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008B1 -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 Google Patents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008B1
KR102528008B1 KR1020220142099A KR20220142099A KR102528008B1 KR 102528008 B1 KR102528008 B1 KR 102528008B1 KR 1020220142099 A KR1020220142099 A KR 1020220142099A KR 20220142099 A KR20220142099 A KR 20220142099A KR 102528008 B1 KR102528008 B1 KR 10252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failure
floor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경
곽재호
Original Assignee
(주)경동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경동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14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08B1/ko
Priority to JP2023122465A priority patent/JP2024066429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바닥신호등의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 또는 지정된 휴대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빠른 후속조치와 더불어 신속한 비포서비스(before service)가 가능하게 하여 보행자의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의 횡단방향 양끝단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바닥신호등(10)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의 폭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로 분할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에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50)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고장알림부(15; 15a, 15b, 15c, 15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Floor Sign Lamp with failure notification}
본 발명은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바닥신호등의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 또는 지정된 휴대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빠른 후속조치와 더불어 신속한 비포서비스(before service)가 가능하게 하여 보행자의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용 신호등은 횡단보도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적색등과 녹색등을 통해 보행자의 출입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교통 안전수단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적색등의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에 진입하지 않고, 녹색등의 신호에만 횡단보도에 진입함으로써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Smart phone)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집중하기 위하여 고개를 숙임에 따라 주변 환경을 살피지 않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을 스몸비(Smombie; Smart phone + Zombie)라 하는데, 스몸비는 횡단보도를 지날 때에도 신호등의 신호를 확인하지 않아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몸비들의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의 출입로에도 신호등을 설치하여 고개를 들지 않고도 현재 횡단보도의 신호를 인지시키고 있는데, 이를 '바닥신호등'이라 한다. 즉, 바닥신호등은 횡단보도의 출입로에 설치되어 고개를 숙이고 있는 사람들도 횡단보도의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신호등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엘이디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케이스 내부에 설치하고, 엘이디에서 적색 또는 녹색 빛을 발광하여 현재 횡단보도의 정지신호 또는 보행신호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또,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나 어르신들이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신호등 지주에 음향발생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발생장치는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신호등의 변화를 음향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호등지주에 설치된 신호등 외에 바닥신호등과 음향발생장치가 구비된 신호등 시스템을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이라 하는데, 이러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신호등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대처해야만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은 바닥신호등에 고장이 발행하더라도 이를 발견한 사람이 신고하면 관리자가 고장 사실을 확인한 후에 대처하게 되어, 후속 조치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통안전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횡단보도가 형성되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교통 신호등이 설치되는 지주부;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에 신호 대기 중 보행자가 대기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가 설치되는 도로면에 기 설정된 너비로 설정되는 보행자 대기영역;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행자 대기영역에서 대기 중인 보행자에게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행자 대기영역에서 대기 중인 보행자에게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행자 대기영역에 보행자가 있는 지를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행자 대기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교통 신호등, 상기 음성 송출부, 상기 정보 표시부, 상기 검지부 및 상기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보행신호를 작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AI신호등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신호등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신호등이 보행신호, 정지신호 또는 점멸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신호등판단부, 상기 신호등판단부가 정지신호 또는 점멸신호로 판단하면, 횡단보도 보행자신호등주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안전선 영역에 다수의 레이저면을 주사하여 보행자를 감지하는 레이저주사기, 상기 레이저주사기로부터 보행자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보행자방향판단부 및 상기 보행자방향판단부가 상기 보행자 진행방향을 인도에서 차도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음향출력부를 통해 대응하는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보행자의 교통신호 준수를 유도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보행자 안전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에 있어서, 횡단보도의 정지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는 경보장치본체케이스와; 상기 경보장치본체케이스의 측면에 설치 구성되어 보행자가 정지선을 넘어갈 경우에 보행자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메인컨트롤부로 제공하기 위한 보행자감지센서부와; 신호제어반에서 보행자 신호등에 제공하는 보행 신호를 획득하며, 획득된 보행 신호가 보행 정지 신호일 경우에 보행자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게 되면,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 구성된 소리출력부에 경고음 동작 신호를 제공하며, 횡단보도의 바닥면에 설치 구성된 발광등에 위험 경고등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부와;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 구성되어 메인컨트롤부에서 경고음 동작 신호를 제공할 경우에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시키며, 메인컨트롤부에서 보행음 동작 신호를 제공할 경우에 설정된 보행음을 출력시키기 위한 소리출력부와,; 횡단보도의 바닥면에 설치 구성되어 메인컨트롤부에서 위험 경고등 동작 신호를 제공할 경우에 위험 경고등을 점등시키며, 메인컨트롤부에서 보행등 동작 신호를 제공할 경우에 보행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발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폰 과몰입에 따른 보행자의 교통 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시각 장애인의 보행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보행자 신발의 바닥과 마찰되어 마찰음을 발생하도록 그 상면이 엠보싱 처리된 다수의 블록과; 상기한 다수의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엠보싱이 보행자와 마찰하여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한 다수의 센서에 감지된 마찰음을 증폭하여 출력해 주는 다수의 증폭부와; 상기한 다수의 증폭부로부터 출력된 마찰음의 레벨을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다수의 블록 위에 위치한 것이 보행자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하여 출력해 주는 