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102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102B1
KR102293102B1 KR1020190109533A KR20190109533A KR102293102B1 KR 102293102 B1 KR102293102 B1 KR 102293102B1 KR 1020190109533 A KR1020190109533 A KR 1020190109533A KR 20190109533 A KR20190109533 A KR 20190109533A KR 102293102 B1 KR102293102 B1 KR 10229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wiring board
plate
insula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356A (ko
Inventor
유키 스다
유키타카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Abstract

(과제) 컴팩트하고 다수의 배선을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101) 는,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과,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및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와 접촉하는 제 1 접점을 갖는 판상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유지하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를 구비한다.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선단부, 양측단부 및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 (104_U, 105_D) 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20) 과 플러그 (커넥터) (30) 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세트 (이하, 「커넥터 조립체」라고도 한다.) 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플러그 (30) 에는, 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가, 접속 부재 (10) 로서 사용된다.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접속 부재 (10) 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 (끼워맞춤 방향) (A1) 으로 연장되어 접속 상대에 접속하는 평판상의 제 1 부분 (11) 과, 제 1 방향 (A1) 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A2) 으로 연장된 평판상의 제 2 부분 (12) 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부분 (11) 은, 그 외면에, 접속 부재 (10) 의 다수의 신호용 도체 (이하, 「신호 배선」이라고도 한다.) (15) 가 외부에 노출된다. 또, 제 2 부분 (12) 은, 그 내측면에, 그라운드용 도체 (18) 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플러그 (30) 는, 상기 서술한 접속 부재 (10) 와, 서로 협동하여 접속 부재 (10) 를 양면측으로부터 끼운 베이스 (31) 및 커버 (32) 를 포함한다. 베이스 (31) 는, 접속 부재 (10) 가 배치되는 일면의 반대면에, 도전성의 베이스 그라운드 (37) 를 구비한다. 또, 베이스 그라운드 (37) 는, 베이스 (31) 를 관통한 스프링 (54) 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 (54) 에 의해 접속 부재 (10) 의 그라운드용 도체 (18) 에 접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리셉터클 (20) 은,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22) 에 장착된 도전성의 다수의 신호 컨택트 (23) 와, 도전성의 1 개 또는 복수의 그라운드 컨택트 (24) 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20) 에 플러그 (30) 가 접속되었을 때, 신호 배선 (15) 에 의해 구성된 접점부가 신호 컨택트 (23) 의 신호 접점 (26) 에 접촉하고, 베이스 그라운드 (37) 가 리셉터클 (20) 의 그라운드 접속 (27) 에 접촉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51111호
최근,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보다 다수의 신호 배선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 (30) 및 커넥터 조립체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 (30) 를 복수 사용하면, 커넥터 (30) 혹은 커넥터 조립체가 탑재되는 제품에 있어서, 커넥터 (30) 혹은 커넥터 조립체가 차지하는 체적이 커져, 제품이 대형화될 가능성이나 설계상의 제약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 커넥터 (30) 에 있어서, 보다 많은 신호 배선을 그 배열 방향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나, 복수 조의 접속 부재 (10) 및 베이스 그라운드 (37) 를 상하로 늘어세우는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30) 의 수는 1 개여도, 커넥터 (30) 자체가, 증가한 신호 배선의 수나 접속 부재 (10) 및 베이스 그라운드 (37) 의 조의 수에 따라서 커진다. 그 때문에, 커넥터 (30) 혹은 커넥터 조립체가 탑재되는 제품에 있어서, 커넥터 (30) 혹은 커넥터 조립체가 차지하는 체적이 커진다. 그 결과, 복수의 커넥터 (30) 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품이 대형화될 가능성이나 설계상의 제약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컴팩트하고 다수의 배선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는,
제 1 신호 배선과 제 1 그라운드 도체를 갖는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제 2 신호 배선과 제 2 그라운드 도체를 갖는 제 2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의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점을 갖는 판상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전체의 선단부, 양측단부 및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라고 하는 5 개의 부위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의 각각의 일부는,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이 좁은 것에 의해,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보호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보호부는,
내부에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선단부를 포함하는 피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플레이트 유지홈과,
상기 플레이트 유지홈과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선단 보호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접점에, 당해 제 1 접점이 접촉하는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 또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로 향하는 힘을 가하는 제 1 탄성부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상기 선단 보호부는, 상기 플레이트 유지홈과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접속하는 관통공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평판상의 주판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주판부에 접속하여 굴곡 또는 만곡한 기단부와, 당해 기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접점에 접속하는 판상부를 갖고,
상기 제 1 접점은, 상기 기단부보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선단부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경우에, 일방향으로 늘어서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걸림부, 제 2 걸림부, 제 3 걸림부, 빠짐 방지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빠짐 방지 끼워맞춤부에 고정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늘어선 제 1 걸림부, 제 2 걸림부, 제 3 걸림부를 관통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제 1 신호 배선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 3 그라운드 도체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제 2 신호 배선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 4 그라운드 도체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접촉하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신호 배선과 접촉하는 제 2 컨택트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금구와,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인슐레이터를 갖는다.
상기 그라운드 금구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제 2 접점과,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로 향하는 힘을 상기 제 2 접점에 가하는 제 2 탄성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주위에 배치된 금속 쉘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측면에 대응시켜 배치된 평판상의 쉘 측면부를 갖고,
상기 그라운드 금구는, 스프링 접점이고,
상기 쉘 측면부는, 상기 그라운드 금구의 일단이 고정되는 쉘 개구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양측단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금구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노출된 양측단부의 일부의 각각의 측방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금구의 쌍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노출된 양측단부의 일부를 측방으로부터 끼워 각각에 접촉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하고 다수의 배선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우경사 상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를 우경사 하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의 우측면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의 배면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평면도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배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의 XI-X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8 의 XII-X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홈부의 상하 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단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5 는, 변형예 2 에 관련된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변형예 3 에 관련된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변형예 3 에 관련된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XVIII-XV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변형예 4 에 관련된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변형예 9 에 관련된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21 은, 관련 기술에 관련된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세트의 접속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 는, 관련 기술에 관련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체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 (100) 는, 사시도인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 배선을 탈착 가능하게 다른 배선에 접속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서로 끼워 맞춰지는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을 구비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102) 은, 예를 들어 기판 (103) 등의 대상물에 납땜 등 적절한 방법으로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101) 는, 커넥터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102) 은, 상대 커넥터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이 끼워 맞춰졌을 때에, 플러그 (101) 에 대하여 리셉터클 (102) 이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리셉터클 (102) 에 대하여 기판 (103) 이 부착되는 방향을 하방, 이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좌우는, 전방으로부터 본 방향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후·상·하·좌·우의 용어는, 본 실시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다.
(플러그 (101) 의 구성)
플러그 (101) 는, 복수의 신호 배선이 부착되는 커넥터로서, 도 2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과,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제 1 인슐레이터 (107) 와, 커버 (108) 와, 제 1 로크 기구부 (109) 를 갖는다.
여기서, 도 2 는, 도 1 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플러그 (101) 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플러그 (10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 7 은, 각각, 플러그 (101) 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 또한, 플러그 (101) 의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동일하게 도시된다.
제 1 배선판 (104) 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가요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판에 상당한다. 제 1 배선판 (104) 은, 전형적으로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구조 또는 스트립 라인 구조를 갖는 FFC (Flexible Flat Cable),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다.
여기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구조 혹은 스트립 라인 구조란,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박 등의 그라운드 도체가 유전체판의 일방의 주면에 형성됨과 함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 당해 유전체판의 타방의 주면 또는 내부에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일반적으로 고주파 전송에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상세하게는, 제 1 배선판 (104) 은, 제 1 유전체판 (110) 과,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과,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를 갖는다.
제 1 유전체판 (110) 은, 절연성과 가요성을 구비한 얇은 판상의 부재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얇은 필름이다. 제 1 유전체판 (110) 의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이다. 제 1 유전체판 (110) 의 두께 (상하 방향의 길이) 는, 예를 들어, 0.4 ㎜ (밀리미터) 정도이다.
상세하게는, 제 1 유전체판 (110) 은, 제 1 피유지부 (113) 와, 1 쌍의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와, 제 1 연장 형성부 (115) 를 갖는다.
