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694Y1 -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694Y1
KR200267694Y1 KR2020010039990U KR20010039990U KR200267694Y1 KR 200267694 Y1 KR200267694 Y1 KR 200267694Y1 KR 2020010039990 U KR2020010039990 U KR 2020010039990U KR 20010039990 U KR20010039990 U KR 20010039990U KR 200267694 Y1 KR200267694 Y1 KR 200267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apartment
height
ris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순
Original Assignee
이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순 filed Critical 이필순
Priority to KR2020010039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694Y1/ko

Link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저층세대의 높이를 높게 성형하여 각 실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독립된 생활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복층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입주자의 스타일에 맞는 독립적인 생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천정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일조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그로인해 입주자들의 저층 기피현상이 줄어들어 시공업체의 분양에 대한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Low floor house for double floor structure}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층세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천정부분에 독립적인 생활공간을 확보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천정높이가 높아진 만큼 일조량을 증가시키는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라 함은, 여러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는 것으로,
일 예로 일반적인 아파트의 저층부(H)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1)을 중심으로 상기 거실(1)의 양측면에 침실(2)(2')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침실(2')의 일측면에 현관(5)이 형성되며 상기 거실(1)의 끝단에는 주방(3)이 형성되고, 상기 주방(3)의 양측면에 침실(2")과 욕실(4)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침실(2")과 주방(3), 욕실(4)의 외측면에 발코니(6)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저층부(H)는, 최상층과 중간층에 비해서 저층부의 일조량이 부족하고 사생활을 침해당한다는 이유로 입주자들이 입주를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거공간의 유효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해 최근 최상의 주거공간을 선호하는 입주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저층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입주자의 스타일에 맞게 선택적으로 복층부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천정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일조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이로인해 입주자들의 저층 기피현상이 줄어들어 시공업체의 분양에 대한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일반적인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각 실부에 선택적으로 독립된 생활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복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복층부 110: 생활공간
111: 바닦면 112: 난간
113: 창문 120: 외벽
121: 거실 122: 침실
123: 주방 124: 계단
125: 발코니
이하, 본 고안이 구성되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저층세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각 실부에 선택적으로 독립된 생활공간(110)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복층부(100)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층부(100)는 공동주택의 일반적인 높이보다 높게 형성한 외벽(120)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120)의 내측 전면에 거실(121)이 형성되며 상기 거실(121)의 일측에 침실(122)이 형성되며 상기 침실(122)의 일측면에 주방(123)이 형성되고 상기 침실(122)과 주방(123)의 외측 일측벽에 발코니(125)가 형성된다..
상기 복층부(100)는 상기 침실(122)과 주방(123)의 상부에 한 층 높이의 천정을 중심으로 1/3정도 되는 지점에 바닥면(111)을 고정시켜 생활공간(1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생활공간(110)의 측면에는 난간(112)과 창문(113)을 설치하고, 상기 생활공간(110)과 거실(121)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124)이 침실(122)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층부의 사용을 설명하면, 생활공간(110)을 입주자의 스타일과 개성에 따라 침실, 서재, 드레스룸, 창고, 기타 취미공간 등 다른 구성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다양하게 독립적인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주거공간의 면적이 큰 빌라나 대형아파트의 경우도 상기와 같이 복층부(100)를 각 실의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각 실마다 복층부(100)를 설치하여 입주자가 독립적인 생활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는, 일반적인 공동주택 저층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실의 상단에 복층부를 형성함으로 독립적인 생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공동주택의 저층부에 일조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이로인해 입주자들의 저층 기피현상을 감소시켜 시공업체의 분양에 대한 부담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저층세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각 실부에 선택적으로 독립된 생활공간(110)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복층부(1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KR2020010039990U 2001-12-24 2001-12-24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KR200267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90U KR200267694Y1 (ko) 2001-12-24 2001-12-24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90U KR200267694Y1 (ko) 2001-12-24 2001-12-24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694Y1 true KR200267694Y1 (ko) 2002-03-12

Family

ID=7311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90U KR200267694Y1 (ko) 2001-12-24 2001-12-24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6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882B1 (ko) * 2012-02-17 2013-08-29 강용언 복층 고시텔 원룸
KR101414432B1 (ko) 2011-11-28 2014-07-01 주식회사대원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KR101578455B1 (ko) 2013-07-10 2016-01-14 박종한 건물의 중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32B1 (ko) 2011-11-28 2014-07-01 주식회사대원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KR101301882B1 (ko) * 2012-02-17 2013-08-29 강용언 복층 고시텔 원룸
KR101578455B1 (ko) 2013-07-10 2016-01-14 박종한 건물의 중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589B2 (ja) 集合住宅
KR200267694Y1 (ko)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JPH09256653A (ja) 多層建築物
KR20190090169A (ko) 공용주택
JP2009013581A (ja) ロフト付き集合住宅
JP4861757B2 (ja) 採光収納構造部分を備える建物
CN200989064Y (zh) 交叉跨廊式跃层住宅
JP4170281B2 (ja) 建物
JP4279742B2 (ja) 建物
KR101414432B1 (ko)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JP6990937B2 (ja) 集合建築物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US20220290452A1 (en) Single-family apartment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4216677B2 (ja) 集合住宅
JP4403496B2 (ja) 三階建て住宅構造
JP2535724B2 (ja) 多所帯型住宅
JPH0449622B2 (ko)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3199662U (ja) 住宅
JP2004108101A (ja) 建物
JP5554462B2 (ja) 建物
JPH10266591A (ja) 中三階を有する住宅
JP2022139301A (ja) 住宅
KR20210116117A (ko) 로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
CN116145994A (zh) 一种多层混合叠加式别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