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70B1 -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70B1
KR102236770B1 KR1020180089527A KR20180089527A KR102236770B1 KR 102236770 B1 KR102236770 B1 KR 102236770B1 KR 1020180089527 A KR1020180089527 A KR 1020180089527A KR 20180089527 A KR20180089527 A KR 20180089527A KR 102236770 B1 KR102236770 B1 KR 10223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polynucleotide
kit
nucleotide sequence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099A (ko
Inventor
김용성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인포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꽃 분별용 마커는 개별꽃만이 가지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별꽃 분별용 마커를 검출 또는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키트는 높은 특이성으로 안정하게 개별꽃을 분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별꽃 분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키트는 개별꽃을 분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BIOMARKER COMPOSIOTION FOR CLASSIFYING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KIT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LASSIFIYING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USING SAME}
본 발명은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은 석죽과(Caryophyll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등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개별꽃의 어린 줄기와 잎은 식용이 가능하며, 태자삼(太子蔘)이라 불리는 개별꽃의 뿌리는 약재로서 사용되어 왔다. 개별꽃의 뿌리에는 pseudostellarinoside A 및 acutifoliside D의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개별꽃의 뿌리에는 heterophyllins A, B, C, D, pseudostellarins A, B, C, D, E, F, G, H 등의 고리형 펩타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NH Tan et al., Phytochemistry., 32(5): 1327-1330, 1993; H Morita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58(6): 943-947, 1995).
이처럼 개별꽃의 뿌리는 사포닌 및 고리형 펩타이드 성분 등을 함유하여 항피로, 항스트레스, 면역증강, 노화억제 및 혈당강하 등의 효과가 있어 약재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개별꽃의 뿌리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복건, 귀주 등지에 개별꽃 재배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9종으로 다양하며, 전문가도 구분하기 어렵다. 또한, 전문가의 관능검사는 전문 지식을 요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개별꽃의 재배에 있어서, 전문가의 관능검사는 개별꽃의 우수한 품종을 선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우수한 품종의 계통을 유지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개별꽃을 높은 특이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 마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NH Tan et al., Phytochemistry., 32(5): 1327-1330, 1993 H Morita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58(6): 943-947, 1995
이에 본 발명자는 개별꽃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마커에 대해 연구한 결과, 17종의 개별꽃속 유전자로부터 개별꽃만이 가지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유전자 구간을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였고, 상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5, 20 또는 27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 분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서열번호 3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i)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샘플의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ii) 상기 핵산이 증폭되면 샘플을 개별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별꽃 분별용 마커는 개별꽃만이 가지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별꽃 분별용 마커를 검출 또는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키트는 높은 특이성으로 안정하게 개별꽃을 분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별꽃 분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키트는 개별꽃을 분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식물의 계통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개별꽃속 식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에 해당하는 핵산을 증폭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5, 20 또는 27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 분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5, 20 또는 27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17종의 개별꽃속(Pseudostellaria) 품종에 대하여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여 얻은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서열번호 5, 20 또는 27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개별꽃을 특이적으로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3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3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37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서열번호 3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서열번호 3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0 내지 25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정방향 프라이머 또는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6 내지 11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역방향 프라이머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정방향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0, 13, 17, 20, 23 또는 25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6, 8, 10 또는 11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35로 표시되는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으로 표시되는 역방향 프라이머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라이머"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 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은 DNA 