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829B1 -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829B1
KR102302829B1 KR1020210058214A KR20210058214A KR102302829B1 KR 102302829 B1 KR102302829 B1 KR 102302829B1 KR 1020210058214 A KR1020210058214 A KR 1020210058214A KR 20210058214 A KR20210058214 A KR 20210058214A KR 102302829 B1 KR102302829 B1 KR 10230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lactic acid
acid bacteria
powder
fr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조성원
임은주
Original Assignee
엠플러스에프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플러스에프엔씨(주) filed Critical 엠플러스에프엔씨(주)
Priority to KR102021005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인 두부류 가루를 첨가한 유산균은 두부류 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유산균에 비해 관능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와 함께 장건강은 물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식이섬유 식품으로 제조하였으므로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식품영양학적인 면에서도 키토제닉 다이어트 식품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웰빙 건강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LACTIC ACID BACTERIA COMPRISING BEAN CU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두부류 가루를 첨가한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기원전부터 인간이 이용하여 온 식품의 일종으로 영양적 가치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생리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腸)내의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병원균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세포로 하여금 면역 능력을 조절하는 물질을 생성시키며, 병원균과 경합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이차적으로는 항생제 치료나 외부환경 변화에 대해 장내 세균총의 항상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급속한 경제 성장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을 통해 식생활이 서구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식품의 다양화가 이루어져 식생활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균형있는 영양 성분을 가지면서도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식사 대용식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단백질 함량이 높은 식단은 식후 또는 식간의 포만감을 증가시키며, 포만감이 크고 오래 지속될수록 식간에 불필요한 간식을 찾게 될 확률이 줄게 되어, 궁극적으로 체중 감량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고탄수화물 식품과 고단백질 식품의 섭취에 따른 다이어트 효과의 비교 연구에 따르면, 고단백질 식품이 체중 감량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고단백 식품의 예로는 육류, 계란, 두부 등을 들 수 있다.
두부는 불린 콩을 갈고 비지를 걸러낸 후 콩물을 가열하고 여기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굳힌 식물성 고단백 식품으로서, 이러한 두부는 제조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예컨대, 콩물을 끓여 응고제를 넣고 수분 함량 85% 정도로 압착 탈수한 일반두부, 콩물을 끓여 응고제를 넣고 멍울이 진 것을 눌러 굳히지 않은 순두부, 일반두부와 순두부의 중간정도의 굳기로 용기에 콩물과 응고제를 넣고 그대로 가열해서 만든 연두부 등이 있다. 이러한 두부는 맛이 부드럽고 담백하며 소화율이 좋은데다가 성장과 발육, 신진대사에 필요한 단백질이 풍부하고 칼슘 및 식물성 지방이 많이 들어있어 영양이 우수하면서도 칼로리가 낮은 편이어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두부를 제조하면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콩 비지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폴리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높으며 두부와 두유(soy milk)와 비교하여도 영양학적으로 뒤지지 않아 단백질 강화용 가공식품의 소재로의 활용에 대한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식이 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섭취 시 배가 든든해지고, 여분의 지방흡수가 방해되어 다이어트 중의 식욕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며, 정장작용(整腸作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변비의 예방·개선 등의 작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두부와 콩 비지는 높은 수분함량과 풍부한 질소원 및 지방함량 등으로 미생물의 번식이 용이하여 쉽게 부패하여 장기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유산균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유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c) 배양된 유산균을 분리하는 단계;
(d) 분리된 유산균을 개별 코팅하는 단계;
(e) 개별 코팅된 유산균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f) 두부류 가루 및 올리고당 가루를 배합하는 단계; 및
(g) 단계 (e)의 동결건조된 유산균 가루에 단계 (f)의 배합물을 첨가하여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두부류 가루를 첨가한 유산균은 두부류 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유산균에 비해 관능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와 함께 장건강은 물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식이섬유 식품으로 제조하였으므로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식품영양학적인 면에서도 키토제닉 다이어트 식품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웰빙 건강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부류 가루 제조 공정 및 이를 이용한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통합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유산균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유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c) 배양된 유산균을 분리하는 단계; (d) 분리된 유산균을 개별 코팅하는 단계; (e) 개별 코팅된 유산균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f) 두부류 가루 및 올리고당 가루를 배합하는 단계; 및 (g) 단계 (e)의 동결건조된 유산균 가루에 단계 (f)의 배합물을 첨가하여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a)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스트렙트코커스(Streptococc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유산균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b)에서 추출한 유산균은 균주를 100mL