제 1 피유지부 (113) 는, 제 1 유전체판 (110) 의 전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L1 까지의 부분이다. 제 1 피유지부 (113) 는, 전단부 (선단부) 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이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내부에 유지된다 (도 3, 14 참조).
1 쌍의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의 각각은, 제 1 피유지부 (113) 의 좌단부와 우단부로부터 내방 (즉, 좌단부에 있어서는 우방, 우단부에 있어서는 좌방) 으로 향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의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L2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깊이 (전후 방향의 길이) 가 미리 정해진 길이 LL 의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도 3, 14 참조).
이로써, 1 쌍의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의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길이 L2 의 위치와, 그곳으로부터 길이 LL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변부와 당해 변부의 내방의 단부를 접속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를 형성한다.
제 1 연장 형성부 (115) 는, 제 1 피유지부 (113) 의 후단에 접속한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사각형의 부분이다. 제 1 연장 형성부 (115) 는, 단차를 개재하여 제 1 피유지부 (113) 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제 1 연장 형성부 (115) 의 폭은, 제 1 피유지부 (113) 보다 넓게 되어 있다. 폭은, 측방으로의 길이,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의 길이로서, 후술하는 제 1 신호 배선 (111) 의 배열 방향이다.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의 각각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도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은, 좌우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유전체판 (110) 의 내부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의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배선 노출부 (111_E) 를 갖는다. 제 1 배선 노출부 (111_E) 는, 제 1 유전체판 (110) 이 적어도 상방에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제 1 신호 배선 (111) 이 적어도 상방을 향하여 외부에 노출된 부분이다.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는,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고, 예를 들어 금속박이다.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는, 제 1 유전체판 (110) 의 일방의 주면인 하면에 대략 전체에 펼쳐지도록 형성된 금속층이다.
또한, 제 1 유전체판 (110) 의 타방의 주면인 상면, 즉 제 1 신호 배선 (111) 을 개재하여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는 상이한 방향의 주면에는,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금속박 등의 도체가, 제 3 그라운드 도체로서, 대략 전체에 펼쳐지도록 추가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은 제 1 유전체판 (110) 의 내부가 아니라, 제 1 유전체판 (110) 의 상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배선판 (105) 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가요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판에 상당한다. 제 2 배선판 (105) 은, 제 1 배선판 (104) 과 대략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배선판 (104) 의 하방에 제 1 배선판 (104) 과는 상하를 역전시킨 상태로, 제 1 배선판 (104) 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배선판 (105) 은, 제 1 배선판 (104) 의 제 1 유전체판 (110),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및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의 각각에 상당하는 제 2 유전체판 (116),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및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를 갖는다.
제 2 유전체판 (116) 은, 제 1 유전체판 (110) 과 동일하게, 절연성과 가요성을 구비한 얇은 판상의 부재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얇은 필름이다. 상세하게는, 제 2 유전체판 (116) 은, 제 1 피유지부 (113) 와, 1 쌍의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와, 제 1 연장 형성부 (115) 의 각각에 상당하는 제 2 피유지부 (119) 와, 1 쌍의 제 2 걸림부 (120_L, 120_R) 와, 제 2 연장 형성부 (121) 를 갖는다.
제 2 피유지부 (119) 는, 제 2 유전체판 (116) 의 전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L1 까지의 부분이다. 제 2 피유지부 (119) 는, 전단부 (선단부) 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이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내부에 유지된다 (도 3, 14 참조).
1 쌍의 제 2 걸림부 (120_L, 120_R) 의 각각은, 제 2 피유지부 (119) 의 좌단부와 우단부로부터 내부로 향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1 쌍의 제 2 걸림부 (120_L, 120_R) 의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길이 L2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깊이가 길이 LL 의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도 3, 14 참조).
이로써, 1 쌍의 제 2 걸림부 (120_L, 120_R) 의 각각은, 1 쌍의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의 각각과 동일하게, 전단으로부터 길이 L2 의 위치와, 그곳으로부터 길이 LL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변부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를 형성한다.
제 2 연장 형성부 (121) 는, 제 2 피유지부 (119) 의 후단에 접속한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사각형의 부분이다. 제 2 연장 형성부 (121) 는, 단차를 개재하여 제 2 피유지부 (119) 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제 2 연장 형성부 (121) 의 폭은, 제 1 피유지부 (113) 보다 넓게 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의 각각은,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의 각각과 동일하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도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은, 좌우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2 유전체판 (116) 의 내부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의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배선 노출부 (117_E) 를 갖는다. 제 2 배선 노출부 (117_E) 는, 제 2 유전체판 (116) 이 적어도 하방에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제 2 신호 배선 (117) 이 적어도 하방을 향하여 외부에 노출된 부분이다.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는,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동일하게,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고, 예를 들어 금속박이다.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는, 제 2 유전체판 (116) 의 일방의 주면인 상면에 대략 전체에 펼쳐지도록 형성된 금속층이다. 즉,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는,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2 유전체판 (116) 의 타방의 주면인 상면, 즉 제 2 신호 배선 (117) 을 개재하여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와는 상이한 방향의 주면에는,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금속박 등의 도체가, 제 4 그라운드 도체로서, 대략 전체에 펼쳐지도록 추가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은 제 2 유전체판 (116) 의 내부가 아니라, 제 2 유전체판 (116) 의 상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사이에 배치된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재료는, 금속 등의 도체이다.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주판부 (122) 와, 5 쌍의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와, 1 쌍의 돌기부 (124) 와, 피보호부 (125) 를 갖는다.
주판부 (122) 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사각형의 얇은 판상의 부위로서, 그 두께는 예를 들어 0.2 ㎜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판부 (122) 는, 5 개의 장공부 (長孔部) (126) 와, 1 쌍의 제 3 걸림부 (127_L, 127_R) 를 갖는다.
장공부 (126) 의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상방으로부터 보아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을 이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의 장공부 (126) 는, 주판부 (122) 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에 좌우 대칭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공부 (126) 의 수는, 5 개에 한정되지 않고, 1 개 이상이면 된다. 또, 복수의 장공부 (126) 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장공부 (126) 는, 적절한 배치로 주판부 (122) 에 형성되어도 되지만, 제 1 배선판 (104) 및 제 2 배선판 (105) 의 각각을 상방과 하방으로 전체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쌍의 제 3 걸림부 (127_L, 127_R) 는, 5 개의 장공부 (126) 의 좌방과 우방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제 3 걸림부 (127_L, 127_R) 의 각각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을 이룬다.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의 각 쌍은, 서로 상이한 장공부 (126) 의 어느 하나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의 각각은, 그 탄성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과 접촉한다.
상세하게는,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는, 일방의 단부가 주판부 (122) 에 고정된 고정단이고 타방의 단부가 자유단인 2 개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 접점이다.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의 각 쌍은, 제 1 접점 (128_L, 128_R) 과, 제 1 탄성부 (129_L, 129_R) 를 갖는다.
제 1 접점 (128_L, 128_R) 은,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에 접촉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접점 (128_L) 은, 탄성 접점부 (123_L) 의 자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으로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점 (128_L) 은, 주로 최상점 근방에서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에 접촉한다.
또, 제 1 접점 (128_R) 은, 탄성 접점부 (123_R) 의 자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으로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점 (128_R) 은, 주로 최하점 근방에서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에 접촉한다.
제 1 탄성부 (129_L, 129_R) 는, 각각, 탄성을 가짐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및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로 향하는 힘을 제 1 접점 (128_L, 128_R) 에 가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탄성부 (129_L, 129_R) 는, 각각, 주판부 (122) 에 접속하여 상전방 또는 하전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제 1 접점 (128_L, 128_R) 에 접속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탄성부 (129_L, 129_R) 는, 각각, 기단부 (130_L, 130_R) 와 판상부 (131_L, 131_R) 를 갖는다.
기단부 (130_L) 는, 주판부 (122) 에 접속하여 상전방을 향하여 만곡 또는 굴곡한 부위이다. 기단부 (130_R) 는, 주판부 (122) 에 접속하여 하전방을 향하여 만곡 또는 굴곡한 부위이다.
