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355B1 -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355B1
KR102301355B1 KR1020200141739A KR20200141739A KR102301355B1 KR 102301355 B1 KR102301355 B1 KR 102301355B1 KR 1020200141739 A KR1020200141739 A KR 1020200141739A KR 20200141739 A KR20200141739 A KR 20200141739A KR 102301355 B1 KR102301355 B1 KR 10230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lis
aging
temperature
flavonoids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래
Original Assignee
조봉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래 filed Critical 조봉래
Priority to KR102020014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추출방법으로서, 양봉통(10)에서 프로폴리스와 왁스 및 오염물질 성분이 혼합된 채집망을 수거하는 채취공정(S10); 상기 채취공정(S10)의 채집망을 보관통(20)에 수용하고, 저온에서 보관한 후 채집망으로부터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분리하는 보관공정(S20); 상기 보관공정(S20)에서 확보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진공추출숙성기(30)에 수용하여 70~100℃ 내외의 온도에서 살균한 뒤, 진공추출숙성기(30)의 온도를 30~60℃ 내외 범주로 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로 프로폴리스 원액 성분을 추출하고 숙성하는 진공추출 숙성공정(S30);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에서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여과기(40)에 수용하고, 여과기(40)속에서 프로폴리스 원액을 통과시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걸러내는 여과공정(S40); 및 상기 여과공정(S40)에서 걸러낸 프로폴리스를 오크통(50)에 수용하고, 음지(陰地)에서 저온으로 숙성하여 프로폴리스를 완성하는 저온숙성공정(S5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능의 프로폴리스를 추출하기 위해 진공식의 교반방식으로 처리하는 추출방법과 오크통을 활용한 관리공정을 통해 엄격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유해균을 살균하여 사멸시키는 한편,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플라보노이드계 함량의 월등한 증가와 함께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이 가능한 고급화된 프로폴리스의 품질획득을 통해 일반소비자의 건강증진과 소비촉진에 기여함으로써 고품질의 프로폴리스를 대량으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large amount extraction of high-functional propolis containing high content of flavonoids}
본 발명은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기능의 프로폴리스를 추출하기 위해 진공식의 교반방식으로 처리하는 추출방법과 오크통(OAK桶)을 활용한 저온 숙성공정을 꼼꼼한 관리공정을 통해 엄격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여러 유해미생물 균(菌)들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사멸시키는 한편,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을 유효적절하게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플라보노이드계 함량의 월등한 증가와 함께 미세왁스를 제거하는 여과공정에 의해 건강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풍미와 목 넘김이 편하면서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이 가능한 고급화된 프로폴리스의 품질획득을 통해 일반소비자의 건강증진과 소비촉진에 기여함으로써 고품질의 프로폴리스를 대량으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폴리스는 꿀벌들이 식물에서 채취한 물질과 꿀벌의 타액이 합쳐져 생성된 물질로서 벌들이 벌통 내에서 저장하는 수지상 물질인데, 벌들이 가져오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구성성분의 차이는 있지만, 포괄적으로 50~55%의 수지물질과 방향성 물질, 25~35%의 밀랍, 5%의 꽃가루 및 5% 가량의 다양한 유기물과 미네랄 등으로 구성된 물질이다.[Propolis in Natural Therapeutics(1983), 2nd revised edition, published by Librarie Malonie S.A Editeur, Paris, France, Fragrance Journal, No. 83, pp.20-28 및 pp.36-43(1987); Apidologie, Vol.22, pp.155-162(1991)]
이러한 프로폴리스는 현재 건강증진ㆍ항염작용ㆍ심장병ㆍ당뇨병ㆍ암 등의 각종 질병예방을 위해 각종의 의약품ㆍ건강보조식품ㆍ건강음료ㆍ기능식품ㆍ화장품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리고 프로폴리스 표준규격 추출액(SPE)에 의한 실험실 내의 동물실험으로부터 혈장 내의 단백질 증가와 감마글로블린 증가ㆍ이화(異化)작용ㆍ면역반응의 자극ㆍ혈액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개선ㆍ트렌스 아미나제 활성 수준의 변화ㆍ단백질 및 아미노산의 총량 변화 등외에도 임파 기관에서의 글리코겐 저하ㆍ셀로플러스민의 활동증가 등에 대한 각양의 효과들이 학계에 보고되어져 있다.