MRS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12 시간 120 rpm으로 진탕배양하여 전배양한 후 10mL을 다시 MRS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36 시간 120 rpm으로 본배양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c)에서 배양된 유산균을 3,000×g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분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d)에서 분리된 유산균은 극한 온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동결보호제와 1:1로 믹싱되어 개별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e)에서 개별 코팅된 유산균은 -85°C 초저온 냉동고에서 11시간 동결 후, 동결건조기로 실온 (25~29°C)에서 응축기 온도 -80°C , 압력 6 mmTorr 이하의 조건에서 75시간 건조하여 동결건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f)에서 올리고당 가루는 프락토올리고당 가루 또는 갈락토올리고당 가루일 수 있으며, 두부류 가루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동결건조된 유산균 가루와 상기 단계 (f)의 배합물은 3:1 내지 1:1의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두부류 가루는 두부 가루 또는 두부 및 두부박 가루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류 가루가 두부 가루인 경우 두부 가루는: ⅰ) 두부의 수분을 60 내지 80%까지 탈수시키는 단계; 및 ⅱ) 탈수된 두부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ⅰ) 이후에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ⅱ) 이후에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류 가루가 두부 및 두부박 가루인 경우 두부 및 두부박 가루는: ⅰ) 두부의 수분을 60 내지 80%까지 탈수시키는 단계; ⅱ) 탈수된 두부 및 두부박을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ⅲ)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ⅱ) 이후에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ⅲ) 이후에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은 유산균에 두부류 가루를 첨가함으로써 저열량 고식이섬유의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기존 유산균의 맛과 식감보다 우수한 관능 특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부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1-1. 동결건조 두부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발효시킨 김치나 발효식품으로부터 추출한 균주를 100mL MRS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12 시간 120 rpm으로 진탕배양하여 전배양한 후 10mL을 다시 MRS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36 시간 120 rpm으로 본배양하였고, 배양된 유산균을 탈지분유(skim milk powder)와 1:1로 믹싱하여 개별적으로 코팅 처리한 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였다.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를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두부 가루 100g와 프락토올리고당 가루 8.5g을 혼합한 후, 이를 동결건조된 유산균 가루 100g에 넣어 배합하여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1-2.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를 내부 온도가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두부 가루를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1-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고,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함으로써 제조한 두부 가루를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2-1. 동결건조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2-1-1. 1: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콩비지)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동결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1: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1-2. 2: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2: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동결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2: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1-3. 1:2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1:2 중량비로 혼합한 뒤, 동결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1:2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2.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2-2-1. 1: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1: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2-2. 2: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2: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2: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2-3. 1:2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2: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1:2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2-3-1. 1: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고,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함으로써 제조한 1: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3-2. 2: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2:1 중량비로 혼합한 뒤,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고,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함으로써 제조한 2:1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2-3-3. 1:2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이용한 유산균의 제조
60-80%까지 수분을 탈수시킨 두부와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나온 두부박을 1:2 중량비로 혼합한 뒤,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 (태황자동화산업)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한 후, 동결건조하고,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함으로써 제조한 1:2 중량비의 두부 가루 및 두부박 가루를 두부 가루로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두부류 가루를 미첨가한 유산균의 제조
두부류 가루를 미첨가하여 실시예 <1-1>에 기재된 각각의 공정 조건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유산균 및 비교용 유산균의 주재료 및 제조 공정은 하기 표 1 및 2와 같으며, 각각의 공정별 조건은 동일하다.
