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575B1 - 신호등용 전광판 - Google Patents

신호등용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575B1
KR102516575B1 KR1020220086257A KR20220086257A KR102516575B1 KR 102516575 B1 KR102516575 B1 KR 102516575B1 KR 1020220086257 A KR1020220086257 A KR 1020220086257A KR 20220086257 A KR20220086257 A KR 20220086257A KR 102516575 B1 KR102516575 B1 KR 10251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traffic
display board
electronic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헌근
최종근
최인옥
최정희
박병안
Original Assignee
최헌근
최종근
최인옥
최정희
박병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헌근, 최종근, 최인옥, 최정희, 박병안 filed Critical 최헌근
Priority to KR1020220086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신호등(주 신호등)과 협업하여 각종 교통신호 및 보행신호, 교통법규 표지판 정보 등을 표시하는 신호등용 전광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보조 전공판은,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 연동하여 교통신호나 보행신호, 각종 교통법규 표지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주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구동전원의 미 공급 시 일정 시간동안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 관리자가 전광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와, 인접하고 있는 다른 전광판과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 유닛, 도로 바닥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바닥 표시 조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신호등용 전광판{Auxiliary sign for traffic lights}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신호등(주 신호등)를 보조 또는 대체 하여 각종 신호를 표시하거나 주 신호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호등용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교차로나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교통 신호등 및 보행 신호등은 적색, 녹색, 황색 등의 색채를 이용하여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통제한다. 본 명세서는 교통 신호등, 보행 신호등 및 도로 신호등을 단순히 주 신호등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주 신호등은 교통제어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도로 상황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운영되거나, 경찰관의 조작에 의하여 정보를 표시하여 보행자나 차량 통행을 제어한다.
근래에 교통사고 등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신호등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보조 신호등을 추가하는 노력이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 제247783호와 같이 보행자가 녹색등의 점등 잔여 시간을 확인하여 보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또 교통사고, 유동인구가 많은 교차로나 대각선 횡단보도가 있는 지역 등에 보조 신호등으로서 우회전 전용 신호등을 설치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우회전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주 신호등의 변경이나 보조 신호등만으로는 교통 흐름을 개선하거나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주 신호등이 고장 나면 이를 수리 완료할 때까지 보행자나 차량 통행을 통제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은 전혀 수행할 수 없었다. 물론 주 신호등 고장 시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경찰의 즉각적인 교통 통제가 요구되며, 다만 교통통제는 주 신호등의 수리가 끝날 때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운전자나 보행자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그리고 수신호로서 교통 통제를 하는 경찰 역시 위험에 어느 정도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로나 교차로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신호등이 고장이 나면, 단순하게 한 신호가 잘못되는 것이 아닌 그 신호와 연계되어 있는 신호체계나 보행 신호등에도 연속적으로 문제를 발생하게 되어 신호 혼란으로 인한 교통통제가 더 어렵고 인명피해가 생길 수가 있다.
실용신안 제247783호(2001.09.11, 교통신호등 보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 협업하여 교통신호 및 보행신호, 교통법규 표지판 정보 등을 표시하는 신호등용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의 고장이나 정전으로 인해 신호등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신호등으로 기능할 수 있는 신호등용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정보 등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표시하여 식별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신호등용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용 전광판은,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 연동하여 교통신호나 보행신호, 각종 교통법규 표지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치된 전광판이고,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구동전원의 미 공급 시 일정 시간동안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 관리자가 전광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와, 인접하고 있는 다른 전광판과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 유닛; 및 도로 바닥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바닥 표시 조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소정 영역의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표시할 정보의 종류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부의 개수와 사이즈를 조절한다.
상기 서브 표시부는, 교통신호, 보행신호, 교통법규 표지판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며,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 전광판은 상기 주 신호등과의 통신을 통해 주 신호등의 정상 구동 상태를 체크한다.
상기 전광판은 상기 주 신호등이 고장 시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구동하면서 상기 주 신호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보조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전광판은 상기 제2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주 신호등의 교통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동작한다.