다수의 레벨 제한기와; 상기한 다수의 센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일로트 신호를 발생해 주는 다수의 파일로트 스피커와; 상기한 다수의 파일로트 스피커에 파일로트 신호를 증폭하여 입력시켜 주는 다수의 파일로트 신호 증폭부와; 도로를 횡단하고자 하는 보행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해 주는 경고 스피커와; 상기한 경고 스피커에 경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해 주는 경고 신호 증폭부와; 상기한 다수의 레벨 제한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도로를 횡단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존재를 확인하여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해 주는 신호등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 주고, 상기한 다수의 파일로트 신호 증폭부에 파일로트 신호를 출력해 주고, 상기한 경고 신호 증폭부에 경고 신호를 출력해 주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고자 대기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등을 제어 해주는 신호등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5는, 다수의 압전세라믹셀을 갖는 지향성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전세라믹셀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압전세라믹셀에서 발생되는 음향 파동의 출력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통해 압전세라믹셀들의 파동 출력부위에서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지향성을 향상시켜 출력할 수 있고, 적은 개수의 압전세라믹셀로 향상된 음질을 출력함에 따라 압전세라믹셀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지향성 성능이 향상된 스피커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6은, 신호용 빛을 발생시키는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을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와; 상기 LED 모듈에 대한 방수를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가 협지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케이스 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등 본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등 본체를 보호하는 보호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기 신호등 본체의 상면을 제외한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는 우물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 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등 본체가 지중에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신호등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244152 B1 KR 10-1879383 B1 KR 10-2020-0098853 A KR 20-1998-059751 U KR 10-1566652 B1 KR 10-2108789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바닥신호등의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 또는 지정된 휴대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빠른 후속조치와 더불어 신속한 비포서비스(before service)가 가능하게 하여 보행자의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은, 횡단보도의 횡단방향 양끝단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바닥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의 폭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로 분할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단위 바닥신호등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에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고장알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상기 통합관제센터 또는 스마트기기는 다수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이 표시된 지도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고장알림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다수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상기 통합관제센터 또는 스마트기기의 앱은 통신부에 고장발생신호가 접수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상기 통합관제센터는 통신부에 고장발생신호가 접수되면 고장이 발생한 바닥신호등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고장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상기 바닥신호등의 고장알림부는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제어부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통합관제센터 또는 스마트기기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바닥신호등의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전송하게 되므로, 고장 사실을 신속하게 인지하여 빠른 후속조치가 가능하고, 이러한 신속한 비포서비스를 통해 보행자의 교통안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사람이 고장 여부를 점검해야 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바닥신호등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병렬 연결되고 각각의 바닥신호등에 고장감지부가 구비됨에 따라 바닥 신호등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바닥신호등의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바닥신호등을 이용하여 고개를 숙인 보행자에게 교통신호를 안내하여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바닥신호등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바닥신호등이 포함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위치를 관리자의 휴대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출하여 신속한 출동 및 초기 대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통합관제센터 또는 스마트기기의 앱에 경보발생부가 구비되어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바닥신호등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따르면, 통합관제센터에 고장통지부가 구비되어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신호등 또는 바닥신호등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관련 정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통지함에 따라 조기 대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의 통합관제센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의 다른 예가 도시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의 통합관제센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의 다른 예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은 횡단보도의 횡단방향 양끝단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폭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로 분할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일부 단위 바닥신호등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단위 바닥신호등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에는 고장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50)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고장알림부(15; 15a, 15b, 15c, 15d)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알림부(15; 15a, 15b, 15c, 15d)가 고장발생신호를 통합관제센터(50)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합관제센터(50)는 도 2에 도시된 보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이 표시된 지도가 화면으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51)와, 상기 고장알림부(15; 15a, 15b, 15c, 15d)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52)와, 다수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51)에 표시하는 주제어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바닥신호등(1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바닥신호등이 포함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출하여 신속한 출동 및 초기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통합관제센터(50)는 통신부(52)에 고장발생신호가 접수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53)를 구비함으로써, 통합관제센터(50)의 근무자가 고장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합관제센터(50)는 통신부(52)에 고장발생신호가 접수되면 고장이 발생한 바닥신호등(10)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고장통지부(54)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가 고장발생 위치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바닥신호등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바닥신호등에서 직접 통합관제센터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에서는 바닥신호등(10)의 고장알림부(15)가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제어부(20)에 구비된 통신부(25)를 통해 통합관제센터(50)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제어부(20)에서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에 구비된 고장알림부의 신호를 통합 관리함에 따라 시스템을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단위 바닥신호등의 고장발생신호를 통합관제센터(50)에 전송하지 않고 관리자가 구비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기기의 앱에는 통합관제센터와 마찬가지로 경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된 단위 바닥신호등에 각각 구비된 고장알림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내부 부품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알림부가 통합관제센터에 고장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합관제센터의 지시에 따라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신속한 비포서비스를 통해 보행자의 교통 안전에 이바지하고 시민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바닥신호등
