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500A -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 Google Patents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500A
KR20030069500A KR1020020009156A KR20020009156A KR20030069500A KR 20030069500 A KR20030069500 A KR 20030069500A KR 1020020009156 A KR1020020009156 A KR 1020020009156A KR 20020009156 A KR20020009156 A KR 20020009156A KR 20030069500 A KR20030069500 A KR 2003006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fruit
tree
extracting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심
Original Assignee
윤광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광심 filed Critical 윤광심
Priority to KR102002000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500A/ko
Publication of KR2003006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8Addition of flavour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기 위하여 승정도우핀(Masui Dauphine), 봉래시 또는 화이트제노아종 등의 무화과를 발효시키기 위해 무화과 열매, 무화과나무 톱밥 그리고 무화과 잎 부피당 1-20배 이상 가량의 알코올 및 소주 그리고 고랑주, 막걸리를 첨가하고 그리고 무화과를 발효시킨 종초를 첨가하여 발효공정을 거친 다음 착즙하여 제균시킨 후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무화과식초 액을 이용하여 무화과 착즙액 및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 추출액 등을 0.1-20중량% 함유하거나 무화과 착즙액 및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 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의 분말 또는 분쇄 물을 무화과와 (1: 3-무화과)비율로 하여 온도를 25-45도씨의 범위 이내로 유지하면서 발효시켜 착즙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무화과 식초에 0.1-20% 함유하는 한방 무화과식초를 60-90도씨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30분간 살균하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화과 식초는 산도가 높고 활성 성분이 보존된 한약재 향과 맛 및 기호도가 우수하여 식용가능하며 이를 피부질환 치료용도로 아토피성 치료와 무좀균이나 습진 등 피부 질환에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발에 무화과 한약재 식초를 바를 경우냄새가 없어지는 효능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The preparation of fermentation Fig-vinegar using korean drug agent and fig fruit}
본 발명은 무화과 열매, 잎과 나무는 잘게 썰거나 분쇄하여 증류수 및 알콜을 넣고 그리고 종초를 첨가하여 일정시간동안 발효시킨 다음 무화과 식초를 제조한 후 한약재료를 직접 알코올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한약에 존재하는 한약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농축하여 무화과 식초에 약용량 첨가하거나 그리고 무화과 열매와 한약재를 혼합하고 발효시켜 무화과 한약재 식초를 제조하고 이를 무화과 식초에 첨가하는 무화과 한방식초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재배해온 무화과는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 약용으로 널리 사용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활성이 높은 과일로 기록되어 있다. 식초는 과일 속의 여러가지 비타민류와 당도 향기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과일의 당도가 높아야 하며 왕성한 영양성분이 있어야 한다. 이와같은무화과 식초 개발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활성성분이 함유된 식초가 개발된다면 더욱 좋다 할 수 있겠다. 첫 방법은 건조 무화과 열매를 원형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무화과나무를 톱밥 형태로 잘개 분쇄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각 용기에 담근 후 알코올 또는 소주, 막걸리를 첨가하여 발효하며, 그리고 다양한 온도에서 살균과 저장이 무화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큐베이터에서 42일 동안 저장하며 미생물, 이 화화적 및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15일 이상 저장시 안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인 30일 이후 무화과 식초의 pH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일반세균과 효모, 곰팡이의 검출결과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화과식초는 살균온도 보다는 저장온도에 의하여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조 무화과를 발효시켜 맛, 향과 색깔을 갖는 청정된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둘째 방법은 무화과 열매는 원형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무화과나무는 잘개 자르거나 톱밥을 내어 용기에 담은 후 사용원료의 약 3-12%의 알코올 즉 소주, 막걸리를 이용하고 이어서 무화과 초등의 종초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다음 제균시키고 한방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는 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한약재료인 무화과 착즙액 및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 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을 이용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첨가하여 무화과 한약 식초의 산도와 맛을 개량하거나 일정량 첨가하여 약제성분 및 향 등을 개선하고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한약재료를 이용하여 무화과나무 가공물로 무화과 톳밥, 잎 열매, 발효시켜 거르고 농축하여 첨가하는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식용으로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 무좀에 처리할 경우 우수한 항진균 효험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또 상기에서 제조한 성분으로 발무좀이나 발에 바르면 각질제거와 함께 무좀균이 고사하고 아토피성치료효능이 우수하며, 그리고 바를 경우 발 냄새가 없어지는 사실을 발견하여 제조 방법이 개발되어 출원하고자 한다.
