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로폼층 사이에는 PU발포체층이 위치하고, 상기 PU발포체층 상단에는 다공성 무기재료층이 요철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다공성 무기재료는 비중 1.3인 스코리아, 비중 0.5인 부석 또는 비중 0.4 이상 0.6 이하인 숯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병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9656A 2018-07-09 2018-07-09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KR10224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56A KR102247647B1 (ko) 2018-07-09 2018-07-09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56A KR102247647B1 (ko) 2018-07-09 2018-07-09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76A KR20200005976A (ko) 2020-01-17
KR102247647B1 true KR102247647B1 (ko) 2021-05-03

Family

ID=6937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656A KR102247647B1 (ko) 2018-07-09 2018-07-09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73A (ko) 2021-11-10 2023-05-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래브 지그재그 배치구조를 포함하는 도심형 주택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19B1 (ko) * 2014-01-28 2014-11-13 (주)두담테크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7740B1 (ko) * 2016-11-07 2017-05-19 (주)이앤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다가구용 공동주택
KR101801813B1 (ko) * 2015-12-30 2017-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대 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30Y1 (ko) 2000-06-17 2000-11-15 김진구 공동주택 단지 설계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19B1 (ko) * 2014-01-28 2014-11-13 (주)두담테크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1813B1 (ko) * 2015-12-30 2017-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대 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7740B1 (ko) * 2016-11-07 2017-05-19 (주)이앤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다가구용 공동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73A (ko) 2021-11-10 2023-05-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래브 지그재그 배치구조를 포함하는 도심형 주택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76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647B1 (ko)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JP4092315B2 (ja) 建物
KR20210081074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KR101958876B1 (ko)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CN210316677U (zh) 一种微型别墅单元及联排别墅
CN201090034Y (zh) 一种多层楼房建筑的楼梯结构
JP2005097849A (ja) 集合住宅
JP3151454U (ja) 南側(東側・西側)に面するアプローチテラスと住戸玄関を備えた集合住宅
KR101414432B1 (ko)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KR200267694Y1 (ko)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KR20190017321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JP4966369B2 (ja) 集合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CN101967890A (zh) 新式联体别墅
JP2011001761A (ja) 家屋
JP2002106184A (ja) 収納付き建物
JP2535724B2 (ja) 多所帯型住宅
Beharrell et al. Practical guide
KR20090110981A (ko) 복층 아파트
JP2008008117A (ja) 採光収納構造部分を備える建物
KR101239839B1 (ko) 개별주차장 및 통로를 갖는 건축물
JP2017106230A (ja) 多層長屋
Lavington Flats
JP3199662U (ja) 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