중합효소 또는 역전사효소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PCR 키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PCR에 필요한 시약 및 검출에 필요한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바이오마커 조성물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0 내지 25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0, 13, 17, 20, 23 또는 25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20 또는 서열번호 27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1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6, 8, 10 또는 11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핵산 서열을 검출 가능한 시그날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지를 이용하여 변형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지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형광성 분자 표지, 바이오틴 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브"란, 유전자 또는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십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한다. 이러한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라벨링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트는 DNA 칩 키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DNA 칩 분석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DNA 칩 키트는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갖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가 프로브로 부착되어 있는 기판, 및 형광표식 프로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약, 제제, 효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정량 대조군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식물로부터 유래된 DNA 샘플을 i)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샘플의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ii) 상기 핵산이 증폭되면 개별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증폭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증폭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이다. 또한, 식물로부터 유래한 DNA 샘플을 상기 프라이머 세트 이용하여 PCR을 수행할 경우,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의 핵산을 증폭할 수 있다. 따라서, 핵산이 증폭될 경우 샘플을 개별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개별꽃 분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식물로부터 유래된 DNA 샘플을 i)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샘플의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ii) 상기 핵산이 증폭되면 개별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식물로부터 유래된 DNA 샘플을 i)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이용하여 샘플의 핵산을 검출하는 단계; 및 ii) 상기 핵산이 검출되면 샘플을 개별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브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이다. 또한, 식물로부터 유래한 DNA 샘플을 상기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이용할 경우,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의 핵산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핵산이 검출될 경우 샘플을 개별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검출방법은 DNA 칩 키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NA 칩 키트를 통해 핵산을 검출할 경우, 개별꽃 특이적인 단염기 다형성(단염기 다형성(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을 DNA의 혼성화 여부에 따라 판별함으로서,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않고도 분석하고자 하는 유전자와 개별꽃종을 신속히 판정할 수 있는 효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개별꽃 분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식물로부터 유래된 DNA 샘플을 i) 서열번호 5, 20 및 2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이용하여 샘플의 핵산을 검출하는 단계; 및 ii) 상기 핵산이 검출되면 샘플을 개별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 분별용 바이오마커 선별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를 선별하기 위해, 미국 국립 생물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에서 제공하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세계 개별꽃속 식물종들의 염기서열 정보를 얻었다. 그 후, 국내 및 국외에 분포하는 개별꽃속 식물종을 직접 샘플링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그 후, 추출한 DNA를 PCR을 통해 직접 염기서열 정보를 얻었다. 그 후, 직접 얻은 염기서열 정보와 Genbank로부터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비교하여 개별꽃속 17종의 식물 중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에 해당하는 개별꽃속 17종의 염기서열을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segment I segment I
(서열번호)
>P. jamesiana_KX158306 GGGGCTGCCCCTAGTGGGTTTTCCC 1
>P. jamesiana_01 GGGGCTGCCCCTAGTGGGTTTTCCC 1
>P. jamesiana_02 GGGGCCGCCCCTAGTGGGTTTTCCC 2
>P. jamesiana_03 GGGGCCGCCCCTAGTGGGTTTTCCC 2
>P. jamesiana_04 GGGGCTGCCCCTAGTGGGTTTTCCC 1
>P. jamesiana_05 GGGGCTGCCCCTAGTGGGTTTTCCC 1
>P. jamesiana_06 GGGGCTGCCCCTAGTGGGTTTTCCC 1
>P. europaea_KX158319 TGGGCGACCACCTGTGGGTTTTCCT 3
>P. europaea_01 TGGGCGACCACCTGTGGGTTTTCCT 3
>P. europaea_02 TGGGCGACCACCTGTGGGTTTTCCT 3
>P. europaea_03 TGGGCGACCACCTGTGGGTTTTCCT 3
>P. europaea_04 TGGGCGACCACCTGTGGGTTTTCCT 3
>P. setulosa_09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95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96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97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98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99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100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10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04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23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24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setulosa_025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heterophylla_075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006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007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027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028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KX158334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KX158305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17004-1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_17337-1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japonica_033 GGGGAGACCACCTGTGGGTTTTCCC 6