판상부 (131_L) 는, 기단부 (130_L) 로부터 상전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제 1 접점 (128_L) 에 접속하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위이다. 이로써, 제 1 접점 (128_L) 은, 기단부 (130_L) 보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단부 (선단부) 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판상부 (131_R) 는, 기단부 (130_R) 로부터 하전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제 1 접점 (128_R) 에 접속하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위이다. 이로써, 제 1 접점 (128_R) 은, 기단부 (130_R) 보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선단부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1 쌍의 돌기부 (124) 는, 주판부 (122) 의 좌단부와 우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좌방과 우방으로 돌출된 작은 돌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1 쌍의 돌기부 (124) 는, 전후 방향으로는 장공부 (126) 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 (124) 는,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압입되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이면, 1 개여도 되고,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피보호부 (125)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선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보호부 (134) 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피보호부 (125) 는, 좌단부 근방과 우단부 근방에 보호부 (134) 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금까지 설명을 한 구성을 구비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복수의 제 1 접점 (128_L, 128_R) 과 제 1 탄성부 (129_L, 129_R) 와 주판부 (122) 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고 납땜 등에 의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과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외관도인 도 8 ∼ 10 과 단면도인 도 11 및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133) 와, 보호부 (134) 와, 로크 기구 부착부 (135) 를 갖는다.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예를 들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8 ∼ 10 은, 각각,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이다. 또, 도 11 과 도 12 는, 각각, 도 8 의 XI-XI 선과 XII-XII 선에 있어서의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단면도이다.
본체부 (133) 와 보호부 (134) 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 (136) 을 내부에 형성하는 부위이다. 본체부 (133) 와 보호부 (134) 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전단부 (선단부), 좌우의 양측단부,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 (104_U, 105_D) 라고 하는 5 개의 부위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수용 공간 (136) 을 형성하고 있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전단부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각각의 전단부이다.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좌우의 양측단부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각각의 좌단부와 우단부이다.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는, 제 1 배선판 (104) 의 상면부 (104_U) 와 제 2 배선판 (105) 의 하면부 (105_D) 이다.
본체부 (133) 는, 도 8 ∼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로서, 각각이 대략 평판상의 상벽부 (133_U) 와 하벽부 (133_D) 와 좌벽부 (133_L) 와 우벽부 (133_R) 로 구성된다. 이로써, 본체부 (133) 의 내부에는, 대략 직방체의 수용 공간 (136) 의 일부가 형성된다.
본체부 (133) 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 (136) 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그 상하의 각각에 배치된 제 1 배선판 (104) 및 제 2 배선판 (105) 이 수용된다. 바꿔 말하면, 본체부 (133)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제 1 배선판 (104) 및 제 2 배선판 (105) 의 각각의 좌우의 양측단부의 일부와, 제 1 배선판 (104) 의 상면부 (104_U) 의 일부와, 제 2 배선판 (105) 의 하면부 (105_D) 의 일부를 덮는다.
제 1 배선판 (104) 은, 그 상면부 (104_U) 가 상벽부 (133_U) 의 내면 (하면) 과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배선판 (105) 은, 그 하면부 (105_D) 가 하벽부 (133_D) 의 내면 (상면) 과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은,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제 1 접점 (128_L, 128_R) 의 각각은,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에 접촉한다. 이 때,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제 1 접점 (128_L, 128_R) 의 각각은, 제 1 탄성부 (129_L, 129_R) 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로 향하는 힘을 받고 있다.
이로써,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의 각각이 상벽부 (133_U) 와 하벽부 (133_D) 에 가압된 상태로, 본체부 (133) 의 내부에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133) 에는, 테이퍼부 (138) 와,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139_D) 와,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와, 경사부 (141_L, 141_R, 141_D) 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 (138) 는,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용 공간 (136) 을 점차 축소시키는 부위이다. 테이퍼부 (138) 는, 각각, 상벽부 (133_U), 하벽부 (133_D), 좌벽부 (133_L), 우벽부 (133_R) 의 내면의 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139_D) 는, 상세히 후술하는 커버 (108) 를 부착하기 위한 부위로서, 상벽부 (133_U) 와 하벽부 (133_D) 에 형성된다.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139_D) 의 각각은, 빠짐 방지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의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상벽부 (133_U) 에 형성하고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사각형을 이룬다. 커버 부착부 (139_UL) 는, 상벽부 (133_U) 의 좌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착부 (139_UR) 는, 상벽부 (133_U) 의 우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착부 (139_D) 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하벽부 (133_D) 에 형성하고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하벽부 (133_D) 의 좌단 근방과 우단 근방 사이에 연장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사각형을 이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139_D) 는, 전후 방향으로는, 상벽부 (133_U) 및 하벽부 (133_D) 의 중앙보다 약간 전방의 대략 동일한 위치에,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 커버 부착부 (139_D) 의 좌단부와 우단부는, 각각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커버 부착부 (139_UL) 의 좌단부와 커버 부착부 (139_UR) 의 우단부와 대략 동일하다.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유지하는 부위로서, 좌벽부 (133_L) 와 우벽부 (133_R) 의 각각의 내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홈을 형성한다.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하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고,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좌단부와 우단부가 끼워 넣어진다. 이로써,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유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의 각각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배치할 수 있는 길이로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의 각각의 후단 근방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대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방을 향하여 확대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의 좌단부와 우단부는, 1 쌍의 돌기부 (124) 가 스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1 쌍의 돌기부 (124) 를 좌우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유지한다.
경사부 (141_L, 141_R, 141_D) 는, 좌벽부 (133_L), 우벽부 (133_R), 하벽부 (133_D) 의 외면의 각각의 전단 근방에서, 폭이 작아지도록 혹은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부위이다.
보호부 (134) 는, 대략, 본체부 (133) 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102) 에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다. 보호부 (134) 의 내부에는, 본체부 (133) 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 (136) 의 일부와 서로 연속하는 수용 공간 (136) 의 잔부가 형성된다.
보호부 (134) 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 (136) 에는,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과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각각의 선단부 근방이 수용된다. 여기서, 선단부 근방이란, 선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으로서, 선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이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선단부 근방은, 피보호부 (125) 이다. 보호부 (134) 는 본체부 (133) 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이로써, 피보호부 (125) 의 좌단부 및 우단부가 보호부 (134) 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세하게는, 보호부 (134) 는, 좌우의 측벽부 (142_L, 142_R) 와, 제 1 구획부 (143) 와, 제 2 구획부 (144) 와, 선단 보호부 (145) 를 갖는다.
측벽부 (142_L, 142_R) 의 각각은, 본체부 (133) 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보호부 (134) 의 측단부를 구성하는 대략 직방체의 부위이다. 측벽부 (142_L, 142_R) 의 각각은,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슬릿부 (146) 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 (146)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후술하는 플레이트 유지홈 (147) 의 일부가 되고 있다.
또, 측벽부 (142_L, 142_R) 의 각각의 전단 근방은, 리셉터클 (102) 에 대한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방을 향하여 축소되어 있다.
제 1 구획부 (143) 와 제 2 구획부 (144) 는, 각각, 전후좌우로 펼쳐지는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의 부위로서, 각각의 좌우의 단부가 측벽부 (142_L, 142_R) 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구획부 (143) 와 제 2 구획부 (144) 는, 각각의 두께가 예를 들어 0.4 ㎜ 정도의 얇기이다.
제 1 구획부 (143) 와 제 2 구획부 (144)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두께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약간 긴 간극을 두고 상하로 나란히 형성된다. 이 간극은, 상기 서술한 슬릿부 (146) 가 형성하는 공간과 함께, 플레이트 유지홈 (147) 을 형성한다.
플레이트 유지홈 (147) 은,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피보호부 (125) 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 (136) 이고, 그 후단 근방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대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길이가 후방을 향하여 길어지고 있다.
