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58B1 -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258B1
KR102299258B1 KR1020210045307A KR20210045307A KR102299258B1 KR 102299258 B1 KR102299258 B1 KR 102299258B1 KR 1020210045307 A KR1020210045307 A KR 1020210045307A KR 20210045307 A KR20210045307 A KR 20210045307A KR 102299258 B1 KR102299258 B1 KR 10229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cherry
primer set
marker
set cons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젠큐브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큐브플러스 filed Critical (주)젠큐브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4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58B1/ko
Priority to PCT/KR2022/004787 priority patent/WO20222159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높은 판별 정확도로 구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rimer set for determining Prunus sp.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 자생 벚나무 속(Prunus sp.)는 제주도의 산림 생태계와 사회·문화에서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귀중한 수목 자원 중 하나이다. 제주도 자생 벚나무 속의 과학적인 관리와 수목 자원으로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생 집단별 계통적 특성 및 유전구조 분석이 필요하다.
제주도 벚나무 속 자생 집단의 유전구조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simple sequence repeat (SSR) 마커가 활용되어 왔지만, 계통간 또는 집단간 재현성이 낮아 유전자원 관리와 우수 자생 개체들의 품종화 등 자원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종 간에 재현성이 낮아 다양한 유전적 배경의 육종 프로그램이나 자연집단의 유전적 분석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높은 빈도의 판별불가한 유전자형, 실험분석의 어려움과 높은 비용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왕벚나무 형성에 대한 유전학적 이해 또한 부족한 상태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에 대한 집단 유전학적 연구들에 따르면 왕벚나무의 모계인 올벚나무와 부계인 벚나무/산벚나무의 교잡 또는 이입교잡 과정에 의해 기원한 것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모든 자생 왕벚나무의 모계가 올벚나무인지, 모계 벚나무-부계 올벚나무의 유전형을 갖는 자생 왕벚나무가 존재하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이는 기존 올벚나무 모계설이 소수의 표본과 소규모의 염기서열 정보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 종을 정의할 수 있는 기준이 부족하여 제주도 자생 벚나무류와 구분할 수 있는 정확한 유전적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왕벚나무 종내 유전다형성 계통의 분석과 개체의 식별 등에는 높은 수준의 다형성이 반영된 마커가 필요하다. 또한,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는 사회경제적으로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조경식물이므로 신규 육종이나 품종의 개발 및 보급 과정에서 그 권리를 보호하거나, 유전적 순도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분자표지의 필요성이 높다.
과거와 달리, 현재, 자생 왕벚나무의 시료와 표본을 대규모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왕벚나무의 모계를 집단유전학적 수준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생 왕벚나무 우수계통을 산업화하기 위해서 개체 수준에서 유전형을 식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75451호(2018년 07월 04일)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1 내지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0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벚나무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주도의 벚나무 자생 집단에 대한 유전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유전자 기반 Conserved Ortholog Set (COS)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i) 유전분석을 위한 자생 왕벚나무 시료 및 표본을 대규모로 확보하였으며, ii) 자생 왕벚나무의 종판별을 위한 마커와 고다형성 개체식별 마커를 표 1과 같이 선발·검증하였다. 상기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는 제주왕벚나무로 불린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유전자 기반 벚나무속 COS 분자마커는 제주도 자생 벚나무에 적용하여 벚나무 집단별 유전형 특성을 분석하고, 근연 자생 벚나무류와의 계통적 유연관계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생 벚나무류의 유전 구조 및 모계 유전형 분석을 통하여 자생 벚나무류의 관리와 이용을 위한 유전적 지표로 활용가능이 가능하며, 벚나무 품종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Conserved Ortholog Set (COS)는 동일 조상에서 기원한 단일 진화 계통에 속하는 종들 간에 진화적으로 보전된 구조를 지니면서 단일 카피로 존재하는 유전자 세트이다. COS 유전자들은 근연종간에 유전자 구조와 염기서열이 높은 수준으로 보전되어 있어서 근연종간 재현성이 높고 직관적인 해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OS 유전자를 활용하면 종내 또는 종간 분석에 용이한 유전자 기반 마커를 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COS 분자마커는 같은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종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진화적 계통 분석에 적합한 마커로 평가되어 비교유전체 연구에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1~8번 염색체에서 COS 유전자를 이용하여 10종의 COS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1(Pxn 1),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2(Pxn 2),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3(Pxn 3),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4(Pxn 4),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5(Pxn 5),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6(Pxn 6),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7(Pxn 7),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8(Pxn 8)에서 Conserved Ortholog Set (COS) 분자마커 10종을 개발하였으며, Pxn 1 염색체에서 Pn-6 마커, Pxn 2 염색체에서 Pn-1 마커, Pn-2 마커 및 Pn-7 마커, Pxn 4 염색체에서 Pn-3 마커와 Pn-8 마커, Pxn 5 염색체에서 Pn-4 마커, Pxn 7 염색체에서 Pn-9 마커, Pxn 8 염색체에서 Pn-5 마커와 Pn-10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10종의 Pn-1 내지 Pn-10 마커를 검출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개발하였고, 이들 프라이머 세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면 벚나무 품종, 구체적으로,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 품종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마커"란 벚나무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물질로, Pn-1 내지 Pn-10 마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n-1 내지 Pn-5 마커를 세트 1 마커 그리고 Pn-6 내지 Pn-10 마커를 세트 2 마커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은 여러 벚나무 품종 중에서 특정 벚나무의 품종을 구별, 선별, 판별 또는 식별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벚나무 품종으로는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커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을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서열로 상보적인 주형(template)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적절한 