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320B1 -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320B1
KR102317320B1 KR1020210079267A KR20210079267A KR102317320B1 KR 102317320 B1 KR102317320 B1 KR 102317320B1 KR 1020210079267 A KR1020210079267 A KR 1020210079267A KR 20210079267 A KR20210079267 A KR 20210079267A KR 102317320 B1 KR102317320 B1 KR 10231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traffic
time
crosswalk
traff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이티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티엑스 filed Critical (주)이티엑스
Priority to KR102021007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통행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녹색등과 적색등을 구비하고,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남은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잔여표시등을 구비하는 보행자 신호등부, 횡단보도와 인접한 보도의 바닥에 설치된 신호등으로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와 연동하여 녹색등과 적색등을 점등하기 위한 바닥 신호등부,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횡단보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교통신호 체계를 제어하며,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횡단보도에 인접한 보도에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에 보행자가 진입하면,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안내 방송을 표출하는 교통신호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Pedestrian Safety Management System }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보급의 확대로 인해 다양한 장소에서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통사고는 심각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어 세계적으로 주된 공중보건문제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나 아직도 OECD 국가 중에서 높은 편이다. 교통사고는 사전 예방을 위해 많은 국가들은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인명 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에 더욱 더 위험하다.
횡단보도 지역은 보행자의 경로상 횡단을 위해 보행자가 대기하거나, 보행자가 보행자 신호의 지시에 따라 횡단하게 되는 공간 등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는 차량신호와 연동되고, 차량신호가 적색으로 지시할 경우 보행자 신호는 녹색 현시를 점등하여 차량의 흐름을 정지로 유도한 후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횡단보도 지역은 보행자와 차량간의 사고가 발생되어 교통약자인 보행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등의 인적 피해가 큰 지역으로서, 보행자와 차량은 각각의 신호를 준수해야 한다.
횡단보도 지역의 사고는 차량이 신호를 위반하는 경우, 보행자 신호가 적색임에도 불구하고 보행자가 신호를 무시하고 횡단하는 경우, 보행자 신호가 녹색이지만 잔여 보행자 녹색시간에 비해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보행자 신호가 적색일 경우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보행자 신호가 녹색일 경우 보행자가 잔여 보행자 녹색시간을 무시하고 횡단을 시도하는 경우 혹은 고령자, 어린이 및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의 느린 보행속도에 따라 횡단보도 녹색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등에서의 교통사고는 횡단보도 시스템이 잘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안전장치가 시행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 지주 일측에 구비된 버튼식 보행자 구동신호기의 경우 보행자가 해당 버튼을 구동하여 동작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활용성 및 편리성이 부족하고, 고령자 또는 어린이 등의 기계적 이해도가 낮아 보행자 구동신호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외부에 설치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고 청각장애인용 음향 신호기와 혼동이 있어 사용상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횡단보도 보행자 감지 기술은 기존에는 보행자가 직접신호등 버튼을 눌러 “횡단 대기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누름 버튼식 보행자 구동신호기는 신호가 바뀌는 시점에서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횡단보도의 일측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를 통한 보행자 감지신호기의 경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안내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주간에 빈번한 오류가 발생하고 블레이드 설치에 따라 추가적인 토목공사를 실시함으로서 별도의 부대비용이 발생하고, 횡단보도 이용자들의 접촉에 따라 장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 보행자 감지신호기의 보행자 감지 기술은 횡단대기 및 횡단영역 전체를 감지영역으로 설정하여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낮은 정밀도 및 높은 오 동작율이 발생함으로 사용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652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통행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녹색등과 적색등을 구비하고,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남은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잔여표시등을 구비하는 보행자 신호등부, 횡단보도와 인접한 보도의 바닥에 설치된 신호등으로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와 연동하여 녹색등과 적색등을 점등하기 위한 바닥 신호등부,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횡단보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교통신호 체계를 제어하며,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횡단보도에 인접한 보도에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에 보행자가 진입하면,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안내 방송을 표출하는 교통신호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교통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 하나의 보드로 구현된 통합 옵션 보드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검지 영역에 진입한 보행자를 인식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에 녹색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녹색등의 점등이 유지되는 잔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잔여표시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다른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각 컨트롤 박스는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실시간 통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인 운영 단말 및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통신하며,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실시간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하고, 각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장애 발생 여부가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운영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운영 단말의 요청에 따라 관련 시설물의 장애 이력 조회 정보 및 장애 발생 통계 조회 정보를 상기 운영 단말에 제공하는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자 신호등 및 바닥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신호 제어기에서 하나의 통합옵션 보드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도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도로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교통 신호 제어기와 컨트롤 박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운영 시스템 부분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단말의 화면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실시 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실시 예들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실시 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도로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은 교통신호 제어기(110), 카메라부(120), 스피커부(130), 보행자 신호등부(140), 바닥 신호등부(150), VMS(Variable Message Sign)(160)를 포함한다.