특히, 이러한 프로폴리스의 상기 성분 중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유기물 및 미네랄 물질로서, 세포의 대사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네랄ㆍ비타민류ㆍ아미노산ㆍ지방 외에 플라보노이드의 함유율이 상당히 높은 것이 특징인데, 프로폴리스 함유물인 플라보노이드의 주요작용으로서 기본적인 작용과 생리적 영향에 관한 보고로는 인산화에 의한 효소활동의 변화ㆍ항산화 작용ㆍ유전자 발현의 억제 등의 3가지 효과에 의해 항알레르기 반응ㆍ항바이러스반응ㆍ진통작용ㆍ항종양작용ㆍ아스피린과 같은 작용(항염증 작용)의 생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폴리스의 효과로 인해 의료계로부터 많은 임상실험이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치과 치료에서는 프로폴리스의 안정성에 기반하여 구강 내의 여러 질환 치료에 프로폴리스를 사용하고 있고, 어린이 호흡기 질환에는 프로폴리스 에어로졸치료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도 염증의 치료ㆍ가벼운 화상치료ㆍ대상포진의 치료ㆍ심부백선증의 치료ㆍ아토피성피부염의 치료 및 십이지장궤양의 치료 등에 직접적 혹은 보조적으로 사용되어 온 효과가 크게 입증되고 있다.
이렇듯, 프로폴리스에서 유익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많은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프로폴리스 추출방법으로는 알코올 추출법ㆍ물 추출법ㆍ미셀화 추출법ㆍ초임계 추출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프로폴리스 추출방법 중에서는 알코올 추출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알코올 추출법에 의한 에탄올 농도에 따라 추출되는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 종류나 함량이 달라진다는 결과가 여러 문헌(J. Korean Soc. Food Sci. Nutr.32(4), 501~505(2003)에 의해 알려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88-0001237호(선행문헌 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72568호(선행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3319호(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1395호(선행문헌 4)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중 선행문헌 1은, 꿀벌의 소상에서 채취한 프로폴리스를 그 중량에 대하여 3-4배의 추출용액으로서 에탄올을 혼합하여 48-72시간 방치하고 6-12시간마다 교반하여 프로폴리스의 엑기스를 추출하며 이를 여과하여 정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봉밀향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프로폴리스 성분 중에 수지류와 왁스류가 대부분인데, 이를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용기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취급과 복용에 많은 곤란함을 겪게 되고, 프로폴리스를 에탄올에 녹여서만 복용하게 되면 주세법과 상충될 뿐만 아니라 에탄올의 독성으로 인체에 해를 끼치게 된다. 또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색상이 탁하여 불량하며, 프로폴리스의 향기와 맛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자극적인 맛이 나며 유화제를 다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유화제 특유의 역겨운 맛과 향이 나는 단점이 있다.