버퍼 중의 적절한 조건(예를 들면, 4개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R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 효소와 같은 중합제) 및 적당한 온도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시작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15 내지 30 뉴클레오 티드의 크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서열은 상기 마커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며,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면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프라이머는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화, 캡화, 뉴클레오타이드의 치환 또는 뉴클레오타이드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는 벚나무 품종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쌍을 이루어 상기 Pn-1 내지 Pn-5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Pn-1 내지 Pn-5 마커를 포함하는 세트 1 마커를 검출하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Pn-1 내지 Pn-5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1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2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3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4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5 마커를 검출한다.
상기 조성물은 i)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와 오오시마 벚나무(Prunus speciosa), 올벚나무(Prunus pendula f. ascendens), 벚나무(Prunus jamasakura) 및 산벚나무(Prunus sargent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하거나, 또는 ii) 소메이요시노(Prunus x yedoensis)와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Pn-1 내지 Pn-5 마커 5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면,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 PCR 산물은 2중/3중의 밴드가 나타나고,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의 경우 단일 밴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Pn-1 마커, Pn-2 마커, Pn-3 마커, Pn-4 마커 및 Pn-5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들을 이용하여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는 모두 2중/3중 밴드가 형성되어 구별할 수 없지만, 왕벚나무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벚나무 품종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쌍을 이루어 상기 Pn-6 내지 Pn-10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은 5종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Pn-6 내지 Pn-10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6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7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8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9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10 마커를 검출한다.
상기 조성물은 i)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를 구별하거나, 또는 ii) 소메이요시노와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Pn-6 내지 Pn-10 마커 5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면, 왕벚나무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의 경우 단일 밴드가 나타나고, 소메이요시노는 2중/3중의 PCR 산물은 2중/3중의 밴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왕벚나무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는 모두 단일 밴드가 형성되어 구별할 수 없지만,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를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는 벚나무 품종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쌍을 이루어 상기 Pn-1 내지 Pn-10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은 10종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Pn-1 내지 Pn-10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1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2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3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4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5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6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7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8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9 마커를 검출하고,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Pn-10 마커를 검출한다.
상기 조성물은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10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면, 왕벚나무는 세트 1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2중/3중 밴드, 세트 2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단일밴드 그리고 소메이요시노는 세트 1 마커와 세트 2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모두 2중/3중밴드,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는 세트 1 마커와 세트 2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모두 단일 밴드가 형성되어, 상기 세트 1과 세트 2 마커를 이용하여,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벚나무에 대한 Pn-1 내지 Pn-10 마커를 검출함으로써 벚나무 품종을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트는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 DNA 분석용(예, DNA 칩) 키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상기 RT-PCR 키트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이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키트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DNA 칩 키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어 "DNA 칩"은 수십만 개의 DNA의 각 염기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DNA 마이크로어레이의 하나를 의미한다. 상기 DNA 칩 키트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고체 지지판, 전형적으로는 현미경용 슬라이드보다 크지 않은 유리 표면에 핵산 종을 격자형 배열(gridded array)로 부착한 것으로, 칩 표면에 핵산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DNA 칩 상의 핵산과 칩 표면에 처리된 용액 내에 포함된 상보적인 핵산 간에 다중 혼성화(hybridization) 반응이 일어나 대량 병렬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이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벚나무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b) 상기 증폭 산물로부터 벚나무 품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a)는 벚나무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벚나무 특이적 Pn-1 내지 Pn-10 마커에 대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세트 또는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Pn-1 내지 Pn-10 마커를 증폭하는 단계다.