>P. japonica_034 GGGGAGACCACCTGTGGGTTTTCCC 6
>P. japonica_102 GGGGAGACCACCTGTGGGTTTTCCC 6
>P. japonica_170042-1 AGGGCGACCACCTGTGGGTTTTCCT 7
>P. japonica_17005-1 AGGGCGACCACCTGTGGGTTTTCCT 7
>P. japonica_KX158307 GGGGAGACCACCTGTGGGTTTTCCC 6
>P. sylvatica_035 GGGATGACCACCTGTGGGTTTTCCC 8
>P. sylvatica_036 GGGATGACCACCTGTGGGTTTTCCC 8
>P. sylvatica_106 GGGATGACCACCTGTGGGTTTTCCC 8
>P. sylvatica _170040-1 GGGATGACCACCTGTGGGTTTTCCC 8
>P. sylvatica_KX158315 GGGATGACCACCTGTGGGTTTTCCC 8
>P. sylvatica_KX158316 GGGATGACCACCTGTGGGTTTTCCC 8
>P. heterantha_170031-1 GGGGCGACCACCTGTGTGTTTTCCC 9
>P. heterantha_PHETE-1 GGGGCGACCACCTGTGTGTTTTCCC 9
>P. heterantha_KX158304 GGGGCGACCACTTGTGGGTTTTCCC 10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_PLIH01-1 GGGGCGACCACCTGTGTGTTTTCCC 9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_17001-1 GGGGCGACCACCTGTGTGTTTTCCC 9
>P. rupestris_KX158313 GGGGCGACCACTTGTGGGTTTTCCC 10
>P. ebracteata_KX158303 AGGGCGACCACCTGTGTGTTCTCCC 11
>P. davidii_009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rigida_KX158312 GGGGCGACCACCTGTGGGTTTTTCC 12
>P. davidii_029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davidii_030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davidii_03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davidii_032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davidii_KX15830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davidii_KX158302 GGGGCGACCACTTGTGGGTTTTCCC 10
>P. tibetica_KX158310 GGGGCAACCACTTGTGGGTTTTCCC 13
>P. tibetica_KX158317 GGGGTGACCACCTGTTGGTTTTCCC 14
>P. tianmushanensis_KX158318 GGGGCGACCACTTGTGGGTTTTCCC 10
>P. maximowicziana_KX158308 GGGGCGACCACTTGTGGGTTTCCCC 15
>P. maximowicziana_KX158309 GGGGCGACCACTTGTGGGTTTCCCC 15
>P. okamotoi_021 GGGGCGACYACCTGTGGGTTTTCCC 16
>P. okamotoi_022 GGGGCGACYACCTGTGGGTTTTCCC 16
>P. okamotoi_078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KX158332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KX158333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17002-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17339-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17367-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PPALJ-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10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15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16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17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19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20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60 GGGGCGACCACCTGTGGGTTTTCCN 17
>P. palibiniana_018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93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palibiniana_094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0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02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03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05 GGGGCGACYACCTGTGGGTTTTCCC 16
>P. longipedicellata_008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1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13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14 GGGGCGACYACCTGTGGGTTTTCCC 16
>P. longipedicellata_039 GGGGCGACYACCTGTGGGTTTTCCC 16
>P. longipedicellata_040 GGGGCGACCACCTGTGGGTTTTCCC 4
>P. longipedicellata_041 GGGGCGACYACCTGTGGGTTTTCCC 16
>P. longipedicellata_061 GGGGCGACCACCTGTGGGTTTTCCC 4
segment II Segment II
(서열번호)
>P. jamesiana_KX158306 CCCACACTTGG 18
>P. jamesiana_01 CCCACACTTGG 18
>P. jamesiana_02 CCCACACTTGG 18
>P. jamesiana_03 CCCACACTTGG 18
>P. jamesiana_04 CCCACACTTGG 18
>P. jamesiana_05 CCCACACTTGG 18
>P. jamesiana_06 CCCACACTTGG 18
>P. europaea_KX158319 CCCACTCTTAG 19
>P. europaea_01 CCCACTCTTAG 19
>P. europaea_02 CCCACTCTTAG 19
>P. europaea_03 CCCACTCTTAG 19
>P. europaea_04 CCCACTCTTAG 19
>P. setulosa_091 CCCACTCTTAG 19
>P. setulosa_095 CCCACTCTTAG 19
>P. setulosa_096 CCCACTCTTAG 19
>P. setulosa_097 CCCACTCTTAG 19
>P. setulosa_098 CCCACTCTTAG 19
>P. setulosa_099 CCCACTCTTAG 19
>P. setulosa_100 CCCACTCTTAG 19
>P. setulosa_101 CCCACTCTTAG 19
>P. setulosa_004 CCCACTCTTAG 19
>P. setulosa_023 CCCACTCTTAG 19
>P. setulosa_024 CCCACTCTTAG 19
>P. setulosa_025 CCCACTCTTAG 19
>P. heterophylla_075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006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007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027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028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KX158334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KX158305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17004-1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_17337-1 CCCACCCTTAG 20