또 선행문헌 2는, 프로폴리스의 70% 에탄올 조추출물에 동량의 물을 가하여 35%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층액과 하층액이 형성되면 그 상층액을 분리 회수하여 농도 2w/w%에서의 흡광도로 환산한 경우 600nm에서의 흡광도에 대한 310nm에서의 흡광도가 25,000 이상인 프로폴리스 추출정제물을 제조하며, 여기에 L-리신 또는 L-알지닌을 0.5~2w/v%되도록 가한 후, 냉동, 건조시켜 프로폴리스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에 의하면, 분리된 하층액을 제거하는데, 이는 상층부보다 하층부에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프로폴리스속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를 전체로 수득(收得)하기가 어려운 기술상의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3은 벌집에서 채취한 프로폴리스를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프로폴리스에 대하여 그 중량비 3배량의 주정을 혼합하는 단계; 주정 혼합 후 3시간동안 3회 환류한 후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3일 동안 -20℃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12시간 간격으로 여과기로 여과하여 왁스를 제거하는 단계; 여과된 용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식품첨가물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3에 의하면, 에탄올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가 곤란하며, 알코올이 식품에 함유될 경우에는 주세를 납부하여야 하고, 엑기스를 그대로 복용 시에는 컵의 기벽에 엉기어 붙기 때문에 유실되는 양이 많았으며, 복용을 하더라도 입의 천정과 치아에 흡착되어 복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4는 (i) 프로폴리스 원괴를 추출용매로서 알코올 또는 주정으로 추출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i) 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L-리신 모노히드레이트로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4에 의하면, 프로폴리스의 추출 수율이 낮고, 추출물 내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낮으며, 추출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로폴리스의 추출 방법은 프로폴리스 추출물내 활성성분인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수난용성 물질을 수용성 형태로 제조함에 있어 한계가 뚜렷하여 다양한 제형으로의 프로폴리스의 응용을 제한되고,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인 총 플라보노이드물질의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추출 효율이 떨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프로폴리스의 추출 및 숙성 기간에 따라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유효성분 함량이 달라져 일정한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프로폴리스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생리활성 기능물질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고순도 프로폴리스의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얻는 것이 필요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화를 위한 프로폴리스의 고순도 추출법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88-0001237호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봉밀향의 제조방법"(공개일자: 1988. 04. 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72568호 "프로폴리스 추출정제물의 분말 및 그 수용성액"(등록일자: 1998. 10. 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3319호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식품첨가물 제조방법"(공개일자: 2004. 05. 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1395호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분말의 제조 방법"(등록일자: 2006. 07. 0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능의 프로폴리스를 추출하기 위해 진공식의 교반방식으로 처리하는 추출방법과 오크통(OAK桶)을 활용한 저온 숙성공정을 꼼꼼한 관리공정을 통해 엄격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여러 유해미생물 균(菌)들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사멸시키는 한편,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을 유효적절하게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플라보노이드계 함량의 월등한 증가와 함께 미세왁스를 제거하는 여과공정에 의해 건강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풍미와 목 넘김이 편하면서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이 가능한 고급화된 프로폴리스의 품질획득을 통해 일반소비자의 건강증진과 소비촉진에 기여함으로써 고품질의 프로폴리스를 대량으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한 