교통신호 제어기(110)는 횡단보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교통신호 체계를 기반으로 보행자 신호등부(140) 및 바닥 신호등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부(120)는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주변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IP 카메라일 수 있다.
스피커부(130)는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부(130)는 초지향성 스피커일 수 있다.
보행자 신호등부(140)는 사람의 통행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녹색등과 적색등을 구비하고,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남은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잔여표시등을 구비한다.
바닥 신호등부(150)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보도의 바닥에 설치된 신호등으로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와 연동하여 녹색등과 적색등을 점등한다.
VMS(160)는 교통 상황, 도로 상황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이다.
본 발명에서 교통신호 제어기(11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횡단보도에 인접한 보도에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에 보행자가 진입하면, 스피커부(130)를 통해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안내 방송을 표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교통 신호 제어기와 컨트롤 박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제어기(110)는 교통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보행자 신호등부(140) 및 바닥 신호등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 하나의 보드로 구현된 통합 옵션 보드(210)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220)를 구비한다.
컨트롤 박스(220)는 검지 영역에 진입한 보행자를 인식하면, 보행자 신호등부(140) 및 바닥 신호등부(150)에 녹색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녹색등의 점등이 유지되는 잔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잔여표시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박스(220)는 자율주행 무선 기술 표준인 802.11P/C-V2X 또는 저전력 산업용 표준인 802.15.4E 등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접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관로 공사를 최소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트롤 박스(220)는 다른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박스 간에 스마트 메쉬(smart mesh)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운영 시스템 부분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컨트롤 박스(220)는 보행자 신호등부(140) 및 바닥 신호등부(150)의 동작 상태와 실시간 통신 상태를 점검한다.
관제 서버(310)는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통신하며, 보행자 신호등부(140) 및 바닥 신호등부(150)의 동작 상태와 실시간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각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장애 발생 여부가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운영 단말(320)에 제공한다. 그리고, 운영 단말(320)의 요청에 따라 관련 시설물의 장애 이력 조회 정보 및 장애 발생 통계 조회 정보를 운영 단말(320)에 제공한다.
운영 단말(320)은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련 시설물의 장애 이력 조회 정보 및 장애 발생 통계 조회 정보를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관리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운영 단말(320)을 통해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지도 상에서 확인할 수 있고, 컨트롤 박스 및 바닥 신호등부를 제어할 수 있고, 시설물 장애 이력 및 장애 발생 통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행자 검지 영역(붉은색), 보행자 진입 검지 영역(푸른색), 보행자 신호연장 검지 영역(녹색), 보행자 카운터 검지 영역(노란색)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박스(22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보행자가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보행자가 보행자 진입 검지 영역에 진입하면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을 인식한다. 보행자가 보행자 카운터 검지 영역에 진입하면,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의 잔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잔여표시등을 통해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박스(220)는 보행자가 보행자 신호연장 검지 영역에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 위치하면, 해당 보행자를 교통약자로 판단하고, 보행신호인 녹색등의 점등 시간을 소정 시간 이상 연장하도록 변경하고, 변경된 녹색등의 점등 시간에 따라 잔여 시간을 잔여표시등에 표시하고,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으므로 주의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VMS(160) 및 스피커(130)로 표출한다.
이때, 컨트롤 박스(220)는 AI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통약자를 판별하고, 보행신호 연장과 동시에 음성 및 영상으로 교통약자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그리고, 현재 횡단보도 정보를 관제 서버(3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단말의 화면예이다. 본 발명에서 시설물은 교통신호 제어기, 바닥 신호등부, 보행자 신호등부, VMS 등을 나타낸다.
도 4는 메인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설치된 시설물의 위치와 실시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 좌측에 전체 시설물 상태 현황이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 현장 장비의 실시간 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한 지도 화면이 배치된다.
도 4의 화면예에서, 전체 시설물의 상태 현황을 숫자로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시설물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신호등부와 같은 시설물의 표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의 지도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현장의 시설물의 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현재 각 시설물의 상태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시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도 5는 시설물 제어 화면예로서, 시설물 중 바닥 신호등부의 조도를 시간대별로 조정하는 디밍(dimming) 설정 화면예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디밍 설정시 시간 별로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4단계로 디밍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밝기 조정은 100%를 기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디밍을 제어할 장비를 선택하고, 데이터를 입력하고, 설정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장비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적용된다.
