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915B1 -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915B1
KR102288915B1 KR1020200004007A KR20200004007A KR102288915B1 KR 102288915 B1 KR102288915 B1 KR 102288915B1 KR 1020200004007 A KR1020200004007 A KR 1020200004007A KR 20200004007 A KR20200004007 A KR 20200004007A KR 102288915 B1 KR102288915 B1 KR 10228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lamp
lane
control command
overt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811A (ko
Inventor
성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915B1/ko
Priority to DE102020117217.6A priority patent/DE102020117217A1/de
Priority to CN202010619077.2A priority patent/CN113103951A/zh
Priority to JP2020127952A priority patent/JP2021109644A/ja
Priority to US16/991,367 priority patent/US11155203B2/en
Publication of KR2021009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60W2420/4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2Radar,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7Ra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전방촬영부,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설정된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자차의 전방에 하이빔을 조사하는 헤드램프, 상기 전방촬영부와 상기 감시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램프의 조사 형태를 미리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차량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상황에 따라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정보를 램프 시스템에 융합하여 사각지대 예측 제어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상대방의 눈부심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corner Radar 를 활용하여 사각지대 없이 360° 예측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을 제공하며, 원가 상승분 없이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시 눈부심을 제로화하는 기술로 Glare Free High beam 의 성능 향상 효과가 있고, Glare 최소화로 상대방에 대한 피해 우려없이 지능형 전조등을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 산재한 센서를 활용함으로써 부품 수 증가 없이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PREDICTIV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HEAD LAM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상황에 따라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정보를 램프 시스템에 융합하여 사각지대 예측 제어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상대방의 눈부심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전조등, Adaptive Driving Beam(ADB) 또는 High Beam Assistance(HBA)는 타인의 눈부심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자차량의 시인성을 강화해주는 카메라 기반의 야간 주행 안전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야간 주행 안전 시스템 기술은 단일 시스템 화각의 한계로 사각지대에서 빠르게 출현하는 차량에 대해 단발성 눈부심을 야기해 안전상의 위협을 가하는 불완전한 시스템이기도 하다.
전방 카메라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 특성상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출현하는 타겟은 실시간으로 감지해내지 못하며, 야간 광원 인식 원리의 한계로 사각지대에서 빠르게 출연하는 차량의 리어 램프 광원쌍이 화각 내 완전히 노출되기 전까지는 해당 광원을 차량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후측방 레이더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은 근접 차로에서 일반적으로 추월하는 차량은 감지 및 전조등 예측 제어가 가능하지만, 전측방 사각지대에서 출현하는 차량(근접 외 차로에서 난입하는 차량 및 선행 차량의 화각 이탈 혹은 출현 등)은 감지하지 못해 눈부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47212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상황에 따라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정보를 램프 시스템에 융합하여 사각지대 예측 제어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상대방의 눈부심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corner Radar 를 활용하여 사각지대 없이 360° 예측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을 제공하며, 원가 상승분 없이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시 눈부심을 제로화하는 기술로 Glare Free High beam 의 성능 향상 효과가 있고, Glare 최소화로 상대방에 대한 피해 우려없이 지능형 전조등을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 산재한 센서를 활용함으로써 부품 수 증가 없이 구현할 수 있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은 자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전방촬영부,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설정된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자차의 전방에 하이빔을 조사하는 헤드램프, 상기 전방촬영부와 상기 감시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램프의 조사 형태를 미리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차량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전측방 레이더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 Corner Rada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추월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고,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시센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자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행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선행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고, 우측에서 선행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선행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선행차 및 추월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헤드램프에서 하이빔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은 전방촬영부를 통하여 자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하는 제1단계,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설정된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자차의 전방에 하이빔을 조사하는 헤드램프의 조사 형태를 미리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구동부에서 상기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전측방 레이더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 Corner Radar를 통하여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추월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고,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시센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자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행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선행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고, 우측에서 선행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선행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선행차 및 추월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헤드램프에서 하이빔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상황에 따라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정보를 램프 시스템에 융합하여 사각지대 예측 제어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상대방의 눈부심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corner Radar 를 활용하여 사각지대 없이 360° 예측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을 제공하며, 원가 상승분 없이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시 눈부심을 제로화하는 기술로 Glare Free High beam 의 성능 향상 효과가 있고, Glare 최소화로 상대방에 대한 피해 우려없이 지능형 전조등을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 산재한 센서를 활용함으로써 부품 수 증가 없이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이 추월 차량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이 선행 차량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 내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이 추월 차량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이 선행 차량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은, 전방촬영부(110), 전후측방감지센서(130), 차량제어부(170), 구동부(195) 및 헤드램프(19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촬영부(11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자차(100)의 전방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전후측방감지센서(130)는 자차(100)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하는 BSD(Blind Spot Detection) 센서인 것으로, 전측방 레이더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 Corner Radar 등이 될 수 있다.
