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305B1 -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305B1
KR101812305B1 KR1020170113001A KR20170113001A KR101812305B1 KR 101812305 B1 KR101812305 B1 KR 101812305B1 KR 1020170113001 A KR1020170113001 A KR 1020170113001A KR 20170113001 A KR20170113001 A KR 20170113001A KR 101812305 B1 KR101812305 B1 KR 10181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eacon
pedestrian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훈
Original Assignee
(주)패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패스넷 filed Critical (주)패스넷
Priority to KR102017011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577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장치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에 의해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를 주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횡단보도에 인접한 인도쪽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볼라드장치(100)와,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장치(200)와, 볼라드장치(100)와 비콘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보행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어플리케이션(400), 및 횡단보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Safety cross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본 발명은 비콘장치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에 의해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를 주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늘어나는 횡단보도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횡단보도의 양측 인도쪽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성하여 횡단보도에 인접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보행자 감지 장치는 보행 신호등과 연동하여 보행금지에 따른 적색 점등시 보행자 감지 장치에 인접한 사용자에게 횡단보도에서 물러나도록 하기 위한 안내 방송을 제공하며, 보행허용에 따른 녹색 점등시 횡단보도를 횡단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자 감지 장치는 단순 안내방송만을 제공하여 여전히 교통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최근에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사용에 집중하여 보행 신호등을 확인하지 않고 주위 사람들의 움직임에 따라 횡단보도를 보행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는 보행 신호등의 녹색 점등을 확인한 상태에서 보행하더라도 바로 스마트폰으로 시선을 돌려 주위를 확인하지 않고 보행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로 인해 신호등을 확인하지 못한 차량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는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보행자 감지 장치는 이러한 사례를 예방하기 위한 대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콘장치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에 의해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시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를 주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보행신호등이 녹색인 경우에 비콘장치를 작동시켜 이용하여 보행신호등이 적색인 경우에는 볼라드장치와 연동하여 비콘장치를 작동시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시켜 무단횡단 중이라도 보행자의 단말기 주시를 방지할 수 있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횡단보도를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가 존재하면 비콘장치를 작동시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시켜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등에 관계없이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단말기 주시를 방지할 수 있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은, 횡단보도에 인접한 인도쪽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볼라드장치(100)와,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장치(200)와, 볼라드장치(100)와 비콘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보행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어플리케이션(400), 및 횡단보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00)를 포함하되,
볼라드장치(100)는,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검출하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에 의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자에게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20)와;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아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고, 녹색이면 제어장치(300)로부터 해제신호를 제공받아 센서부(110)의 작동을 차단하는 센서부 작동제어부(130)와; 센서부(110)에 의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자의 검출정보를 제어장치(300)로 제공하는 보행자 검출제공부(140);를 포함하고,
비콘장치(20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장치(300)로부터 해제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차단하며,
제어장치(300)는, 신호제어장치로부터 보행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받는 보행신호 관리부(310)와; 볼라드장치(100)와 통신하면서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볼라드장치(100)의 센서부(110)가 동작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녹색이면 센서부(110)의 해제신호를 제공하는 볼라드장치 관리부(320)와; 비콘장치(200)와 통신하면서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제공하는 비콘장치 관리부(330)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을 제공받는 횡단보도 영상 관리부(340)와; 비콘장치(200)를 동작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해제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 관리부(330)로 제공하는 비콘신호 발생부(350);를 포함하되, 비콘신호 발생부(350)는, 카메라(500)에서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면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횡단영상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3);이며,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콘신호를 제공받는 비콘신호 수신부(410)와; 비콘정보 수신부에서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키는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와;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에 의해서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면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화면잠금부(430)와;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된 상태에서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화면의 잠금상태를 원상태로 해제하는 화면잠금 해제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횡단주의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횡단주의 안내음성을 출력시키는 횡단주의 안내부(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400)은 비콘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콘신호가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 비콘장치(200)인지를 확인하는 비콘장치 확인부(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은 비콘장치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와 보행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를 주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신호등이 적색인 경우에는 볼라드장치와 연동하여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보행자에게 안내방송을 출력하고, 비콘신호와 보행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단횡단 중인 보행자의 단말기 화면을 감금상태로 변경하여 무단횡단 중이라도 보행자의 단말기를 주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단보도를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가 존재하면 비콘장치를 작동시키면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등에 관계없이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장치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중에서 보행신호등이 녹색인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중에서 볼라드장치와 연동된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중에서 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의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은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인도쪽 방향으로 횡단보도의 일측에 인접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볼라드장치(100)와,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장치(200)와, 볼라드장치(100)와 비콘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 및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보행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어플리케이션(400)을 포함한다. 또한, 횡단보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00)를 포함한다. 이때, 보행자 단말기에는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등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장치(100)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인도쪽 방향으로 횡단보도의 일측에 인접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볼라드장치(100)는 센서부(110), 음향출력부(120), 센서부 작동제어부(130), 보행자 검출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센서부(110)는 마주보는 볼라드장치에 발광부 및 수광부가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보행자를 검출하게 된다.
