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553B1 - 이송후크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이송후크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553B1
KR102318553B1 KR1020200029597A KR20200029597A KR102318553B1 KR 102318553 B1 KR102318553 B1 KR 102318553B1 KR 1020200029597 A KR1020200029597 A KR 1020200029597A KR 20200029597 A KR20200029597 A KR 20200029597A KR 102318553 B1 KR102318553 B1 KR 102318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guide
transfer hook
transfer
curve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203A (ko
Inventor
김헌호
정상근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2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55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Abstract

이송후크 안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는 이송후크에 마련된 선회안내부; 이송후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경로의 측방에 선회안내부의 이동궤적을 따라 마련되며 선회안내부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측안내레일; 상측안내레일의 하측에 선회안내부의 이동궤적을 따라 마련되며 선회안내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안내레일; 및 하측안내레일을 승강시켜 상측안내레일과 하측안내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후크 안내장치{GUIDE DEVICE FOR TRANSFER HOOK}
본 발명은 이송후크의 곡선경로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후크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공정과 냉각공정을 거쳐 생산된 선재는 권취기에서 코일형태로 권취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포장을 위한 장소 또는 적재 장소로 이송된다.
컨베이어는 권취된 선재코일을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C”형태로 마련된 복수의 이송후크와, 복수의 이송후크를 이송시키는 이송트랙, 이송트렉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후크를 지지하여 이송후크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트랙은 이송후크의 직선 이동을 위한 직선경로와, 경로의 분기 또는 선회를 위한 곡선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트랙 역시 직선경로와 곡선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후크는 이송트랙의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경로의 변경 또는 분기를 위해 곡선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컨베이어는 이송트랙의 직선경로와 곡선경로가 만나는 분기지점에서 가이드트랙의 일부가 단절되기 때문에 이송후크가 직선경로에서 곡선경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후크의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송후크에 적재된 선재코일이 낙하할 수 있다. 즉 직선경로에서 곡선경로로 진입하는 이송후크가 가이드트랙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이송후크의 흔들림이 생기면서 선재코일이 낙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후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후크 안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후크에 마련된 선회안내부;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경로의 측방에 상기 선회안내부의 이동궤적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선회안내부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측안내레일; 상기 상측안내레일의 하측에 상기 선회안내부의 이동궤적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선회안내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안내레일; 및 상기 하측안내레일을 승강시켜 상기 상측안내레일과 상기 하측안내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이송후크 안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측안내레일은 양단이 상방향으로 벤딩된 상측 출입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안내레일은 양단이 하방향으로 벤딩된 하측 출입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후크 안내장치는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진입센서;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를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통과센서; 및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로 진입하면 상기 하측안내레일을 상승시키고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를 통과하면 상기 하측안내레일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안내부는 상기 이송후크의 상측지지부 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안내레일과 상기 하측안내레일 사이를 통과하면서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는 상측안내레일과 하측안내레일이 곡선경로의 초입구간(가이드트랙이 없는 구간)에서 이송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에 곡선경로를 이동하는 이송후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후크가 곡선경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선재코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는 이송후크가 곡선경로를 이동하는 동안 하측안내레일이 상승하여 선회안내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이송후크의 안정된 이송을 안내할 수 있고, 이송후크가 곡선경로를 통과한 후 하측안내레일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추후 이송될 이송후크의 선회안내부가 상측안내레일과 하측안내레일의 사이로 원활히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가 적용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가 적용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가 적용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는 권취된 선재코일(1)을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C"형태로 마련된 복수의 이송후크(10), 복수의 이송후크(10) 상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후크(10)를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이송트랙(20), 이송트랙(20)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후크(10)의 한쪽 측방을 지지하여 이송후크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트랙(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이송후크(10)는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분이 이송트랙(20)에 지지되며 이송트랙(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측지지부(11), 상측지지부(11)의 한쪽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측방지지부(12), 측방지지부(12)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지지부(11)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선재코일(1)을 걸어서 지지하는 걸이부(13), 이송트랙(2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롤조립체(25)와 상측지지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4), 상측지지부(11)의 자유단에 설치된 웨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트랙(20)은 공장이나 건축물의 천장에 길이가 긴 레일형태로 마련되며, 이송후크(10)의 직선 이동을 위한 직선경로(21)와, 경로의 분기 또는 선회를 위한 곡선경로(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트랙(20)의 직선경로(21) 또는 곡선경로(22)에는 이송후크(10)와 연결된 이송롤조립체(25)를 견인하는 견인체인(27)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트랙(30)은 이송트랙(2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후크(10)의 측방에 이송후크(10)의 이송궤적을 따라 마련되며, 이송후크(10)의 측방지지부(12)에 마련된 가이드롤(16)의 이송을 안내한다. 