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322B1 -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 - Google Patents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322B1
KR102282322B1 KR1020167019967A KR20167019967A KR102282322B1 KR 102282322 B1 KR102282322 B1 KR 102282322B1 KR 1020167019967 A KR1020167019967 A KR 1020167019967A KR 20167019967 A KR20167019967 A KR 20167019967A KR 102282322 B1 KR102282322 B1 KR 10228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ckroach
dihydro
dimethyl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273A (ko
Inventor
유키히로 니시무라
마사유키 사쿠마
타미오 우에노
노리타다 마츠오
야스유키 코우타니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6010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87Benzo [c] furans; Hydrogenated benzo [c] furans
    • C07D307/88Benzo [c] furans; Hydrogenated benzo [c] furans with one oxy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1 or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4Benzo[b]pyrans,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uran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바퀴벌레 집합 페로몬 및 바퀴벌레 집합 페로몬을 함유한 바퀴벌레 유인제 또는 바퀴벌레 구제제에 관한 과제를,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인 일반식 (I) ∼ (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의해 해결하는 것.
Figure 112016070932372-pct00075

Figure 112016070932372-pct00076


Figure 112016070932372-pct00077

Description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COCKROACH ATTRACTION-AGGREGATION SUBSTANCE, COCKROACH AGGREGATION ATTRACTANT AND COCKROACH CONTROLLING AGENT}
본 발명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함유하는 바퀴벌레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에 관한 것이다.
바퀴벌레류는 대표적인 위생해충으로, 일반 가정은 물론 산업상의 다양한 장소에 침입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구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서식 장소가 인간생활과 밀착해 있기 때문에 살충제의 사용은 제한되고, 또한 좁은 틈 등에 숨는 습성을 가지고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종래의 포충기나 식독제로는 효과적인 구제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최근 바퀴벌레류의 페로몬의 연구가 진행되어, 이의 방제로의 이용이 검토되기 시작했다(특허문헌 1, 2 및 3). 페로몬은 생물 자신이 분비하여 동종의 다른 개체에 작용하는 화학물질이며, 극미량으로 강력한 유인 등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곤충의 페로몬으로는 성 페로몬, 집합 페로몬 등이 알려져 있다. 성 페로몬이란 한쪽 성의 개체가 분비·방출하여 다른 성에만 작용하는 페로몬을 말한다. 한편, 집합 페로몬은 동종의 다른 개체를 집합시키는 정보 화학물질 중, 성 페로몬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즉, 집합 페로몬은 수컷 및 암컷의 구별 없이 작용하고, 또한 생식 능력이 없는 유생(幼生)에게도 작용할 수 있다.
그런데, 집합 페로몬이라고 하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것은 독일 바퀴벌레이다. 독일 바퀴벌레는 복부 말단으로부터 페로몬을 분비하여 쉘터(shlter)를 표식한다. 페로몬은 체표에도 존재하고 있어, 동종 개체의 인지에도 사용되고 있다. 독일 바퀴벌레의 집합 페로몬에는, 냄새로서 작용하는 1-디메틸아미노-2-메틸-2-프로판올 등의 유인 페로몬 외에, 접촉화학적으로 작용하는 구속 페로몬(arrestant)이 포함되어 있어, 그 구성성분의 일부는 동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블라베루스 바퀴벌레(Blaberus craniifer)는 두부(頭部)의 대시선으로부터 집합 페로몬을 분비한다. 활성탄으로 포집한 냄새 성분으로부터 운데칸(un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에틸 카프론산(ethyl caproate)에 유인 활성이 확인되어 있다.
상기 바퀴벌레 페로몬류를 유인제로서 포충기나 식독제에 사용하면, 바퀴벌레 구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유인 물질, 예를 들면, 페리플라논(periplanone) 류, 보르닐 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테르페노이드(terpenoid) 류 등으로는 효과의 지속성이 모자라고, 때로는 정반대인 기피 인자로도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성 페로몬은 성충의 한쪽 성밖에 효과가 없기 때문에, 유충/성충 및 암컷/수컷의 구별 없이 모든 개체에 효과가 있는 바퀴벌레 집합 페로몬의 동정 및 그 이용에 대한 기대가 높아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6-2492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6-2527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02-284610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스즈키 아키노리, 아라이 소이치 편 『농예화학의 사전』 아사쿠라 서점: p183-186
본 발명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및 상기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또는 바퀴벌레 구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미국 바퀴벌레의 충체 및 배설물에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 연구를 계속하여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의 동정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인 일반식 (I) ∼ (III)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1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2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3
(식 중, R1∼R5 및 R1'∼R5'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포르밀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옥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옥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할로(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또한, X는 메틸렌기(-CH2-)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2) R1∼R5 및 R1'∼R5'이,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상기 (1)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3) R5 및 R5'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4) R1 및 R1'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5) R1 및 R5 와 R1 ' 및 R5' 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6) R2, R3 및 R4 와 R2 ', R3' 및 R4' 중 어느 2개가 수소 원자이고, 나머지의 하나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7)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인, 하기 식 (I-1) ∼ (I-8)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4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9)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구제제.
(10)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바퀴벌레를 집합 유인 또는 구제하기 위한 사용.
(11) 하기 식 (I-1) ∼ (I-6)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5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바퀴벌레 집합 유인 효과를 갖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바퀴벌레 유인 효과를 갖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하는 생물시험에 사용하는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linear track olfactometer)(선형 통로첨부 후각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시험예 1에 있어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의해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EPI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Dose는 시험에 제공한 화합물량을 나타낸다.
도 3은 시험예 2에 있어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의해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시험예 3에 있어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의해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시험예 4에 있어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의해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미국 바퀴벌레의 배설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실시예 24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의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MeOH는 메탄올을, EtOAc은 초산에틸을, IPA는 이소프로판올을, MeOAc은 초산메틸을, 활성분획은 생물시험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낸 분획을, 비활성분획은 생물시험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분획을 의미한다.