즉 무화과는 오랜 전통식품으로 전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완전한 무공해 과일로 성인병 예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등 식품학적 가치가 뛰어나며 무화과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피신(Ficin)과 미네랄 등의 여러 가지 항미생물 활성물질이 많이 존재하여 무좀 및 구충제로도 활용되고 있는바 그 약리효과가 인정되며 따라서 무화과 열매를 발효시켜 활성물질을 함유한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고 또 활성 약용 한약재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농축하여 한약재 성분을 첨가하여 한약재 함유 무화과 식초를 제조한다. 그리고 무화과와 한약재를 동시에 발효시켜 무화과 자체만으로 제조된 무화과 식초의 활성물질과 그리고 향미 이 취 등을 개선함으로서 식초뿐만이 아니라 약용식초를 제조하여 이들 무화과 한약식초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 항균 활성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무화과 한약식초 가공에 이용하여 항진균 및 항균력이 탁월한 무독성 바이오 천연 무화과 한방식초 제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다양한 피부질환 치료효능을 확인하고 무화과 한약재 식초 배합 비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무화과 식초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재배해 온 무화과는 생과나 쨈 등으로 제조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는 천연 무공해 과일이다. 동의보감에서도 무화과는 약용으로 널리 사용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당도 및 활성도가 높은 과일로 기록되어 있다. 무화과 (Ficus carrical L)는 당도가 다른 과일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 가공식품으로 널리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무화과는 1990년경에 전남 영암군 지역 특산물로 장려 재배되어서 생과 일의 생산량이 증가하여 잼이나 식초 등의 무화과 가공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무화과는 다른 과일과는 달리 전혀 농약을 쓰지 않는 완전한 무공해 과일로 성인병 예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등 식품학적 가치가 뛰어나며 무화과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피신(Ficin)과 비타민 그리고 미네랄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무화과는 예로부터 우리 선조 들은 무화과를 항아리에 넣어 자연 발효시킨 무화과 식초를 가정의 기초 조미료로 사용하여 왔다. 무화과 식초는 원액 그대로 먹거나 우유, 냉수, 꿀물 등에 적당량을 타서 마시면 피부노화 방지 및 피로회복, 숙취제거를 위한 훌륭한 음료가 된다. 특히 무화과에는 베타시스테롤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 물질은 체내에서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콜레스테롤 저하, 부인병, 복통, 심장병 등의 성인병과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양질의 식초가 만들어지기 위에서는 우선 과일의 당도가 높아야하며, 왕성한 영양성분이 있어야 맛이 좋은 무화과 식초가 형성되어 식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무화과 식초가 개발이 안된 것 중 문제점은 무화과 식초가 일반사과 식초나 감식초 그리고 일반 곡식을 이용한 식초와는 달리 멜라닌 색소로 인해서 식초 색상이진한 검정 갈색이고 냄새가 역겨우며 수은 냄새가 나는 등 상품가치가 현저히 떨어져 상품학적 가치와 맛이 저하되어 상품화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약재를 이용한 무화과 식초를 개발하였다. 즉 먼저 무화과를 건조시킨 다음 유리병에 장시간 놓아두면 무화과의 향기와 무화과의 활성 성분이 발효되어 무화과 식초로서 독특한 맛을 내고 까만 진갈색 색상은 활성 탄이나 백토를 이용하여 진 갈색을 탈색하여 깨끗한 무화과 식초를 제조할 수있다. 그리고 무화과 식초의 수은 냄새는 카본이나 한약재를 첨가하여 냄새를 개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화과 생과 착즙액 및 무화과 추출액 그리고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 한약재 추출 액을 약용량 첨가하거나 또는 상기 한약재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한약재를 무화과와 직접 발효시켜 착즙액을 첨가함으로써 한약 고유의 성분이 함유된 한약 냄새가 나는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한 다음 미생물을 효소를 불 활성화시키고 생성된 발효 한약재 액을 무화과 식초에 0.1-20% 첨가하여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한약재를 분쇄 착즙에 사용되는 유기용매 및 추출용 유기용매로서 물,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디에틸에테르, 아세틱에시드, 클로로포름,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디클로에탄, 사염화탄소 노르말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이를 상기 무화과식초에 첨가하거나 혼합 발효과정에 이용하여 한약재 무화과 식초를 제조한다.
특히 제조된 무화과 자체 발효식초는 산도가 5.93 이상이었으며, 여기에 한약재 추출액 및 발효 액을 첨가하여 맛과 향취가 뛰어나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맛 좋은 식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조한 무화과 한약재 식초는 무화과 식용식초 뿐만이 아니라 피부질환 치료제로 가능하며 특히 발무좀 치료에도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 예로 (출원번호 1019990052166)에 의하면 각종 과일류 및 약제 식물체 또는 동물체를 추출하여 양조식초 제조에 따른 기능성 식초로 본 발명 내용과는 제조방법 및 공정이 다르며 각종 과일류 추출에는 추출 후 착즙이 어려우며, 특히 동물체를 추출하는 방법은 아미노산류 함유로 인해 부패 혼입이 클 수 있으며, 단백질 등의 식초내 2차 산 패로 인해 냄새와 색상 그리고 위생상 불결한 방법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무화과 식초를 이용한 약용 한약재함유 무화과 식초제조이며, 특히 효능 면에서 식용뿐만이 아니라 신발에 있는 고약한 냄새를 없애주는 등 악취제거 효능이 있으며, 기타 피부질환으로 습진 균 및 무좀균 치료 효능을 발견하였다.