프로폴리스(propolis)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봉통에서 프로폴리스와 왁스 및 오염물질 성분 등이 혼합된 채집망을 수거하는 채취공정; 상기 채취공정의 채집망을 보관통에 수용하고, 저온에서 보관한 후 채집망으로부터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분리하는 보관공정; 상기 보관공정에서 확보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진공추출숙성기에 수용하여 70~100℃ 내외의 온도에서 살균한 뒤, 진공추출 숙성기의 온도를 30~60℃ 내외 범주로 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로 프로폴리스 원액 성분을 추출하고 숙성하는 진공추출 숙성공정;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에서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여과기에 수용하고, 여과기 속에서 프로폴리스 원액을 통과시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걸러내는 여과공정; 및 상기 여과공정에서 걸러낸 프로폴리스를 오크통에 수용하고, 음지(陰地)의 지하에서 저온으로 숙성하여 프로폴리스를 완성하는 저온숙성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관공정은 채집망에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하 20℃ 내외에서 1개월∼5년의 기간 동안 장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은 진공추출숙성기 상에 저온 보관된 프로폴리스 원괴 50∼70wt%와 70~80v/v% 농도의 에탄올 30∼50wt%를 투입한 후 60℃ 내외의 온도범위에서 1~3일 동안 살균 처리한 다음, 진공상태에서 30~60℃ 내외로 유지하여 1주~1개월 동안 교반하도록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압력유지기와, 회전되는 교반기와,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뒤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 숙성하여 프로폴리스 원액을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과공정은 여과기 상에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에 혼합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제거하도록 상온에서 유압을 통해 5∼20μ크기의 여과막에 통과시켜 걸러내는 1차 여과 및 1차 여과된 프로폴리스를 영하 80 ~ 영하 150℃ 내외 범위로 냉각시켜 여과막에 통과시킨 뒤 미세 찌꺼기를 걸러내는 2차 여과로 이루어지되, 2차 여과 후에 참숯으로 1∼30일간 중력을 이용한 추가여과방식을 더 수행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온숙성공정은 여과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1주 간격으로 교반이 가능한 오크통(OAK桶)에 수용한 뒤 영하 2℃ ∼ 영상 20℃ 내외와 습도 50% 내외의 환경 하에서 음지(陰地)의 지하에 1∼30년가량 숙성시켜 프로폴리스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능의 프로폴리스를 추출하기 위해 진공식의 교반방식으로 처리하는 추출방법과 오크통(OAK桶)을 활용한 저온 숙성공정을 꼼꼼한 관리공정을 통해 엄격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여러 유해미생물 균(菌)들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사멸시키는 한편,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을 유효적절하게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플라보노이드계 함량의 월등한 증가와 함께 미세왁스를 제거하는 여과공정에 의해 건강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풍미와 목 넘김이 편하면서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이 가능한 고급화된 프로폴리스의 품질획득을 통해 일반소비자의 건강증진과 소비촉진에 기여함으로써 고품질의 프로폴리스를 대량으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방법에 생산된 프로폴리스는 의약 원료를 비롯하여 기능성 식품원료와 음용원료 등의 여러 원료로 쓰이면서 자유로운 제형변화를 통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또 인체흡수가 용이하면서도 최저비용의 고부가성 물질을 대량의 가공형태로 양산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도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장치의 전체적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에서 진공 처리 및 진공 미처리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한 프로폴리스(propolis)를 추출하는 관하여 제안하며, 이러한 추출방법을 요약하면 프로폴리스 원괴(봉교) 채취, 저온 보관, 살균, 진공상태 숙성/추출, 여과, 저온 숙성과정 등을 거쳐 고 함량(高 含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품질 및 고기능의 프로폴리스를 대량으로 양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취공정(S10)은 양봉통(10)에서 프로폴리스와 왁스 및 오염물질 성분 등이 혼합된 채집망을 수거한다. 이는 프로폴리스 원괴가 되는 최초 원료의 대량 채취를 위하여 양봉통(10) 안에 프로폴리스 채집망을 설치한 뒤, 거칠고 밀납이 많은 상태의 프로폴리스 원괴를 채취하도록 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처럼 양봉통(10)의 채집판 상에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채취한다. 