도 7은 시험예 5에 있어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의해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시험예 6에 있어서, 점착식 바퀴벌레 포획기를 사용한 준현장시험에 의해,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퀴벌레」는, 분류학상의 곤충강 바퀴벌레목에 속하는 종류 중, 흰개미를 제외한 곤충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독일 바퀴벌레(Blattella germanica), 미국 바퀴벌레(Periplaneta americana), 먹 바퀴벌레(Periplaneta fuliginosa), 일본 바퀴벌레(Periplaneta japonica)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이라 함은 바퀴벌레의 성충/유충 또는 수컷/암컷의 구별에 관계없이 상기 바퀴벌레를 불러모으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이라 함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하고, 이후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화합물」 또는 「바퀴벌레 집합 페로몬」이라고도 칭한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I)∼ (III)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6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7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8
(식 중, R1∼R5 및 R1'∼R5'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포르밀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옥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옥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할로(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헤테로아릴기
를 나타내고,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X는 메틸렌기(-CH2-)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다.
「(C1-C6)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tert-펜틸기, 네오펜틸기, 2,3-디메틸프로필기, 1-에틸프로필기, 1-메틸부틸기, 2-메틸부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2-헥실기, 3-헥실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1,1,2-트리메틸프로필기, 3,3-디메틸부틸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C3-C6)시클로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탄소 원자수 3∼6개의 환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C2-C6)알케닐기」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펜일기, 1-부텐일기, 2-부텐일기, 2-메틸-2-프로펜일기, 1-메틸-2-프로펜일기, 2-메틸-1-프로펜일기, 펜텐일기, 1-헥센일기, 3,3-디메틸-1-부텐일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고,
「(C3-C6)시클로알케닐기」로는, 예를 들면, 2-시클로펜텐-1-일, 3-시클로펜텐-1-일, 2-시클로헥센-1-일, 3-시클로헥센-1-일 등의 탄소 원자수 3∼6개의 환상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고,
「(C2-C6)알키닐기」로는, 예를 들면,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2-프로피닐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3-메틸-1-프로피닐기, 2-메틸-3-프로피닐기, 펜티닐기, 1-헥시닐기, 3-메틸-1-부티닐기, 3,3-디메틸-1-부티닐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기를 들 수 있다.
「(C1-C6)알콕시기」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이소펜틸옥시기, tert-펜틸옥시기, 네오펜틸옥시기, 2,3-디메틸프로필옥시기, 1-에틸프로필옥시기, 1-메틸부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이소헥실옥시기, 1,1,2-트리메틸프로필옥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고,
「(C3-C6)시클로알콕시기」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폭시기, 시클로부톡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3∼6개의 환상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고,
「(C2-C6)알케닐옥시기」로는, 예를 들면, 프로펜일옥시기, 부텐일옥시기, 펜텐일옥시기, 헥센일옥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옥시기를 들 수 있고,
「(C2-C6)알키닐옥시기」로는, 예를 들면, 프로피닐옥시기, 부티닐옥시기, 펜티닐옥시기, 헥시닐옥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옥시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2-비페닐기, 3-비페닐기, 4-비페닐기, 2-안트릴(2-anthryl)기 등의 (C6-C14)아릴기를 들 수 있고,
「헤테로아릴기」로는, 예를 들면, 퓨란, 이미다졸,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디아졸, 옥사졸, 1,2,3-옥사디아졸, 피라진, 피라졸, 피리다진, 피리딘, 피리미딘, 피롤린, 티아졸, 1,3,4-티아디아졸, 트리아졸 또는 테트라졸 등으로부터 수소 원자가 하나 제외된 것을 들 수 있다.
「(C1-C6)」, 「(C2-C6)」, 「(C3-C6)」 등의 표현은 각종 치환기의 탄소 원자수의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치환기가 연결된 기에 대해서도 상기 정의를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면, 「(C1-C6)알콕시(C1-C6)알킬기」의 경우는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수 1∼6개의 알콕시기가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수 1∼6개의 알킬기에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부가염, 금속염, 암모늄염, 유기 아민 부가염, 아미노산 부가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부가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초산염, 말레인산염, 푸말산염, 옥살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주석산염, 구연산염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금속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암모늄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트리메틸암모늄염, 디메틸암모늄염, 모노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아민 부가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염, 트리에틸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프로카인염(procaine salt),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몰포린염, 피페리딘염 등의 부가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부가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라이신염, 글라이신염, 페닐알라닌염 등의 부가염 등을 들 수 있다.
R1과 R2가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5원환 또는 6원환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환식환이어도 되고, 방향환이어도 된다. 상기 환으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알칸환, 시클로알켄환, 아릴환, 헤테로아릴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벤젠환, 피리딘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은 그 구조식 중에 1개 또는 복수개의 부제 중심을 가지는 경우가 있고, 2종 이상의 광학 이성체 및 디아스테레오머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며, 본 발명은 각각의 광학 이성체 및 이들이 임의의 비율로 포함된 혼합물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1∼R5 및 R1'∼R5'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다. 또한, 본 태양에 있어서,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5 및 R5'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1∼R4 및 R1'∼R4'은 상기한 바와 같아도 되고,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1∼R4 및 R1'∼R4'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또한, 본 태양에 있어서,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1 및 R1'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2∼R5 및 R2'∼R5'은 상기한 바와 같아도 되고,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2∼R5 및 R2'∼R5'이,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1과 R5 및 R1'과 R5'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의 R2∼R4 및 R2'∼R4'은 상기한 바와 같아도 되고,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2∼R4 및 R2'∼R4'이,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또한, 본 태양에 있어서,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라 함은 수소 원자가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예,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C1-C6)알킬기, (C3-C6)시클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3-C6)시클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1-C6)알콕시기, (C3-C6)시클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1-C6)알킬티오기, (C3-C6)시클로알킬티오기, (C2-C6)알케닐티오기, (C2-C6)알키닐티오기, (C1-C6)알킬술피닐기, (C3-C6)시클로알킬술피닐기, (C2-C6)알케닐술피닐기, (C2-C6)알키닐술피닐기, (C1-C6)알킬술포닐기, (C3-C6)시클로알킬술포닐기, (C2-C6)알케닐술포닐기, (C1-C6)알콕시(C1-C6)알킬기, (C3-C6)시클로알킬(C1-C6)알킬기, (C1-C6)알콕시할로(C1-C6)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구체예는 상기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치환기의 치환기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치환기에 바람직하게는 1∼6개 정도이며, 복수의 경우에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하기 식 (I-1)∼(I-8)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다.