상기 DNA는 벚나무, 구체적으로 벚나무 속(Prunus sp.)의 종자, 잎, 줄기, 과실, 또는 그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a) 단계의 DNA 수득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물질이 gDNA인 경우, gDNA의 분리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분리할 수 있으며, 출발물질이 mRNA인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총 RNA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총 RNA는 역전사 효소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된다.
상기 증폭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PCR, 리가제 연쇄 반응(LCR), 전사증폭, 자가유지 서열 복제 또는 핵산에 근거한 서열 증폭(NASBA)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는 얻어진 증폭 산물을 비교 분석하여 벚나무 품종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DNA 칩, 겔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또는 형광측정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겔 전기영동을 통해 검출할 경우, 증폭 산물의 크기 또는 증폭 산물의 개수에 따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다. 형광 측정을 통해 검출할 경우, 형광 물질로 표지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후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형광을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성 측정을 통해 검출할 경우, 방사성 물질을 PCR 반응액에 첨가하여 증폭 산물을 표지한 후, 가이거 계수기(Geiger counter) 또는 액체 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등의 방사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방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증폭 산물의 비교 분석에 의해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c) 증폭된 PCR 산물의 개수에 따라,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왕벚나무는 세트 1 마커를 검출하는 서열번호 1 내지 10의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PCR 산물이 2 또는 3개 증폭되고, 세트 2 마커를 검출하는 서열번호 11 내지 20의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PCR 산물이 1개 증폭된다. 그리고 소메이요시노는 세트 1 마커와 세트 2 마커를 검출하는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PCR 산물이 모두 2개 또는 3개 증폭된다.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는 세트 1 마커와 세트 2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에 PCR 산물이 모두 1개 증폭된다.
따라서, 상기 세트 1과 세트 2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된 PCR산물의 개수에 따라,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높은 판별 정확도로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 유전체에서 왕벚나무 종 판별 마커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Pn-1 내지 Pn-5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10)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Pn-6 내지 Pn-10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서열번호 11 내지 서열번호 20)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왕벚나무( Prunus x nudiflora ) 유전체에서 왕벚나무 종 판별 마커의 위치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주도의 벚나무 자생 집단에 대한 유전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유전자 기반 Conserved Ortholog Set (COS)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 시료 및 표본을 대규모로 확보하였으며,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 유전체에서 왕벚나무 종을 판별하기 위한 마커를 도 1과 같이 개발하였다.
도 1은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 유전체에서 왕벚나무 종 판별 마커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1(Pxn 1),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2(Pxn 2),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3(Pxn 3),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4(Pxn 4),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5(Pxn 5),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6(Pxn 6),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7(Pxn 7), 및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8(Pxn 8)을 이용하여 Conserved Ortholog Set (COS) 분자마커 10종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Pxn 1 염색체에서 Pn-6 마커, Pxn 2 염색체에서 Pn-1 마커, Pn-2 마커 및 Pn-7 마커, Pxn 4 염색체에서 Pn-3 마커와 Pn-8 마커, Pxn 5 염색체에서 Pn-4 마커, Pxn 7 염색체에서 Pn-9 마커, Pxn 8 염색체에서 Pn-5 마커와 Pn-10 마커를 개발하였다.
도 1에서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상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세트 1의 마커는 Pn-1 마커, Pn-2 마커, Pn-3 마커, Pn-4 마커 및 Pn-5 마커를 포함하며, 왕벚나무/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의 염색체 상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세트 2의 마커는 Pn-6 마커, Pn-7 마커, Pn-8 마커, Pn-9 마커 및 Pn-10의 마커를 포함하며,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표 1은 왕벚나무/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는 세트 1의 마커 그리고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는 세트 2의 마커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이들 마커가 위치하는 염색체 상의 위치 그리고 타겟 유전자 ID, 유전자 특징을 표 1에 나타냈다.