이때 프로폴리스 원괴에서 왁스와 이물질을 어느 정도 제거한 상태에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공정(S20)은 상기 채취공정(S10)의 채집망을 보관통(20)에 수용하고, 저온에서 보관한 후 채집망으로부터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분리한다. 보관공정(S20)은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수용한 다음 저온 보관하여 분리하는 공정으로서, 도 2처럼 품질 안정화를 위해 대략 영하 20℃내외의 저온냉동실에 보관한다. 이럴 때 종래의 일반 농가에서는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채취 후 그늘진 곳에 보관하다가 겨울철에 주로 분리 활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프로폴리스 원괴(봉교)가 채취된 채집망을 보관통(20)에 저온으로 먼저 보관한 다음, 채집망으로부터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분리하기 때문에 프로폴리스의 채취가 용이하면서도 프로폴리스 원료의 안정성이 높아져 프로폴리스의 품질이 매우 높아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세부공정에 의하면, 상기 보관공정(S20)에서는 채집망에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하 20℃ 내외에서 1개월∼5년의 기간 동안 장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관공정(S20)을 좀 더 살피면, 종래의 일반 농가에서는 프로폴리스의 원재료 채취 후의 과정이 제법 힘들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관통(20)에 채집망에 채취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수용한 다음, 영하 20℃ 내외의 저온냉동실에 1개월∼5년의 기간 동안 저장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프로폴리스만을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품질 또한 일정하면서도 프로폴리스의 효능 또한 매우 높아지는 결정적인 작용 ㆍ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은 상기 보관공정(S20)에서 확보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진공추출숙성기(30)에 수용하여 70~100℃ 내외의 온도에서 살균한 뒤, 진공추출숙성기(30)의 온도를 30~60℃ 내외 범주로 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로 프로폴리스 원액 성분을 추출하고 숙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은 프로폴리스와 에탄올을 혼합하여 살균한 다음 진공상태에서 교반 숙성하여 추출하는 공정으로서, 도 2에서처럼 프로폴리스와 에탄올을 진공추출숙성기(30)에 수용하여 인체에 해로운 여러 유해미생물 균(菌)등을 살균함으로써 프로폴리스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진공상태에서 교반하면서 숙성함으로써 프로폴리스 원괴에 다량으로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등의 유효물질이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세부공정에 의하면,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은 진공추출숙성기(30) 상에 저온 보관된 프로폴리스 원괴 50∼70wt%와 70~80v/v% 농도의 에탄올 30∼50wt%를 투입한 후 60℃ 내외의 온도범위에서 1~3일 동안 살균 처리한 다음, 진공상태에서 30~60℃ 내외로 유지하여 1주~1개월 동안 교반하도록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압력유지기와, 회전되는 교반기와,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뒤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 숙성하여 프로폴리스 원액을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은 진공추출숙성기(30)에 저온 보관된 프로폴리스 원괴 50∼70wt%와 70~80v/v% 농도의 에탄올 30∼50wt% 내외를 투입한 다음, 70~100℃ 내외 온도에서 1~3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2일 정도 살균하여 원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의 유해미생물 등을 살균함으로써 프로폴리스(11) 제품의 안정성을 높인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거친 다음, 진공추출숙성기(30)를 진공상태에서 30~60℃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식 교반방식으로 숙성하여 프로폴리스 원액을 추출토록 한다. 이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 및 알코올성분의 휘발 방지를 위해 진공장치(Mechanical Seal) 장착과 함께 자동교반 제어장치 설치하여 1주~1개월까지 추출 및 숙성이 가능해짐으로 인해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6.5~9.7까지 올라감으로써 일반적인 숙성의 플라보노이드 5.0 내외 보다 월등한 효과를 낸다. 덧붙여 본 발명의 진공추출숙성기(30), 즉 진공식 교반방식의 추출 진공추출숙성기(30)가 없을 경우에는 주정 함량이 30% 이상 휘발됨으로 인해 장기간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 추출 공정이 불가능해지는 애로가 있다할 것이다.