여기서, 측벽부 (142_L, 142_R) 의 폭은,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를 노출시키는 정도로, 본체부 (133) 의 폭보다 좁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부 (142_L, 142_R) 의 폭은, 측벽부 (142_L, 142_R) 의 각각의 외면 (측벽부 (142_L) 의 좌측면과 측벽부 (142_R) 의 우측면) 의 좌우 방향의 길이이다. 그리고, 측벽부 (142_L, 142_R) 의 폭은, 본체부 (133) 의 좌벽부 (133_L) 와 우벽부 (133_R) 의 내면 사이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이로써,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보다 전방에 배치된 부분이,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로서 보호부 (134) 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 제 1 구획부 (143) 는,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1 수용부 (143_B) 를 갖는다. 제 1 돌출부 (143_A) 는, 본체부 (133) 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제 1 수용부 (143_B) 는, 본체부 (133) 의 전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본체부 (133) 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이로써, 제 1 수용부 (143_B) 와 상벽부 (133_U) 는, 제 1 삽입 형성공 (148) 을 형성한다. 제 1 삽입 형성공 (148) 은, 제 1 배선판 (104) 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수용 공간 (136) 이다. 제 1 삽입 형성공 (148) 의 후단 근방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대한 제 1 배선판 (104) 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길이가 후방을 향하여 길어지고 있다.
또, 제 1 돌출부 (143_A) 는, 그 상방에 제 1 배선판 (104) 의 선단부 근방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136) 을 형성한다. 제 1 돌출부 (143_A) 에는, 그 상면에 제 1 배선판 (104) 의 하면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이 접촉하도록 제 1 배선판 (104) 의 선단부 근방이 배치된다.
제 2 구획부 (144) 는, 제 1 구획부 (143) 와 동일하게, 제 2 돌출부 (144_A) 와, 제 2 수용부 (144_B) 를 갖는다. 제 2 돌출부 (144_A) 는, 본체부 (133) 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제 2 수용부 (144_B) 는, 본체부 (133) 의 전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본체부 (133) 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이로써, 제 2 수용부 (144_B) 와 하벽부 (133_D) 는, 제 2 삽입 형성공 (149) 을 형성한다. 제 2 삽입 형성공 (149) 은, 제 2 배선판 (105) 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수용 공간 (136) 이다. 제 2 삽입 형성공 (149) 의 후단 근방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대한 제 2 배선판 (105) 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길이가 후방을 향하여 길어지고 있다.
또, 제 2 돌출부 (144_A) 에는, 그 하방에 제 2 배선판 (105) 의 선단부 근방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136) 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돌출부 (144_A) 에는, 그 하면에 제 2 배선판 (105) 의 상면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이 접촉하도록 제 2 배선판 (105) 의 선단부 근방이 배치된다.
선단 보호부 (145) 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을 이루는 부분이고, 그 후면이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전단에서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폭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선단 보호부 (145) 는,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선단 근방을 보강한다.
이와 같이 보강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부위인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가 예를 들어 만곡하는 것이나 서로 이간하는 것 등에 의해 플러그 (101) 가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선단 보호부 (145) 의 상단부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제 1 돌출부 (143_A) 에 배치된 제 1 배선판 (104) 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보호부 (145) 의 전면 상방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점차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되어 있다.
선단 보호부 (145) 의 하단부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제 2 돌출부 (144_A) 에 배치된 제 2 배선판 (105) 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보호부 (145) 의 전면 하방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점차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되어 있다.
선단 보호부 (145) 는, 측벽부 (142_L, 142_R) 와 본체부 (133) 의 상벽부 (133_U) 및 하벽부 (133_D) 와 함께, 제 1 개구 (150) 와 제 2 개구 (151) 를 형성한다.
제 1 개구 (150) 는, 제 1 돌출부 (143_A) 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 (136) 을 상방을 향하여 외부에 접속하는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개구 (150) 는, 선단 보호부 (145) 의 상단부와, 측벽부 (142_L, 142_R) 와, 상벽부 (133_U) 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배선판 (104) 의 선단부 근방은,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가 접촉하도록 제 1 돌출부 (143_A) 에 배치된다. 또, 상기 서술한 제 1 배선 노출부 (111_E) 가, 제 1 배선판 (104) 의 선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배선 노출부 (111_E), 바꿔 말하면, 제 1 신호 배선 (111) 의 각각의 일부가 제 1 개구 (150) 를 통하여,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다.
제 2 개구 (151) 는, 제 2 돌출부 (144_A) 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 (136) 을 하방을 향하여 외부에 접속하는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개구 (151) 는, 선단 보호부 (145) 의 하단부와, 측벽부 (142_L, 142_R) 와, 하벽부 (133_D) 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배선판 (105) 의 선단부 근방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가 접촉하도록 제 2 돌출부 (144_A) 에 배치된다. 또, 상기 서술한 제 2 배선 노출부 (117_E) 가, 제 2 배선판 (105) 의 선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배선 노출부 (117_E), 바꿔 말하면, 제 2 신호 배선 (117) 의 각각의 일부가 제 2 개구 (151) 를 통하여,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다.
로크 기구 부착부 (135) 는, 상세히 후술하는 제 1 로크 기구부 (109) 를 부착하기 위한 부위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벽부 (133_U) 의 전방 중앙에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크 기구 부착부 (135) 는, 상벽부 (133_U)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1 쌍의 돌상부 (突狀部) (153) 를 갖는다. 1 쌍의 돌상부 (153) 는, 상벽부 (133_U) 의 전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상부 (153) 의 각각은, 타방의 돌상부 (153) 와 대향하는 면의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의 가늘고 긴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1 쌍의 돌상부 (153) 는, 상벽부 (133_U) 의 상면과 함께 슬라이드 홈부 (154) 를 형성한다.
커버 (108) 는,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139_D) 에 부착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108) 는, 빠짐 방지 부재에 상당한다. 커버 (108) 는, 커버 부착부 (139_D) 에 끼워 맞춰지는 덮개부 (155) 와,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에 끼워 맞춰지는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를 갖는다.
덮개부 (155) 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의 부위이다. 덮개부 (155) 는, 예를 들어 커버 부착부 (139_D) 에 조여 끼움으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커버 부착부 (139_D) 가 형성하는 관통공을 막아 고정된다.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는, 각각, 덮개부 (155) 의 좌단부와 우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의 부위이다.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는, 각각, 예를 들어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에 조여 끼움으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가 형성하는 관통공을 막아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유지된 경우에, 커버 부착부 (139_D), 제 1 걸림부 (114_L), 제 2 걸림부 (120_L), 제 3 걸림부 (127_L), 커버 부착부 (139_UL) 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다. 이것과 함께, 커버 부착부 (139_D), 제 1 걸림부 (114_R), 제 2 걸림부 (120_R), 제 3 걸림부 (127_R), 커버 부착부 (139_UR) 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다.
그 때문에, 커버 부착부 (139_D), 제 1 걸림부 (114_L), 제 2 걸림부 (120_L), 제 3 걸림부 (127_L), 커버 부착부 (139_UL) 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대략 직방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을 덮개부 (155) 및 빠짐 방지부 (156_L) 가 관통한다.
동일하게, 커버 부착부 (139_D), 제 1 걸림부 (114_R), 제 2 걸림부 (120_R), 제 3 걸림부 (127_R), 커버 부착부 (139_UR) 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대략 직방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을 덮개부 (155) 및 빠짐 방지부 (156_R) 가 관통한다.
이로써,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는, 제 1 배선판 (104) 및 제 2 배선판 (105) 의 전후좌우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제 1 걸림부 (114_L, 114_R) 및 제 2 걸림부 (120_L, 120_R) 에 걸어 맞춰진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유지홈 (147) 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내부에서 위치 어긋남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그 때문에,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는, 제 3 걸림부 (127_L, 127_R) 와는 약간의 간극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걸어 맞춰지면 된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가 제 1 걸림부 (114_L, 114_R), 제 2 걸림부 (120_L, 120_R) 및 제 3 걸림부 (127_L, 127_R) 와 걸어 맞춰진다. 이로써,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미리 정해진 범위로 억지된다. 그 결과,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로크 기구부 (109) 는, 플러그 (101) 가 리셉터클 (102) 에 끼워 맞춰진 경우에,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로부터 탈착할 수 없는 로크 상태와, 탈착 가능한 해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로크 기구부 (109) 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고, 예를 들어 금속을 재료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 로크 기구부 (109) 는, 평판부 (157) 와, 만곡부 (158) 와, 로크부 (159) 와, 조작부 (160) 를 갖는다.