>P. japonica_033 CCCACTCTTTG 21
>P. japonica_034 CCCACTCTTTG 21
>P. japonica_102 CCCACTCTTTG 21
>P. japonica_170042-1 CCCACTCTTCG 22
>P. japonica_17005-1 CCCACTCTTCG 22
>P. japonica_KX158307 CCCACTCTTTG 21
>P. sylvatica_035 CCCACTCTTCG 22
>P. sylvatica_036 CCCACTCTTCG 22
>P. sylvatica_106 CCCACTCTTCG 22
>P. sylvatica _170040-1 CCCACTCTTCG 22
>P. sylvatica_KX158315 CCCACTCTTCG 22
>P. sylvatica_KX158316 CCCACTCTTCG 22
>P. heterantha_170031-1 CCCACTCTTAG 19
>P. heterantha_PHETE-1 CCCACTCTTAG 19
>P. heterantha_KX158304 CCCACTCTTAG 19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_PLIH01-1 CCCACTCTTAG 19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_17001-1 CCCACTCTTAG 19
>P. rupestris_KX158313 CCCACTCTTAG 19
>P. ebracteata_KX158303 CCCACTCTTAG 19
>P. davidii_009 CCCACTCTTAG 19
>P. rigida_KX158312 CCCACTCTTAG 19
>P. davidii_029 CCCACTCTTAG 19
>P. davidii_030 CCCACTCTTAG 19
>P. davidii_031 CCCACTCTTAG 19
>P. davidii_032 CCCACTCTTAG 19
>P. davidii_KX158301 CCCACTCTTAG 19
>P. davidii_KX158302 CCCACTCTTAG 19
>P. tibetica_KX158310 CCCACTCTTAG 19
>P. tibetica_KX158317 CCCACTCTTAG 19
>P. tianmushanensis_KX158318 CCCACTCTTAG 19
>P. maximowicziana_KX158308 CCCACTCTTAG 19
>P. maximowicziana_KX158309 CCCACTCTTAG 19
>P. okamotoi_021 CCCACTCTTAG 19
>P. okamotoi_022 CCCACTCTTAG 19
>P. okamotoi_078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KX158332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KX158333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17002-1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17339-1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17367-1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PPALJ-1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10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15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16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17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19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20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60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18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93 CCCACTCTTAG 19
>P. palibiniana_094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01 CCCACTNTTAG 23
>P. longipedicellata_002 CCCACTNTTAG 23
>P. longipedicellata_003 CCCACTNTTAG 23
>P. longipedicellata_005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08 CCCACTNTTAG 23
>P. longipedicellata_011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13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14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39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40 CCCACTATTAG 24
>P. longipedicellata_041 CCCACTCTTAG 19
>P. longipedicellata_061 CCCACTCTTAG 19
segment III segment III
(서열번호)
>P. jamesiana_KX158306 AGTCGCGCAAC 25
>P. jamesiana_01 AGTCGCGCAAC 25
>P. jamesiana_02 AGTCGCGCAAC 25
>P. jamesiana_03 AGTCGCGCAAC 25
>P. jamesiana_04 AGTCGCGCAAC 25
>P. jamesiana_05 AGTCGCGCAAC 25
>P. jamesiana_06 AGTCGCGCAAC 25
>P. europaea_KX158319 TGTCGCGCGAC 26
>P. europaea_01 TGTCGCGCGAC 26
>P. europaea_02 TGTCGCGCGAC 26
>P. europaea_03 TGTCGCGCGAC 26
>P. europaea_04 TGTCGCGCGAC 26
>P. setulosa_091 AGTCGCGCAAC 25
>P. setulosa_095 AGTCGCGCAAC 25
>P. setulosa_096 AGTCGCGCAAC 25
>P. setulosa_097 AGTCGCGCAAC 25
>P. setulosa_098 AGTCGCGCAAC 25
>P. setulosa_099 AGTCGCGCAAC 25
>P. setulosa_100 AGTCGCGCAAC 25
>P. setulosa_101 AGTCGCGCAAC 25
>P. setulosa_004 AGTCGCGCAAC 25
>P. setulosa_023 AGTCGCGCAAC 25
>P. setulosa_024 AGTCGCGCAAC 25
>P. setulosa_025 AGTCGCGCAAC 25
>P. heterophylla_075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006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007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027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028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KX158334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KX158305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17004-1 AGTCGTGCAAC 27
>P. heterophylla_17337-1 AGTCGTGCAAC 27
>P. japonica_033 AGTCGCGCAAC 25
>P. japonica_034 AGTCGCGCAAC 25
>P. japonica_102 AGTCGCGCAAC 25
>P. japonica_170042-1 AGTCGCGCAAC 25
>P. japonica_17005-1 AGTCGCGCAAC 25
>P. japonica_KX158307 AGTCGCGCAAC 25
>P. sylvatica_035 AGTCGCGCAAC 25
>P. sylvatica_036 AGTCGCGCAAC 25
>P. sylvatica_106 AGTCGCGCAAC 25
>P. sylvatica _170040-1 AGTCGCGCAAC 25
>P. sylvatica_KX158315 AGTCGCGCAAC 25
>P. sylvatica_KX158316 AGTCGCGCAAC 25
>P. heterantha_170031-1 AGTCGCGCAAC 25
>P. heterantha_PHETE-1 AGTCGCGCAAC 25
>P. heterantha_KX158304 TGTCGCGCGAC 26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_PLIH01-1 AGTCGCCCAAC 28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_17001-1 AGTCGCSCAAC 29
>P. rupestris_KX158313 TGTCGCGCGAC 26
>P. ebracteata_KX158303 TGTCGCGCAAT 30
>P. davidii_009 TGTCGTGCGAC 31
>P. rigida_KX158312 AGTCGCGCAAC 25
>P. davidii_029 TGTCGTGCGAC 31
>P. davidii_030 TGTCGTGCGAC 31
>P. davidii_031 TGTCGTGCGAC 31
>P. davidii_032 TGTCGTGCGAC 31
>P. davidii_KX158301 TGTCGTGCGAC 31