Figure 112021062732142-pat00003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공정(S40)은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에서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여과기(40)에 수용하고, 여과기(40)속에서 프로폴리스 원액을 통과시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걸러낸다. 여과공정(S40)은 추출된 프로폴리스 속의 고체 상태 왁스(또는 고형물)를 여러 차례 여과하는 공정으로서, 도 2에서처럼 숙성하여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여과기(40)에 여러 차례 통과시켜 이물질 및 왁스성분(또는 고형물)을 완전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프로폴리스를 추출 생산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세부공정에 의하면, 상기 여과공정(S40)은 여과기(40) 상에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에 혼합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제거하도록 상온에서 유압을 통해 5∼20μ크기의 여과막에 통과시켜 걸러내는 1차 여과 및 1차 여과된 프로폴리스를 영하 80 ~ 영하 150℃ 내외 범위로 냉각시켜 여과막에 통과시킨 뒤 미세 찌꺼기를 여과하는 2차여과로 이루어지되, 2차 여과 후에 참숯으로 1∼30일간 중력을 이용한 추가여과방식을 더 수행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3차례의 여과공정을 거쳐 프로폴리스 원액 안에 있는 이물질 및 왁스성분을 제거한다. 이때 여과기(40)는 유압식 압력을 이용한 압 이송으로 프로폴리스 원액을 여과막을 통과시킨 막 여과방식을 채택하여 여러 차례 여과한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먼저 1차여과로 여과기(40) 상에서 프로폴리스 원액을 상온에서 유압을 통해 5∼20μ크기의 여과막에 통과시켜 프로폴리스로부터 이물질 및 왁스를 1차로 제거해서 걸러낸 다음, 2차 여과로 1차로 여과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초 저온냉동고에서 영하 80 ~ 영하 150℃ 내외로 냉각시키고 여과기(40)에 다시 수용한 뒤 유압을 통해 5∼20μ크기의 여과막에 재차 통과시켜 이물질 및 왁스성분을 완전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프로폴리스를 생산한다. 이와 같이 여과기(40) 상에서 프로폴리스 원괴를 여러 차례 여과시킴에 따라 프로폴리스 원액 안에 있는 이물질 및 왁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용 시에 왁스 성분에 의한 텁텁함과 왁스 성분에 의한 건강의 위험성을 제거하게 되어 안전성은 물론 음용 시의 풍미감과 목 넘김이 편해져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도 가능하기에 품질의 고급화를 선도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있다 할 것이다.
이 밖에도, 1차 여과와 2차 여과 사이에 보다 순수한 프로폴리스를 생산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통에 참숯을 채운 뒤 2차로 여과된 프로폴리스를 부어 중력 여과방식으로 여과막에 통과시킨 다음 1일 ~ 30일 가량 중력여과방식으로 추가 여과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숙성공정(S50)은 상기 여과공정(S40)에서 걸러낸 프로폴리스를 오크통(50)에 수용하고, 음지(陰地)에서 저온으로 숙성하여 프로폴리스를 완성한다. 저온숙성공정(S50)은 여러 차례 여과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숙성하여 완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처럼 여과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오크통(50)에 저장하여 지하에서 저온으로 숙성하여 프로폴리스를 완성토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세부공정에 의하면, 상기 저온숙성공정(S50)은 여과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1주 간격으로 교반이 가능한 오크통(50)에 수용한 뒤 영하 2℃ ∼ 영상 20℃ 내외와 습도 50% 내외의 환경 하에서 음지(陰地)의 지하에 1∼30년가량 장기 숙성시켜 프로폴리스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온숙성공정(S50)은 오크통(50)에서 여과된 프로폴리스를 수용하여 영하 2℃ ∼ 10℃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음지(陰地)의 지하를 통해 1∼30년간 장기 숙성시켜 프로폴리스를 완성한다. 이때 오크통(50)은 5리터에서 300리터 정도의 크기로 대략 1주 간격으로 교반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오크통(50)은 여과 과정을 거친 프로폴리스 원액을 저장하여 코르크로 밀봉한 다음 영하 2℃ ∼ 영상 20℃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음지(陰地)의 지하에 비치하여 1~10년간 또는 10~30년간의 자연 숙성을 거쳐 프로폴리스를 완성하여 제품화한 뒤 출시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완성된 프로폴리스(11)는 진공식 교반 방식의 추출 숙성기를 통해 80% 에탄올(주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와인과 같이 오크통(50)에서 숙성할 경우 와인숙성과 버금가는 효과를 내게 된다. 즉, 오랫동안 숙성시킨 고급 프로폴리스의 경우에는 오크통(50)에서 주기적으로 회전시켜 줌으로 인해 프로폴리스가 골고루 숙성하기 때문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7% 이상, 항산화도가 20% 이상 증가되는 한편, 은은한 향의 나무 냄새가 살그머니 배어나올 뿐만 아니라, 산소와의 접촉을 통해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변화를 촉진시킴으로써 거친 향과 맛을 부드럽게 해주기 때문에 음용 시 풍미와 목 넘김이 한결 편해져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도 가능하기에 품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능의 프로폴리스를 추출하기 위해 진공식의 교반방식으로 처리하는 추출방법과 오크통(OAK桶)을 활용한 저온 숙성공정을 꼼꼼한 관리공정을 통해 엄격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여러 