헤드램프(197)는 차량제어부(170)에 의해 설정된 조사 영역에 기초하여 자차(100)의 전방에 빔을 조사한다. 이때, 헤드램프(197)는 램프의 조명 각도, 밝기, 폭 및 길이 등을 변경하여 조사하는 ADB(Adaptive Driving Beam) 헤드램프일 수 있으며, 또는 반대쪽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하이빔(High Beam)을 자동으로 로우빔(Low Beam)으로 전환 제어하는 HBA(High Beam Assistance) 헤드램프일 수 있다.
구동부(195)는 차량제어부(17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헤드 램프(197)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95)는 모터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를 통해 헤드램프(197)를 상향하여 하이빔이 출력되도록 구동시키거나, 헤드램프(160)를 하향하여 로우빔이 출력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차량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될 수 있으며, 전방촬영부(110)를 통해 획득한 전방 영상과 전후측방감시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자차(100)의 전후측방 사각지대의 정보에 기초하여 헤드램프(197)의 조사 형태를 미리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구동부(195)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제어부(170)는 전방 영상과 자차(100)의 전후측방 사각지대의 정보를 분석하여, 추월차(300) 및 선행차(50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추월차(300) 및 선행차(50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가 하이빔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95)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제어부(170)는 전방 영상 및 자차(100)의 전후측방 사각지대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자차(100)의 인접 차선 이외의 차선에서 주행하다가 자차의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는 차량이 추월하려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즉, 자차(100)의 인접 차선이 아닌 인접 차선의 바깥쪽인 왼쪽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자차(100)의 인접 차선으로 차선 변경하여 자차를 추월하려는 경우, 자차(100)의 후측방 센서를 통하여 추월차(300)가 감지되고, 이어서 자차(100)의 전측방 센서를 통하여 추월차(300)가 감지되면, 차량제어부(170)는 추월차(300)가 자차(100)의 전방으로 진행할 것을 예측하여, 헤드램프(19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미리 구동부(195)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추월차(300)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하이빔을 로우빔으로 변환시켜 출력되도록 하거나(도 3의 a), 또는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추월차(300)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자차(100)의 좌측에 대응하는 조사 영역에 대하여 엘 쉐이프(L-shape) 형상으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다크 존(dark zone)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도 3의 b), 추월차(3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진입하기 전에 하이빔을 미리 소등시킴으로써, 추월차(300)로 눈부심 피해가 가해지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차(100)의 오른쪽에서 추월차(300)가 진행하여 자차(100)를 추월하려는 경우, 자차(100)의 후측방 센서를 통하여 추월차(300)가 감지되고, 이어서 자차(100)의 전측방 센서를 통하여 추월차(300)가 감지되면, 차량제어부(170)는 추월차(300)가 자차(100)의 전방으로 진행할 것을 예측하여, 헤드램프(19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미리 구동부(195)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추월차(300)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하이빔을 로우빔으로 변환시켜 출력되도록 하거나(도 4의 a), 또는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추월차(300)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자차(100)의 우측에 대응하는 조사 영역에 대하여 엘 쉐이프(L-shape) 형상으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다크 존(dark zone)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도 4의 b), 추월차(3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진입하기 전에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어 추월차(300)로 눈부심 피해가 가해지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차량제어부(170)는 전방 영상 및 자차(100)의 전후측방 사각지대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자차(1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선행차(5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즉,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곡선도로에서 자차(100)의 전방 오른쪽에 선행차(500)가 존재하는 경우, 자차(100)의 전방촬영부(110)와 전측방 센서를 통하여 선행차(500)가 감지되면,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선행차(500)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하이빔을 로우빔으로 변환시켜 출력되도록 하거나(도 6의 a), 또는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선행차(500)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자차(100)의 좌측에 대응하는 조사 영역에 대하여 엘 쉐이프(L-shape) 형상으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다크 존(dark zone)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도 6의 b), 선행차(5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진입하기 전에 하이빔이 소등되어 선행차(500)로 눈부심 피해가 가해지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왼쪽으로 회전하는 곡선도로에서 자차(100)의 전방 왼쪽에 선행차(500)가 존재하는 경우, 자차(100)의 전방촬영부(110)와 전측방 센서를 통하여 선행차(500)가 감지되면,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미리 구동부(195)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제어부(170)는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선행차(500)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하이빔을 로우빔으로 변환시켜 출력되도록 하거나(도 6의 a), 또는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선행차(500)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여 자차(100)의 좌측에 대응하는 조사 영역에 대하여 엘 쉐이프(L-shape) 형상으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다크 존(dark zone)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도 6의 b), 선행차(5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진입하기 전에 하이빔이 소등되어, 선행차(500)로 눈부심 피해가 가해지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곡률이 급격한 곡선도로에서, 선행차(5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을 벗어났다가 다시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재출현 시 전방촬영부(110)보다 감지 범위가 넓은 전측방 센서를 이용하여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외에서 선행차(500)를 감지할 수 있으며,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선행차(500)가 재출현할 가능성이 있으면, 선행차(5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진입하기 전에 자차(100)의 하이빔을 미리 소등시켜 선행차(500)로 눈부심 피해가 가해지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이 도 7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헤드램프(197)의 동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1) 동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헤드램프(197)를 하이빔으로 ON 시키고(S102), 만족하지 않을 경우 헤드램프(197)의 하이빔이 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S115).