따라서 각 이송후크(10)는 직선경로(21) 및 곡선경로(22)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트랙(3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이송트랙(20)과 마찬가지로 직선이동을 위한 직선경로(31)와 곡선이동을 위한 곡선경로(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트랙(30)은 이송트랙(20)이 직선경로(21)에서 곡선경로(22)로 분기되는 일부구간(A) 또는 곡선경로(22)에서 직선경로(21)로 합류되는 일부구간이 단절될 수 있다.
통상적인 컨베이어에서 이송후크(10)는 직선경로(21)와 곡선경로(22)가 분기되는 일부구간을 이동하는 동안 흔들림이 생길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100)는 이처럼 가이드트랙(30)이 단절된 구간의 곡선경로(22)를 이동하는 이송후크(10)를 지지하여 이송후크(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송후크(10)에 걸린 선재코일(1)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송후크 안내장치(100)는 선회안내부(110), 상측안내레일(120), 하측안내레일(130), 승강장치(140), 진입센서(150), 통과센서(160),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안내부(110)는 가이드트랙(30)이 없는 곡선경로(22)의 초입구간을 이동하는 이송후크(1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이송후크(10)의 상측지지부(11) 측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선회안내부(110)는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웨이트(15)가 위치하는 이송후크(10)의 상측지지부(11)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선회안내부(110)는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선회안내부(110)가 웨이트(15)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선회안내부(110)가 웨이트(15)를 대체할 수도 있다.
상측안내레일(120)은 선회안내부(110)의 가이드롤러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경로(22, 가이드트랙이 없는 구간)의 측방에 선회안내부(110)의 이동궤적을 따라 곡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측안내레일(120)의 측방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안내레일(120)을 고정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주(181)와, 지주(181)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안내레일(120)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82)가 설치될 수 있다.
하측안내레일(130)은 선회안내부(110)의 가이드롤러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안내레일(120)의 하측에 선회안내부(110)의 이동궤적을 따라 곡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강장치(140)는 하측안내레일(13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안내레일(130)을 승강시켜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승강장치(140)는 지주(181) 또는 별도의 고정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장치(140)는 상단이 하측안내레일(130)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신축하는 동작에 의해 하측안내레일(130)을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은 가이드트랙(130)이 없는 곡선경로(22)의 초입구간에서 이송후크(10)의 선회안내부(110)를 지지하면서 이송후크(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은 곡선경로(22)를 이동하는 이송후크(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송후크(10)에 걸린 선재코일(1)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곡선경로(22)를 초입구간을 통과한 이송후크(10)는 가이드트랙(30)의 곡선경로(32)에 의해 이송이 안내되기 때문에 역시 흔들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안내레일(120)은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벤딩되도록 연장된 상측 출입안내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하측안내레일(130)은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벤딩되도록 연장된 하측 출입안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직선경로(21)로부터 곡선경로(22) 쪽으로 이동하는 이송후크(10)는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 사이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다.
이송후크 안내장치(100)는 이송후크(10)가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이 위치하는 곡선경로(22)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진입센서(150), 이송후크(10)가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이 위치하는 곡선경로(22)를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통과센서(160), 그리고 진입센서(150)와 통과센서(16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승강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이송후크(10)가 곡선경로(22)로 진입하면 하측안내레일(130)을 상승시키고 이송후크(10)가 곡선경로(22)를 통과하면 하측안내레일(130)을 하강시키도록 승강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곡선경로(22)로 진입한 이송후크(10)는 선회안내부(110)의 상측이 상측안내레일(120)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송이 안내되고, 선회안내부(110)의 하측이 하측안내레일(1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송이 안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회안내부(110)은 곡선경로(22)를 이동하는 동안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다.
선회안내부(110)가 곡선경로(22)를 통과하는 후에는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의 간격이 커지도록 하측안내레일(130)이 하강함으로써 추후 이송될 이송후크(10)의 선회안내부(110)가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의 사이로 원활히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송후크 안내장치(100)는 이송후크(10)가 곡선경로(22)를 이동하는 동안 하측안내레일(130)이 상승하여 선회안내부(110)를 지지하기 때문에 이송후크(10)의 안정된 이송을 안내할 수 있고, 이송후크(10)가 곡선경로(22)를 통과한 후 하측안내레일(130)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추후 이송될 이송후크(10)의 선회안내부(110)가 상측안내레일(120)과 하측안내레일(130)의 사이로 원활히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10: 이송후크, 100: 이송후크 안내장치,
110: 선회안내부, 120: 상측안내레일,
130: 하측안내레일, 140: 승강장치,
150: 진입센서, 160: 통과센서,
170: 제어부.