주재료
실시예 1-1 동결건조 두부 가루
실시예 2-1 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실시예 2-1-1 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1:1 중량비)
실시예 2-1-2 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2:1 중량비)
실시예 2-1-3 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1:2 중량비)
실시예 1-2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
실시예 2-2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실시예 2-2-1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1:1 중량비)
실시예 2-2-2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2:1 중량비)
실시예 2-2-3 1차 로스팅-동결건조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1:2 중량비)
실시예 1-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
실시예 2-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실시예 2-3-1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1:1 중량비)
실시예 2-3-2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2:1 중량비)
실시예 2-3-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두부 가루+두부박 가루 (1:2 중량비)
비교예 1 유산균 가루
제조 공정
주재료 제조 공정 유산균 제조 공정
실시예 1-1 동결건조 주재료, 프락토올리고당 혼합-동결건조 유산균 제조(균주추출-배양-코팅-동결건조)-동결건조 유산균과 주재료 혼합물 혼합
실시예 2-1 동결건조
실시예 1-2 1차 로스팅-동결건조
실시예 2-2 1차 로스팅-동결건조
실시예 1-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실시예 2-3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
비교예 1 -
<실험예> 유산균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한 각 유산균을 다양한 연령대의 패널 총 70명(10대 10명, 20대 10명, 30대 10명, 40대 10명, 50대 10명, 60대 10명 및 70대 10명)에게 섭취토록 하여 그 결과를 향 (이취 유무), 고소함, 부드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로 구분하여 10점 척도법 (대단히 좋아한다(강하다): 10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5점, 대단히 싫어한다(약하다): 1점)으로 관능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각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의 관능적 품질 평가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서 밀가루 대신 동결건조한 두부 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산균의 경우 두부류 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유산균과 비교할 때, 이취가 별로 없으면서 고소함이 높아져 종합적인 기호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동결건조의 전 및/또는 후에 로스팅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유산균의 이취가 감소화고 고소함 및 부드러움이 현저히 증가하여 종합적인 기호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풍미 증진을 위해 두부에 두부박을 추가하는 경우 1차 로스팅-동결건조-2차 로스팅의 공정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
향 (이취 무:10점) 맛 (고소함) 질감 (부드러움)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1-1> 8.8 7.4 7.1 8.2
실시예 <2-1-1> 7.6 7.9 6.8 7.7
실시예 <2-1-2> 8.3 7.7 6.9 7.9
실시예 <2-1-3> 7.2 8.2 6.5 7.0
실시예 <1-2> 9.0 8.0 7.6 8.1
실시예 <2-2-1> 7.9 8.4 7.1 7.9
실시예 <2-2-2> 8.5 8.6 7.3 7.7
실시예 <2-2-3> 8.2 8.9 7.9 7.9
실시예 <1-3> 9.7 9.0 9.2 9.3
실시예 <2-3-1> 9.9 9.8 9.7 9.8
실시예 <2-3-2> 9.7 9.5 9.5 9.5
실시예 <2-3-3> 9.6 9.8 9.6 9.6
비교예 1 9.0 5.0 7.0 6.8

Claims (7)

  1. (a) 유산균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유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c) 배양된 유산균을 분리하는 단계;
    (d) 분리된 유산균을 개별 코팅하는 단계;
    (e) 개별 코팅된 유산균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f) 두부류 가루 및 올리고당 가루를 배합하는 단계; 및
    (g) 단계 (e)의 동결건조된 유산균 가루에 단계 (f)의 배합물을 첨가하여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올리고당 가루는 프락토올리고당 가루 또는 갈락토올리고당 가루로서 두부류 가루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두부류 가루는 두부 가루; 또는 두부 및 두부박 가루 혼합물이고,
    상기 두부 가루는:
    ⅰ) 두부의 수분을 60 내지 80%까지 탈수시키는 단계; 및
    ⅱ) 탈수된 두부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고,
    단계 ⅰ) 이후에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단계 ⅱ) 이후에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부 및 두부박 가루 혼합물은:
    Ⅰ) 두부의 수분을 60 내지 80%까지 탈수시키는 단계;