특히 일반 피부질환 치료제인 항진균제는 화학합성 요법 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중 한 예로 쟌센사에서 개발한 케토코나졸 및 이트라코나졸 등은 칸디나 및 피부 사상균에 의한 백선(무좀), 지루성 피부염, 완선, 전풍등에 적용하는 광범위 항진균제로서 심재성 진균증 그리고 표재성 진균증에도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4,335,125 호 참조). 또 한편으로 국소투여에 의한 진균성 피부 질환 치료에 적합한 약제조성물, 특히 극소 적용 약제 조성물로서 용액제, 페이스트제, 연고제 등의 조성물 및 화장품류,즉 스킨 밀크로숀 등의조성물 체제가 공지되어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 90-17590호) 그러나, 이러한 화학합성 제재들은 진균간염이 혈관 분포가 적거나 또는 전혀 없는 손톱 및 발톱,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발생하므로 충분한 양의 약물을 분포 및 축적시키기 곤란하며, 심재성 진균중 같은 경우 약물이 깊이 투과시키기 어렵고 또 이러한 종전의 합성 물질들은 케토코나졸을 장기간에 걸쳐 경구 투여하게 되면 간 독성 과 위장장애 등 부작용이 유발되며, 많은 항진균 제재들이 일반적으로 비극성 물질로 극성인 물에는 녹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크다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국소적용 약제 조성물로서 이들 약제 조성물은 피부의 외부가 넓은 경우 많은 양의 약물이 요구되며, 바르는 양에 따라서는 피부질환 백선 등에는 국소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한 점이 있으며 이물감 및 불쾌감을 야기하고, 적용후 점성이 높은 반고형제의 경우(예: 연고제, 크림제) 피부에 잔존하는 약제 조성물이 피복 물에 달라붙어서 불쾌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극성에 대한 용해도면에서 현저하게 난용 성으로 특히 물에는 불용성이며, 알코올에도 현저하게 낮은 용해도를 갖고있다. 그래서 피부연고제로 국한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액체 샴푸제 등은 불 균일성 형상으로 약효 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제재를 용액으로 적용한다 해도 물에 극히 난용 성인화합물로 제한적인 약효에 따른 극한적 범위를 벗어나지 못 할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현재 천연과일로 먹을 수 있는 활성성분이 많은 천연 무화과 열매나 잎 그리고 무화과나무에서 강력한 항균성 및 항진균성 활성물질을 갖는 약용 화합물을 추출하여 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피부질환 치료제로 효험이 우수하여 이를 이용한 부작용이 없는 한방 약용식초 제조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의 무화과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독(그릇)에 담그고 이를 강제 또는 자연 발효시켜 검정색상인 수은 냄새가 나는 역겨운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는 비위생적이고 공정 처리가 복잡하여 실용화가 안된 무화과 식초개발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기존 감 식초나 사과 식초와는 달리 당도와 생물학적 활성도가 뛰어나 무화과 식초 개발로서 기존 식품제조 방법들을 개선하여 무화과를 이용하여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무화과 식초에 무화과 유즙액 및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사자, 오이풀, 마늘, 추출액 그리고 포로폴리스 등을 0.1내지 20.0중량 부를 함유하는 희석 무화과 식초 제조와 또한 상기에 전술한 한약재를 이용하여 무화과와 무화과나무 톱밥의 비율이 약 2:1 비율로 알코올 및 종초 그리고 증류수를 50배 첨가하여 25-40도씨의 범위에서 200시간 이상 발효시킨 다음 거르고 이 용액을 60-90도씨에서 1-30분 동안 멸균처리 한 다음 거르고 무화과 식초에 첨가하여 무화과 한방식초를 만들어 식초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과 향을 서로 보충하게 되어 맛과 활성성분 그리고 향이 좋은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였다.
기존의 과일 식초는 정균 작용은 있으나, 진균류 및 항균류에 기인한 각종 피부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약하여 거의 치료용으로는 기대 할 수 없다. 특히화학합성 요법제로 알려진 케토코나졸과 이트라코나졸 등의 진균 제를 이용한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역시 장기간 동안 사용할 때 피부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극성에 대한 용해도면에서 현저하게 난용 성으로 인한 불 균일성 현상으로 약효 등을 발휘할 수 없다 할 수 있다. 그래서 설령 이러한 제재를 피부질환인 무좀 치료제에 적용한다 해도 물에 극히 난용 성인 화합물로 .약효는 응집에 따른 극한적 범위를 벗어나지 못 할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현재 천연과일로 먹을 수 있는 무화과 열매나 잎 그리고 나무를 이용하여 추출 및 발효시켜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였다. 따라서,본 발명은 앞에서 기술한 기존 제조방법인 국소적용 약제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의 발효 무화과 식초에 천연 항진균성 및 항균성 효험이 있는 성분들을 한약제로부터 활성물질을 추출하여 무화과식초와 약용량 혼합하여 무화과 식초가 갖는 부족하기 쉬운 생물학적 활성 효능을 향상시켜 아토피성 질환 치료와 피부 무좀 및 진균 그리고 항균증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무화과 약용식초 조성물과 그리고 한약재 성분과 무화과를 일정량 발효시켜 제조한 무화과 식초를 무화과 식초에 첨가하여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화과 열매를 무화과나무 톱밥을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무화과와 발효시키거나 발효 무화과 식초를 이용하여 여기에 한약재를 약용량 첨가하여 약용 무화과 식초를 조제한다. 바람직한 온도는 저온인 25-64도 범위에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용식초 조성물은 무화과의 유효성분으로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무화과 분리 성분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바이오 천연 한방 무화과 식초 제재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인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무화과 분리 성분은 무화과 식초에 0.05 내지 20중량부, 바람직 하게는 0.1 내지 12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좋다.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무화과 분리 성분을 0.05 중량부이하 첨가하는 경우는 피부질환 치료 효과가 미약하고, 20중량부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화과 식초 기능을 넘어 약제 기능성이 증가하여 식초로서의 기능을 잃어서 천연 식초 제재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한 온도는 온도를 25-45도씨의 범위 이내로 유지하면서 발효시켜 착즙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무화과 식초에 0.1-20% 함유하는 한방 무화과식초를 60-90 도씨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30분간 살균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한약재 식초 제재 조성에 있어서 천연 식초 제재는 무화과 자체에 함유하고 있는 무화과 추출물 및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40중량부 까지 혼합 가능하다.
제 1도는 무화과 식초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제 2도는 한약재 추출공정과 이를 이용한 한방식초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무화과 한방식초제조에 승정도우핀(Masui Dauphine), 봉래시 또는 화이트제노아종 등의 무화과 열매를 건조하여 약 3-12%가량의 일반 알코올과 소주, 곡주 그리고 고랑주 등에 담구어 발효시킨 식초에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 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을 전술한 방법에 의한 무화과와 한약재 혼합재료에 의한 발효 한약식초 또는 한약재 추출액 0.05-20.0%를 함유하는 무화과 식초제조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첨가 액에 따른 범위를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발명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 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공정별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술개발 내용 및 범위
1). 본 실험에 시료로 이용한 무화과(Ficus carica Linn)는 전남 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인근 지역의 특산물로 재배 생산되고 있는 (Ficus carica Linn. var. hortensis Shinn) 승정도우핀((Masui Dauphine)과, 봉래시, 그리고 화이트제노아종의 잎이나 열매를 각각 채취하여 실험하였다.