>P. davidii_KX158302 TGTCGTGCGAC 31
>P. tibetica_KX158310 TGTCGCGCGAC 26
>P. tibetica_KX158317 TGTCGCGCAAC 32
>P. tianmushanensis_KX158318 TGTCGTGCGAC 31
>P. maximowicziana_KX158308 TGTCGTGCGAC 31
>P. maximowicziana_KX158309 TGTCGTGCGAC 31
>P. okamotoi_021 CGTCGCGCAAC 33
>P. okamotoi_022 CGTCGCGCAAC 33
>P. okamotoi_078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KX158332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KX158333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17002-1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17339-1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17367-1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PPALJ-1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10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15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16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17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19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20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60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18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93 CGTCGCGCAAC 33
>P. palibiniana_094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01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02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03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05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08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11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13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14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39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40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41 CGTCGCGCAAC 33
>P. longipedicellata_061 CGTCGCGCAAC 33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개별꽃 분별용 바이오마커로 선별하였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서열정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서열정보 서열번호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 GGGGTGACCACCTGTGGGCCTTCCC 5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I CCCACCCTTAG 20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I AGTCGTGCAAC 27
실시예 2. 개별꽃 분별용 프라이머 세트 제작 및 검정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정방향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또한,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역방향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상기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에 대한 서열정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서열정보 서열번호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_F GGGGTGACCACCTGT 35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I_R CTAAGGGTGGG 36
상기 제작한 프라이머가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증폭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별꽃으로부터 수득한 1 ㎕의 정량한 주형 DNA(template DNA), 1 ㎕의 정방향 프라이머, 1 ㎕의 역방향 프라이머, 4 ㎕의 Solis BioDyne사의 5x HOT FIREPol® Blend Master Mix Ready to Load 및 13 ㎕의 정제수를 PCR 튜브에 넣어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PCR 장비를 이용하여 94℃ 온도에서 10분, 94℃ 온도에서 20초, 60℃ 온도에서 30 초, 72℃ 온도에서 1분 과정을 30 내지 35회 반복한 후, 마지막으로 72℃ 온도에서 10분간 추가 중합 반응을 거쳤다. 그 후, 얻어진 PCR 산물을 BIOPURE사의LED발광 염색약을 처리하여 1% 아가로오즈 겔에서 120V의 전압으로 20분간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MaestroGen사의 LED 이미저를 통해 DNA 밴드를 확인하고 Solis BioDyne사의 100bp DNA Ladder를 이용하여 PCR 산물의 사이즈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제작한 프라이머가 약 600 bp 크기의 개별꽃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유전자 구간을 증폭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110> InfoBoss Co., Ltd <120> BIOMARKER COMPOSIOTION FOR CLASSIFYING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KIT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LASSIFIYING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USING SAME <130> FPD/201801-0008 <160> 3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jamesiana gene segment I (1) <400> 1 ggggctgccc ctagtgggtt ttccc 25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jamesiana gene segment I (2) <400> 2 ggggccgccc ctagtgggtt ttccc 25 <210> 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europaea gene segment I <400> 3 tgggcgacca cctgtgggtt ttcct 25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setulosa, P. davidii, P. okamotoi, P. palibiniana, and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 <400> 4 ggggcgacca cctgtgggtt ttccc 25 <210> 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 <400> 5 ggggtgacca cctgtgggcc ttccc 25 <210> 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japonica gene segment I (1) <400> 6 ggggagacca cctgtgggtt ttccc 25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japonica gene segment I (2) <400> 7 agggcgacca cctgtgggtt ttcct 25 <210> 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sylvatica gene segment I <400> 8 gggatgacca cctgtgggtt ttccc 25 <210> 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antha gene segment I <400> 9 ggggcgacca cctgtgtgtt ttccc 25 <210> 10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antha_KX158304, P. rupestris, P. davidii_KX158302 and