음향출력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자에게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 작동제어부(130)는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아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고, 녹색이면 제어장치(300)로부터 해제신호를 제공받아 센서부(110)의 작동을 차단한다.
보행자 검출제공부(140)는 센서부(110)에 의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자의 검출정보를 제어장치(300)로 제공한다.
이러한, 볼라드장치(100)는 보행신호등이 적색인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아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검출하면 경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무단횡단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비콘장치(200)가 작동되도록 검출정보를 제어장치(300)로 제공하게 된다.
비콘장치(200)는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한다. 비콘장치(200)는 볼라드장치(100)에 설치되거나, 보행신호등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횡단보도의 인근에 독립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비콘장치(200)는 복수로 구성되어 횡단보도의 인근이나 각 볼라드장치(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비콘장치(2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등과 같은 통신방식으로 비콘신호를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비콘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콘장치(20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장치(300)로부터 해제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차단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300)는 볼라드장치(100)에 설치되거나,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제어장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함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행신호등, 볼라드장치(100), 비콘장치(200)와 통신하면서 작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는다. 제어장치(300)는 보행신호 관리부(310), 볼라드장치 관리부(320), 비콘장치 관리부(330), 횡단보도 영상 관리부(340), 비콘신호 발생부(350)를 포함한다.
보행신호 관리부(310)는 신호제어장치로부터 보행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등이 녹색인지 또는 적색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볼라드장치 관리부(320)는 볼라드장치(100)와 통신하면서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볼라드장치(100)의 센서부(110)가 작동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볼라드장치 관리부(320)는 볼라드장치(100)의 센서부(110)로부터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볼라드장치 관리부(320)에 의해서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 볼라드장치(100)는 보행신호가 적색인 경우에만 작동하여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비콘장치 관리부(330)는 비콘장치(200)와 통신하면서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비콘장치 관리부(330)에 의해서 비콘장치(200)는 보행신호등이 녹색신호에서만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에게 비콘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횡단보도 영상 관리부(34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을 제공받는다. 이때, 횡단보도 영상 관리부는 제공받은 횡단보도의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콘신호 발생부(350)는 비콘장치(200)를 동작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해제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 관리부(330)로 제공한다. 이러한 비콘신호 발생부(350)는 신호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1), 볼라드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2), 횡단영상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3)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신호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1)는 보행신호등이 녹색이면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볼라드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2)는 볼라드장치(100)에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진입하는 센싱정보를 수신되면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볼라드장치(100)로부터 센싱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볼라드장치(100)의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보행자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보행자의 횡단보도에 대한 진입 시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횡단영상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3)는 카메라(500)에서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면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비콘신호 발생부(350)는 신호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1)에 의해서 보행신호등이 녹색인 경우에 비콘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볼라드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2)에 의해서 보행신호등이 적색인 경우에도 비콘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횡단영상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3)에 의해서 보행신호등의 색상에 관계없이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면 비콘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의 보행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400)은 비콘신호 수신부(410),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 화면잠금부(430), 횡단주의 안내부(440), 화면잠금 해제부(450)를 포함하고, 비콘장치 확인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콘신호 수신부(410)는 보행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콘신호를 제공받는다.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는 비콘정보 수신부에서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킨다.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는 비콘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화면잠금부(430)는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에 의해서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면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한다.
횡단주의 안내부(440)는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횡단주의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횡단주의 안내음성을 출력시킨다.
화면잠금 해제부(450)는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된 상태에서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화면의 잠금상태를 원상태로 해제한다.
비콘장치 확인부(460)는 비콘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콘신호가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 비콘장치(200)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비콘장치 확인부(460)는 외부의 비콘관리센터로 수신된 비콘신호의 정보를 전송하고 비콘관리센터로부터 등록된 비콘장치(200)를 확인받거나 또는 단말기의 설치시에 저장된 비콘장치(200)와 비교하여 등록된 비콘장치(20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주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보행신호등이 녹색인 경우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보행신호등이 녹색인 경우).