2). 용매를 이용한 한약재 추출 및 발효방법 그리고 제조
한약제료 각각 10 Kg을 기준 하여 그대로 또는 분쇄하거나 1 Cm크기로 잘라 생과 그대로 이용하여 지하수 또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부피비 1.5-2배 분량의 각 용매를 가하여 상온에서 약 3개월 동안 침적법, 또는 앞착법등으로 추출하고 뷰크너펀넬(Bchner funnel)로 흡인 여과하여, 추출 액을 혼합하여 30∼60℃에서 감압농축기 (Bchi RE 121, Switzerland)를 사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한 후 시료로 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3). 제조 공정별 분류
1. 무화과 열매나 잎, 나무를 이용 알코올, 증류수, 종초 등을 이용하여 발효식초개발 및 제조 공정법
2. 한약재인 무화과 착즙액 및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 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을 소주 및 유기용매 추출 후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화과 식초에 첨가하는 한방 무화과식초 제조방법
3.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의 분말을 무화과 나무, 잎, 무화과 열매와 혼합하여 발효시켜서 착즙한 혼합용액을 이용한 무화과 식초 제조에 첨가하여 무화과 한약재 식초를 제조하는 방법
4. 기존의 무화과 식초에 한약재 성분 및 무화과 식초를 이용 피부 무좀 및 진균 그리고 항균증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식초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천연 무화과 추출액 및 한약재 추출 액을 약용량 첨가한 배합 비에 따른 천연무화과 한방식초 제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항균실험에서 무독성 바이오 천연무화과 한약재 함유 한약재 식초 제재의 최소성장억제 농도는 대조 식초 및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무화과 분리 성분원료보다 현저히 낮았다. 이로부터 무화과 식초와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무화과분리 성분 원료 사이에는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화과식초 조성물은 기호도, 당도, 향, 색상 등 활성 성분 보존성 등으로 기능성 무화과 한방 식초가 되어 맛의 효과가 우수하며 산도가 증가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용무화과 식초 조성물은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아토피스 피부질환과 피부무좀 및 진균 그리고 항균 등의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발효공정에 의한 무화과 식초의 성분 분석표
디오넥스( Dionex)사 미국제 기기이용
컬럼 유기산-ICE-ASI BIO-LDX50
1. 34204.67 mg/Kg 제조용액
2. 희석배수: 101.4404배
3. 적정산도: (초산: 0.06) 5.9253%
4. 트런스미턴스(Transmitance)(660nm) 55.4이상
무화과 식초 효과 확인 임상 실험
무화과 식초에 관한 임상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좀균 병이 많은 20∼40대 실험자 20명(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피시험자로 선정한 뒤 실시예 1 (실험군)과 비교예 1(대조군)의 무화과 식초로 1일 1회 2주간 발에 사용하도록 하여 무좀치료 효과와 아토피성 피부질환 효과를 파악하였다.
판정 방법은 일정한 등급을 매긴 후, 육안 관찰에 의해 무좀치료 및 발의 가려움증 감소와 발냄세 감소를 확인하였다.
판정기준은 도면5와 같으며, 무좀치료 효과는 [도면6]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무화과 식초 제조에 전남 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일대에 재배 생산되고 있는 승정도우핀(Masui Dauphine), 봉래시 또는 화이트제노아종의 무화과 열매나무, 잎을 각각 채취하여 생과를 세척하여 건조시켜 시료로 하였으며, 한약제료는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무화과 식초 우량균주 동정
공시균주 : 무화과-A(무화과 종초에서 분리한 균주), 쌀 막걸리-B(쌀 막걸리에 종초에서 분리한 균주). 동정방법은 베르게이스 메뉴얼 (Bergey's Manual)과 메뉴얼 방법(Manual Method)법에 준함.
[실시예 3]
무화과식초 재료별 품질비교 시험 및 처리방법
공시재료 : 무화과 과즙, 무화과 파쇄물. 공시균주 :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 처리방법 : 착즙액 30% 파쇄물 100% 파쇄물 50%이며. 배양용기는 20ℓ PVC 용기를 사용하며, 배양온도는 28-30℃이다. 그리고 배양방법은 정치 식이다.
[실시예 4]
시료 분석
디오넥스(Dionex)사 미국제
컬럼 유기산-ICE-ASI BIO-LDX50
1. 34204.67mg/Kg 제조용액
2. 희석배수: 101.4404배
3. 적정산도: (초산: 0.06) 5.9253%
4. 트런스미턴스(Transmittance)(660nm) 55.4% 이상
제조 실시예 1
잘 익은 무화과를 원료로 사용해야 당도도 높고 색깔이 고운 무화과 식초가 된다. 세척 : 무화과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 및 유해세균을 없애준다. 물기제거 : 헝겊으로 닦거나 그늘에서 하루정도 말려 물기를 제거한다. 무화과를 도가니에 넣고 밀봉한 뒤 따뜻한 방안에서 1일 가량 두면 발효가 된다. 으깨기 및 채로 거르기 : 무화과를 으깨어 채로 거르면서 껍질은 제거하고 무화과 펄프를 만든다.
무화과 펄프를 항아리에 담은 뒤 비닐을 덮고 1∼2일 가량 지나면 알코올발효가 진행되는데 이때 20℃정도로 온도를 맞출 경우 10일이면 알코올발효가 완료되며 무화과펄프의 비 발효성 찌꺼기는 발효 액의 상부로 떠오르고 발효 액은 아래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알코올 발효가 끊난 무화과 펄프를 면포에 담아 착즙하여 초산발효를 위한 무화과 알코올 발효 액을 얻는다. 초산발효: 초산균은 호기성세균이므로 초산발효 중에는 다량의 공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공기를 주입해 주어야 하며 발효온도는 초산균의 생육적온인30℃가 가장 좋겠지만 25℃이상이라면 무화과 식초를 만들기에는 충분하다. 발효종말 점은 맛을 보아 새콤한 맛이 나면 발효가 다된 것인데 보통 1달 정도면 발효가 완료된다. 숙성 : 초산 발효가 완료된 무화과 식초를 80℃에서 10분간 살균시켜 3달 이상 숙성시키면 이 물질이 바닥으로 가라앉으면서 숙성 액은 투명한, 연한 갈색을 띠는 새콤한 무화과 식초가 된다.