Figure 112016070932372-pct00009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바퀴벌레의 충체 또는 배설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되며, 또한, 바퀴벌레의 충체 또는 배설물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화학 수식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한편, 상기 바퀴벌레의 충체 또는 배설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미국 바퀴벌레의 충체 또는 배설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어도 된다.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0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1
및,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2
(식 중, R1∼R5 및 R1'∼R5'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포르밀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옥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옥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3-C6)시클로알킬(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할로(C1-C6)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헤테로아릴기
를 나타내고,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되고,
R3∼R5 및 R3'∼R5'으로부터 선택된 2개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식 중, X는 메틸렌기(-CH2-)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상기 R1과 R2 또는 R3∼R5 및 R3'∼R5'으로부터 선택된 2개가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환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환식환이어도 되고 방향환이어도 된다. 상기 환으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알칸환, 시클로알켄환, 헤테로알킬환, 아릴환, 헤테로아릴환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디히드로퓨란환, 디옥솔란환, 벤젠환, 나프탈렌환, 피리딘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15의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1 및 R1'이 할로겐 원자인 경우가 제외되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의 합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의 합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지기술(예를 들면, Synlett 2006, No.6 p873-876 및 Biosci. Biotechnol. Biochem., 74 (8), p1635-1640 등에 기재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메톡시-N,N-디알킬벤즈아미드 유도체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3
(식 중, X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R3∼R5는 전술한 기재와 동일한 치환기를 나타낸다.) 또는, 2-메톡시-N-알킬벤즈아미드 유도체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4
(식 중, X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R3∼R5는 전술한 기재와 동일한 치환기를 나타낸다.)를 출발물질로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급 알킬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직쇄 또는 분지쇄 상의 탄소수 1∼10개의 알킬기이어도 된다.
이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의 바퀴벌레의 충체 또는 배설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바퀴벌레의 충체 또는 배설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에 의해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유기용매를 사용한 추출 공정, 및 (B)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분리 정제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공정 (A)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극성 유기용매 및 무극성 유기용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밀 알콜,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아세틸아세톤, 또는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포름산, 초산, 프로피온산, 젖산, 길초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극성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면, n-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n-노난, n-데칸, 2-메틸헥산, 3-메틸헥산, 2,2,4-트리메틸펜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등의 포화 탄화수소류; 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킬류;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n-부틸 에테르, t-부틸 메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아니솔 또는 베라트롤 등의 에테르류; 초산 메틸, 초산 에틸, 프로피온산 에틸, 안식향산 에틸 또는 프탈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조합할 때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조합하는 용매의 종류, 또는 추출하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코올류, 포화 탄화수소류 및/또는 할로겐화 알킬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 중, n-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용매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99∼5/95(v/v)이다.
상기 공정 (A)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1) 및 (2)의 공정을 포함한다:
(1) 바퀴벌레의 충체 및/또는 배설물을 n-헥산으로 세정한 후,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2) 상기 공정 (1)에서 얻은 추출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액-액 분배법에 의해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얻는 공정.
상기 공정 (1)에 있어서, n-헥산에 의한 세정 방법 및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용액에 의한 추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액(固液) 추출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액 추출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체의 시험샘플(충체 및/또는 배설물)에 용매(n-헥산 또는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용액)을 가한 후, 흡인 여과 또는 자연흐름하에 의한 여과에 의해 고체 샘플과 용매를 분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추출 용액의 용매 제거는 예를 들면, 회전증발기를 사용한 감압제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 (2)에 있어서, 공정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용액에 가하는 1N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상기 디클로로메탄 용액과 1N 탄산나트륨 수용액과의 비율이 1/1(v/v)이 되도록 가한다. 1N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액-액 분배를 할 수 있다. 통상의 방법에 따라 디클로로메탄층과 탄산나트륨 수용액층을 분리하고, 디클로로메탄층의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디클로로메탄층의 용매의 제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증발기를 사용한 감압제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 (B)는 순상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역상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온교환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공정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공정 (B)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양자성 용매, 비양자성 용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자성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밀 알코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류; 포름산, 초산, 프로피온산, 젖산, 길초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양자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n-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n-노난, n-데칸, 2-메틸헥산, 3-메틸헥산, 2,2,4-트리메틸펜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등의 포화 탄화수소류; 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킬류;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n-부틸 에테르, t-부틸 메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아니솔 또는 베라트롤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아세틸아세톤, 또는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초산 메틸, 초산 에틸, 프로피온산 에틸, 안식향산 에틸 또는 프탈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조합할 때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조합하는 용매의 종류 또는 추출하는 화합물의 종류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 알코올류, 포화 탄화수소, 에스테르류, 및/또는 니트릴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공정 (B)는 이하의 (3)∼(8)의 공정을 포함한다:
