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10A -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110A
KR20200040110A KR1020180119978A KR20180119978A KR20200040110A KR 20200040110 A KR20200040110 A KR 20200040110A KR 1020180119978 A KR1020180119978 A KR 1020180119978A KR 20180119978 A KR20180119978 A KR 20180119978A KR 20200040110 A KR20200040110 A KR 20200040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afety zone
alarm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506B1 (ko
Inventor
김철현
Original Assignee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현 filed Critical 김철현
Priority to KR102018011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전파기반의 태그 발생기를 공사 현장이나 횡단보도 등의 보행 중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안전존을 형성하고, 안전존 진입시 사용자단말에서 태그 발생기와의 통신을 근거로 자동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에 집중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은 안전존 주변에 설치되어 안전존 영역을 통신 영역으로 하는 지향성 통신 특성을 갖는 태그 발생기에서 안전존 영역으로 기 설정된 안전존 코드를 포함하는 안전존 태그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태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안전존 태그신호의 수신을 근거로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이 사용 상태인 경우 기 약정된 안전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존 진입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안전존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맞춤 알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장소맞춤 알람정보는 안전존 위치의 기 약정된 소음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제3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장소맞춤 알람정보에 대응하여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 장소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경고표시를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인 장소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을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알람중단조건을 만족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안전존 알람의 출력을 중단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Smart device in safe-zone}
본 발명은 블루투스 전파기반의 태그 발생기를 공사 현장이나 횡단보도 등의 보행 중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안전존을 형성하고, 안전존 진입시 사용자단말에서 태그 발생기와의 통신을 근거로 자동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에 집중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휴대폰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보행 중에도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보행 중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면, 시야가 급격히 좁아지게 되고, 주변 상황을 인지하는 능력을 순간적으로 상실하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보행자의 동선에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폰의 사용에 집중하여 보행 신호등을 확인하지 않고 주위 사람들의 움직임에 따라 횡단보도를 보행하거나, 사용자가 보행 신호등의 녹색 점등을 확인한 상태에서 보행하더라도 횡단보도상에서 바로 휴대폰으로 시선을 돌려 주위를 확인하지 않고 보행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로 인해 신호등을 확인하지 못한 차량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는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실제, 보행 중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매년 급격히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행중 스마트폰 사용은 국내외로 사회적 문제가 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스티커 부착, 안내표지만 설치 등을 하고 있으나, 실효적인 측면에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선행문헌1에는 비콘장치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에 의해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단말기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에 단말기를 주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1은 횡단보도상에서는 보행자 단말기의 화면을 잠금상태로 변경하여 보행자 단말기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바, 보행자가 상대방과 중요한 통화를 하는 중인 경우 등 횡단보도상에서라도 반드시 보행자 단말기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에서 보행자는 강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함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실제적으로는 사용자가 안전을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다가도 상기한 불편함을 이유로 서비스를 해지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한 선행문헌1은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는 있으나, 현실에 적용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지속적인 서비스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선행문헌1은 횡단보도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보행자 단말을 잠금상태로 변경된 상황을 알람표시 또는 알람음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소음이 심한 장소의 횡단보도상에서 알람음을 통해 화면잠금 안내를 수행하는 경우, 보행자가 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812305호 (명칭 :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공사 현장이나 횡단보도 등의 보행 중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서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에 집중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되, 안전존 위치의 소음 특성을 고려하여 장소 맞춤형의 알람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안전존 알람을 강제로 중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보행시 안전이 요구되는 안전존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전존 주변에 설치되어 안전존 영역을 통신 영역으로 하는 지향성 통신 특성을 갖는 태그 발생기에서 안전존 영역으로 기 설정된 안전존 코드를 포함하는 안전존 태그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태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안전존 태그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이 사용 상태인 경우 기 약정된 안전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존 진입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안전존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맞춤 알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장소맞춤 알람정보는 안전존 위치의 기 약정된 소음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제3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장소맞춤 알람정보에 대응하여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 장소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경고표시를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인 장소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을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알람중단조건을 만족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안전존 알람의 출력을 중단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경고표시 알람에 대해서는 화면 어두워짐 또는 화면 깜박임 중 하나를 선택하고, 경고음 알람에 대해서는 기 등록된 다수의 경고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소맞춤 