먼저,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등이 녹색신호로 변경되면(S101), 제어장치(300)는 비콘장치(20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200)로 제공하고(S102), 비콘장치(200)는 횡단보도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한다(S103).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단말기에서 비콘신호가 수신되면(S104)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의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킨다(S105).
어플리케이션(400)은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면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한다(S106). 또한,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되면 횡단주의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횡단주의 안내음성을 출력시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등이 적색신호로 변경되면(S107), 제어장치(300)는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해제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200)로 제공하고(S108), 비콘장치(200)는 비콘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게 된다(S109).
어플리케이션(400)은 비콘장치(200)가 비콘신호의 전송을 중단하여 비콘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횡단보도를 건넌 이후에 비콘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110),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S111).
이에 따라, 보행신호등이 녹색등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400)은 비콘신호 수신시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감금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행자는 단말기에 집중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볼라드장치와 연동된 동작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보행신호등이 적색인 경우).
먼저,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등이 녹색신호로 변경되면(S201), 제어장치(300)는 볼라드장치(10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볼라드장치(100)로 제공하고(S202), 볼라드장치(100)는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검출하기 센서부(110)를 작동시킨다(S203).
볼라드장치(100)의 센서부(110)에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감지되면(S204), 볼라드장치(100)는 보행자의 검출정보를 제어장치(300)로 제공한다(S205). 이때, 볼라드장치(100)는 무단횡단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음을 출력한다(S206).
그리고, 제어장치(300)는 비콘장치(20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200)로 제공하고(S207), 비콘장치(200)는 횡단보도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한다(S208).
횡단보도를 무단 보행하는 보행자의 단말기에서 비콘신호가 수신되면(S209),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의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키고(S210),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한다(S211). 또한,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되면 횡단주의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횡단주의 안내음성을 출력시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횡단보도를 건넌 이후에 비콘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212),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S213).
이에 따라, 보행신호등이 적색등에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보행신호등 근처로 접근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신호등의 적색신호에서 보행자의 무단 횡단 시도시 음향을 출력하여 무단횡단을 방지하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그래도 무단횡단을 하는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감금상태로 변경하여 보행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과 연동된 동작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제어장치(300)는 카메라(500)에서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301),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200)로 제공하고(S302), 비콘장치(200)는 횡단보도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한다(S303).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단말기에서 비콘신호가 수신되면(S304),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의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키고(S305),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한다(S306). 또한,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되면 횡단주의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횡단주의 안내음성을 출력시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300)는 카메라(500)에서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S307),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해제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200)로 제공하고(S308), 비콘장치(200)는 비콘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게 된다(S309).
그리고, 횡단보도를 건넌 이후에 비콘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310),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S311).
이에 따라, 카메라(500)에서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을 바탕으로 보행신호등의 신호에 관계없이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감금상태로 변경하여 보행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볼라드장치 110 : 센서부
120 : 음향출력부 130 : 센서부 작동제어부
140 : 보행자 검출제공부 200 : 비콘장치
300 : 제어장치 310 : 보행신호 관리부
320 : 볼라드장치 관리부 330 : 비콘장치 관리부
340 : 횡단보도 영상 관리부 350 : 비콘신호 발생부
410 : 비콘신호 수신부 420 : 화면잠금신호 발생부
430 : 화면잠금부 440 : 횡단주의 안내부
450 : 화면잠금 해제부 460 : 비콘장치 확인부
500 : 카메라

Claims (7)

  1. 횡단보도에 인접한 인도쪽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볼라드장치(100)와,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장치(200)와, 볼라드장치(100)와 비콘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보행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어플리케이션(400), 및 횡단보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00)를 포함하되,
    볼라드장치(100)는,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검출하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에 의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자에게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20)와;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아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고, 녹색이면 제어장치(300)로부터 해제신호를 제공받아 센서부(110)의 작동을 차단하는 센서부 작동제어부(130)와;
    센서부(110)에 의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자의 검출정보를 제어장치(300)로 제공하는 보행자 검출제공부(140);를 포함하고,
    비콘장치(20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장치(300)로부터 해제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차단하며,
    제어장치(300)는,
    신호제어장치로부터 보행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받는 보행신호 관리부(310)와;
    볼라드장치(100)와 통신하면서 보행신호등이 적색이면 볼라드장치(100)의 센서부(110)가 동작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녹색이면 센서부(110)의 해제신호를 제공하는 볼라드장치 관리부(320)와;