(3) 상기 공정 (2)에서 얻은 추출물을, 순상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디클로로메탄/n-헥산 혼합용매, 이어서 초산에틸/n-헥산 혼합용매를 전개 용매로서 사용하는 분획을 반복하고, 초산에틸/n-헥산 분획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초산에틸/n-헥산 용출물을 얻는 공정;
(4) 상기 공정 (3)에서 얻은 용출물 또는 추출물을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활성탄을 첨가하여 정치한 뒤, 활성탄을 제거하고, 아세톤 분획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아세톤 용출물을 얻는 공정;
(5) 상기 공정 (4)에서 얻은 아세톤 용출물에 대하여,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동상을 메탄올/물 혼합용매로 분획하여, 메탄올/수 용출물을 얻는 공정;
(6) 상기 공정 (5)에서 얻은 용출물을, 순상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초산에틸/n-헥산 혼합용매를 전개 용매로서 사용하여 분획하고, 초산에틸/n-헥산 분획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초산에틸/n-헥산 용출물을 얻는 공정;
(7) 상기 공정 (6)에서 얻은 용출물을, 이동상이 초산에틸/n-헥산 용출물인 순상계 HPLC로 분획하고, 분취한 분획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용출물을 얻는 공정;
(8) 상기 공정 (7)에서 얻은 용출물을, 이동상이 메탄올인 역상계 HPLC로 분획하여 용출물을 얻는 공정;
(9) 상기 공정 (8)에서 얻은 용출물을, 이동상이 이소프로판올/메탄올 혼합용매인 역상계 HPLC로 분획하여 용출물을 얻는 공정;
(10) 상기 공정 (9)에서 얻은 용출물을, 이동상이 초산메틸/n-헥산 혼합용매인 순상계 HPLC로 분획하고, 분취한 분획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
상기 공정 (3)∼(10)에 있어서, 각 공정에서 얻어진 각 분획 용액은, 아래에 기재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제공하고,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이 높은 분획을 선택하고, 다음 공정 및/또는 조작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3)의 순상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을 충진한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다. 실리카겔을 충진한 오픈 컬럼에 의한 추출물의 분획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물을 컬럼에 충진한 실리카겔 위에 로딩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흐르게 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추출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증발기를 사용한 감압제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 (3)에서 사용하는 디클로로메탄/n-헥산 혼합용매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95∼40/60(v/v),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5/95∼35/65(v/v)이다. 또한, 초산에틸/n-헥산 혼합용매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99.5∼15/85(v/v),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0.5/99.5∼10/90(v/v)이다.
상기 공정 (4)의 아세톤 용액 분획을 얻는 방법은 예를 들면, 상기 공정 (3)에서 얻어진 초산에틸/n-헥산 혼합용액 분획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고형물을 아세톤에 용해하고, 해당 용액에 활성탄을 넣고 일정시간 정치한 후에 활성탄을 제거함으로써 수행해도 된다. 상기 초산에틸/n-헥산 혼합용액 분획으로부터 얻어진 고형물을 아세톤에 용해시킬 때의 비율은 예를 들면, 고형물 1 g에 대하여, 약 5 ∼ 약 100 mL, 바람직하게는 약 30 ∼ 약 80 mL의 아세톤으로 해도 된다. 또한, 아세톤 용액에 첨가하는 활성탄의 양은 예를 들면, 고형물의 중량에 대하여 약 1 ∼ 약 5배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 약 4배 중량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활성탄의 제거는 예를 들면 여과에 의해 행해도 된다.
상기 공정 (5)의 이온교환수지를 충진한 오픈 컬럼에 의한 용출물의 분획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한 용출물을 메탄올 등의 용매에 재용해시키고, 이온교환수지와 함께 현탁한 채 컬럼에 로딩하고, 순차 용매를 흐르게 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얻어진 용출 용액의 용매 제거 방법 또는 농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증발기를 사용한 감압제거 또는 갑압농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폴리머 비드(porous polymer beads)(예를 들면 CHP20P, 미쓰비시 화학 주식회사제)이다.
상기 공정 (5)에 있어서, 메탄올/물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100∼100/0(v/v),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99/1(v/v)이다.
상기 공정 (5)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상기 공정 (4)에서 얻은 용출물을 이온교환수지를 충진한 오픈 컬럼으로, 이동상을 메탄올/물(0/100(v/v)), 이어서 메탄올/물(85/15(v/v)), 추가로 메탄올/물(95/5(v/v))로 하여 분획한다.
상기 공정 (6)의 순상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을 충진한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다. 실리카겔을 충진한 오픈 컬럼에 의한 추출물의 분획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출물을 컬럼에 충진한 실리카겔 위에 로딩하고, 컬럼에 용매를 흘림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추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증발기를 사용한 감압제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 (6)에 있어서, 초산에틸/n-헥산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99∼10/90(v/v)이며,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1/99∼8/92(v/v)이다.
상기 공정 (7)에 있어서, 초산에틸/n-헥산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99∼10/90(v/v)이며,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1/99∼8/92(v/v)이다.
상기 공정 (7)에 있어서, 순상계 HPLC에 의한 정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순상 컬럼을 장착시킨 HPLC을 사용하고, 이동상에 초산에틸/n-헥산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공정 (6)에서 얻은 용출물을 상기 순상 컬럼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순상 컬럼은 예를 들면, 실리카겔 컬럼(COSMOSIL 5SL-II,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제, φ 4.6×150 mm)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정제 조건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상기 공정 (8)에 있어서, 이동상은 메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고, 메탄올/아세토니트릴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0% 메탄올이다.
상기 공정 (8)에 있어서, 역상계 HPLC에 의한 정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역상 컬럼을 장착시킨 HPLC을 사용하고, 이동상에 100% 메탄올을 사용하고, 상기 공정 (7)에서 분취한 용출용액을 상기 역상 컬럼을 통과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역상 컬럼은, 예를 들면, ODS컬럼(COSMOSIL 5AR-II,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제, φ 4.6×150 mm)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정제 조건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상기 공정 (9)에 있어서, 이소프로판올/메탄올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80∼80/20(v/v),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5∼65/35(v/v)이다.