알람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된 알람환경에 대응하여 경고표시 알람 또는 경고음 알람 또는 진동 알람 중 하나의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이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자신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고유정보를 안전존 위치정보로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기지국 고유정보에 상응하게 설정된 장소맞춤 알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일정 시간 일정 속도 이상으로 흔들리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이 뒤집어지는 동작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기 설정된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장소맞춤 알람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 안전존 알람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 단말은 해당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셀프샷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사람 얼굴이 존재하면 디스플레이를 기 설정된 널(null)화면 상태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가 불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장소 맞춤 알람정보와 함께 우선순위 정보를 전송하고, 제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1 우선순위 정보에 대해서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장소 맞춤 알람정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제2 우선순위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사용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장소 맞춤 알람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상태 알람정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2 우선순위 정보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한 경고표시를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되, 사용자 단말은 해당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셀프샷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사람 얼굴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사 현장이나 횡단보도 등의 보행 중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서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안전존 알람을 강제로 중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몰두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시적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 이후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안전존 내에서도 사용자 단말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안전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전존 위치의 소음 특성을 고려하여 장소 맞춤형의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자 어떠한 소음 환경에도 적절한 안전존 알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인 안전존을 예시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태그 발생기(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는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모듈단위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5에서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시스템은 태그 발생기(100)와 사용자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그 발생기(100)는 공사 현장이나 횡단보도 등의 보행 중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으로 안전존 태그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인 안전존(S)을 형성한다.
도2에는 태그 발생기(100)가 횡단보도의 양단, 또는 일단에 위치된 지주(예컨대 신호등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상에 배치되어 횡단보도 영역으로 태그신호를 발송함으로써, 횡단보도 영역을 안전존(S)으로 설정하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때, 안전존(S)은 태그 발생기(100)에서 발송된 안전존 태그신호의 전송 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설정되고, 태그 발생기(100)는 자신이 관할하는 안전존(S) 영역에 대응하여 태그신호의 최대 전송 반경이 설정되도록 태그신호 전송 세기가 설정된다.
이러한 태그 발생기(100)는 저전력 소비 특성을 갖는 BLE 송신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태그 발생기(100)는 자가 전력 공급을 위해 태양광 발생모듈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고, 이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을 제한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안전존 태그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근거로 해당 안전존에서 사용중인 사용자 단말(200)로 안전존에 대응되는 알람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안전존 내에서 기 약정된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알람정보 출력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을 흔들거나 뒤집거나 하는 등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할 수 없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알람 끄기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안전존 알람의 출력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비롯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각종 형태의 무선 통신 단말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전존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을 중단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 몰두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 안전존에서 알람정보의 출력을 자율적으로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일정 영역내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을 강제적으로 중단시키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안전존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이 무용지물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서비스 서버(300)는 태그 발생기(100)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태그 발생기(100)의 태그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안전존 장소에 대응되는 알람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0)는 안전존 장소의 소음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 예컨대 경고표시, 경고음, 진동에 대응되는 안전존 알람정보를 전송한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태그 발생기(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태그 발생기(100)는 태그 발생부(110)와, 안테나(120), 전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키입력부(140)와 메모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태그 발생부(110)는 기 등록된 안전존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태그신호를 생성하여 안테나(120)를 통해 일정 주기 단위로 무선 송출한다. 태그 발생부(110)는 블루투스를 포함한 각종 형태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안전존 태그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안테나(120)는 지향성 안테나로 이루어지며, 목적하는 안전존 영역에 대응하여 그 통신 반경이 설정된다. 이때, 태그 발생부(110)는 안테나(120)의 신호 반경이 목적하는 안전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태그신호의 송출 신호 세기가 결정된다. 예컨대, 안전존이 횡단보도인 경우, 도로 폭을 고려하여 안테나(120)의 신호 도달 거리는 20m 로 설정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태그 발생기(100)로 동작 전원(Vcc)을 공급한다. 전원부(130)는 리튬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태그 발생 주기가 500ms 인 경우 최대 2년간 이용이 가능하다.