Claims (4)

  1. 이송후크에 마련된 선회안내부;
    상기 이송후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경로의 측방에 상기 선회안내부의 이동궤적을 따라 마련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선회안내부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측안내레일;
    상기 상측안내레일의 하측에 상기 선회안내부의 이동궤적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선회안내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상측안내레일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안내레일; 및
    상기 하측안내레일을 승강시켜 상기 상측안내레일과 상기 하측안내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이송후크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안내레일은 양단이 상방향으로 벤딩된 상측 출입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안내레일은 양단이 하방향으로 벤딩된 하측 출입안내부를 포함하는 이송후크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진입센서;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를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통과센서; 및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로 진입하면 상기 하측안내레일을 상승시키고 상기 이송후크가 상기 곡선경로를 통과하면 상기 하측안내레일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후크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안내부는 상기 이송후크의 상측지지부 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안내레일과 상기 하측안내레일 사이를 통과하면서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이송후크 안내장치.
KR1020200029597A 2020-03-10 2020-03-10 이송후크 안내장치 KR102318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97A KR102318553B1 (ko) 2020-03-10 2020-03-10 이송후크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97A KR102318553B1 (ko) 2020-03-10 2020-03-10 이송후크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03A KR20210114203A (ko) 2021-09-23
KR102318553B1 true KR102318553B1 (ko) 2021-10-29

Family

ID=7792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597A KR102318553B1 (ko) 2020-03-10 2020-03-10 이송후크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9210B (zh) * 2022-03-24 2023-01-20 山西恒瑞昆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金属拉丝机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08B1 (ko) * 2005-12-15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시후크 트랙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954Y1 (ko) * 1995-10-31 1999-09-01 이구택 시-후크 안내롤 자동복구장치
KR20190025088A (ko) * 2017-08-28 2019-03-11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08B1 (ko) * 2005-12-15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시후크 트랙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03A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953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1940435B1 (ko) 캐리어 이동 적재 촉진 장치
EP2476636B1 (en) Lengthy Article Conveying Apparatus
TWI337974B (en) Stacker crane
KR102318553B1 (ko) 이송후크 안내장치
CN110461757B (zh) 搬运装置
KR101748445B1 (ko) 스태커 크레인
CN111886190A (zh) 储料器系统
KR20080020437A (ko) 자동창고
KR101479941B1 (ko) 반송대차
JP4826898B2 (ja) 搬送装置
CN114667260A (zh) 悬挂式搬送车及保管系统
KR101655887B1 (ko) 반송 장치
TWI410364B (zh) 設有昇降機構之軌道行走台車
KR102223088B1 (ko) 갠트리의 마스트
JP2009249073A (ja) 昇降装置
JP2601982B2 (ja) パレット移動装置の駆動装置
KR20120121551A (ko) 벨트 컨베이어
JP5623168B2 (ja) コイル搬送システム
RU2411175C1 (ru) 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6563826B2 (ja) 搬送装置
JP2007176377A (ja) 昇降装置
JP2002037429A (ja) 紡績工場の頭上ラインに沿って生産品を取り扱うシステム
RU2335442C1 (ru) Наклонный конвейер с подвесной лентой
JP4389654B2 (ja) バケット搬送装置のキャリア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