도 6은 시설물 제어 종료 화면예로서, 기본 화면 표출 작업중이던 제어 화면을 종료하는 화면예이다.
도 7은 기초 정보 관리 화면예로서, 화면 상단의 기초 정보 관리 탭에서 컨트롤 박스와 바닥 신호등부의 기초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즉, 화면 상단에서 제어기를 클릭하면 컨트롤 박스의 기초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호출되고, 바닥 신호등 조회를 클릭하면 바닥 신호등부의 기초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호출된다.
도 8은 통계 조회 화면예로서, 화면 상단의 통계 조회 탭에서 컨트롤 박스와 바닥신호등부의 장애 통계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원하는 기간, 전체 시설물 또는 개별 시설물의 조회 조건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조건에 맞는 장애 발생 통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교통신호 제어기 120 카메라부
130 스피커부 140 보행자 신호등부
150 바닥 신호등부 160 VMS
210 옵션보드 220 컨트롤 박스
310 관제 서버 320 운영 단말

Claims (5)

  1. 사람의 통행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녹색등과 적색등을 구비하고, 녹색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남은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잔여표시등을 구비하는 보행자 신호등부;
    횡단보도와 인접한 보도의 바닥에 설치된 신호등으로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와 연동하여 녹색등과 적색등을 점등하기 위한 바닥 신호등부;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교통 상황, 도로 상황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인 VMS(Variable Message Sign); 및
    횡단보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교통신호 체계를 제어하며, 상기 교통신호 체계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횡단보도에 인접한 보도에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에 보행자가 진입하면,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안내 방송을 표출하는 교통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교통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 하나의 보드로 구현된 통합 옵션 보드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검지 영역에 진입한 보행자를 인식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 및 상기 바닥 신호등부에 녹색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녹색등의 점등이 유지되는 잔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잔여표시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다른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각 컨트롤 박스는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실시간 통신 상태를 점검하고,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인 운영 단말; 및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통신하며,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실시간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하고, 각 보행자 신호등부 및 바닥 신호등부의 동작 상태와 장애 발생 여부가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운영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운영 단말의 요청에 따라 관련 시설물의 장애 이력 조회 정보 및 장애 발생 통계 조회 정보를 상기 운영 단말에 제공하는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자율주행 무선 기술 표준인 802.11P/C-V2X 또는 저전력 산업용 표준인 802.15.4E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통해 다른 다수의 컨트롤 박스와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이때 컨트롤 박스 간에 스마트 메쉬(smart mesh)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횡단보도 및 그 인접 보도에 보행자 검지 영역, 보행자 진입 검지 영역, 보행자 신호연장 검지 영역, 보행자 카운터 검지 영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보행자가 상기 보행자 진입 검지 영역에 진입하면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을 인식하고, 보행자가 상기 보행자 카운터 검지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의 녹색등 점등 잔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잔여표시등을 통해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보행자가 상기 보행자 신호연장 검지 영역에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 위치하면, 해당 보행자를 교통약자로 판단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부의 녹색등의 점등 시간을 소정 시간 이상 연장하도록 변경하고, 변경된 녹색등의 점등 시간에 따라 변경된 잔여 시간을 잔여표시등에 표시하고,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있으므로 주의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VMS 및 상기 스피커부로 표출하고,
    이때, 상기 컨트롤 박스는 AI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통약자를 판별하고, 보행신호 연장과 동시에 음성 및 영상으로 교통약자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현재 횡단보도 관제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고,
    시설물은 교통신호 제어기, 바닥 신호등부, 보행자 신호등부, VMS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때,
    상기 관제 서버는 설치된 시설물의 위치와 실시간 상태를 상기 운영 단말에 표시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운영 단말의 화면 좌측에 전체 시설물 상태 현황이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 현장 장비의 실시간 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한 지도 화면이 배치되고, 전체 시설물의 상태 현황을 숫자로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시설물의 정보를 수집하고, 시설물의 표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지도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현장의 시설물의 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현재 각 시설물의 상태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시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시설물의 표출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시설물 중 바닥 신호등부의 조도를 시간대별로 조정하는 디밍(dimming)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9267A 2021-06-18 2021-06-18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1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67A KR102317320B1 (ko) 2021-06-18 2021-06-18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67A KR102317320B1 (ko) 2021-06-18 2021-06-18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320B1 true KR102317320B1 (ko) 2021-10-26