상기 공정 (9)에 있어서, HPLC에 의한 정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역상 컬럼을 장착시킨 HPLC을 사용하고, 이동상에 이소프로판올/메탄올(50/50(v/v)) 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공정 (8)에서 얻은 용출물을 상기 역상 컬럼을 통과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역상 컬럼은, 예를 들면, COSMOSIL πNAP 컬럼(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제, φ 4.6×150 mm)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정제 조건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상기 공정 (10)에 있어서 초산에틸/n-헥산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1/99.9∼10/90(v/v)이며, 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0.1/99.9∼5/95(v/v)이다.
상기 공정 (10)에 있어서, HPLC에 의한 정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순상 컬럼을 장착시킨 HPLC을 사용하고, 이동상에 초산에틸/n-헥산(0.5/99.5(v/v)) 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공정 (9)에서 얻은 용출물을 상기 순상 컬럼을 통과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순상 컬럼은 예를 들면, 실리카겔 컬럼(COSMOSIL 5SL-II,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제, φ 4.6×150 mm)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정제 조건은 실시예에 기재하였다. 또한, 용매의 제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증발기를 사용한 감압제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의 활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선형 통로첨부 후각계)(도 1)을 사용한 생물시험을 들 수 있다.
올팩토미터(선형 통로첨부 후각계)라 함은 일반적으로 곤충의 휘발성 성분으로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생물검정장치를 말하며, 장치분기부에서 유인 성분을 포함하는 기류(氣流)에 피험 곤충이 유인되도록 한 장치이다(日林誌, 89(2) 2007 『휘발성 성분의 왜송곳벌(Urocerus japonicus) 성충에 대한 유인 활성시험을 수행하는 올팩토미터의 작성』p135-137, 농업환경연구총서 제17호 『농업생태계의 보전을 향한 생물기능의 활용』p108-134 등을 참조).
상기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중앙 통의 상부(1)로부터 흡인하면, 좌우의 통 상부(2a 및 2b)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옆 통을 통하여 각각 중앙의 통 상부로 흐르는 기류가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좌측 통이 컨트롤측, 우측 통이 샘플측이다. 도 1의 통에 매달아 내린 금속제의 디스크(3)에 샘플을 도포하고, 중앙의 통 하부(4)에 제공된 시험충(7∼10일령의 유충)을 넣고, 중앙의 통 상부로부터 펌프로 천천히 흡인한다(2.5 L/분). 25±1℃, 상대습도 40∼60%, 전암(全暗)의 조건으로, 시험충을 5분간 자유롭게 행동시키고, 이후 컨트롤측 및 샘플측으로 이동한 시험충을 센다. 이후, 하기 식으부터 잉여비계수(EPI 값)을 산출한다.
EPI - (NS-NC)/(NS+NC)
(식 중, NS는 샘플측으로 이동한 시험충의 수, NC는 컨트롤측으로 이동한 시험충의 수이다.)
EPI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구제제 또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구제제 또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배합량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효과가 발휘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형이나 적용 방법, 사용 장소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벌레 구제제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예를 들면, 통상 2.0×10-7 ppm ∼ 1 ppm (2.0×10-11∼1.0×10-4 중량%), 바람직하게는 4.0×10-6 ppm ∼ 0.5 ppm (4.0×10-10∼5.0×10-5 중량%)의 농도로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태양은 상기 공정 (1)∼(9)에서 얻어진 추출물 또는 용출물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구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뿐만 아니라, 상기 공정 (1)∼(9)에서 얻어진 추출물 또는 용출물(이하, 공정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조추출물이라고도 칭한다.)도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로서 우수한 바퀴벌레 집합 유인 효과를 갖는다. 이 추출물 또는 용출물 중, 높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조작이 간단하다는 것으로부터, 공정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구제제에 있어서의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배합량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효과가 발휘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형이나 적용 방법, 사용 장소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통상 3 ppm ∼ 200000 ppm (3.0×10-4∼2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0 ppm ∼ 20000 ppm (5.0×10-3 ∼ 2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살충제를 포함하는 식독제에 혼합하거나, 점착식 포충기용의 먹이에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고형제(예를 들면, 분제(粉劑), 입제(粒劑) 등), 에어로졸제, 액제, 시트 등의 각종 바퀴벌레 구제제에 적절히 적용하여 구제 효과의 증강을 도모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바퀴벌레 구제제 또는 상기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에 대하여, 다양한 첨가제가 본 기술분야의 기술상식을 따라 사용된다.
상기 살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피레트린(pyrethrin), 알레트린(allethrin), 푸라메트린(furamethrin), 레스메트린(resmethrin), 페노트린(phenothrin), 페르메트린(permethrin), 프탈트린(phthalthrin), 이미프로트린(imiprothrin), 시페노트린(cyphenothrin), 페르메트린(permethrin),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프랄레트린(prallethrin), 펜플루트린(fenfluthrin), 트랜스플루트린(transfluthrin) 등의 피레트로이드(pyrethroid)제;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다이아지논(diazinon), 펜티온(fenthion) 등의 유기 인제; 카르바릴(carbaryl), 메틸카르바민산-2-(1-메틸프로필)페닐(BPMC), 프로폭수르(propoxur), 세빈(cevine) 등의 카르바메이트제; 메톡사디아존(metoxadiazone) 등의 옥사디아졸계 살충제;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등의 히드라존(hydrazone)계 살충제; 피프로닐(fipronil) 등의 페닐피라졸계 살충약; 붕산, 붕산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마이크로캡슐화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화되어도 된다. 식독제를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담체로는 규산, 카올린, 탈크 등의 각종 광물질 분말; 목분(木粉), 옥수수가루, 소맥분, 전분 등의 각종 식물질 분말; 당밀, 탈지분유, 어분(魚粉) 등의 성분; 또는, 아비온 등의 부형제, 고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식 포충기에 사용되는 기재로는 천연 고무계, 또는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텐을 주체로 하여 로진(rosin), 파라핀 왁스 등으로 점착력을 높인 합성 고무계 점착물을 예시할 수 있다. 기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방향제, 방취제, 살균제, 안정제, 용제 등의 보조 성분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효력이 우수한 다목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바퀴벌레 구제제 또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는 부엌, 창고, 냉장고의 뒤 등, 바퀴벌레가 돌아다니는 장소에 적용하면, 독일 바퀴벌레, 먹 바퀴벌레, 미국 바퀴벌레 등에 대하여 높은 집합 유인 효과 및/또는 높은 구제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구제제 또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제 또는 고형제로 할 수 있다.