상기 주 신호등의 구동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전광판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형 보행 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신호등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보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매립형 보행 전광판은 보행 또는 보행 정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보행 또는 보행 정지 정보는 문자, 숫자, 그림이 조합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광판은, 상기 주 신호등과 별개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주 신호등과 통합형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용 전광판은,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 연동하여 교통신호나 보행신호, 각종 교통법규 표지판의 정보를 표시하는 전광판이고, 전면부에 표시부가 설치된 하우징; 일면에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소자가 장착되는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을 감싸도록 상기 표시부의 후면부에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PCB 기판의 일면은 상기 커버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복수 개의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표시부의 개수 및 사이즈는 표시할 상기 정보의 종류나 정보량에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신호등용 전광판은 차량의 우회전시 횡단보도의 신호 상황을 운전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도로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 협업하여 전광판이 각종 정보들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 형태로 표시하고 있어 운전자 및 보행자가 정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신호등의 고장 시 전광판이 주 신호등의 기능을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 흐름 및 보행자 통행 등을 계속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용 전광판의 개략적인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신호등용 전광판의 표시부를 구획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신호등용 전광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교차로에 주 신호등과 신호등용 전광판이 설치된 개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용 전광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등용 전광판이 정보를 표시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 신호등과 신호등용 전광판의 연동 관계를 보여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신호등용 전광판이 제어하는 매립형 보행 전광판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신호등용 전광판의 정보 표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lower), 위(above, 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 upper)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부분” 등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표현은 해당 구성요소가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하나, 꼭 표현된 기능에 한정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용 전광판의 개략적인 전후면 사시도이다. 전광판은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나 보행신호, 각종 교통법규 표지판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광판(100)은 소정 사이즈의 하우징(101)이 외부 골격을 형성한다. 하우징(101)의 전면부는 LED 등의 표시소자들로 이루어진 표시부(110)가 설치되고, 그리고 하우징(101)의 내부면에는 표시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회로 소자 등이 구비된다. 또 회로 소자 등은 PCB 기판(120) 상에 장착되며 이러한 회로 소자들은 표시부(110)의 반대방향을 향해 배열된다.
하우징(10)의 후면부는 PCB 기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씌워져서 내부를 보호한다. 커버는 여닫이식으로서 횡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고 커버의 개방만으로 전광판(100)을 손쉽게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회로 소자가 표시부(110)의 반대방향을 향해 배열되기 때문에 커버를 개방했을 때 각종 회로 소자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구성되기 때문에, 쉽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도 2는 전광판의 표시부를 구획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광판(100)의 표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된 서브 표시부(112a, 112b, 112c)를 포함한다. 서브 표시부(112a, 112b, 112c)는 색상(적/녹/황), 문자, 그림 등을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하나의 서브 표시부(112)만 있는 경우(즉 표시부가 서브 표시부가 됨) 색상, 문자, 그림 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거나, 신호등의 신호체계에 따라 색상, 문자, 그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처럼 표시부(100)가 2 이상의 서브 표시부(112a, 112b, 112c)로 구획된 경우, 각 서브 표시부(112a, 112b, 112c)는 신호체계에 따라 색상, 문자, 그림 등의 교통신호, 보행신호, 교통법규 표지판을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신호를 표시할 경우 도 2b와 같이 표시부(110)가 1열 3행으로 구획되어 제1 내지 제3 서브 표시부(112a, 112b, 112c)가 구성된 경우 제1 서브 표시부(112a)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이미지, 제2 서브 표시부(112b)는 보행(WALK) 문자, 제3 서브 표시부(112c)는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 서브 표시부(112a, 112b, 112c)가 이미지/보행정지/WALK STOP과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정보는 차량 통행과 관련된 신호등, 보행과 관련된 보행 신호등, 차량 및 보행 통행 시 관련된 각종 교통법규 표지판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3은 신호등용 전광판의 내부 구성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광판(100)의 표시부(110)는 주 신호등과 협력하여 각종 정보들을 표시해야 한다. 주 신호등과 다른 신호 체계로 교통신호나 보행신호, 교통법규 표지판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면 신호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전광판(100)은 주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표시부(110)의 표시될 내용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보조 제어부(130)가 표시부(110)의 기능을 제어하는 LED 드라이버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전광판(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본 실시 예에서 표시부(110)를 구성하는 서브 표시부(112)는 도 2a 내지 도 2c처럼 특정 사이즈로 정해져서 구획될 필요는 없다. 