Set Marker ID Chr Target Gene ID Annotation of gene
Set1 Pn-1 Pxn 2 Py_C1029.19/Py_C3568.13 mini-chromosome maintenance complex-binding protein
Pn-2 Pxn 2 Py_C2241.4/Py_C3679.14 uncharacterized protein
Pn-3 Pxn 4 Py_C1233.2/Py_C2125.1 cytosolic Fe-S cluster assembly factor
Pn-4 Pxn 5 Py_C1872.15/Py_C2311.4 transmembrane protein 120 homolog
Pn-5 Pxn 8 Py_C2668.18/Py_C3765.8 TIP41-like protein
Set2 Pn-6 Pxn 1 Py_C0009.41 WD repeat-containing protein 43
Pn-7 Pxn 2 Py_C3098.8 J domain-containing protein
Pn-8 Pxn 4 Py_C0747.15 AP-5 complex subunit zeta-1
Pn-9 Pxn 7 Py_C1976.22 patatin-like protein 1
Pn-10 Pxn 8 Py_C0143.4 uncharacterized protein
또한, 세트 1의 마커와 세트 2의 마커를 증폭할 수 있는 정방향 프라이머와 역방향 프라이머 서열은 표 2와 같다. 세트 1 마커를 이용하면, 2종의 앰플리콘(PCR 산물)이 증폭되고, 세트 1 마커를 이용하면 1종의 앰플리콘(PCR 산물)이 증폭된다.
Set Marker ID Forward primer (5' to 3') Reverse primer (5' to 3') Amplicon (bp)
Set1 Pn-1 CTCTTGAGACATCTTACAGC
(서열번호1)
TGAAAGCTTCCCGACAGCAAC
(서열번호 2)
271/308
Pn-2 AAGCAGTTCCTCTTGCCGT
(서열번호3)
CCCATCTCTCGAAGTAGGGTG
(서열번호 4)
220/251
Pn-3 GCTTGAATGGTGGAGGACA
(서열번호5)
AACCAGGATGCTCAAGCCAC
(서열번호 6)
415/502
Pn-4 AGGACAACCAGATTGTTCC
(서열번호7)
AGCATAGCAACTCCTTGCATC
(서열번호 8)
170/153
Pn-5 CTGTTAAGTTTGATGCAGACAAG
(서열번호9)
GGCTCTTTCGAAGCCAAAGC
(서열번호 10)
291/325
Set2 Pn-6 CTGGCGGTGGTGATGTTTTG
(서열번호11)
AATCATCCCATCAGCACCGG
(서열번호 12)
332
Pn-7 TCAACCACCCCAATAGCAGG
(서열번호13)
TGTTCTGGAACTTGCCCCTC
(서열번호 14)
378
Pn-8 CTTCCCCAAGCCTGTCCATT
(서열번호15)
GCATTTCAGCGCTCTCCAGA
(서열번호 16)
436
Pn-9 TCAACAATGCCTCTCCAACT
(서열번호17)
CACTGGTGGATCTTCTTATGAGAGT
(서열번호 18)
333
Pn-10 GAGGAAAGCATGGGATCCTGT
(서열번호19)
TGGAAGTGTTGGCAAATGGC
(서열번호 20)
525
실시예 2. 세트 1 마커를 이용한 왕벚나무/소메이요시노와 야생벚나무의 구별
왕벚나무/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Pn-1 마커, Pn-2 마커, Pn-3 마커, Pn-4 마커 및 Pn-5 마커를 증폭할 수 있는 각각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50ng/㎕의 DNA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각각의 1 μM의 프라이머 세트 1㎕, 2.5mM의 dNTP 혼합용액 2㎕, 1 unit/㎕의 Taq DNA polymerase 0.2㎕, 10X PCR 완충용액 2.5㎕ 및 3차 증류수(deionized water) 18.3㎕을 혼합하여 총 25㎕로 PCR 반응용액의 부피를 조절하였다. 이후, 95℃에서 3분간 열변성(heat denaturation)시키고, 이어서 35회 사이클의 PCR 반응(94℃ 30초, 58℃ 1분 30초, 72℃ 1분의 온도 변화 사이클)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72℃에서 5분간 최종 신장(final extension) 반응을 시켰다.