평판부 (157) 는, 대략 사각형의 평판을 이루는 부위로서, 로크 기구 부착부 (135) 의 슬라이드 홈부 (154) 에 끼워 넣어진다. 평판부 (157) 는, 예를 들어 조여 끼움에 의해, 로크 기구 부착부 (135) 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만곡부 (158) 는, 평판부 (157) 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만곡하고 후방을 향하도록 되꺾는 부위이다. 로크부 (159) 는, 만곡부 (158) 에 접속하여 후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위이다. 조작부 (160) 는, 로크부 (159) 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제 1 로크 기구부 (109) 에 의하면, 힘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로크부 (159) 가 미리 정해진 로크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조작자가 조작부 (160) 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는 등, 제 1 로크 기구부 (109) 가 주로 만곡부 (158) 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로크부 (159) 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받음으로써, 로크부 (159) 가 하방의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리셉터클 (102) 의 구성)
리셉터클 (102) 은, 플러그 (101) 와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이다. 리셉터클 (102) 은, 사시도인 도 1, 정면도인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 (161) 와,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와, 금속 쉘 (164) 을 구비한다.
제 2 인슐레이터 (161) 는, 플러그 (101) 가 끼워 넣어지는 부재이다. 제 2 인슐레이터 (161) 는, 예를 들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인슐레이터 (161) 는, 대략 직방체를 이루고,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대략 직방체의 끼워맞춤 공간 (S) 을 갖는다. 이 끼워맞춤 공간 (S) 에, 플러그 (101) 의 보호부 (134) 와 이것에 수용된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끼워 넣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인슐레이터 (161) 는, 좌우의 측벽부에 측벽 개구부 (165_L, 165_R) 를 갖는다. 측벽 개구부 (165_L, 165_R) 의 각각은,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외부와 그 내부의 끼워맞춤 공간 (S) 을 접속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즉, 측벽 개구부 (165_L, 165_R) 의 각각은, 플러그 (101) 가 끼워 맞춰진 경우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금속 쉘 (164)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는,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내면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유지된 대략 선상의 도체이다.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는, 최하점의 근방을 접점으로 하고, 탄성에 의해 당해 접점에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 접점이다. 플러그 (101) 와 끼워 맞춰진 경우에,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는, 각각의 접점에서 제 1 배선 노출부 (111_E) 에 접촉한다.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는,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내면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유지된 대략 선상의 도체이다.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는, 최상점의 근방을 접점으로 하고, 탄성에 의해 당해 접점에 상방으로 향하는 힘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 접점이다. 플러그 (101) 와 끼워 맞춰진 경우에,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는, 각각의 접점에서 제 2 배선 노출부 (117_E) 에 접촉한다.
금속 쉘 (164) 은,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주위에 배치되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금속 쉘 (164) 은, 쉘 상면부 (166) 와,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를 갖는다.
쉘 상면부 (166) 는,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상방에 배치되는 대략 사각형 평판상의 부위로서, 제 2 로크 기구부 (168) 를 갖는다.
제 2 로크 기구부 (168) 는, 쉘 상면부 (166) 의 후방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부위이다. 제 2 로크 기구부 (168) 와 제 2 인슐레이터 (161) 사이에는, 플러그 (101) 가 끼워 맞춰진 경우에, 로크 기구 부착부 (135) 및 이것에 부착된 제 1 로크 기구부 (109) 가 끼워 넣어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로크 기구부 (168) 는, 그 상부에 로크 구멍부 (169) 를 갖는다. 로크 구멍부 (169) 는, 대략 사각형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제 2 로크 기구부 (168) 의 상부 평판상의 부위에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크 구멍부 (169) 는, 제 2 로크 기구부 (168) 의 상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는 대략 중앙으로서 후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떨어진 위치에 구멍을 형성한다.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는, 각각, 쉘 상면부 (166) 의 좌단부와 우단부로부터 굴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형 평판상의 부위로서,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좌방과 우방에 배치된다.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의 각각은, 좌우의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와, 좌우의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와, 좌우의 그라운드 접속부 (172_L, 172_R) 를 갖는다.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는, 각각, 쉘 측면부 (167_L, 167_R) 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의 개구를 형성한다.
좌우의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의 각각은, 플러그 (101) 가 끼워 맞춰진 경우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측단부 중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접촉하는 부위이다. 좌우의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101) 가 끼워 맞춰진 경우에, 좌우의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측단부 중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의 각각의 측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각각,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에 일단이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 접점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의 각각은, 제 2 접점 (173_L, 173_R) 과, 제 2 탄성부 (174_L, 174_R) 를 갖는다.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각각, 제 2 접점 (173_L, 173_R) 이 끼워맞춤 공간 (S) 에 위치되도록,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여 배치된다.
제 2 접점 (173_L, 173_R) 의 각각은,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측단부 중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에 접촉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접점 (173_L) 은, 그라운드 금구 (171_L) 의 타단인 자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으로서 우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제 2 접점 (173_L) 은, 주로 최우점 근방에서,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좌단부에 접촉한다.
제 2 접점 (173_R) 은, 그라운드 금구 (171_R) 의 타단인 자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의 부분으로서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제 2 접점 (173_R) 은, 주로 최좌점 근방에서,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우단부에 접촉한다.
제 2 탄성부 (174_L, 174_R) 는, 각각, 탄성을 가짐으로써, 우방 및 좌방으로 향하는 힘을 제 2 접점 (173_L, 173_R) 에 가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탄성부 (174_L, 174_R) 는, 각각,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에 접속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 2 접점 (173_L, 173_R) 에 접속하는 가늘고 긴 부위이다.
이와 같은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플러그 (101) 가 끼워 맞춰진 경우에,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측방으로부터 끼워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에 접촉한다.
좌우의 그라운드 접속부 (172_L, 172_R) 는, 각각,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소돌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좌우의 그라운드 접속부 (172_L, 172_R) 는,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의 각각에 2 개씩 형성되어 있지만, 1 개 혹은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그라운드 접속부 (172_L, 172_R) 의 각각은, 대상물의 그라운드 배선에 납땜 등으로 고정된다.
지금까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 (100) 와 이것을 구성하는 플러그 (101) 및 리셉터클 (102)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제부터, 플러그 (101) 및 리셉터클 (102) 의 제조 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101) 의 제조 방법)
플러그 (101) 를 제조하기 위해,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과,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제 1 인슐레이터 (107) 와, 커버 (108) 와, 제 1 로크 기구부 (109) 의 각각이 준비된다.
여기서, 제 1 배선판 (104) 의 준비에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을 얇은 수지제의 필름으로 상하로부터 끼우고, 이들 필름이 접착, 용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것의 일방의 주면에 금속박을 첩부하는 것 등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단 근방의 필름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제 1 배선 노출부 (111_E) 가 형성된다. 이로써, 제 1 배선판 (104) 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제 2 배선판 (105) 도, 제 1 배선판 (104)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금속판에, 장공부 (126) 의 각각에 1 쌍의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의 소편을 접속한 상태의 구멍과, 1 쌍의 제 3 걸림부 (127_L, 127_R) 가 뚫린다. 그리고, 장공부 (126) 의 각각에 접속한 각 소편이,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에 따른 형상으로 절곡된다. 이로써, 일단이 장공부 (126) 에 고정된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를 포함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 (107) 와 커버 (108) 의 각각은, 예를 들어,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준비되면 된다.