상기 액제의 조제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담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헥산, 케로신, 파라핀, 석유 벤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제는 또한 통상의 도막형성제, 유화제, 분산제, 전착제, 습윤제, 안정제, 분사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고, 도포 형태, 접착제 형태, 유제, 분산제, 현탁제, 로션, 페이스트, 크림, 분무제, 에어로졸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티릴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초산 비닐 수지 등의 비닐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우레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 고무,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도막형성제; 비누류;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알코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리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의 황산 에스테르, 도데실벤젠술폰산 소다 등의 알킬아릴술폰산산염 등의 계면활성제; 액화 석유가스, 디메틸 에테르, 플루오로 카본, 액화 탄산 가스 등의 분사제; 카제인, 젤라틴, 알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형제의 조제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규산, 카올린, 활성탄,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규조토, 탈크, 점토, 탄산칼슘, 도자기 분말 등의 광물질 분말; 목분, 대두분, 소맥분, 전분 등의 식물질 분말;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포접 화합물 등, 또는 펄프, 린터(linter), 레이온 등의 섬유질 담체; 셀룰로오스 또는 재생 셀룰로오스제의 비드 및 발포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제의 조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트리시클로데칸, 시클로도데칸, 2,4,6-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옥산, 트리메틸렌 노르보르넨(trimethylene norbornene) 등의 승화성 담체; 또는 파라디클로로벤젠, 나프탈렌, 장뇌(camphor) 등의 승화성 방충제 등을 사용하고, 상기 유인 활성 물질을 용융 혼합 또는 분쇄 혼합 후에 성형하여 승화성 고형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한 분무건조법;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 등을 사용한 액중 경화법; 코아세르베이션법 등에 따라 마이크로캡슐화한 형태로 조제할 수도 있고, 벤질리덴-D-소르비톨, 카라기난 등의 겔화제를 사용하여 겔의 형태로 조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에 개고양이 기피제, 새 기피제, 뱀 기피제, 살충·살진드기제, 효력증강제, 산화방지제, 설치류 동물 구제 및 기피제, 곤충성장 제어 물질, 미끼(baiting) 물질, 다른 유인 활성성분인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이소부틸아민, 이소아밀아민 등의 알킬아민류,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1-디메틸아미노-2-메틸-2-프로판올, 2-디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의 아미노알코올류, 페리플라논(periplanone)류, 보르닐 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테르페노이드(terpenoid)류, 또한 살균제,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방부제, 착향료, 착색료, 오식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하기 식 (I-1)∼(I-6)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5
상기 식 (I-1)∼(I-6)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상기한 일반식 (I)∼(III)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험예,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은 상기한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선형 통로첨부 후각계, 도 1)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의해 수행하였다.
<실시예 1> 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1-1> N-(1,1-디메틸에틸)-2-메톡시-3-메틸벤즈아미드의 조제
2-메톡시-3-메틸안식향산(780 mg, 4.70 mmol) 및 t-부틸아민(600 mg, 8.20 mmo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12 mL)에 빙냉하 트리에틸아민 1.5 mL을 가한 후, BOP 시약(2.26 g, 5.11 mmol)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물을 주가하고, 이것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5% 염산수, 포화 중조수,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6
으로 표시되는 N-(1,1-디메틸에틸)-2-메톡시-3-메틸벤즈아미드 900 mg를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47 (s, 9H), 2.32 (s, 3H), 3.77 (s, 3H), 7.11 (dd, 1H), 7.28 (dd, 1H), 7.70 (bs, 1H), 7.86 (dd, 1H).
<1-2> N-(1,1-디메틸에틸)-2-[2-히드록시프로필]-5-메틸-6-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제
N-(1,1-디메틸에틸)-2-메톡시-3-메틸벤즈아미드(1170 mg, 5.29 mmol)을 무수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20 mL)에 -78℃에서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2.0 mL을 가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n-부틸리튬(1.6M n-헥산 용액 8.7 mL, 13.92 mmol)을 가하였다. -78℃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프로필렌 옥사이드 1.2 mL을 가하고, -78℃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5% 염산수, 포화 중조수,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7
으로 표시되는 N-(1,1-디메틸에틸)-2-[2-히드록시프로필]-5-메틸-6-메톡시벤즈아미드 290 mg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27 (d, 3H), 1.47 (s, 9H), 2.26 (s, 3H), 2.62 (dd, 1H), 2.81 (dd, 1H), 3.76 (s, 3H), 3.97 (m, 1H), 4.32 (d, 1H), 6.05 (bs, 1H), 6.92 (d, 1H), 7.14 (d, 1H).
<1-3> 3,4-디히드로-8-메톡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N-(1,1-디메틸에틸)-2-[2-히드록시프로필]-5-메틸-6-메톡시벤즈아미드(185 mg, 0.66 mmol)의 톨루엔 용액(5 mL)에 p-톨루엔술폰산 수화물 150 mg을 가한 후, 120℃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 20 mL을 가한 후, 식염수 5 mL로 2회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8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메톡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290 mg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48 (d, 3H), 2.30 (s, 3H), 2.80~2.95 (m, 2H), 3.89 (s, 3H), 4.56 (m, 1H), 6.87 (d, 1H), 7.34 (d, 1H).