이들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반응이 종료된 후, 10㎕의 반응액에 2㎕의 6X Gel loading buffer(Bionics)를 첨가한 뒤, Ethidium Bromide가 첨가된 1.0% Agarose 젤에서 전기영동하고 자외선 조사 하에서 PCR 증폭 산물을 확인하였다.
도 2는 100bp DNA ladder를 양쪽 lane에 5㎕씩 loading했고, 1-3 lane은 왕벚나무(Pxn-1, Pxn-2, Pxn-3) PCR 산물, 4-6 lane은 소메이요시노(Pxy-1, Pxy-2, Pxy-3) PCR 산물, 7 lane은 오오시마 벚나무(Psp) PCR 산물, 8-10 lane은 올벚나무(Ppa-1, Ppa-2, Ppa-3) PCR 산물, 11-13 lane은 벚나무(Pja-1, Pja-2, Pja-3) PCR 산물, 그리고 14-16 lane은 산벚나무(Psa-1, Psa-2, Psa-3) PCR 산물을 나타낸다.
Pn-1 마커, Pn-2 마커, Pn-3 마커, Pn-4 마커 및 Pn-5 마커를 포함하는 세트 1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한 결과,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 PCR 산물은 2중/3중의 밴드가 나타났으며,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의 경우 단일 밴드가 확인되어, 상기 Pn-1 마커, Pn-2 마커, Pn-3 마커, Pn-4 마커 및 Pn-5 마커를 이용하여 왕벚나무/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세트 1 마커를 이용하여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를 구별할 수는 없었다.
실시예 3. 세트 2 마커를 이용한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의 구별
실시예 2에서 분리된 게놈 DNA를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PCR을 진행하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Pn-6 마커, Pn-7 마커, Pn-8 마커, Pn-9 마커 및 Pn-10 마커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도 3은 100bp DNA ladder를 양쪽 lane에 5㎕씩 loading했고, 1-3 lane은 왕벚나무(Pxn-1, Pxn-2, Pxn-3) PCR 산물, 4-6 lane은 소메이요시노(Pxy-1, Pxy-2, Pxy-3) PCR 산물, 7 lane은 오오시마 벚나무(Psp) PCR 산물, 8-10 lane은 올벚나무(Ppa-1, Ppa-2, Ppa-3) PCR 산물, 11-13 lane은 벚나무(Pja-1, Pja-2, Pja-3) PCR 산물, 그리고 14-16 lane은 산벚나무(Psa-1, Psa-2, Psa-3) PCR 산물을 나타낸다.
그 결과, Pn-6 마커, Pn-7 마커, Pn-8 마커, Pn-9 마커 및 Pn-10 마커를 포함하는 세트 2 마커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한 결과, 왕벚나무 PCR 산물은 단일 밴드가 나타났으며, 소메이요시노는 2중/3중의 밴드가 나타났다. 또한,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의 경우 단일 밴드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Pn-6 마커, Pn-7 마커, Pn-8 마커, Pn-9 마커 및 Pn-10 마커를 이용하여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를 구별할 수 있었고, 소메이요시노와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었다.
상기 도 2와 도 3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왕벚나무는 세트 1 마커를 증폭하는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2중/3중밴드, 세트 2 마커에 의해 단일밴드 그리고 소메이요시노는 세트 1 마커와 세트 2 마커 마커를 증폭하는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모두 2중/3중밴드,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는 세트 1 마커와 세트 2 마커에 의해 모두 단일밴드가 PCR 결과에서 확인되었는 바, 상기 세트 1과 세트 2 마커를 이용하여,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야생종 벚나무(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GENCUBEPLUS Co., Ltd. <120> Primer set for determining Prunus sp. and uses thereof <130> APP-2021-0073 <160> 2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1 Forward primer <400> 1 ctcttgagac atcttacagc 20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1 Reverse primer <400> 2 tgaaagcttc ccgacagcaa c 21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2 Forward primer <400> 3 aagcagttcc tcttgccgt 19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2 Reverse primer <400> 4 cccatctctc gaagtagggt g 21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3 Forward primer <400> 5 gcttgaatgg tggaggaca 19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3 Reverse primer <400> 6 aaccaggatg ctcaagccac 20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4 Forward primer <400> 7 aggacaacca gattgttcc 19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4 Reverse primer <400> 8 agcatagcaa ctccttgcat c 21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5 Forward primer <400> 9 ctgttaagtt tgatgcagac aag 23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5 Reverse primer <400> 10 ggctctttcg aagccaaag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6 Forward primer <400> 11 ctggcggtgg tgatgttttg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6 Reverse primer <400> 12 aatcatccca tcagcaccgg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7 Forward primer <400> 13 tcaaccaccc caatagcagg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7 Reverse primer <400> 14 tgttctggaa cttgcccctc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8 Forward primer <400> 15 cttccccaag cctgtccatt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8 Reverse primer <400> 16 gcatttcagc gctctccaga 20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9 Forward primer <400> 17 tcaacaatgc ctctccaact 20 <210> 1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9 Reverse primer <400> 18 cactggtgga tcttcttatg agagt 25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10 Forward primer <400> 19 gaggaaagca tgggatcctg t 21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n-10 Reverse primer <400> 20 tggaagtgtt ggcaaatggc 20

Claims (9)

  1. 삭제
  2.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i) 왕벚나무와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하거나, 또는
    ii) 소메이요시노와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
  3. 삭제
  4.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i)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를 구별하거나, 또는
    ii) 소메이요시노와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
  5. 삭제
  6.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
  7.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 판별용 키트.