키입력부(140)는 태그 발생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키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 입력을 위한 것이다.
메모리(150)는 태그 발생부(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해당 안전존 태그정보 및, 해당 태그 발생기(100)에 대해 할당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는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모듈단위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은 태그 수신모듈(210)과, 단말상태 판단모듈(220), 안전존 정보 처리모듈(230), 알람 처리모듈(240)을 포함한다.
태그 수신모듈(210)은 태그 발생기(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태그신호를 수신한다. 태그신호는 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안전존 태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태그신호는 해당 태그 발생기(100)에 할당된 고유번호, 예컨대 UUID, 또는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수신모듈(210)은 기 등록된 안전존 태그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단말상태 판단모듈(220)은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온/오프"상태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상태 판단모듈(220)은 디스플레이가 "온"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단말상태 판단모듈(220)은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이동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중인지 또는 보행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상태 판단모듈(220)은 디스플레이 상태와 자이로 센서 신호를 조합한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200)가 보행중이면서 사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면서 주 이동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의 변위가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사용자 단말(200)을 주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전존 정보 처리모듈(230)은 안전존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존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안전존 위치정보는 해당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미도시)의 고유정보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각종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미도시)과 지속적으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때 기지국은 자신의 기지국 고유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바, 사용자 단말(200) 내에서 기지국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존 위치정보는 상기 태그신호 수신모듈(210)에서 수신된 태그신호의 태그 발생기에 할당된 태그 발생기 고유정보가 될 수 있다.
알람 처리모듈(240)은 기본적으로 알람 설정 기능과, 강제 종료 기능을 수행한다.
알람 설정 기능은 경고음 알람에 대해 경고음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경고표시 알람에 대해 화면 어두워짐 이나 화면 점멸 등의 표시화면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알람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진동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알람 종료 기능은 사용자가 강제 종료 방법을 임의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상에 강제 종료 항목 아이콘을 표시하여 이를 선택하거나,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한 동작,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을 뒤집거나 일정 시간 흔드는 등의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이 불가능한 동작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도5에서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 도6에는 경고표시 알람과 경고음 알람에 대해서만 예시되어 있다.
먼저, 태그 발생기(100)가 횡단보도나 공사현장 등의 안전존 위치에 설치된다. 태그 발생기(100)는 일정 주기로 해당 안전존 반경 내로 태그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태그신호는 기본적으로 안전존 태그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태그 발생기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에는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됨과 더불어, 안전존 정보에 대응되는 알람 종류정보가 미리 등록된다. 이때, 알람 종류정보는 알람 방식에 대응하여 알람음과 화면표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알람 종류 코드, 예컨대 알람음은 "01", 화면표시는 "11"이 등록된다. 그리고, 안전존 정보는 기지국 정보이거나, 또는 태그 발생기 고유코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대략 수 km 범위를 관할하는 바,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내 소음 환경을 고려하여알람 종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는 기지국 정보 또는 태그 발생기 고유코드에 대응하여 해당 태그 발생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소음 특성을 고려하여 알람 종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음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비교적 소음이 심한 장소, 예컨대 공사 현장이나 번화가 등에 대해서는 경고표시로 알람 종류가 설정되고, 소음이 일정 레벨 미만으로 비교적 소음이 적은 장소, 예컨대 주택가 등에 대해서는 경고음 또는 진동으로 알람 종류가 다르게 설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본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사용자 단말(200)로 상기한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이를 실행시킨다(ST110). 이때,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의 백그라운드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중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서비스는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200)은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 환경을 설정한다(ST120). 도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되는 초기화면(A)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한 후, 환경설정화면(B)을 통해 알람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환경설정화면(B)은 실행 아이콘(1)과, 화면 경고 설정항목(2) 및 경고음 설정항목(3)을 포함한다.