표시부(110)에 표시할 정보 종류나 정보량 등에 따라 보조 제어부(130)가 서브 표시부(112)의 개수 및 각 사이즈를 결정하여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서브 표시부(112)에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제1 서브 표시부(112a)의 영역을 가장 크게 설정하고, 제2 서브 표시부(112b)와 제3 서브 표시부(112c)의 영역을 더 작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전광판(100)은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140) 및 통신 유닛(150)을 포함한다.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140)은 배터리 전원으로 전광판(100)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동작시키기 위한 유닛이다. 전광판(100)은 주 신호등과 협력하여 구동되는 장치로서, 주 신호등이 고장이나 정전 등의 이유로 정상 구동되지 못할 경우 주 신호등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주 신호등이 고장 등으로 인해 수리가 필요한 경우, 그 시간 동안 주 신호등으로 작동하게 하여, 주 신호등의 고장으로 인해 발행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140)은 보조 제어부(130)가 주 신호등의 제어기와 통신이 수행되지 않으면, 보조 제어부(130)는 주 신호등이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그 시점부터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교통제어시스템이 전달하는 신호등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부(110)에 교통신호 정보 등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유닛(150)은 제1 통신부(152) 및 제2 통신부(154)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52)는 관리자가 전광판(100)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닛이다. 필요에 따라 전광판(100)을 원격 구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 원거리에서 관리자가 패스워드 등의 정상적인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전광판(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54)는 인접하고 있는 다른 전광판과 통신하기 위한 유닛이다. 아래에서 설명하지만 전광판(100)이 교차로의 4 방향에 각각 설치되고 주 신호등이 정상 동작하지 못할 경우, 통신을 통해 이들 전광판(100)이 주 신호등과 동일한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각 전광판(100)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전광판의 보조 제어부가 교통제어시스템이 전달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전달받기만 하면, 다른 전광판들과 순차적으로 연계하여 신호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전광판(100)은 바닥 표시 조명 유닛(160)을 포함한다. 바닥 표시 조명 유닛(160)은 야간에 도로 등의 바닥에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조합하여 각종 교통 정보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바닥 표시 조명 유닛(160)은 도로 이외에 보행로 등에도 투사할 수 있고,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나 단체가 의뢰한 각종 홍보 영상 정보나, 광고주가 의뢰한 각종 광고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교차로에 주 신호등과 전광판이 설치된 개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기 위해 횡단보도나 교차로에 주 신호등(1)이 설치되고, 교차로에 제1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이 설치된다. 제1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은 도로교통법규에 의한 신호등 설치 조건에 맞춰 별도의 지지 브라켓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교차로의 소정 지역에 교통제어시스템(200)이 설치된다. 교통제어시스템(200)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하여 또는 도로 상황에 맞추어 주 신호등(1)의 표시상태를 조정한다. 물론 교통제어시스템(200)은 주 신호등(1)이 고장 등으로 인해 정상 동작하지 못할 경우, 전광판(100)과 통신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교통제어시스템(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중앙제어시스템(미 도시)이 구비되고, 중앙제어시스템은 다른 지역 등에 설치 운영되는 다수의 교통제어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용 전광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교통제어시스템(200)은 도로나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주 신호등(1)과 전광판(100)에 교통신호 표시를 위한 주 제어신호와 보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한다(s100).
주 제어신호와 보조 제어신호에 의해 주 신호등(1)과 전광판(100)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102, s104). 예컨대 주 제어신호에 의한 주 신호등(1)의 교통신호 표시는 일반적인 도로에 설치하여, 적색, 녹색, 황색 및 녹색 화살 표시 정보를 표시하여 통행 차량이나 사람에게 정지나, 우회, 진행 여부 등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제어신호에 의한 전광판(100)의 정보 표시는 주 신호등(1)의 정보를 보조하거나 교통법규 표지판 정보를 정지/동영상 등으로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주 신호등(1)은 적/녹/황색 신호를 정해진 신호 체계에 따라 표시하지만, 전광판(100)은 항상 같은 정보를 표시할 필요는 없다. 주 신호등(1)의 보조 신호등 역할을 하거나, 홍보 영상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영상 등을 표시할 때 전광판(100)은 표시부(110)를 둘 이상의 서브 표시부로 적절하게 구획하여 서로 다른 정보 들이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통제어시스템(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 신호등(1)과 전광판(100)은 정상 동작하는데, 주 신호등(1)이 정전이나 공사 등의 이유 등으로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주 신호등(1)은 정상적으로 구동될 때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광판(100)이 주 신호등의(1)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전광판(100)은 주 신호등(1)의 정상 구동 상태를 체크한다(s106). 정상 구동 상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체크가 가능하다. 일 예로 주 신호등(1)과 전광판(100)은 상태확인요청신호(request)/응답신호(ack)를 송수신하는 지속적인 통신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주 신호등(1)이 아무런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면 전광판(100)은 주 신호등(1)이 고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전이 발생한 경우 주 신호등(1)은 물론 전광판(100) 역시 정상 구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광판(100)의 보조 제어부(130)가 정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 신호등(1)의 보수 점검이나 수리를 위해 작업자가 직접 주 신호등(1)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등으로 주 신호등(1)이 정상 동작이 아니거나 또는 전광판(100)도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정상 동작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면, 보조 제어부(130)는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140)으로부터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전광판(100)을 구동한다(s108).