<1-4> 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3,4-디히드로-8-메톡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30 mg, 0.15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5 mL)에 -78℃에서 삼염화붕소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M 용액) 0.4 m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 10 mL을 가한 후, 식염수 5 mL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19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23 mg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52 (d, 3H), 2.25 (s, 3H), 2.90 (d, 2H), 4.71 (m, 1H), 6.60 (d, 1H), 7.27 (d, 1H), 11.26 (s, 1H).
<1-5> (S)-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상기 <1-2>에 있어서,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S)-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반응을 수행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0
으로 표시되는 (S)-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1-6> (R)-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상기 <1-2>에 있어서,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R)-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반응을 수행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1
으로 표시되는 (R)-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실시예 2> 3,4-디히드로-8-히드록시-7-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상기 <1-2>에 있어서,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에틸렌 옥사이드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반응을 수행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2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7-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2.25 (s, 3H), 3.02 (dd, 2H), 4.56 (dd, 2H), 6.28 (d, 1H), 7.29 (d, 1H), 11.22 (s, 1H).
<실시예 3>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7-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1,2-에폭시부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3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7-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10 (t, 3H), 1.75~1.94 (m, 2H), 2.24 (s, 3H), 2.92 (m, 2H), 4.49 (m, 1H), 6.60 (d, 1H), 7.27 (d, 1H), 11.27 (s, 1H).
<실시예 4>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2-메톡시-3-메틸안식향산 대신 2-메톡시-3,5-디메틸안식향산을 사용하고, 또한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1,2-에폭시부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4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12 (t, 3H), 1.77~1.95 (m, 2H), 2.17 (s, 3H), 2.22 (s, 3H), 2.70 (dd, 1H), 2.89 (dd, 1H), 4.46 (m, 1H), 7.16 (s, 1H), 11.24 (s, 1H).
<실시예 5>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6,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2-메톡시-3-메틸안식향산 대신 2-메톡시-3,4-디메틸안식향산을 사용하고, 또한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1,2-에폭시부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5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6,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09 (t, 3H), 1.74~1.93 (m, 2H), 2.16 (s, 3H), 2.28 (s, 3H), 2.80~2.89 (m, 2H), 4.47 (m, 1H), 6.51 (s, 1H), 11.29 (s, 1H).
<실시예 6>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및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6-1> N-(1,1-디에틸)-6-[1-메틸-2-히드록시부틸]-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 및 N-(1,1-디에틸)-6-[1-에틸-2-히드록시프로필]-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제
N-(1,1-디에틸)-2-메톡시-3-메틸벤즈아미드(1170 mg, 5.29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35 mL)에 -78℃에서 s-부틸리튬(1.4M 시클로헥산 용액, 4.7 mL, 6.58 mmol)을 가하였다. -78℃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시스-2,3-에폭시펜탄 550 mg(6.40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가하고, 이어서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부틸 에테레이트(boron trifluoride diethyl etherate) 1.3 mL을 가하고, -78℃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추가로 교반한 후,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6
으로 표시되는 N-(1,1-디에틸)-6-[1-메틸-2-히드록시부틸]-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 및 N-(1,1-디에틸)-6-[1-에틸-2-히드록시프로필]-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혼합물(약 4:1) 403 mg을 얻었다.
<6-2>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및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N-(1,1-디에틸)-6-[1-메틸-2-히드록시부틸]-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 및 N-(1,1-디에틸)-6-[1-에틸-2-히드록시프로필]-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혼합물(약 4:1) 403 mg의 디옥산 용액(8 mL)에 진한 염산 1.5 mL을 가한 후, 90℃에서 19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 20 ml 및 얼음물 20 ml을 가하여 분액하였다. 초산에틸층을 식염수 10 mL로 2회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7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및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의 혼합물 99 mg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0.96 (t,3H/5), 1.03 (t, 12H/5), 1.28 (d, 3H/5), 1.34 (d, 12H/5), 1.70 (m, 8H/5), 1.82 (m, 2H/5), 2.30 (s, 12H/5), 2.31 (s, 3H/5), 2.54 (m, 1H/5), 2.91(m, 4H/5), 3.88 (s, 3H/5), 3.89 (s, 12H/5), 4.15 (m, 4H/5), 4.68 (m, 1H/5), 6.88 (d, 1H/5), 6.94 (d, 4H/5), 7.36 (d, 1H).
<6-3>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및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및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의 혼합물 97 m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8 mL)에 -78℃에서 삼염화붕소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M 용액) 1.5 m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 및 초산에틸 10 mL을 가하고 분액한 후, 초산에틸층을 식염수 10 mL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보다 극성이 낮은 성분으로서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8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43.7 mg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06 (t, 3H), 1.34 (d, 3H), 1.76 (m, 2H), 2.24 (s, 3H), 2.93 (m, 1H), 4.29 (m, 1H), 6.66 (d, 1H), 7.30 (d, 1H), 11.40 (s, 1H).
추가로, 보다 극성이 높은 성분으로서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29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 12.7 mg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0.94 (t, 3H), 1.37 (d, 3H), 1.66(m, 1H), 1.82 (m, 1H), 2.25 (s, 3H), 2.57 (m, 1H), 4.79 (m, 1H), 6.61 (d, 1H), 7.30 (d, 1H), 11.36 (s, 1H).
<실시예 7>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시스-2,3-에폭시펜탄 대신 시스-2,3-에폭시부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0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34 (d, 3H), 1.47 (d, 3H), 2.25 (s, 3H), 2.85 (m, 1H), 4.47 (m, 1H), 6.67 (d, 1H), 7.32 (d, 1H), 11.40 (s, 1H).