제조 실시예 2
무화과 식초 농도 구명시험
가. 발효중 산도의 변화는 발효 8일째부터 4.0% 이상으로 식초의 기준을 넘었으며 처리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조 실시예 3
무화과를 통체로 넣고 짜낸 무화과 잔사(찌꺼기)에 물을 약 3배 가량 넣고 희석한다.(무화과 즙액 250 ㎖+물 750 ㎖ +기타 무화과 착즙액 첨가))
② 희석한 무화과 과즙 액에 초산2%, 알코올4%을 넣어준다.(무화과 과즙 희석액 940 ㎖+초산20 ㎖+알코올 40 ㎖)
③ 조제된 무화과 과즙 액을 유리병에 넣고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한냉사로 뚜껑을 덮은 후 30℃ 정도의 따뜻한 곳에 두고 2∼3일에 한번씩 잘 저어 준다. ④ 30∼40일후 발효가 완료되면 윗부분 2/3정도를 따라서 식초로 이용하고 다시 무화과 과즙 희석 액을 보충하여 준다.
제조 실시예 4
한약재 생강, 당귀, 황련,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을 각각 10 Kg(수분함량 30%)을 무화과의 약 부피비율로 1.5-2배 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5-60도하의 온도에서 약 10-30일 방치하면 충분히 한약재 활성성분이 추출되어진다. 이때 보다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20-100일 정도까지 추출해도 좋다. 추출 액 활성탄 300g를 첨가하여 약 40도에서 약 20-40분간 저어준 다음 여과하여 추출 액을 얻은 다음 광투과도 70%이상으로 미세여과한다. 살균은 약 90±4℃로 5초간 처리하여 품질과 빛깔을 방지하며, 일반적으로는 60-90도씨에서 1-30분간 멸균 처리한다. 그리로 용액을 50도에서 감압농축하여 분해를 방지하여 강압농축 한 다음 다시 무화과 초산을 가해 용해시킨 다음 결정화합물은 제거하고 여액을 무화과 초산에다 0.05-20% 중량부 혼합하여 무화과 한방 식초를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 5
제조실시 예 1에서 한약재 각각 10 Kg(수분함량 30%)을 무화과의 부피비율로 약 1.5-2배 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5-60도하의 온도에서 약 20-60일 방치하면 충분히 한약재 활성성분이 추출되어진다. 이때 보다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20-100일 정도까지 추출해도 좋다. 추출 액 활성탄 350 g을 첨가하여 약 40도에서 약 20-40분간 저어준 다음 여과하여 추출 액을 얻은 다음 광투과도 70%이상으로 미세여과한다. 살균은 약 90±4℃로 5초간 처리하여 품질과 빛깔을 방지한다. 그리로 용액을 50도에서 감압농축하여 분해를 방지하여 감압농축 한 다음 다시 무화과 초산을 가해 용해시킨 다음 결정화합물은 제거하고 여액을 무화과 초산에다 20% 중량부 혼합하여 무화과 한방 식초를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 6
제조실시 예 1의 한약재 각각 10 Kg(수분함량 30%)을 무화과의 약 2-20배 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5-60도하의 온도에서 약 20-60일 방치하면 충분히 한약재활성성분이 추출되어진다. 이때 보다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20-100일 정도까지 추출해도 좋다. 추출 액 활성탄 400 g을 첨가하여 약 40도에서 약 20분간 저어준 다음 여과하여 추출 액을 얻은 다음 광투과도 70%이상으로 미세여과한다. 살균은 약 90±9℃로 5초간 처리하여 품질과 빛깔을 방지한다. 그리로 용액을 50도에서 감압농축하여 분해를 방지하여 강압 농축한 다음 다시 무화과 초산을 가해 용해시킨 다음 결정화합물은 제거하고 여액을 무화과 초산에다 10% 중량부 혼합하여 무화과 한방 식초를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7
무화과나무를 가공한 무화과 톱밥 10 Kg(수분함량 15%)을 무화과나무 톱밥의 약 2-5배 량의 무화과 열매를 첨가하여 부피비율로 약 1.5-2배 가량의 물과 에탄올을 첨가하여 20-100일 정도 방치하여 발효한 다음 약 5℃정도의 냉장온도에 약 2-5일간 방치하여 부유물질을 침전시킨 후 상층의 액만 사이판을 사용하여 딸아내는 래킹(racking)공정을 거치면 다음에 여과를 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래킹이 끝난 후미세여과를 행하는데 미세여과는 구멍의 크기가 0.45 ㎛인 여과막(membrane filter)인 0.45㎛의 여과 막을 사용하면 부유물의 제거는 물론이고 제균도 가능하여 가열의 살균조작이 필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미세여과를 거치면 그 투과도가 80-90%인 맑은 무화과 식초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살균 및 불활성화 효소처리 온도 약 72±9℃로 처리하여 품질과 빛깔을 방지한다.
제조 실시예 8
무화과 펄프를 항아리에 담은 뒤 비닐을 덮고 1∼2일 가량 지나면 알코올발효가 진행되는데 이때 20℃정도로 온도를 맞출 경우 약 30일이면 알코올발효가 완료되며 무화과 펄프의 비발효성 찌꺼기는 발효 액의 상부로 떠오르고 발효 액은 아래에 고이게 된다. 알코올발효가 끝난 무화과 펄프를 면포에 담아 착즙하여 초산발효를 위한 무화과 알코올 발효 액을 얻는다.