주 신호등(1)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이때 전광판(100)은 주 신호등(1)이 표시하는 교통신호 정보를 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조건에서는 전광판(100)이 주 신호등(1)이 될 수 있는 것이다(s110). 그리고 전광판(100)의 상기한 구동은 주 신호등(1)이 수리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구동될 때까지 계속된다(s112).
전광판(100)은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배터리 전원 용량 범위 내에서 정상 구동된다. 다만 주 신호등(1)이 정상 구동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때까지 배터리 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추가(여부)의 배터리를 제공하여 전광판(100)의 구동 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배터리 용량은 보조 제어부(130)가 체크하고,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임계 값보다 현재 용량이 낮아지기 시작하면 추가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등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d)은 주 신호등이 고장인 경우, 보조 제어부(130)은 제2 통신부(154)를 통해 교통제어시스템(200)과 통신하면서 주 신호등이 표시했던 교통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구동한다(s114). 이때 제1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d)의 구동 전원이 계속 공급된다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나, 만약 정전 등으로 신호등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것이다.
이처럼 통행량이 많은 교차로 등에서도 전광판은 인접한 전광판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계하면서 주 신호등의 기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광판이 정보를 표시한 예시 도면들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광판(100)은 각종 정보들을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도 6a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중임을 표시하는 도면, 도 6b 및 도 6d는 1열 3행으로 서브 표시부가 구획되고, 각각의 서브 표시부에 서로 다른 정보들을 표시하며, 도 6e는 대기 표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각각의 도면들은 강한 색상으로 표기함은 물론 동영상으로 정보를 표시하고 있어, 운전자나 보행자가 정보를 쉽게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c는 우회전시 일시 정지를 표시하는 신호등으로서, 우회전하는 운전자는 일시 정지 문구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f는 바닥 조명 장치(160)가 도로 등의 바닥에 교통정보를 표시한 도면이다. 바닥 조명 장치(160)는 바닥 이외에도 벽면 등에서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신호등과 협력하여 보조신호를 표시하거나 교통 관련된 각종 표지판 등의 정보, 홍보 영상 정보 등을 표시하는 전광판을 제안하는 것이고, 이러한 전광판은 단순히 보조 신호등의 역할뿐만 아니라 주 신호등의 기능을 일정 시간 동안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신호등용 전광판은 차량의 우회전시 횡단보도의 신호 상황을 운전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도로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우회전 안내용 신호등용 전광판은 인도에 세워진 포스트의 측방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 신호등과 신호등용 전광판의 연동 관계를 보여준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등(1)은 적색 신호등(1a), 녹색 신호등(1b), 황색 신호등(1c), 녹색 화살 표시등(1d)을 예를 든다. 그리고 각 신호등(1a, 1b, 1c, 1d)은 서로 상이한 구동전류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적색 신호등(1a)과 녹색 신호등(1b)을 턴-온 시키는 구동 전류 값이 상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적색 신호등(1a), 녹색 신호등(1b), 황색 신호등(1c), 녹색 화살 표시등(1d)은 각각 제1 내지 제4 전류 값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각 신호등(1a, 1b, 1c, 1d)의 구동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예를 들면 CT 센서)가 구비된다. 전류 센서는 각 신호등(1a, 1b, 1c, 1d)에 대응되게 제1 내지 제4 전류 센서(170a, 170b, 170c, 170d)일 수 있다. 물론 1개의 전류 센서가 각 신호등(1a, 1b, 1c, 1d)의 구동 전류를 감지하고 보조 제어부(130)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 제어부(130)는 전류 센서(170a, 170b, 170c, 170d)가 감지한 감지 값에 따라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은 주 신호등(1a, 1b, 1c, 1d)의 구동과 대응하여 동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적색 신호등(1a)이 턴 온 되면, 제1 전류 센서(170a)는 제1 전류 값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제1 전류 값은 보조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그러면 보조 제어부(130)는 제1 전류 값에 의해 제1 전광판(100a)을 턴-온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녹색 신호등(1b)이 턴 온 되면, 제2 전류 센서(170b)가 제2 전류 값을 감지하여 보조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보조 제어부(130)는 제2 전류 값에 의해 제2 전광판(100b)을 턴-온 구동한다. 황색 신호등(1c) 및 녹색 화살 표시등(1d)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제1 전광판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의 구동 예는 앞서 설명한 도 6a 내지 도 6d와 같다. 여기서 제1 전광판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이 표시하는 정보들은 그 전광판들이 설치된 장소 및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광판 내지 제4 전광판(100a, 100b, 100c, 100d)의 턴-오프는 각 신호등(1a, 1b, 1c, 1d)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차단되는 시점에 대응되어 턴-오프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주 신호등 또는 전광판과 연계되는 일반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조명은 횡단보도가 보행일 때만 횡단보도를 비추는 조명일 수 있다. 이러한 일반 조명은 횡단보도용 신호등이 녹색으로 보행자가 보행할 경우에만 동작하고, 횡단보도용 신호등이 적색인 경우는 미 동작한다. 또한 조명등이 동작하면 횡단보도로 보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음성메시지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신호등용 전광판이 제어하는 매립형 보행 전광판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신호등용 전광판은 매립형 보행 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횡단보도 바닥에 매립되어 있는 보행 전광판의 구성들로서, 1면(a, b), 2면(c, d), 3면(e, f) 매립형 보행 전광판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매립형 보행 전광판은 사이즈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나, 기본적으로 보행 또는 보행정지(대기)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매립형 보행 전광판은 주 신호등 또는 전광판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한다. 즉 횡단보도가 보행 가능하면 보행 신호를 표시하고, 반대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신호를 표시한다.