여기서, 헤드램프(197)의 동작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기 설정된 조도, 날짜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후 5시 이후에는 헤드램프(197)가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낮인 경우에도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로 인해 조도가 낮은 경우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램프(197)이 온 상태가 되면 차량제어부(170)에 의해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전방촬영부(110)를 통하여 자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전후측방감지센서(130)를 통하여 자차(100)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한다(S103).
이어서 차량제어부(170)에서 전방촬영부(110) 및 전후측방감지센서(130)의 정보를 분석하여(S104), 자차(100)의 좌측에 자차(100)의 인접 차선이 아닌 인접 차선의 바깥쪽인 왼쪽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자차(100)의 인접 차선으로 차선 변경하여 자차를 추월하려는 추월차(3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105),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고,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한다(S106).
차량제어부(170)에서 전방촬영부(110) 및 전후측방감지센서(130)의 정보를 분석하여(S104), 자차(100)의 우측에 자차(100)의 인접 차선이 아닌 인접 차선의 바깥쪽인 오른쪽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자차(100)의 인접 차선으로 차선 변경하여 자차를 추월하려는 추월차(3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고,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한다(S107).
한편, 차량제어부(170)에서 전방촬영부(110) 및 전후측방감지센서(130)의 정보를 분석하여(S104), 사각지대에 선행차(5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108), 선행차(500)가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출현할 지 판단한다(S109).
이어서 자차(100)의 하이빔 영역 내로 선행차(500)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고(S110), 자차(100)의 좌측에 선행차(500)가 존재할 때(S111),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고,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한다(S112).
아울러 자차(100)의 우측에 선행차(500)가 존재할 때(S111), 헤드램프(197)가 HBA 헤드램프이면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하고, 헤드램프(197)가 ADB 헤드램프이면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구동부(195)에 전달한다(S113).
이어서, 차량제어부(170)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나면 동작 조건 만족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제어 동작을 계속 수행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1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상황에 따라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정보를 램프 시스템에 융합하여 사각지대 예측 제어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상대방의 눈부심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측방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corner Radar 를 활용하여 사각지대 없이 360° 예측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을 제공하며, 원가 상승분 없이 추월차 난입 및 선행차 추종 시 눈부심을 제로화하는 기술로 Glare Free High beam 의 성능 향상 효과가 있고, Glare 최소화로 상대방에 대한 피해 우려없이 지능형 전조등을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 산재한 센서를 활용함으로써 부품 수 증가 없이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01 내지 단계 S115에 따른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전방촬영부 130: 전후측방감지센서
170: 차량제어부 195: 구동부
197: 헤드램프

Claims (11)

  1. 자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전방촬영부;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설정된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자차의 전방에 하이빔을 조사하는 헤드램프;
    상기 전방촬영부와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램프의 조사 형태를 미리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차량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는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의 좌측 바깥 쪽인 좌측 차선에서 주행하다가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는 추월 예측차에 대한 감지 정보 또는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의 우측 바깥 쪽인 우측 차선에서 주행하다가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는 추월 예측차에 대한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의 좌측 바깥 쪽인 좌측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의 우측 바깥 쪽인 우측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자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추월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고,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전측방 레이더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 Corner Rada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좌측으로 회전하는 곡선도로에서 상기 자차의 전방 좌측에 선행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우측으로 회전하는 곡선도로에서 상기 자차의 전방 우측에 선행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선행차 및 추월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헤드램프에서 하이빔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6. 전방촬영부를 통하여 자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감지하는 제1단계;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설정된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자차의 전방에 하이빔을 조사하는 헤드램프의 조사 형태를 미리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구동부에서 상기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의 좌측 바깥 쪽인 좌측 차선에서 주행하다가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는 추월 예측차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의 우측 바깥 쪽인 우측 차선에서 주행하다가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는 추월 예측차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의 좌측 바깥 쪽인 좌측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자차의 좌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의 우측 바깥 쪽인 우측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자차의 우측 인접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자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추월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고,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추월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전측방 