제 1 로크 기구부 (109) 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금속판을 적절한 방법으로 구부림으로써 제조되어 준비되면 된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후방으로부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를 따라 삽입된다. 이 때,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에 1 쌍의 돌기부 (124) 가 접촉하기 때문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로부터 힘을 받은 상태에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길이가 압입되면,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가압된 상태로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이,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후방으로부터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상하의 각각에 삽입된다.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은, 각 선단이 선단 보호부 (145) 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 넣어진다. 이 때,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은, 각각,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에 의해 상벽부 (133_U) 와 하벽부 (133_D) 를 향하여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커버 (108)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하방으로부터 커버 부착부 (139_UL, 139_UR, 139_D) 에 압입됨으로써 끼워 넣어진다. 이로써, 빠짐 방지부 (156_L, 156_R)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로부터 빠져 나오기 어려운 플러그 (101) 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제 1 로크 기구부 (109) 가, 평판부 (157) 가 슬라이드 홈부 (154) 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된다. 이로써, 제 1 로크 기구부 (109) 는, 가압된 상태로 로크 기구 부착부 (135) 에 유지되고,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101) 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 (101) 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셉터클 (102) 의 제조 방법)
리셉터클 (102) 을 제조하기 위해, 제 2 인슐레이터 (161) 와,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와, 금속 쉘 (164) 의 각각이 준비된다.
여기서, 제 2 인슐레이터 (161) 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준비되면 된다. 제 1 컨택트 (162) 의 각각과 제 2 컨택트 (163) 의 각각은, 대략 선상의 가늘고 긴 금속봉을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제조되어 준비되면 된다.
금속 쉘 (164) 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형상의 금속 평판이 준비된다. 이 금속 평판에는, 제 2 로크 기구부 (168) 를 형성하기 위한 전단 중앙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좌우 방향의 절입이 형성된다. 그리고, 당해 절입의 전방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로크 구멍부 (169) 가 형성되고, 절입보다 전방의 부분을 상방으로 만곡시킴으로써, 제 2 로크 기구부 (168) 가 형성된다.
또한, 금속 평판에는, 좌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우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와 우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 좌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사각형편을 접속한 상태의 구멍이 형성된다.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의 각각에 접속한 사각형편이,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에 따른 형상으로 절곡된다. 이로써, 일단이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의 각각에 고정된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가 형성된다.
그리고, 좌단부와 우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부분을 굽힘부로 하여 대략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된다. 이로써, 쉘 측면부 (167_L, 167_R) 의 측면 개구부 (170_L, 170_R) 의 각각에 고정된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등을 포함하는 제 2 인슐레이터 (161) 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가,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형성된 홈 등에 압입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부착된다. 제 2 인슐레이터 (161) 의 측벽 개구부 (165_L, 165_R) 의 각각에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가 수용되도록, 금속 쉘 (164) 이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전방으로부터 끼워진다. 이 때, 금속 쉘 (164) 은, 적절한 부위의 끼워맞춤 등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 (161) 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고정되면 된다.
이로써, 리셉터클 (102) 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셉터클 (102) 을 용이하게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의 사용 방법)
리셉터클 (102) 은, 예를 들어, 기판 등의 대상물의 그라운드 배선에 그라운드 접속부 (172_L, 172_R) 가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가, 당해 대상물에 형성된 신호 배선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 플러그 (101) 의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과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은, 플러그 (101) 가 부착되는 부착 대상물의 신호 배선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플러그 (101) 는, 리셉터클 (102) 의 후방으로부터 보호부 (134) 가 끼워맞춤 공간 (S) 에 수용되도록 끼워 넣어진다. 이 때, 리셉터클 (102) 에 대하여 플러그 (101) 를 전방으로 밀어 넣으면, 제 1 로크 기구부 (109) 가 제 2 로크 기구부 (168) 에 접촉하여, 로크부 (159) 가 초기 위치인 로크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로크부 (159) 가 로크 구멍부 (169) 에 도달할 때까지 리셉터클 (102) 에 대하여 플러그 (101) 를 더욱 전방으로 밀어 넣으면, 로크부 (159) 는, 주로 만곡부 (158) 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구멍부 (169) 에 끼워진다 (로크 상태). 이로써,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은 서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이 때,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111) 의 각각과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가 서로 접속하고, 복수의 제 2 신호 배선 (117) 의 각각과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가 서로 접속한다.
여기서,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는,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에 끼워 넣는 도중에, 제 2 접점 (173_L, 173_R) 에 접촉하여, 각각을 우방과 좌방으로 밀어 넓힌다.
이로써, 제 2 탄성부 (174_L, 174_R) 의 각각이,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에 접촉하도록 제 2 접점 (173_L, 173_R) 에 힘을 가한다.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에 대하여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가 제 2 접점 (173_L, 173_R) 에 의해 좌우로부터 끼워지는 힘을 받은 상태로 접촉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이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단면도인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의 쌍은,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를 측방으로부터 끼워 각각에 접촉한다. 이로써, 금속 쉘 (164) 과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개재하여,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를 그라운드 배선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또한,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에 후방으로부터 밀어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를 그라운드 배선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로부터 탈착하는 경우, 조작부 (160) 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뽑아내면 된다.
즉, 주로 만곡부 (158)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부 (160) 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면, 로크부 (159) 가 로크 구멍부 (169) 의 하방의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로크부 (159) 와 로크 구멍부 (169) 의 끼워맞춤에 의한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의 고정이 해제된다 (해제 상태).
이와 같이 로크부 (159) 가 눌려 내려간 해제 상태인 채로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 (101) 를 리셉터클 (102) 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에 의하면, 서로 끼워 맞춘 상태로 용이하게 로크할 수 있다. 또, 이 로크를 용이하게 해제하여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을 탈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상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사이에 배치되고, 그 제 1 접점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및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양측단부 및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 (104_U, 105_D) 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이로써,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과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제 1 인슐레이터 (107) 속에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에서 그라운드용의 부재로서 공용된다.
따라서, 제 1 배선판 (104) 과 제 2 배선판 (105) 의 각각에 대응하는 그라운드용의 부재를 배치하는 것보다 플러그 (101) 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하고 다수의 배선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선단 보호부 (145) 가,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선단 근방을 보강하여, 이들 부위 (143_A, 144_A) 의 파손에서 기인하여 플러그 (101) 가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컴팩트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플러그 (10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직접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를 공통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에 접속하는 플러그 (101) 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리셉터클 (102) 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접지 전위로 하는 부재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는 본체부 (133) 와, 보호부 (134) 를 갖는다. 보호부 (134) 는, 본체부 (133) 보다 폭이 좁은 것에 의해,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양측단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로써, 본체부 (133) 가,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대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압입에 의해 조립하고,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를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밀어 넣는 (압입하는) 것만으로,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를 보호부 (134) 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101) 의 구성을 간이하게 또한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그러한 플러그 (101) 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를 노출시키기 위해, 보호부 (134) 는 본체부 (133) 보다 폭이 좁다. 일반적으로, 보호부 (134) 에 상당하는 부분의 폭을 좁게 하면, 당해 부분의 폭이 본체부 (133) 의 폭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당해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본체부 (133) 의 기계적 강도도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선판 (104), 제 2 배선판 (105)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전체의 전단부 (선단부), 좌우의 양측단부,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 (104_U, 105_D) 라고 하는 5 개의 부위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수용 공간 (136) 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를 노출시키기 위해, 보호부 (134) 의 폭을 좁게 하였다고 해도 본체부 (133) 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부 (134) 는, 플레이트 유지홈 (147) 과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선단 보호부 (145) 를 갖는다. 보호부 (134) 가 선단 보호부 (145) 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호부 (134) 의 폭을 좁게 하였다고 해도 선단 보호부 (145) 에 의해 보강되어, 보호부 (134) 의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101)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컴팩트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플러그 (10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변형예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 (134) 로부터 노출되는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는, 비교적 작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가 보다 커지도록, 보호부 (134) 의 폭이 한층 더 좁게 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의 단부가 상방이나 하방 등 적절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등, 피보호부 (125) 가 변형되어도 된다. 이로써,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와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가 접촉하는 부분의 크기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변형예 2)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피보호부 (125) 가, 그 후방과 대략 동일한 폭의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인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피보호부는, 탄성을 갖는 탄성편이 좌우의 적어도 일방으로 돌출되고, 이 탄성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플레이트 노출부여도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본 변형예에 관련된 그라운드 플레이트 (206) 는, 사시도인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보호부 (125) 를 대신하는 피보호부 (225) 를 갖고, 이것을 제외하고,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피보호부 (225) 는, 좌우의 측단부의 각각에, 좌방과 우방의 각각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노출부 (232_L, 232_R) 를 갖는다. 플레이트 노출부 (232_L, 232_R)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206) 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는 탄성편이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노출부 (232_L, 232_R) 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부착할 때는 내방으로 만곡하고, 보호부 (134) 에 위치되면, 그 탄성에 의해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방으로 돌출되어, 보호부 (134) 로부터 외부에 노출된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206) 도,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와 동일하게, 압입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3)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보호부 (145) 가,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전단에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폭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선단 보호부에는, 플레이트 유지홈 (147) 과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301) 는, 사시도인 도 16, 정면도인 도 17 및 단면도인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 (107) 를 대신하는 제 1 인슐레이터 (307) 를 갖는다. 이 외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101) 와 동일하게 구성되면 된다.