    비콘장치(200)와 통신하면서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제공하는 비콘장치 관리부(330)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을 제공받는 횡단보도 영상 관리부(340)와;
    비콘장치(200)를 동작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비콘장치(200)의 작동을 해제시키는 해제신호를 발생시켜 비콘장치 관리부(330)로 제공하는 비콘신호 발생부(350);를 포함하되,
    비콘신호 발생부(350)는, 카메라(500)에서 촬영된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면 비콘신호가 전송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횡단보도의 영상에서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비콘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횡단영상연동 비콘신호 발생부(350-3);이며,
    어플리케이션(400)은,
    보행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콘신호를 제공받는 비콘신호 수신부(410)와;
    비콘신호 수신부에서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화면잠금신호를 발생시키는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와;
    화면잠금신호 발생부(420)에 의해서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면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화면잠금부(430)와;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된 상태에서 화면잠금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화면의 잠금상태를 원상태로 해제하는 화면잠금 해제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콘장치(200)는 볼라드장치(100)에 설치되거나, 보행신호등에 설치되거나, 횡단보도의 인근에 독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장치(300)는 볼라드장치(100)에 설치되거나,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제어장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함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의 화면이 잠금상태로 변경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횡단주의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횡단주의 안내음성을 출력시키는 횡단주의 안내부(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400)은 비콘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콘신호가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 비콘장치(200)인지를 확인하는 비콘장치 확인부(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KR1020170113001A 2017-09-05 2017-09-05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KR10181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01A KR101812305B1 (ko) 2017-09-05 2017-09-05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01A KR101812305B1 (ko) 2017-09-05 2017-09-05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305B1 true KR101812305B1 (ko) 2018-01-25

Family

ID=6109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01A KR101812305B1 (ko) 2017-09-05 2017-09-05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30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892B1 (ko) * 2017-12-04 2018-04-13 (주)패스넷 스마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1962909B1 (ko) * 2018-06-05 2019-03-27 (주)패스넷 스마트폰 보행안전 예방 시스템
KR102027981B1 (ko) 2019-05-14 2019-10-04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신호등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2055871B1 (ko) * 2018-08-22 2019-12-13 주식회사 컬쳐아일랜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KR20200016612A (ko) * 2018-08-07 2020-02-17 오동근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등
KR20200040110A (ko) 2018-10-08 2020-04-17 김철현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KR20200144953A (ko) 2019-06-20 2020-12-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안전 예방시스템 스몸비링
KR102449505B1 (ko) * 2022-04-13 2022-09-30 (주)삼성티엔지 다기능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84B1 (ko) * 2011-02-16 2012-03-29 쉬폰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션 휴대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477B1 (ko) 2015-12-29 2016-07-07 임철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84B1 (ko) * 2011-02-16 2012-03-29 쉬폰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션 휴대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477B1 (ko) 2015-12-29 2016-07-07 임철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892B1 (ko) * 2017-12-04 2018-04-13 (주)패스넷 스마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1962909B1 (ko) * 2018-06-05 2019-03-27 (주)패스넷 스마트폰 보행안전 예방 시스템
KR20200016612A (ko) * 2018-08-07 2020-02-17 오동근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등
KR102171630B1 (ko) * 2018-08-07 2020-10-29 오동근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등
KR102055871B1 (ko) * 2018-08-22 2019-12-13 주식회사 컬쳐아일랜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WO2020040441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컬쳐아일랜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KR20200040110A (ko) 2018-10-08 2020-04-17 김철현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KR102027981B1 (ko) 2019-05-14 2019-10-04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신호등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4953A (ko) 2019-06-20 2020-12-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안전 예방시스템 스몸비링
KR102449505B1 (ko) * 2022-04-13 2022-09-30 (주)삼성티엔지 다기능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305B1 (ko)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KR101834892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0985816B1 (ko) 터널 내 화재와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자동속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241623B1 (ko)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908199B1 (ko)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46317A (ko) 보행안전시스템
KR101145896B1 (ko) 다기능 교통 신호 제어장치
KR100826262B1 (ko) 버스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960905B1 (ko) 터널용 비상 방송 시스템
KR102050064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1855301B1 (ko) 교통보행 위험지역 내 차량진입 알림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10703A (ko)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1423396B1 (ko) 다목적 횡단보도 스마트 안전지도시스템
KR102202150B1 (ko) 긴급상황파악 및 긴급차량접근 알림 시스템, 그 작동방법
KR20200091650A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KR20140101180A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CN204066388U (zh) 一种人行道防行人闯红灯装置
KR101459087B1 (ko) 교통신호 보조장치 및 보조시스템
KR101644179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1910A (ko) 주정차 무인 관제 시스템
KR101992973B1 (ko) 터널 관리 시스템
KR100807097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KR100773146B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