레이더 및 후측방 레이더, Surrounding Radar 또는 Four Corner Radar를 통하여 상기 자차의 전측방 및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좌측으로 회전하는 곡선도로에서 상기 자차의 전방 좌측에 선행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좌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좌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우측으로 회전하는 곡선도로에서 상기 자차의 전방 우측에 선행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ADB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우측 일부 영역이 미리 소등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헤드램프가 HBA 헤드램프이면 우측에서 상기 선행차 출현 시 출력 중인 하이빔이 미리 소등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상기 전방촬영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선행차 및 추월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헤드램프에서 하이빔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
  11. 청구항 6항, 청구항 7항, 청구항 9항 또는 청구항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004007A 2020-01-13 2020-01-13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8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07A KR102288915B1 (ko) 2020-01-13 2020-01-13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E102020117217.6A DE102020117217A1 (de) 2020-01-13 2020-06-30 Prädiktives Steuersystem für einen intelligenten Scheinwerfer und Verfahren dafür
CN202010619077.2A CN113103951A (zh) 2020-01-13 2020-07-01 智能前灯的预测控制系统及其方法
JP2020127952A JP2021109644A (ja) 2020-01-13 2020-07-29 知能型前照灯の予測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16/991,367 US11155203B2 (en) 2020-01-13 2020-08-12 Predictiv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head lamp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07A KR102288915B1 (ko) 2020-01-13 2020-01-13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811A KR20210090811A (ko) 2021-07-21
KR102288915B1 true KR102288915B1 (ko) 2021-08-12

Family

ID=7654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007A KR102288915B1 (ko) 2020-01-13 2020-01-13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55203B2 (ko)
JP (1) JP2021109644A (ko)
KR (1) KR102288915B1 (ko)
CN (1) CN113103951A (ko)
DE (1) DE1020201172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78B1 (ko) 2009-09-08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상향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26966B2 (ja) * 2010-05-28 2014-1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KR101232308B1 (ko) * 2010-11-25 2013-02-13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329911B1 (ko) * 2012-01-17 2013-11-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상향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942598B2 (ja) * 2012-05-28 2016-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ライト制御装置
KR20140147212A (ko) 2013-06-19 2014-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라이더를 이용한 hba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20839A (ko)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만도 전방 영상 분석을 통한 하이빔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5001912A1 (de) * 2015-02-16 2016-08-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cheinwerferanlage eines Fahrzeuges sowie Steuergerät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6447305B2 (ja) * 2015-03-30 2019-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周辺情報検出構造
KR101811595B1 (ko) 2015-09-04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95167B1 (ko) 2017-05-23 2018-09-04 한국광기술원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21153B1 (ko) * 2017-06-08 2021-0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515901B (zh) * 2018-03-28 2021-03-23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照明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097606B1 (ko) 2018-07-03 2020-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빗 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7217A1 (de) 2021-07-15
KR20210090811A (ko) 2021-07-21
CN113103951A (zh) 2021-07-13
JP2021109644A (ja) 2021-08-02
US20210213872A1 (en) 2021-07-15
US11155203B2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0899B2 (ja) 車外環境認識装置
JP5413511B2 (ja) 車両配光制御装置及び方法
JP6453669B2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JP6200481B2 (ja) 車外環境認識装置
JP453846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EP2657079B1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JP6723290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053409B2 (ja) ヘッドランプ制御方法及びヘッドランプ制御装置
JP5372616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JP5375880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8498779B2 (en) Headligh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and headlight system for vehicles
JP6288208B1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KR102135901B1 (ko) 차량의 hba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9096249A (ja) 車両用照明装置
WO2013180111A1 (ja) 車両のライトの照射範囲を制御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288915B1 (ko) 지능형 전조등의 예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214290B2 (ja) 前照灯制御装置
EP3147157B1 (en) Vehicle headlamp system
JP2012180051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5636483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CN114867639A (zh) 用于控制机动车辆照明系统的方法
JP2017094965A (ja) 車外環境認識装置
JP2017094967A (ja) 車外環境認識装置
JP2006327334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JP7176460B2 (ja) 移動支援システム、移動支援方法、及び移動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