제 1 인슐레이터 (307)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호부 (134) 를 대신하는 보호부 (334) 를 갖고, 이 외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107) 와 동일하게 구성되면 된다. 보호부 (334) 는, 선단 보호부 (145) 를 대신하는 선단 보호부 (345) 를 갖고, 이 외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호부 (134) 와 동일하게 구성되면 된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선단 보호부 (345) 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을 이루는 부분이고, 3 개의 관통공부 (375) 를 갖는다. 3 개의 관통공부 (375) 의 각각은, 플레이트 유지홈 (147) 과 제 1 인슐레이터 (307) 의 외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관통공을 형성한다. 또한, 관통공부 (375) 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 개, 2 개 또는 4 개 이상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선단 보호부 (345) 는, 그 후면이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전단에서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폭에 걸쳐서 단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단 보호부 (145) 와 마찬가지로, 선단 보호부 (345) 는,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선단 근방을 보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로 제 1 돌출부 (143_A) 와 제 2 돌출부 (144_A) 의 파손에서 기인하여 플러그 (101) 가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컴팩트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플러그 (10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선단 보호부 (345) 가 이와 같은 관통공부 (375) 를 가짐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 (307) 의 성형은 용이해진다. 이로써, 성형시에 변형이나 오차가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켜, 그 형상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4)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 (134) 가, 본체부 (133) 보다 좁은 폭으로 본체부 (133) 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똑바르게 돌출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가,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본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401) 는, 평면도인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107) 를 대신하는 제 1 인슐레이터 (407) 를 갖고, 이 외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101) 와 동일하게 구성되면 된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407)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호부 (134) 를 대신하는 보호부 (434) 를 갖고, 이 외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인슐레이터 (107)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호부 (43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좌우의 측벽부 (142_L, 142_R) 를 대신하는 좌우의 측벽부 (442_L, 442_R) 를 갖고, 이 외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호부 (134)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좌우의 측벽부 (442_L, 442_R) 는, 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길이 떨어진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돌출되는 내방 만곡부 (476_L, 476_R) 를 갖는다. 즉, 보호부 (434) 의 좌단부에 형성되는 내방 만곡부 (476_L) 는, 우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보호부 (434) 의 우단부에 형성되는 내방 만곡부 (476_R) 는,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측벽부 (442_L, 442_R)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측벽부 (142_L, 142_R)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피보호부 (125) 의 좌단부 및 우단부의 선단부 근방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실시형태와는 상이하지만,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피보호부 (125) 의 양측단부의 일부가 보호부 (434) 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5)
또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의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만이 제 1 인슐레이터 (107) 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6)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제 1 인슐레이터 (107) 는, 상하 2 개로 분할된 부재를 끼워 맞추고, 돌출된 갈고리 등의 걸어맞춤, 볼트와 너트, 나사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0_L, 140_R) 는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는, 제 1 인슐레이터 (107) 를 구성하는 상하의 부재로부터, 제 1 배선판 (104) 및 제 2 배선판 (105) 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진 상태로 제 1 인슐레이터 (107) 에 유지되면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를 공통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에 접속하는 플러그 (101) 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7)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가 금속 쉘 (164) 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부착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관련지어 형성되면,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부착되지 않아도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좌우의 쉘 측면부 (167_L, 167_R) 의 각각에 상당하는 개별의 부재가, 복수의 제 1 컨택트 (162) 및 복수의 제 2 컨택트 (163) 가 부착된 제 2 인슐레이터 (161) 와 공통의 기판 (103) 에 부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쉘 측면부 (167_L, 167_R) 에 상당하는 각 부재는, 제 2 인슐레이터 (161) 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쉘 측면부 (167_L, 167_R) 와 동일한 위치 관계로 기판 (103) 에 부착되면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8)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가, 피보호부 (125) 를 좌우로부터 끼우는 판스프링 접점으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의 각각은, 단면 (端面) 이 우방과 좌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좌우의 측벽부 (142_L, 142_R) 로부터 절곡된 평판상의 부분이어도 된다.
이 경우,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는,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와 접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면 된다. 플러그 (101) 와 리셉터클 (102) 을 끼워 맞출 때에, 그라운드 금구 (171_L, 171_R) 의 각각과 플레이트 노출부 (132_L, 132_R) 는, 단면 (端面) 끼리가 서로 스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9)
실시형태에서는, 쌍을 이루는 탄성 접점부 (123_L, 123_R) 의 각각에 형성된 제 1 접점 (128_L, 128_R) 을 통하여,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가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에 접촉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에 접촉하는 제 1 접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예를 들어 측방 단면도인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그라운드 플레이트 (506) 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판부 (122) 의 장공부 (126) 에 대응시켜진 탄성 접점부 (523) 를 갖는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접점부 (523) 는, 상하 각각으로 돌출되는 2 개의 제 1 접점 (528_U, 528_D) 을 갖는 판스프링 접점이다.
상세하게는, 탄성 접점부 (523) 는, 제 1 접점 (528_U, 528_D) 과, 제 1 탄성부 (529) 를 갖는다. 제 1 접점 (528_U, 528_D) 은,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각각에 접촉한다. 제 1 탄성부 (529) 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제 1 접점 (528_U, 528_D) 의 각각에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및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로 향하는 힘을 가한다.
제 1 탄성부 (529) 는, 주판부 (122) 에 접속하는 기단부 (530) 와 판상부 (531_F, 531_R) 를 갖는다. 판상부 (531_R) 는, 기단부 (530) 로부터 제 1 접점 (528_U) 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접속하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위이다. 판상부 (531_F) 는, 제 1 접점 (528_U) 으로부터 제 2 접점 (528_D) 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접속하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위이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제 1 접점 (528_U, 528_D) 은,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단부 (530) 보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506) 의 전단부 (선단부) 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 접점부 (523) 에 의하면,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탄성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제 1 접점 (528_U) 과 제 1 접점 (528_D) 의 각각에서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접점부 (523) 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506) 에 1 개 이상 형성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도체 (112) 와 제 2 그라운드 도체 (118) 의 모두를 접지 전위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 그 형태에 적절히 변경을 가한 형태도 포함한다.