P. tianmushanensis gene segment I <400> 10 ggggcgacca cttgtgggtt ttccc 25 <210> 1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ebracteata gene segment I <400> 11 agggcgacca cctgtgtgtt ctccc 25 <210> 1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rigida gene segment I <400> 12 ggggcgacca cctgtgggtt tttcc 25 <210> 1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tibetica gene segment I (1) <400> 13 ggggcaacca cttgtgggtt ttccc 25 <210> 1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tibetica gene segment I (2) <400> 14 ggggtgacca cctgttggtt ttccc 25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maximowicziana gene segment I <400> 15 ggggcgacca cttgtgggtt tcccc 25 <210> 1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okamotoi and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 <400> 16 ggggcgacya cctgtgggtt ttccc 25 <210> 1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palibiniana gene segment I <400> 17 ggggcgacca cctgtgggtt ttccn 25 <210> 18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jamesiana gene segment II <400> 18 cccacacttg g 11 <210> 19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europaea, P. setulosa, P. heterantha, P. rupestris, P. ebracteata, P. davidii, P. rigida, P. tibetica, P. tianmushanensis, P. maximowicziana, P. okamotoi, P. palibiniana and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I <400> 19 cccactctta g 11 <210> 20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I <400> 20 cccaccctta g 11 <210> 21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japonica gene segment II <400> 21 cccactcttt g 11 <210> 22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I (1) <400> 22 cccactcttc g 11 <210> 23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I <400> 23 cccactntta g 11 <210> 24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I (2) <400> 24 cccactatta g 11 <210> 25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jamesiana, P. setulosa, P. japonica, P. sylvatica, P. heterantha and P. rigida gene segment III <400> 25 agtcgcgcaa c 11 <210> 26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europaea P. heterantha, P. rupestris and P. tibetica gene segment III <400> 26 tgtcgcgcga c 11 <210> 27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II <400> 27 agtcgtgcaa c 11 <210> 28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 gene segment III <400> 28 agtcgcccaa c 11 <210> 29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antha var. linearifolia gene segment III <400> 29 agtcgcscaa c 11 <210> 30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ebracteata gene segment III <400> 30 tgtcgcgcaa t 11 <210> 31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davidii, P. tianmushanensis and P. maximowicziana gene segment III <400> 31 tgtcgtgcga c 11 <210> 32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tibetica gene segment III <400> 32 tgtcgcgcaa c 11 <210> 33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okamotoi, P. palibiniana and P. longipedicellata gene segment III <400> 33 cgtcgcgcaa c 11 <210> 34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V <400> 34 ggggtgacca cctgtgggcc ttccctttgg catctaaacg aaccccggcg cgaaaagcgt 60 caaggaaatt aaacataata tgagctccct ccttttgccc ggtttgccgg tgcgtgggtg 120 tggtgccatg tcttaacatt aaacgactct cggcaacgga tatctcggct ctcgcatcga 180 tgaagaacgt agcgaaatgc gatacttggt gtgaattgca gaatcccgtg aaccatcgag 240 tctttgaacg caagttgcgc ccgaggcctt tggctgaggg cacgtctgcc tgggcgtcac 300 gcatcgcagc cccctcactc ccacccttag 330 <210> 35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ord primer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 <400> 35 ggggtgacca cctgt 15 <210> 36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I <400> 36 ctaagggtgg g 11 <210> 37 <211> 3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mplementary nucleotide seqeunce for P. heterophylla gene segment IV <400> 37 ctaagggtgg gagtgagggg gctgcgatgc gtgacgccca ggcagacgtg ccctcagcca 60 aaggcctcgg gcgcaacttg cgttcaaaga ctcgatggtt cacgggattc tgcaattcac 120 accaagtatc gcatttcgct acgttcttca tcgatgcgag agccgagata tccgttgccg 180 agagtcgttt aatgttaaga catggcacca cacccacgca ccggcaaacc gggcaaaagg 240 agggagctca tattatgttt aatttccttg acgcttttcg cgccggggtt cgtttagatg 300 ccaaagggaa ggcccacagg tggtcacccc 330

Claims (12)

  1.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 분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서열번호 3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0 내지 25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6 내지 11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역방향 프라이머로 구성된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35로 표시되는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으로 표시되는 역방향 프라이머로 구성된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PCR 키트인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6. 서열번호 5 및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용 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0 내지 25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11개의 연속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5 및 20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DNA 칩 키트인 것인, 개별꽃 분별용 키트.