환경설정화면(B)에서 화면경고 설정항목(2)이 선택되면, 화면 어두워짐 항목(21)과 화면 점멸 항목(22)이 표시되는 화면경고 설정화면(C)이 표시되고, 이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화면경고시 화면 알람방법이 설정된다. 이때, 화명경고 설정화면(C)에 표시된 사용중 항목(23)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설정된 화면경고 화면이 어떤 방식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경설정화면(B)에서 경고음 설정항목(3)이 선택되면, 다수의 경고음 목록(31)이 출력되는 경고음 설정화면(D)이 표시되고, 이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경고음 알람방법이 설정된다. 이때, 경고음 설정화면(D)에 표시된 사용중 항목(32)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설정된 경고음이 어떤 음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면서 보행하다가 안전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안전존에 위치하는 태그 발생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안전존 태그신호가 사용자 단말(200)로 수신된다(ST130).
사용자 단말(200)은 태그 발생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존 태그신호의 수신을 근거로 안전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존 진입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T140). 여기서, 안전존 위치정보는 상기 안전존 태그신호에 포함된 태그발생기(100)의 고유정보이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안전존에서 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술한 ST140의 안전존 진입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이 안전존에서 사용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안전존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안전존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안전존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장소맞춤 알람정보를 호출하고, 이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T150, ST160). 서비스 서버(300)는 안전존 위치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화면경고 또는 경고음 중 하나의 장소맞춤 알람코드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장소맞춤 알람정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한다(ST170). 예컨대, 현재 사용자 단말(200)이 공사장 주변인 경우, 도6의 (E)와 같은 안전존에 대한 경고화면이 표시출력된다. 이때, 안전존 경고화면은 ST120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알람 설정환경에 따라 예컨대, 도6의 (F)화면과 같이 화면 어두워지는 형태로 경고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6의 (F)와 같은 경고화면상에 알람 확인 등의 선택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즉, 사용자가 안전존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경우, 경고화면 또는 경고음이 출력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몰입된 상태에서 벗어나 주변을 둘러볼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알람 출력상태에서 기 설정된 알람 중단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ST180), 알람 중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장소맞춤 알람 출력을 종료한다(ST190).
예를 들면, 장소맞춤 알람을 출력하면서 도6의 (F)와 같이 알람 확인 등의 선택항목을 표시하고, 이를 선택함으로써 장소맞춤 알람을 강제적으로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알람 중단 방법은 이전에 미리 등록된 다양한 형태, 예컨대 사용자 단말을 일정 시간 이상 흔들거나, 뒤집는 등의 모션 입력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모션 인식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안전존을 벗어나 안전존 태그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장소맞춤 알람 출력을 자동으로 종료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안전존에서 사용자 단말에 집중하던 주위를 환기시킨 후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받던 서비스, 예컨대 문자, 음성 통화, 검색 등의 서비스를 지속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율적으로 안전존 알람의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상황은 통화하거나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거나 정보 검색이나 문자 송수신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다. 이 중 안전존에서 가장 위험한 상황은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사용자 단말(200)를 주시하면서 디스플레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 인해 주변 상황을 자신의 눈으로 살피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안전존 알람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셀프샷 모드로 하여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사람 얼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기 설정된 기 설정된 널(null)화면 상태, 예컨대 흑색 또는 청색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의 널 화면 상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안전존을 벗어나면 자동 해지되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함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장소 맞춤 알람정보를 우선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 상태 알람정보를 우선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장소 맞춤 알람정보 전송시, 우선순위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우선순위 정보가 "1"인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장소 맞춤 알람정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우선순위 정보가 "0"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사용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장소 맞춤 알람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상태 알람정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안전존 알람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우선순위 정보가 "0"인 경우에 대해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상태에 우선하여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그 이외의 사용자 단말 상태에 대해서는 장소 맞춤 알람정보를 근거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한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경고음 출력에 대응되는 장소 맞춤 알람정보와 함께 우선순위 정보가 "0"으로 수신되고,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상태 알람정보에 상응하는 방식,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를 통해 셀프샷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사람 얼굴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00 : 태그 발생기, 200 : 사용자 단말,
300 : 서비스 서버.