11, 12, 13, 14... 단위 바닥신호등
15(15a, 15b, 15c, 15d)...고장알림부
20...제어부
25...통신부
50...통합관제센터
51...디스플레이
52...통신부
53...경보발생부
54...고장통지부
55...주제어부

Claims (5)

  1. 횡단보도의 횡단방향 양끝단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바닥신호등(10)에 있어서,
    상기 바닥신호등(10)은 횡단보도의 폭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로 분할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 바닥신호등(11, 12, 13, 14)에 고장을 감지하여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제어부(20)에 구비된 통신부(25)를 통해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50) 및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고장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고장알림부(15; 15a, 15b, 15c, 15d)가 구비되고,
    상기 통합관제센터(50) 및 스마트기기는 다수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이 표시된 지도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51)와, 상기 고장알림부(15; 15a, 15b, 15c, 15d)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52)와, 다수의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주제어부(55)와, 상기 통신부(52)에 고장발생신호가 접수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53)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통합관제센터(50)는 통신부(52)에 고장발생신호가 접수되면 고장이 발생한 바닥신호등(10)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고장통지부(54)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닥신호등(1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바닥신호등(10)이 포함된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의 위치가 통합관제센터(50) 및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출되어 신속한 출동 및 초기 대응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42099A 2022-10-31 2022-10-31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KR10252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99A KR102528008B1 (ko) 2022-10-31 2022-10-31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JP2023122465A JP2024066429A (ja) 2022-10-31 2023-07-27 故障通知が可能な路面信号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99A KR102528008B1 (ko) 2022-10-31 2022-10-31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008B1 true KR102528008B1 (ko) 2023-05-02

Family

ID=8638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099A KR102528008B1 (ko) 2022-10-31 2022-10-31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066429A (ko)
KR (1) KR10252800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751U (ko) 1997-03-03 1998-11-05 송재호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치
KR101566652B1 (ko) 2015-03-02 2015-11-16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지향성 성능이 향상된 스피커
KR101879383B1 (ko) 2017-09-11 2018-07-18 주식회사 영진스마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108789B1 (ko)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20200098853A (ko) 2019-02-13 2020-08-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2202401B1 (ko) * 2020-10-28 2021-01-13 엘컴텍 주식회사 바닥 신호등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244152B1 (ko) 2021-01-11 2021-04-23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스마트ai신호등시스템
KR102317320B1 (ko) * 2021-06-18 2021-10-26 (주)이티엑스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20035667A (ko) * 2020-09-14 2022-03-22 손성현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유동인구의 파악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20109721A (ko) * 2021-01-29 2022-08-05 (주)경동이앤에스 스마트 교통신호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751U (ko) 1997-03-03 1998-11-05 송재호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치
KR101566652B1 (ko) 2015-03-02 2015-11-16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지향성 성능이 향상된 스피커
KR101879383B1 (ko) 2017-09-11 2018-07-18 주식회사 영진스마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보행자 안전시스템
KR20200098853A (ko) 2019-02-13 2020-08-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2108789B1 (ko)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20220035667A (ko) * 2020-09-14 2022-03-22 손성현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유동인구의 파악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202401B1 (ko) * 2020-10-28 2021-01-13 엘컴텍 주식회사 바닥 신호등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244152B1 (ko) 2021-01-11 2021-04-23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스마트ai신호등시스템
KR20220109721A (ko) * 2021-01-29 2022-08-05 (주)경동이앤에스 스마트 교통신호 관제 시스템
KR102317320B1 (ko) * 2021-06-18 2021-10-26 (주)이티엑스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66429A (ja)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4986B (zh) 利用信标信号的行人保护系统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US20190172342A1 (en)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KR101976954B1 (ko)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812305B1 (ko)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180019979A (ko)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JP2018527685A (ja) 安全装置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2528008B1 (ko) 고장알림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KR102528010B1 (ko) 음성안내 기능과 고장알림 기능을 갖춘 면발광 바닥신호등 시스템
KR102264961B1 (ko)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7753A (ko) 청각장애인용 알림 장치
KR20210138424A (ko) 바닥형 교통 신호 장치
KR102197259B1 (ko)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100773146B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
KR101866493B1 (ko) 긴급상황 알림용 방범 안내판
KR102249142B1 (ko)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KR102250262B1 (ko) 차량 감지 및 경고 시스템
KR20220068783A (ko) 휴게소의 역주행 방지시스템
KR101763648B1 (ko) 재난대비 비상조명등 및 그것을 이용한 재난경보시스템
KR20160086295A (ko) 재난대비 비상조명등 및 그것을 이용한 재난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