  11. i)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샘플의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및
    ii) 상기 핵산이 증폭되면 샘플을 개별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꽃 분별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개별꽃 분별방법.
KR1020180089527A 2018-07-31 2018-07-31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KR10223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27A KR102236770B1 (ko) 2018-07-31 2018-07-31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27A KR102236770B1 (ko) 2018-07-31 2018-07-31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99A KR20200014099A (ko) 2020-02-10
KR102236770B1 true KR102236770B1 (ko) 2021-04-06

Family

ID=6962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27A KR102236770B1 (ko) 2018-07-31 2018-07-31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7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4638A1 (en) 2006-05-10 2007-11-15 Sigma-Aldrich Co. Identification of ginseng and its imposters using genetic vari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4638A1 (en) 2006-05-10 2007-11-15 Sigma-Aldrich Co. Identification of ginseng and its imposters using genetic variation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 Zhu et al., Chinese Journal of Natural Medicines, 5(3), p.211-215, 2007.*
Yi Jun et al., Chinese Traditional and Herbal Drugs, 44(10), p.1318-1322, 2013.*
Yu Yong et al., Journal of Plant REsources and Environment, 12(4), p.1-5, 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99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i et al. Y-type gene specific markers for enhanced discrimination of high-molecular weight glutenin alleles at the Glu-B1 locus in hexaploid wheat
KR101331740B1 (ko)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US20220364188A1 (en) Polynucleotide for identifying the sex of a ginkgo biloba plant and use thereof
KR101976974B1 (ko) 포도 품종 구별을 위한 ssr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676912B1 (ko) 인삼 품종 판별용 pna 프로브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삼 품종 판별 방법
KR102009712B1 (ko) 대추 복조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09486964B (zh) 用于驴的个体识别和亲子鉴定的微卫星快速检测方法
KR20140106892A (ko) Ssr 마커를 이용한 마 유전자원 식별 방법
CN100415884C (zh) 一种用于研究鱼类遗传关系的dna分子标记方法
CN109517921B (zh) 大麦P3G和C3G合成主效QTL紧密连锁的InDel分子标记及其应用
KR102236770B1 (ko) 개별꽃을 분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개별꽃을 분별하는 방법
KR102318379B1 (ko) 어위니아 아밀로보라와 어위니아 피리폴리애의 신속 동시 검출용 마커 조성물
KR20150057343A (ko) 가루이 매개 토마토 바이러스 다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1940286B1 (ko) 완도호랑가시나무의 모계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JP2007174973A (ja) Ssrプライマーを用いるマルチプレックスpcrによる品種識別法。
KR102299258B1 (ko) 벚나무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174274B1 (ko) 대추 품종 &#39;보은&#39;과 &#39;추석&#39;을 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44673B1 (ko) 참외의 품종 구별 및 f1 종자 순도검정을 위한 snp 기반 kasp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76343B1 (ko) 실시간 lamp법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 55형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93289B1 (ko) 들깨 잎의 보라색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481734B1 (ko) 한국산 황기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 및 이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KR101137799B1 (ko) 느타리버섯 수한 계통 판별용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N112522422A (zh) 一种基于coi基因片段的飘鱼和寡鳞飘鱼的分子鉴别方法
KR101955072B1 (ko) 무 판별용 snp 마커
KR101481723B1 (ko) 고려인삼 k-1 품종 선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k-1 품종 선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