    Ⅱ) 탈수된 두부 및 두부박을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Ⅲ)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단계 Ⅱ) 이후에 내부 온도가 40 내지 60 ℃인 열풍로스터에서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1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단계 Ⅲ) 이후에 내부 온도가 180 ℃내지 220 ℃인 열풍로스터에 15 내지 20 드럼회전수/분으로 투입하여 5초 내지 60초 동안 체공시키고 95 내지 105 드럼회전수/분으로 배출하여 2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추출한 유산균 균주를 100mL MRS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12 시간 120 rpm으로 진탕배양하여 전배양한 후 10mL을 다시 MRS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36 시간 120 rpm으로 본배양하는,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배양된 유산균을 3,000×g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분리하는,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KR1020210058214A 2021-05-04 2021-05-04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214A KR102302829B1 (ko) 2021-05-04 2021-05-04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214A KR102302829B1 (ko) 2021-05-04 2021-05-04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829B1 true KR102302829B1 (ko) 2021-09-15

Family

ID=7779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214A KR102302829B1 (ko) 2021-05-04 2021-05-04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49A (ko) 2021-11-29 2023-06-07 김점희 대마씨앗을 포함하는 두부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두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901A (ko) * 2008-03-06 2009-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유산균을 첨가한 기능성 음료 및그의 제조방법
KR20150056107A (ko) * 2013-11-14 2015-05-26 주식회사농심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KR20160051902A (ko) * 2014-10-16 2016-05-12 한국식품연구원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90078725A (ko) * 2017-12-27 2019-07-05 김행아 유산균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901A (ko) * 2008-03-06 2009-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유산균을 첨가한 기능성 음료 및그의 제조방법
KR20150056107A (ko) * 2013-11-14 2015-05-26 주식회사농심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KR20160051902A (ko) * 2014-10-16 2016-05-12 한국식품연구원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90078725A (ko) * 2017-12-27 2019-07-05 김행아 유산균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49A (ko) 2021-11-29 2023-06-07 김점희 대마씨앗을 포함하는 두부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두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423072A1 (en)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for fermenting and use thereof
CN105941627A (zh) 一种共生营养型酸乳冻干片及其制备方法
CN106070647A (zh) 一种发酵型豆奶饮料的制作方法
KR20190005487A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고단백질 식품의 제조방법
KR102564700B1 (ko) 복합 기능성 단백질 쉐이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8680B1 (ko) 식이섬유가 강화된 무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2302829B1 (ko) 두부를 함유하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PL215631B1 (pl) Sposób wytwarzania fermentowanych, prozdrowotnych napojów zbozowych
Rossi et al.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yogurt made with microencapsulation probiotic starter during cold storage
KR102300130B1 (ko) 저탄수화물 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29219A (zh) 一种猴头菇贡糕的制备工艺
CN107198222A (zh) 一种麻辣烫专用红薯粉丝的制备方法
KR101945827B1 (ko) 저항전분 함량, 식미와 저장성이 개선된 현미의 특성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10514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발효곡물과 효소분해 다시마를 이용한 다시마 분말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시마 분말차
KR102284533B1 (ko) 치즈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고로케
CN107212366A (zh) 一种儿童专用鹅肝酱
KR102319556B1 (ko) 저탄수화물 휘낭시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812B1 (ko) 식용곤충 분말의 제조방법
KR20230117863A (ko) 장 건강 개선을 위한 반려동물의 간식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8384B1 (ko) 두부 요거트의 제조방법
KR101823087B1 (ko) 콩 유산균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100827408B1 (ko) 치즈와 콩을 동시 발효한 고추장 및 청국장의제조방법
KR102081629B1 (ko) 동충하초를 이용한 설렁탕의 제조방법
KR20170062660A (ko) 닭가슴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4539B1 (ko) 두부를 함유하는 건면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