유해미생물 균(菌)들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사멸시키는 한편,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을 유효적절하게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플라보노이드계 함량의 월등한 증가와 함께 미세왁스를 제거하는 여과공정에 의해 건강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풍미와 목 넘김이 편하면서 알코올 성분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음용이 가능한 고급화된 프로폴리스의 품질획득을 통해 일반소비자의 건강증진과 소비촉진에 기여함으로써 고품질의 프로폴리스를 대량으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추출 방법에 생산된 프로폴리스는 의약 원료를 비롯하여 기능성 식품원료와 음용원료 등의 여러 원료로 쓰이면서 자유로운 제형변화를 통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또 인체흡수가 용이하면서도 최저비용의 고부가성 물질을 대량의 가공형태로 양산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도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양봉통 20: 보관통
30: 숙성기 40: 여과기
50: 오크통

Claims (5)

  1.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한 프로폴리스(propolis)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봉통(10)에서 프로폴리스와 왁스 및 오염물질 성분이 혼합된 채집망을 수거하는 채취공정(S10);
    상기 채취공정(S10)의 채집망을 보관통(20)에 수용하고, 저온에서 보관한 후 채집망으로부터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분리하는 보관공정(S20);
    상기 보관공정(S20)에서 확보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를 진공추출숙성기(30)에 수용하여 70~100℃ 내외의 온도에서 살균한 뒤, 진공추출숙성기(30)의 온도를 30~60℃ 내외 범주로 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로 프로폴리스 원액 성분을 추출하고 숙성하는 진공추출 숙성공정(S30);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에서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여과기(40)에 수용하고, 여과기(40)속에서 프로폴리스 원액을 통과시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걸러내는 여과공정(S40); 및
    상기 여과공정(S40)에서 걸러낸 프로폴리스를 오크통(50)에 수용하고, 음지(陰地)에서 저온으로 숙성하여 프로폴리스를 완성하는 저온숙성공정(S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성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정(S20)은 채집망에서 프로폴리스 원괴(봉교)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하 20℃ 내외에서 1개월∼5년의 기간 동안 장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추출 숙성공정(S30)은 진공추출숙성기(30) 상에 저온 보관된 프로폴리스 원괴 50∼70wt%와 70~80v/v% 농도의 에탄올 30∼50wt%를 투입한 후 60℃ 내외의 온도범위에서 1~3일 동안 살균 처리한 다음, 진공상태에서 30~60℃ 내외로 유지하여 1주~1개월 동안 교반하도록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압력유지기와, 회전되는 교반기와,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뒤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 숙성하여 프로폴리스 원액을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공정(S40)은 여과기(40) 상에 추출된 프로폴리스 원액에 혼합된 고체 상태의 왁스(또는 고형물)를 제거하도록 상온에서 유압을 통해 5∼20μ크기의 여과막에 통과시켜 걸러내는 1차 여과 및 1차 여과된 프로폴리스를 영하 80 ~ 영하 150℃ 내외 범위로 냉각시켜 여과막에 통과시킨 뒤 미세 찌꺼기를 여과하는 2차여과로 이루어지되, 2차 여과 후에 참숯으로 1∼30일간 중력을 이용한 추가여과방식을 더 수행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숙성공정(S50)은 여과된 프로폴리스 원액을 1주 간격으로 교반이 가능한 오크통(50)에 수용한 뒤 영하 2℃ ∼ 영상 20℃ 내외와 습도 50% 내외의 환경 하에서 음지(陰地)의 지하에 1∼30년가량 장기 숙성시켜 프로폴리스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KR1020200141739A 2020-10-29 2020-10-29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KR10230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39A KR102301355B1 (ko) 2020-10-29 2020-10-29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39A KR102301355B1 (ko) 2020-10-29 2020-10-29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355B1 true KR102301355B1 (ko) 2021-09-10

Family

ID=7777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739A KR102301355B1 (ko) 2020-10-29 2020-10-29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35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37A (ko) 1986-07-07 1988-04-22 문옥대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봉밀향의 제조방법