제조 실시예 9
초산균은 호기성세균이므로 초산발효 중에는 다량의 공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공기를 주입해 주어야 하며 발효온도는 초산균의 생육적온인 30℃가 가장 좋으나 25℃이상이면 무화과 식초를 만들기에는 충분하다. 발효 종말 점은 맛을 보아 새콤한 맛이 나면 발효가 다된 것인데 보통 1달정도면 발효가 완료된다. 숙성 : 초산 발효가 완료된 무화과 식초를 80℃에서 10분간 살균시켜 3달 이상 숙성시키면 이 물질이 바닥으로 가라앉으면서 숙성 액은 투명한, 연한 갈색을 띠는 새콤한 무화과 식초가 되며, 미세여과를 통하여 제품의 정제와 제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조 실시예 10
상기 제조예 6에서 제조한 무화과 식초에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 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 사자, 오이풀, 마늘, 포로폴리스 등 알코을 추출물을 농축하여 첨가하고 한약재 추출 액을 무화과 식초에 0.05%-20%첨가하여 당도 및 영양성분이 보충된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고 한약재와 무화과 맛을 가미한 맛 좋은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였다. 색도 측정결과 파쇄물 50%가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향기, 색깔, 신맛, 이 취, 종합적인 맛 등에서 착즙액 30%가 가장 높았으며 파쇄물 50%, 파쇄물 100%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 실시예 11
(중량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4.0
한약재 추출액 2.0
무화과 발효식초 90
포로폴리스 0.3
에탄올 3.7
제조 실시예 12
(중량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5.0
한약재 추출액 2.0
무화과 발효식초 90
포로폴리스 0.3
에탄올 2.7
제조 실시예 13
(중량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10
한약재 추출액 2.0
무화과 발효식초 80
포로폴리스 1.3
에탄올 6.7
제조 실시예 14
(중량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1.0
한약재 추출액 3.0
무화과 발효식초 95
포로폴리스 0.3
에탄올 0.7
제조 실시예 15
(중량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3.0
한약재 추출액 3.0
무화과 식초 91.8
포로폴리스 0.2
에탄올 2
제조 실시예 16
(중량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4.0
한약재 추출액 5.0
무화과 발효식초 90
포로폴리스 0.05
상기 성분들을 혼합 기에서 잘 혼합한 후 무화과 식초 제조 기계에서 압출하고 일정한 부피로 조절하여 무화과 한방식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예에서 제조한 무화과 한약재 식초 조성물의 진균 및 항균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균력 시험, 무좀 치료 효과 확인 임상실험을 하였다.
제조실시예 17
무화과 500 g에 소주 25%용 400-600 ml을 첨가하고 종초 50 ml-100 ml를 첨가하여 25-30도에서 발효시킨다. 10일 까지는 알코올 7% 를 첨가하여 무화과 식초를 제조한 다음 효소를 불 활성화시키고 거른 다음 상기 무화과 식초액 85%와 한약재 무화과 혼합 발효 농축액 추출성분 2% 와 한약재 추출액 5%를 첨가한 다음 프로폴리스 0.3% 를 첨가하여 한약재 무화과 한약식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한방 무화과 식초 및 무화과 식초 화합물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MIC in vitro )항진균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무화과 식초(A) 및 무화과 한약재 식초(B)의 항진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 설명하는 바에 따라 실험하였다.
무화과 식초 및 무화과 한약재 식초 화합물의 효과 검증에 G(-)균으로 에세리시아 콜라이(Escherichia coli)ATCC 10536,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G(+)균으로 스테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TCC 25923,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ATCC 6633, 진균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에지(Saccharomyces cervisia) ATCC 9763, 아스퍼 길루스 나이거 (Aspergiiius niger) 9029, 칸디다 알바칸스, (Candida albicans) ATCC 10231, 칸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의 륜류를 사용하였고, 배지로는 박테펩톤 20 g, 효모추출물 10 g, 염화나트륨 20 g, 증류수 21 ㎖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LB 배지(pH 7.3)를 사용하였다. 또한, 진균은 30℃에서 48시간동안 미리 진탕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공지의 케토코나졸과 일반사고식초를 대조약제로 하고 실시예 1과 그리고 4 내지 7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시험물질로 하여 이들을 각각 함유하는 검정배지를 제조하였다. 즉, DMF 0.3%(v/v)를 함유하는 인산완충액(1.0%w/w, pH 6.0)1 ㎖에 각 화합물을 가하여 이를 LB 배지와 혼합하였을 때, 항진균제의 최종 농도가 100 ㎕/㎖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2배씩 희석 시켜 0.05 ㎕/㎖까지 농도가 다른 12개씩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균체액은 LB배지로 ㎖당 10개의 세포가 포함되도록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균체액의 농도는 1.20%LB 아가지에서 측정한 CFU(Colony Forming Unit)에 의거하여 결정하였다. 균체액과 항진균제 용액을 20000:1(v/v)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각 화합물에 따라 36내지 48시간까지의 범위에서 매 5부마다 670 nm에서의 광학밀도 (Opt-icalDensity)를 측정하였다. 광학밀도에 의거하여 균류의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증식곡선으로부터 최소 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를 결정하여 하기 표1의 결과를 얻었다.
표1.미생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
주2) 대조 무화과 식초의 농도는 실시예 1 무화과 식초, 실시예 4 무화과 한약재 첨가 식초, 실시예 7 무화과와 한약재 발효식초 그리고 일반 사과식초의 희섞 단계별로 항진균, 항균성분이 함유된 무화과 식초성분 농도에 준함.