  8. (a) 벚나무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벚나무 품종 판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b) 상기 증폭 산물로부터 벚나무 품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벚나무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왕벚나무, 소메이요시노 그리고 오오시마 벚나무, 올벚나무, 벚나무, 및 산벚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야생종 벚나무를 구별하는 것인, 벚나무 품종을 판별하는 방법.
KR1020210045307A 2021-04-07 2021-04-07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29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07A KR102299258B1 (ko) 2021-04-07 2021-04-07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CT/KR2022/004787 WO2022215976A1 (ko) 2021-04-07 2022-04-04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07A KR102299258B1 (ko) 2021-04-07 2021-04-07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58B1 true KR102299258B1 (ko) 2021-09-07

Family

ID=7779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07A KR102299258B1 (ko) 2021-04-07 2021-04-07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9258B1 (ko)
WO (1) WO20222159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976A1 (ko) * 2021-04-07 2022-10-13 (주)젠큐브플러스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451A (ko) 2018-06-15 2018-07-04 (주)에그리바이오텍 체리 대목 품종 판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58B1 (ko) * 2021-04-07 2021-09-07 (주)젠큐브플러스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451A (ko) 2018-06-15 2018-07-04 (주)에그리바이오텍 체리 대목 품종 판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a Cho et al., Plant Biotechnology Reports, 11, pp.449-459, 2017. *
Myong-Suk Cho et al., Front. Plant Sci., 201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976A1 (ko) * 2021-04-07 2022-10-13 (주)젠큐브플러스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976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712B1 (ko) 대추 복조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299258B1 (ko)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778877B1 (ko) 황금배와 미니배의 품종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
KR101961653B1 (ko) 고구마 품종 판별용 snp 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160082292A (ko)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2287539B1 (ko) 물들메나무의 유전다양성 분석용 초위성체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955074B1 (ko) 무 판별용 snp 마커
KR20120054374A (ko) Ssr 마커를 이용한 한국 재래종 매실 품종 판별 방법
KR101822390B1 (ko) 국내 육성밀 품종 판별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102174274B1 (ko) 대추 품종 &#39;보은&#39;과 &#39;추석&#39;을 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67332B1 (ko) 고구마 품종 판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품종 판별 방법
KR101919605B1 (ko) 인삼 속 5종의 엽록체 게놈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864858B1 (ko) 중국당귀, 구당귀 및 일당귀 계통 판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55072B1 (ko) 무 판별용 snp 마커
KR102380784B1 (ko) 식방풍 유전자원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604102B1 (ko) 작약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429948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산겨릅나무의 개체 식별 방법
KR102309663B1 (ko) 인삼 품종 또는 자원의 대규모 유전형 판별 및 분류를 위한 플루이다임 기반 snp 칩 및 이의 용도
KR102370010B1 (ko) 국내 대추 품종과 일본 대추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84051B1 (ko) 백미꽃 속 식물의 종 구별용 조성물
KR102567270B1 (ko) 단영마늘 품종 판별용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412899B1 (ko) 도라지 꽃색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별방법
KR102412901B1 (ko) 도라지 꽃색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별방법
KR102164175B1 (ko) 백수오와 이엽우피소의 엽록체 게놈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236770B1 (ko)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