기존에는 횡단보도 바닥에 적색 및 녹색 신호를 표시하는 바닥 신호등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단순하게 색상으로만 표시하고 있어 식별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도 8의 (a) 내지 (f)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보행 또는 보행정지를 알리는 문구 및 그림 정보를 표시하며, 나아가 보행 시에는 보행 시간 정보도 표시하고 있어, 보행자가 직관적으로 신호정보를 알 수 있어 교통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신호등용 전광판이 표시하는 정보들의 예시도면들이다.
신호등용 전광판은 도 9의 (a) 및 (b)와 같이 주 신호등과 별개로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a) 내지 (i)와 같이 전광판을 주 신호등과 통합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도면들을 살펴보면, 주 신호등(녹색/적색/녹색 화살표시)과 함께 정지나, 우회, 진행 여부 등을 지시하는 텍스트 및 그림신호, 교통법규 정보 등을 하나의 신호등 형태로 하여 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들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통합형 신호등의 경우 도면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나, 세로 방향으로 구성하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광판
110: 표시부
130: 보조 제어부
140: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
150: 통신 유닛 160: 바닥 조명 장치

Claims (12)

  1. 도로에 설치된 주 신호등과 연동하여 상기 주 신호등이 고장이거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주 신호등의 구동이 중지되어 정상 구동되지 못하는 경우, 교통신호나 보행신호, 각종 교통법규 표지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치된 전광판이고,
    상기 전광판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구동전원의 미 공급 시 일정 시간동안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
    관리자가 전광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와, 주 신호등이 정상 동작하지 못할 경우 교통제어시스템이 전달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전달받기만 하면 다른 전광판들과 순차적으로 연계하여 신호등을 표시하도록 인접하고 있는 다른 전광판과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 유닛; 및
    도로 바닥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바닥 표시 조명 유닛; 및
    상기 배터리 전원 공급 유닛에 구비된 추가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주 신호등이 고장이거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주 신호등의 구동이 중지되어 정상 구동되지 못하는 경우, 신호등 구동 전원이나 배터리 전원, 상기 추가 배터리에 의해 상기 교통제어시스템이 전달하는 신호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교통신호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주 신호등의 기능을 소정 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추가 배터리가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상기 전광판의 구동 시간을 연장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소자가 장착되는 PCB 기판; 및
    상기 PCB 기판을 감싸도록 상기 표시부의 후면부에 결합하는 여닫이식으로서 횡방향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PCB 기판에 장착된 회로소자가 상기 커버를 향해 배치되어 상기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회로소자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소정 영역의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표시할 정보의 종류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부의 개수와 사이즈를 조절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부는,
    교통신호, 보행신호, 교통법규 표지판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며,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은,
    상기 주 신호등과의 통신을 통해 주 신호등의 정상 구동 상태를 체크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은,
    상기 제2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주 신호등의 교통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동작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신호등의 구동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전광판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8. 제1 항에 있어서,
    횡단보도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형 보행 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신호등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보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매립형 보행 전광판은 보행 또는 보행 정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보행 또는 보행 정지 정보는 문자, 숫자, 그림이 조합된 정보인, 신호등용 전광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은,
    상기 주 신호등과 별개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주 신호등과 통합형으로 설치되는, 신호등용 전광판.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차량의 우회전시 횡단보도의 신호 상황을 운전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도로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우회전 안내용 신호등용 전광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전광판.