주3) 항진균 항균 성분이 있는 무화과 식초성분 원료의 용해는 물로함.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한방 무화과 식초의 화합물 중 실시예 1 과 4, 7의 화합물은 시험된 세균및 진균류에 대하여 모두 공지 케토코나졸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진균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규한 항진균제 화합물로서 높은 효용 가치를 지니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아토피성치료의 효과 및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 및 습진 등 피부질환 확인 임상 실험
아토피성치료 및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 및 습진 등 피부질환 치료에 관한 임상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질환 및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 및 습진 그리고 아토피성 등 피부질환이 많은 20~40대 실험자 20명(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피실험자로 선정한 뒤 본 발명의 제조 실시 예1(실험군)와 대조무화과 식초(제조실시 예 7)의 무화과 한약재 식초 조성물로 1일 1회 2주간 두피에 사용하도록 하여 아토피성 및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 침 습진 등 치부질환 치료 효과를 파악하였다.
판정 방법은 일정한 등급을 매긴 후, 육안 관찰에 의해 비듬 감소 및 두피의 가려움증 감소와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습진 등 피부염의 해소를 확인하였다.
판정기준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임상 실험 대상자의 비듬치료에 대한 등급이 3 내지 4의 감소율을 나타내면 효과 우수, 1내지2의 감소율을 나타내면 효과 중간, 감소율이 나타나지 않으면 효과 없음으로 판정한다. 살기 실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난 봐와 같다.
표 4. 무좀 치료효과 학인 임상실험 결과
상기 표에 보는 바와 같이,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한약재 함유 무화과 식초 성분 [A] 를 함유한 무화과 식초가 이를 함유하지 않은 일반 사과식초 보다 무좀치료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예3:피부의 가려움증과 무좀 및 습진 등 피부염 임상실험
표 5. 판정기준
임상실험 대상자의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 및 습진, 아토피성질환 치료 그리고 발냄새 제거효과에 대한 등급이 3내지 4의 감소율을 나타내면 효과 우수, 1내지 2의 감소율을 나타내면 효과 중간, 감소율이 나타나지 않으면 효과 없음으로 판정한다. 상기 실험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6.
상기 표에 보는 바와 같이, 무화과 한방식초 성분을 함유한 제재가 이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 연고제 및 사과식초 보다 아토피성질환 피부의 가려움 및 무좀 및 습진 등 피부 치료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승정도우핀((Masui Dauphine)과, 봉래시, 그리고 화이트제노아종의 무화과 잎이나 열매, 무화과나무를 각각 채취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 그중 무화과나무는 분쇄 가공한 무화과나무 톱밥이다. 10 Kg(수분함량 15%)을 무화과나무 톱밥기준 약 2-5배 부피 량의 무화과 열매를 첨가하여 부피비율로 약 1-20배 가량의 물과 에탄올 및 소주 그리고 고랑주, 막걸리를 첨가하고 무화과 종초를 첨가하여 발효공정을 거친 다음 미세여과를 사이즈 0.45 ㎛인 여과막(membrane filter)인 0.45㎛의 여과 막을 사용하여 걸르고 온도 약 72±9℃로 1-30분간 살균 처리하여 품질과 빛깔을 방지하고 이를 활성 탄이나 백토로 탈색 빛 냄새제거로 양질의 무화과 식초를 제조하는 방법과 무화과 식초를 이용한 한약재 성분 함유 무화과 한방식초 제조방법으로 식용 및 피부질환 치료제의 조성물 그리고 용도. 상기 무화과 식초제조는 무화과 열매와 무화과 나무톱밥 혼합방법을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무화과 열매나 또는 무화과나무 톱밥 각각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거나 각각 발효공정을 이용하는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무화과 나무형태 가공방법에 따른 편리한 용도로서 절단 및 분쇄방법
  2. 제 1항에서 무화과 식초 40 내지 98 중량부%에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한약제로서 무화과 착즙액 및 한약제로서 생강, 당귀, 황년, 감초, 진피, 향부자, 크레오소오트, 계피, 천궁, 작약, 소리쟁이, 숙지황, 인진쑥, 진피, 갈근, 어성초,황기, 두충, 백봉령, 구기자, 가시오가피, 대추, 산 사자, 오이풀 추출액, 마늘, 포로폴리스 등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농축한 혼합액을 첨가하고 걸러서 무화과 한약재식초를 제조하는 방법과 승정도우핀((Masui Dauphine)과, 봉래시, 그리고 화이트 제노아종의 무화과 잎이나 열매, 나무분쇄물을 각각 채취하여 무화과 열매와 2:1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시킨 다음 여과후 무화과 식초를 0.05-20%중량부 함유시키는 무화과 한약재 식초 제조방법에 따른 모든 조성물, 그리고 한약재에 대한 물및 유기용매 활성 추출물을 얻고 농축한 다음 이를 무화과 식초에 0.05 내지 20 중량 부를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 한약 식초 조성물. [제1도, 제2도 참조]
  3. 제 1항에 있어서,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한약재 추출 분리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 발효액 조성 분으로 구성된 무화과 한방 약용식초 조성물, 식용약용식초 제조 조성물, 아토피성질환제 치료제, 무좀 습진 치료제 용도
  4. 제 2항에 있어서, 무화과 식초및 무화과 한약재 식초가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무화과 추출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 무화과 식초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항미생물제, 아토피성치료제, 어류병 치료제, 가축용 사료, 어류사료 첨가제, 해태 양식용 유기산제 그리고 식물류 살균 및 살충제, 구충제 등에 이용하는 모든 이용도, 비누제조물, 그리고 의약품으로 아토피성질한치료 와 무좀치료제 및 피부질환 치료제 그리고 발무좀 냄세 제거 제에 이용하는 제재 이용에 관한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무화과 잎이나 열매, 나무분쇄물을 각각 채취하여 무화과 열매와 2:1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시킨 다음 무화과 식초를 이용하여 항진균 및 항균성분이 있는 한약재 추출물 성분의 함량이 0.05 내지 20중량부 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 한방식초 조성물.