Claims (8)

  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안전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보행시 안전이 요구되는 안전존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전존 주변에 설치되어 안전존 영역을 통신 영역으로 하는 지향성 통신 특성을 갖는 태그 발생기에서 안전존 영역으로 기 설정된 안전존 코드를 포함하는 안전존 태그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태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안전존 태그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이 사용 상태인 경우 기 약정된 안전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존 진입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안전존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맞춤 알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장소맞춤 알람정보는 안전존 위치의 기 약정된 소음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제3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장소맞춤 알람정보에 대응하여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 장소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경고표시를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인 장소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을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알람중단조건을 만족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안전존 알람의 출력을 중단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경고표시 알람에 대해서는 화면 어두워짐 또는 화면 깜박임 중 하나를 선택하고, 경고음 알람에 대해서는 기 등록된 다수의 경고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소맞춤 알람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된 알람환경에 대응하여 경고표시 알람 또는 경고음 알람 또는 진동 알람 중 하나의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이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자신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고유정보를 안전존 위치정보로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기지국 고유정보에 상응하게 설정된 장소맞춤 알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일정 시간 일정 속도 이상으로 흔들리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이 뒤집어지는 동작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기 설정된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장소맞춤 알람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안전존 알람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 단말은 해당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셀프샷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사람 얼굴이 존재하면 디스플레이를 기 설정된 널(null)화면 상태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가 불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장소 맞춤 알람정보와 함께 우선순위 정보를 전송하고,
    제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1 우선순위 정보에 대해서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장소 맞춤 알람정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고, 제2 우선순위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사용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장소 맞춤 알람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상태 알람정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2 우선순위 정보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한 경고표시를 통해 안전존 알람을 출력하되,
    사용자 단말은 해당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셀프샷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사람 얼굴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KR1020180119978A 2018-10-08 2018-10-08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KR10217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78A KR102174506B1 (ko) 2018-10-08 2018-10-08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78A KR102174506B1 (ko) 2018-10-08 2018-10-08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10A true KR20200040110A (ko) 2020-04-17
KR102174506B1 KR102174506B1 (ko) 2020-11-04

Family

ID=7046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978A KR102174506B1 (ko) 2018-10-08 2018-10-08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885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아이디로 위험 경고 시스템
JP2013128226A (ja) * 2011-12-19 2013-06-27 Daimler Ag 携帯端末使用制限装置
KR101625702B1 (ko) * 2009-06-12 2016-05-30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이동 장치용 맥락정보-기반 상호작용 모델
KR101812305B1 (ko) 2017-09-05 2018-01-25 (주)패스넷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KR101863607B1 (ko) * 2016-07-26 2018-07-05 (주)초이스밸류 보행자 안전을 위하여 충돌 위험에 대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702B1 (ko) * 2009-06-12 2016-05-30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이동 장치용 맥락정보-기반 상호작용 모델
KR20120132885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아이디로 위험 경고 시스템
JP2013128226A (ja) * 2011-12-19 2013-06-27 Daimler Ag 携帯端末使用制限装置
KR101863607B1 (ko) * 2016-07-26 2018-07-05 (주)초이스밸류 보행자 안전을 위하여 충돌 위험에 대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2305B1 (ko) 2017-09-05 2018-01-25 (주)패스넷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06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52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 signal transmitting device
US20150358079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1770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geographic area
CN105101066A (zh) 一种在使用移动终端时进行安全警示的方法及系统
KR101637378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CN110496018A (zh) 可穿戴设备指引盲人的方法、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09104689B (zh) 一种安全警示方法及终端
US20220410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a person in locating vehicles and equipment
KR20140074155A (ko) 화면잠금을 제어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
CN105516480A (zh) 防止目标人物丢失的方法和系统
KR102164391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176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端末
KR102066065B1 (ko) 스마트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15996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iggering and propagating of a covert mode status change using configuration protocol data
KR102460709B1 (ko)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74506B1 (ko)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CN106647794B (zh) 飞行控制方法和装置
KR102170233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KR101947755B1 (ko) 원스톱 실시간 경호제공 시스템 및 경호제공 방법
KR102197259B1 (ko)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20190109801A (ko) 스마트 표지병
KR20230023981A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5072941A (ja) 携帯機器
KR20050004894A (ko) 이동 단말기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KR2016003264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