100 : 커넥터 조립체
101, 301, 401 : 플러그
102 : 리셉터클
103 : 기판
104 : 제 1 배선판
104_U : 상면부
105 : 제 2 배선판
105_D : 하면부
106, 206 : 그라운드 플레이트
107, 307, 407 : 제 1 인슐레이터
108 : 커버
109 : 제 1 로크 기구부
110 : 제 1 유전체판
111 : 제 1 신호 배선
111_E : 제 1 배선 노출부
112 : 제 1 그라운드 도체
113 : 제 1 피유지부
114_L, 114_R : 제 1 걸림부
115 : 제 1 연장 형성부
116 : 제 2 유전체판
117 : 제 2 신호 배선
117_E : 제 2 배선 노출부
118 : 제 2 그라운드 도체
119 : 제 2 피유지부
120_L, 120_R : 제 2 걸림부
121 : 제 2 연장 형성부
122: 주판부
123_L, 123_R, 523 : 탄성 접점부
124 : 돌기부
125, 225 : 피보호부
126 : 장공부
127_L, 127_R : 제 3 걸림부
128_L, 128_R, 528_U, 528_D : 제 1 접점
129_L, 129_R : 제 1 탄성부
130_L, 130_R, 530 : 기단부
131_L, 131_R : 판상부
132_L, 132_R, 232_L, 232_R : 플레이트 노출부
133 : 본체부
133_U : 상벽부
133_D : 하벽부
133_L : 좌벽부
133_R : 우벽부
134, 334, 434 : 보호부
135 : 로크 기구 부착부
136 : 수용 공간
138 : 테이퍼부
139_UL, 139_UR, 139_D : 커버 부착부
140_L, 140_R : 플레이트 가이드 홈부
141_L, 141_R, 141_D : 경사부
142_L, 142_R, 442_L, 442_R : 측벽부
143 : 제 1 구획부
143_A : 제 1 돌출부
143_B : 제 1 수용부
144 : 제 2 구획부
144_A : 제 2 돌출부
144_B : 제 2 수용부
145, 345 : 선단 보호부
146 : 슬릿부
147 : 플레이트 유지홈
148 : 제 1 삽입 형성공
149 : 제 2 삽입 형성공
150 : 제 1 개구
151 : 제 2 개구
153 : 돌상부
154 : 슬라이드 홈부
155 : 덮개부
156_L, 156_R : 빠짐 방지부
157 : 평판부
158 : 만곡부
159 : 로크부
160 : 조작부
161 : 제 2 인슐레이터
S : 끼워맞춤 공간
162 : 제 1 컨택트
163 : 제 2 컨택트
164 : 금속 쉘
165_L, 165_R : 측벽 개구부
166 : 쉘 상면부
167_L, 167_R : 쉘 측면부
168 : 제 2 로크 기구부
169 : 로크 구멍부
170_L, 170_R : 측면 개구부
171_L, 171_R : 그라운드 금구
172_L, 172_R : 그라운드 접속부
173_L, 173_R : 제 2 접점
174_L, 174_R : 제 2 탄성부
375 : 관통공부
476 : 내방 만곡부

Claims (12)

  1. 제 1 신호 배선과 제 1 그라운드 도체를 갖고,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제 2 신호 배선과 제 2 그라운드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렉시블 배선판으로서,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평행하게 소정 거리 이간된 상태로 배치된,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의 각각과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점을 갖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전체의 상기 제 1 방향의 선단부, 상기 제 3 방향의 양측단부 및 외방을 향하는 2 개의 주면부라고 하는 5 개의 부위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의 상기 제 1 방향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의 각각의 일부는,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제 3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 3 방향의 폭이 좁은 것에 의해,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보호부를 갖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서,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이, 각각, 상기 제 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삽입 형성공 및 제 2 삽입 형성공을 갖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1 신호 배선 및 상기 제 2 신호 배선의 각각의 일부를, 각각,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에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선단부를 포함하는 피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플레이트 유지홈과,
    상기 플레이트 유지홈과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선단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보호부는, 상기 플레이트 유지홈과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접속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 1 접점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 또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로 향하는 힘을 가하는 제 1 탄성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평판상의 주판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주판부에 접속하여 굴곡 또는 만곡한 기단부와, 당해 기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접점의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는 판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과,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 및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경우에, 일방향으로 늘어서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걸림부, 제 2 걸림부, 제 3 걸림부, 빠짐 방지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빠짐 방지 끼워맞춤부에 고정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늘어선 제 1 걸림부, 제 2 걸림부, 제 3 걸림부를 관통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도체가 배치된 주면과는 상이한 주면에 배치된 제 3 그라운드 도체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배선판은, 상기 제 2 그라운드 도체가 배치된 주면과는 상이한 주면에 배치된 제 4 그라운드 도체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접촉하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신호 배선과 접촉하는 제 2 컨택트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금구와,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인슐레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금구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제 2 접점과,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측단부의 일부로 향하는 힘을 상기 제 2 접점에 가하는 제 2 탄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주위에 배치된 금속 쉘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측면에 대응시켜 배치된 평판상의 쉘 측면부를 갖고,
    상기 그라운드 금구는, 판스프링 접점이고,
    상기 쉘 측면부는, 상기 그라운드 금구의 일단이 고정되는 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양측단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금구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노출된 양측단부의 일부의 각각의 측방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금구의 쌍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노출된 양측단부의 일부를 측방으로부터 끼워 각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109533A 2018-11-01 2019-09-04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293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6309A JP7144282B2 (ja) 2018-11-01 2018-11-01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8-206309 2018-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356A KR20200050356A (ko) 2020-05-11
KR102293102B1 true KR102293102B1 (ko) 2021-08-23

Family

ID=7045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33A KR102293102B1 (ko) 2018-11-01 2019-09-04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97098B2 (ko)
JP (1) JP7144282B2 (ko)
KR (1) KR102293102B1 (ko)
CN (1) CN111146630B (ko)
TW (1) TWI7341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4934B2 (ja) * 2019-10-08 2022-09-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TWM610685U (zh) 2020-10-07 2021-04-21 英豪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總成
CN113285292A (zh) * 2021-05-18 2021-08-2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卡扣锁紧式电连接器
CN113594747B (zh) * 2021-07-29 2024-01-26 昆山金鹏电子有限公司 一种高密度柔性线路板
TWI819557B (zh) * 2022-04-06 2023-10-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高速傳輸型連接器
CN117768564A (zh) * 2022-09-26 2024-03-2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接地弹片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367A (ja) * 2004-09-02 2006-03-16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部付き平衡伝送用平坦状ケーブル
JP2015222638A (ja) * 2014-05-22 2015-12-1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1393B2 (ja)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4090060B2 (ja) 2004-12-20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38303B2 (ja)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99228B2 (ja) 2006-02-07 2011-06-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220536A (ja) 2006-02-17 2007-08-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
US20090298327A1 (en) * 2008-05-30 2009-12-03 Wang Chien-Chun Connecting module
JP5019187B2 (ja) 2010-01-29 2012-09-05 山一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47525B2 (ja) 2010-03-17 2014-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末接続具
JP5826565B2 (ja) * 2011-08-31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210886A (ja) 2014-04-24 2015-11-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
US9166320B1 (en) * 2014-06-25 2015-10-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JP6293596B2 (ja) 2014-07-08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0333B1 (ja) * 2016-06-22 2016-1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10027066B2 (en) 2016-08-01 2018-07-17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s soldered upon contact tails and embedded within insulator
JP2018031593A (ja) * 2016-08-22 2018-03-01 富士通株式会社 微粒子センシング素子及び微粒子評価システム
CN107871986A (zh) 2016-09-23 2018-04-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206850124U (zh) * 2017-01-19 2018-01-0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TWM551363U (zh) 2017-01-23 2017-11-0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結構之改良
JP6452751B2 (ja) 2017-04-20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601181B2 (en) * 2017-12-01 2020-03-24 Amphenol East Asia Ltd.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JP2019149230A (ja) 2018-02-26 2019-09-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8797213U (zh) * 2018-06-08 2019-04-26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带旋转锁杆的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11403963A (zh) * 2018-12-29 2020-07-10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367A (ja) * 2004-09-02 2006-03-16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部付き平衡伝送用平坦状ケーブル
JP2015222638A (ja) * 2014-05-22 2015-12-1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4282B2 (ja) 2022-09-29
TW202019028A (zh) 2020-05-16
US20200144751A1 (en) 2020-05-07
JP2020072035A (ja) 2020-05-07
KR20200050356A (ko) 2020-05-11
US10897098B2 (en) 2021-01-19
CN111146630B (zh) 2021-02-19
CN111146630A (zh) 2020-05-12
TWI734163B (zh)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10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340208B1 (ko) 커넥터 조립체
US6890193B2 (en)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KR101832599B1 (ko) 커넥터
KR100716401B1 (ko) 박형 시트 부재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JP5943774B2 (ja) コネクタ
JP5728279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MXPA05011617A (es) Acoplador para cables planos y montaje de conector electrico.
KR20120087817A (ko)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US10965051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for easier insertion of a terminal into a housing
US11018449B2 (en) Connector
US2008017643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6660432B2 (ja) コネクタ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EP1403981B1 (en) Connector in which contact force can be maintained during a long period
JP7038172B2 (ja) コネクタ
JP2007220536A (ja) コネクタ
JP2019102292A (ja) コネクタ
JP61038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とスライダとの組み付け構造
KR101160901B1 (ko) 한쌍의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
JP3132913U (ja) 電子機器
JP2017027699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