Family

ID=7826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67A KR102317320B1 (ko) 2021-06-18 2021-06-18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32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505B1 (ko) * 2022-04-13 2022-09-30 (주)삼성티엔지 다기능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 장치
KR102516575B1 (ko) * 2022-07-13 2023-03-30 최헌근 신호등용 전광판
KR102528008B1 (ko) * 2022-10-31 2023-05-02 (주)경동이앤에스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KR102528010B1 (ko) * 2022-10-31 2023-05-02 (주)경동이앤에스 음성안내 기능과 고장알림 기능을 갖춘 면발광 바닥신호등 시스템
CN116580547A (zh) * 2022-07-25 2023-08-11 郑州迈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埋式交通信号灯智能控制方法及系统
KR102612413B1 (ko) * 2023-06-12 2023-12-12 주식회사 컴텍시그널 횡단보도상 위험 지역내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 음성 표출 제어방법
KR102614255B1 (ko) * 2023-05-23 2023-12-15 주식회사 신호 교통신호제어기를 이용한 가변형 교통정보 표지판의 신호제어장치
KR102631943B1 (ko) * 2023-11-20 2024-01-31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스마트 통합 교통 시스템
KR102635526B1 (ko) * 2023-10-26 2024-02-08 에코솔루션주식회사 횡단보도 신호등 연계 기반 바닥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102673353B1 (ko) * 2024-03-04 2024-06-07 (주)이티엑스 스마트 횡단보도 종합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370A (ko) * 1995-03-13 1996-10-24 황진활 신호등 무선 연동 제어장치
KR101271743B1 (ko) * 2012-08-06 2013-06-05 이정명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KR102184728B1 (ko) * 2020-03-27 2020-11-30 염상훈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KR102225566B1 (ko) * 2020-10-28 2021-03-0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천을 포함한 수원지의 원수 연수화를 위한 정수장용 칼슘 응결물 회수장치
KR20210065219A (ko)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와이즈드림 지능형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370A (ko) * 1995-03-13 1996-10-24 황진활 신호등 무선 연동 제어장치
KR101271743B1 (ko) * 2012-08-06 2013-06-05 이정명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KR20210065219A (ko)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와이즈드림 지능형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스템
KR102184728B1 (ko) * 2020-03-27 2020-11-30 염상훈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KR102225566B1 (ko) * 2020-10-28 2021-03-0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천을 포함한 수원지의 원수 연수화를 위한 정수장용 칼슘 응결물 회수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505B1 (ko) * 2022-04-13 2022-09-30 (주)삼성티엔지 다기능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 장치
KR102516575B1 (ko) * 2022-07-13 2023-03-30 최헌근 신호등용 전광판
CN116580547A (zh) * 2022-07-25 2023-08-11 郑州迈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埋式交通信号灯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16580547B (zh) * 2022-07-25 2024-05-03 郑州迈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埋式交通信号灯智能控制方法及系统
KR102528008B1 (ko) * 2022-10-31 2023-05-02 (주)경동이앤에스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KR102528010B1 (ko) * 2022-10-31 2023-05-02 (주)경동이앤에스 음성안내 기능과 고장알림 기능을 갖춘 면발광 바닥신호등 시스템
KR102614255B1 (ko) * 2023-05-23 2023-12-15 주식회사 신호 교통신호제어기를 이용한 가변형 교통정보 표지판의 신호제어장치
KR102612413B1 (ko) * 2023-06-12 2023-12-12 주식회사 컴텍시그널 횡단보도상 위험 지역내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 음성 표출 제어방법
KR102635526B1 (ko) * 2023-10-26 2024-02-08 에코솔루션주식회사 횡단보도 신호등 연계 기반 바닥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102631943B1 (ko) * 2023-11-20 2024-01-31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스마트 통합 교통 시스템
KR102673353B1 (ko) * 2024-03-04 2024-06-07 (주)이티엑스 스마트 횡단보도 종합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320B1 (ko)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1338124B1 (ko) 스마트 교통 제어 시스템
KR101146583B1 (ko)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US201500847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pedestrian at crosswalk
KR101655839B1 (ko)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0064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163547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CN107316476B (zh) 一种基于交通道路的智能警示方法及其系统
US20150302741A1 (en) Traffic Signal Display and Method
KR20220010858A (ko) 차량 우회전시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20220117016A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101423396B1 (ko) 다목적 횡단보도 스마트 안전지도시스템
KR20210001548A (ko) 영상기반 보행자인식 알고리즘 적용 횡단보도 보행신호 보조시스템
EP3247166B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sgabe von warnmeldungen
KR101644179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90978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101879617B1 (ko) Led신호등 제어를 위한 교통신호등 시스템
KR102385866B1 (ko) 도시관리플랫폼에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43845B1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정보 제공 장치
KR102316449B1 (ko) 안전유도등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CN207993234U (zh) 一种指示装置
KR10205654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JP2002074586A (ja) 交通誘導装置及び交通誘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