KR1020220086257A 2022-07-13 2022-07-13 신호등용 전광판 KR10251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57A KR102516575B1 (ko) 2022-07-13 2022-07-13 신호등용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57A KR102516575B1 (ko) 2022-07-13 2022-07-13 신호등용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575B1 true KR102516575B1 (ko) 2023-03-30

Family

ID=8598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257A KR102516575B1 (ko) 2022-07-13 2022-07-13 신호등용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53B1 (ko) 2024-03-04 2024-06-07 (주)이티엑스 스마트 횡단보도 종합 제어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783B1 (ko) 1997-12-02 2000-03-15 윤종용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용 카트리지의 틸트 조정구조
KR20060095536A (ko) * 2006-07-19 2006-08-31 (주) 유티유 무정전 전원장치를 내장한 교통신호 자동감지 표시장치
KR102059976B1 (ko) * 2019-05-17 2019-12-27 전연호 주차 유도 전광판용 지지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주차 유도 전광판
KR102271092B1 (ko) * 2020-11-09 2021-06-30 현형호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 연동제어 시스템
KR102290649B1 (ko) * 2021-01-25 2021-08-18 (주)이엔씨파워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2293068B1 (ko) * 2021-04-05 2021-08-26 (주)그린아이티코리아 횡단보도에서의 차량 관리를 위한 교통 제어 시스템
KR102317320B1 (ko) * 2021-06-18 2021-10-26 (주)이티엑스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783B1 (ko) 1997-12-02 2000-03-15 윤종용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용 카트리지의 틸트 조정구조
KR20060095536A (ko) * 2006-07-19 2006-08-31 (주) 유티유 무정전 전원장치를 내장한 교통신호 자동감지 표시장치
KR102059976B1 (ko) * 2019-05-17 2019-12-27 전연호 주차 유도 전광판용 지지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주차 유도 전광판
KR102271092B1 (ko) * 2020-11-09 2021-06-30 현형호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 연동제어 시스템
KR102290649B1 (ko) * 2021-01-25 2021-08-18 (주)이엔씨파워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2293068B1 (ko) * 2021-04-05 2021-08-26 (주)그린아이티코리아 횡단보도에서의 차량 관리를 위한 교통 제어 시스템
KR102317320B1 (ko) * 2021-06-18 2021-10-26 (주)이티엑스 보행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53B1 (ko) 2024-03-04 2024-06-07 (주)이티엑스 스마트 횡단보도 종합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860Y1 (ko) 다목적 led 보행자 신호등 시스템과 장치
CN1745403B (zh) Led交通灯
KR100847153B1 (ko) 도로 등 토목용터널 진입차단장치
KR100679852B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시스템 및그에 의한 보도블럭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101257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885402B1 (ko) 다목적 led 신호등 시스템과 장치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JP2007050173A (ja) 消火器ボックス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20090013988A (ko)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정지선 단속 알림장치
KR20010103326A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시스템
KR101168132B1 (ko)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102516575B1 (ko) 신호등용 전광판
KR20210138424A (ko) 바닥형 교통 신호 장치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170319B1 (ko) 가로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도로조명 제어 시스템
KR20160017792A (ko) 노면표출형 디지털 사이니지모듈을 통한 상황별 컨텐츠 실시간 노면표출장치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20190045752A (ko) 범죄예방 기능의 스마트 표지판
KR20220056263A (ko) 능동형 도로 표지판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1364B1 (ko) 저탄소 녹색성장 친환경 엘이디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보호 시스템
KR102597260B1 (ko)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안전 신호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