KR0172568B1 (ko) 1996-02-27 1999-02-18 김진하 프로폴리스 추출정제물의 분말 및 그 수용성액
KR20040043319A (ko) 2002-11-18 2004-05-24 거창군 (관리부서 : 거창군 농업기술센터)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식품첨가물 제조방법
KR200409835Y1 (ko) * 2005-12-08 2006-03-03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프로폴리스 추출기
KR100577732B1 (ko) * 2002-12-26 2006-05-08 거창군 (관리부서 : 거창군 농업기술센터)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0601395B1 (ko) 2004-11-04 2006-07-18 한국식품연구원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분말의 제조 방법
KR101952275B1 (ko) * 2017-10-25 2019-02-26 이렌바이오 주식회사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추출방법
KR20200022602A (ko) * 2018-08-23 2020-03-04 이선옥 숙성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바이오셀룰로오스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37A (ko) 1986-07-07 1988-04-22 문옥대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봉밀향의 제조방법
KR0172568B1 (ko) 1996-02-27 1999-02-18 김진하 프로폴리스 추출정제물의 분말 및 그 수용성액
KR20040043319A (ko) 2002-11-18 2004-05-24 거창군 (관리부서 : 거창군 농업기술센터)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식품첨가물 제조방법
KR100577732B1 (ko) * 2002-12-26 2006-05-08 거창군 (관리부서 : 거창군 농업기술센터)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0601395B1 (ko) 2004-11-04 2006-07-18 한국식품연구원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분말의 제조 방법
KR200409835Y1 (ko) * 2005-12-08 2006-03-03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프로폴리스 추출기
KR101952275B1 (ko) * 2017-10-25 2019-02-26 이렌바이오 주식회사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추출방법
KR20200022602A (ko) * 2018-08-23 2020-03-04 이선옥 숙성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바이오셀룰로오스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1851A (zh) 一种大蒜素的提取方法
EP2285390A1 (fr) Procede d'obtention d'un extrait de marc de canneberge utilisable notamment dans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affections telles que caries, gingivites, maux de gorge
JP2009296988A (ja) ユーカリ抽出物の調製方法
KR101403511B1 (ko) 친환경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제조방법
US11304983B2 (en) Medicated honey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102301355B1 (ko) 고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고기능 프로폴리스의 다량 추출 제조방법
CN103446035B (zh) 纯天然蜂胶洁面乳
EP3675960A1 (fr) Composition pour son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et/ou la prevention de l'infertilite
KR101661495B1 (ko) 천연 벌꿀을 이용한 친환경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CN105920044B (zh) 一种水螅干细胞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30069500A (ko)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CN110227056A (zh) 一种蜂胶口腔清新剂及其制备方法
CN104288344A (zh) 一种普洱茶提取物在制备调节肠道菌群及通便的药物或食品中的应用
RU2550954C2 (ru) Способ иммуномодуляции человека
JPH0532555A (ja) ステビア系内服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7978A (ja) 育毛剤
JPH03209330A (ja) 3α−ヒドロキシ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活性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活性剤
CN111772141A (zh) 一种蜂蜜花粉膏及其制备工艺
EP0489144A1 (fr) Lyophilisat de potiron doux hybride et medicaments le contenant
JP2000060455A (ja) ローヤルゼリーエキス及びローヤルゼリーエキス含有製品の製造方法
CN114432222B (zh) 一种用于口腔护理的水剂及其制备方法
CN101884667A (zh) 一种含聚乙二醇十二羟基硬脂酸酯的香丹药物注射制剂及其制备方法
JP2014012646A (ja) ニムフェオ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
CN102908390A (zh) 含有粗多糖的五味子蓝靛果口服液的制备方法
CN101897756B (zh) 一种含聚乙二醇十二羟基硬脂酸酯的银黄药物制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