  6. 제 2항에서 모든 완숙과일과 미숙과일인 무화과 열매와 무화과 잎, 무화과나무톱밥을 이용하여 유기용매인 메탄을 및 에틸알코올을 이용 침적법, 앞착법, 그리고 분쇄법등을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얻고 이를 온도 범위는 온도를 25-45도씨의 범위 이내로 유지하면서 발효시켜 착즙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무화과 식초에 0.05-20% 함유하는 한방 무화과식초를 60-90도씨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30분간 살균하여 제조하여 활성물질을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약용식초 조성물.
  7. 제 2항에서 무화과나무 톱밥 제조방법으로 무화과나무를 톱밥형태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 무화과나무의 활성물질을 추출하는 제조방법 및 나무를 일정형태로 잘개 잘라서 유기용매를 이용한 다음 추출하여 무화과나무의 활성성분을 이용하는 가공방법으로 무화과나무 톱밥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감압농축하고 액기스 및 농축액을 이용하는 방법과 제 9항 유기용매로 무화과 나무가공물 부피비율로 1.5-5.0배 부피 량의 무화과 열매를 첨가하여 활성 무화과 성분을 추출하는방법 그리고 무화과나무 가공물에 알콜, 물, 소주를 첨가하고, 종초를 가해서 발효시킨 다음 무화과 식초를 제조한 다음 이를 농축하거나 직접 다음 1항에서 제조한 무화과식초에 첨가하여 기능성 무화과 한방식초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5항에서 추출용 유기용매로서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디에틸에테르, 아세틱에시드, 클로로포름,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노르말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물 등을 구성하는 추출방법으로 상기 유기용매 추출방법의 범위를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한약재 추출 및 무화과 열매 그리고 나무로부터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방식 외 강제 고압 압착 식으로 추출하는 방법
KR1020020009156A 2002-02-20 2002-02-20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KR20030069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56A KR20030069500A (ko) 2002-02-20 2002-02-20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56A KR20030069500A (ko) 2002-02-20 2002-02-20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00A true KR20030069500A (ko) 2003-08-27

Family

ID=3222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156A KR20030069500A (ko) 2002-02-20 2002-02-20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950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556B1 (ko) * 2004-12-11 2007-02-02 윤신영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CN1314346C (zh) * 2003-10-09 2007-05-09 李泉乐 一种生物饲料精粉
KR100717420B1 (ko) * 2006-08-28 2007-05-11 주식회사 한빛코리아 알러지와 무좀균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CN102373147A (zh) * 2010-08-12 2012-03-14 殷庆章 葛根醋
CN102876557A (zh) * 2012-10-26 2013-01-16 周立学 花椒醋
KR101275887B1 (ko) * 2013-01-30 2013-06-17 안창호 황기를 이용한 천연 식초의 제조방법
KR101434774B1 (ko) * 2013-01-09 2014-08-26 조금전 가지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93637A (zh) * 2014-07-16 2015-01-21 广东粤师傅调味食品有限公司 一种酿造白醋澄清的方法
CN105316208A (zh) * 2015-12-05 2016-02-10 宁静 一种抗衰老醋
KR20190072445A (ko) * 2017-12-15 2019-06-25 박부덕 참취 및 무화과를 이용한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1861B1 (ko) * 2020-12-02 2021-07-26 김지형 무화과 알코올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4346C (zh) * 2003-10-09 2007-05-09 李泉乐 一种生物饲料精粉
KR100675556B1 (ko) * 2004-12-11 2007-02-02 윤신영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KR100717420B1 (ko) * 2006-08-28 2007-05-11 주식회사 한빛코리아 알러지와 무좀균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CN102373147A (zh) * 2010-08-12 2012-03-14 殷庆章 葛根醋
CN102876557B (zh) * 2012-10-26 2013-11-06 周立学 花椒醋
CN102876557A (zh) * 2012-10-26 2013-01-16 周立学 花椒醋
KR101434774B1 (ko) * 2013-01-09 2014-08-26 조금전 가지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5887B1 (ko) * 2013-01-30 2013-06-17 안창호 황기를 이용한 천연 식초의 제조방법
CN104293637A (zh) * 2014-07-16 2015-01-21 广东粤师傅调味食品有限公司 一种酿造白醋澄清的方法
CN105316208A (zh) * 2015-12-05 2016-02-10 宁静 一种抗衰老醋
KR20190072445A (ko) * 2017-12-15 2019-06-25 박부덕 참취 및 무화과를 이용한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1861B1 (ko) * 2020-12-02 2021-07-26 김지형 무화과 알코올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WO2022119074A1 (ko) * 2020-12-02 2022-06-09 김지형 무화과 알코올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044B1 (ko) 압출성형과 발효법을 이용한 고농도의 사포닌이 함유된 홍삼액과 산삼배양근액의 제조방법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9500A (ko) 한약재와 무화과를 이용한 무화과 발효식초 제조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190165B1 (ko) 울금을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CN106820119A (zh) 一种无花果叶酵素及其制备方法
KR100401473B1 (ko) 삼백초와 어성초를 이용한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20190138066A (ko) 설탕이 배제된 콤부차 제조방법
CN109055116A (zh) 一种高活性成分山茱萸鲜果酒的发酵方法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594013A (zh) 一种蒲公英黑茶及其生产方法
KR100527374B1 (ko) 녹용을 포함하는 건강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8090B1 (ko) 어성초 발효 음료 조성물
CN106962554A (zh) 一种蓝莓保健茶的制备方法
KR0155667B1 (ko) 어성초를 주재로한 저온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1982129B1 (ko)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46690B1 (ko) 유기농 토마토, 매실, 진피, 복숭아 및 알로에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5860A (ko)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055137A (zh) 一种抗氧化纯天然食药植物保健酒及其配制工艺
CN109568413A (zh) 一种青梅口腔喷雾剂及其制备方法
Sayyad et al.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ssi prepared with optimized level of Tulsi or Basil (Ocimum sanctum L.)
CN109673878A (zh) 一种构树饮品及其制备方法
KR20150119516A (ko) 식물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