<실시예 8>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시스-2,3-에폭시펜탄 대신 트랜스-2,3-에폭시부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1
으로 표시되는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20 (d, 3H), 1.43 (d, 3H), 2.25 (s, 3H), 2.90 (m, 1H), 4.76 (m, 1H), 6.62 (d, 1H), 7.30 (d, 1H), 11.27 (s, 1H).
<실시예 9>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시스-2,3-에폭시펜탄 대신 트랜스-2,3-에폭시펜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2
으로 표시되는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트랜스-2,3-에폭시펜탄을 사용한 경우는 에폭사이드의 반응성이 낮아,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4-에틸-1H-2-벤조피란-1-온체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07 (t, 3H), 1.16 (d, 3H), 1.69 (m, 1H), 1.92 (m, 1H), 2.24 (s, 3H), 2.92 (m, 1H), 4.47 (m, 1H), 6.61 (d, 1H), 7.29 (m, 1H), 11.26 (s, 1H).
<실시예 10>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10-1> N-(1,1-디에틸)-2-메톡시-3,5-디메틸벤즈아미드의 조제
 2-메톡시-3,5-디메틸안식향산(2.0 g, 11.11 mmol) 및 디에틸아민(1.3 g, 17.78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20 mL)에 빙냉하 트리에틸아민 3.2 mL을 가한 후, BOP 시약(5.9 g, 13.35 mmol)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물을 주가하고, 이것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5% 염산수, 포화 중조수,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3
으로 표시되는 N-(1,1-디에틸)-2-메톡시-3,5-디메틸벤즈아미드 1883 mg을 얻었다.
담황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03 (t, 3H), 1.24 (t, 3H), 2.25 (s, 3H), 2.27 (s, 3H), 3.25 (m, 4H), 3.75 (s, 3H), 6.85 (s, 1H), 6.98 (s, 1H).
<10-2> N-(1,1-디에틸)-6-[2-히드록시-3-메틸펜틸]-3,5-디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제
N-(1,1-디에틸)-2-메톡시-3,5-디메틸벤즈아미드(1240 mg,5.28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35 mL)에 -78℃에서 s-부틸리튬(1.4M 시클로헥산 용액 4.7 mL,6.58 mmol)을 가하였다. -78℃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1,2-에폭시-3-메틸펜탄 650 mg(6.50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가하고, 이어서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부틸 에테레이트 1.3 mL을 가하고 -78℃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실온에서 12시간 추가로 교반한 후,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4
으로 표시되는 N-(1,1-디에틸)-6-[2-히드록시-3-메틸펜틸]-3,5-디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 548 mg을 얻었다.
<10-3> 3,4-디히드로-8-메톡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N-(1,1-디에틸)-6-[2-히드록시-3-메틸펜틸]-3,5-디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 424 mg의 디옥산 용액(15 mL)에 진한 염산 2.0 mL을 가한 후, 90℃에서 2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 20 mL 및 얼음물 20 mL을 가하고 분액하였다. 초산에틸층을 식염수 10 mL로 2회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5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메톡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118 mg(라세믹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0.95 (t, 3H), 1.03 (d, 1.2H), 1.08 (d, 1.8H), 1.3~1.9 (m, 3H), 2.23 (s, 3H), 2.27 (s, 3H), 2.75 (m, 2H), 3.86 (s, 3H), 4.20 (m, 1H), 7.20 (s, 1H).
<10-4>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3,4-디히드로-8-메톡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113 m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8 mL)에 -78℃에서 삼염화붕소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M 용액) 1.5 m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 및 초산에틸 10 mL을 가하고 분액한 후, 초산에틸층을 식염수 10 mL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6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45.6 mg (라세믹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0.97 (t, 3H), 1.04 (d, 1.2H), 1.08 (d, 1.8H), 1.34 (m, 1H), 1.69 (m, 1H), 1.80 (m, 0.6H), 1.90 (m, 0.4H), 2.17 (s, 3H), 2.22 (s, 3H), 2.80 (m, 2H), 4.38 (m, 0.4H), 4.41 (m, 0.6H), 7.16 (s, 1H), 11.23 (s, 1H).
<실시예 11>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부틸]-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1,2-에폭시-3-메틸펜탄 대신 1,2-에폭시-3-메틸헥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7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부틸]-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라세믹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0.94 (m, 3H), 1.04 (d, 3H/3), 1.07 (d, 6H/3), 1.30 (m, 2H), 1.46 (m, 1H), 1.60 (m, 1H), 1.87 (m, 2H/3), 1.98 (m, 1H/3), 2.17 (s, 3H), 2.22 (s, 3H), 2.78 (m, 2H), 4.40 (m, 1H), 7.16 (s, 1H), 11.23 (s, 1H).
<실시예 12> 3,4-디히드로-8-히드록시-3-메틸-7-메톡시-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2-메톡시-3,5-디메틸안식향산 대신 2,3-디메톡시안식향산을 사용하고, 또한 1,2-에폭시-3-메틸펜탄 대신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8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메틸-7-메톡시-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54 (d, 3H), 2.89 (d, 2H), 3.90 (s, 3H), 4.73 (m, 1H), 6.64 (d, 1H), 7.01 (d, 1H), 11.25 (s, 1H).
<실시예 13> 3,4-디히드로-8-히드록시-3-메틸-7-에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13-1> N-(1,1-디에틸)-2-메톡시-3-에틸벤즈아미드의 조제
2-메톡시-3,5-디메틸안식향산 대신 2-메톡시-3-에틸안식향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39
으로 표시되는 N-(1,1-디에틸)-2-메톡시-3-에틸벤즈아미드를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03 (t, 3H), 1.23 (t, 3H), 1.27 (t, 3H), 2.68 (q, 2H), 3.15 (q, 2H), 3.48 (q, 2H), 3.80 (s, 3H), 7.06 (d, 1H), 7.07 (d, 1H), 7.21 (dd, 1H).
<13-2> 3,4-디히드로-8-히드록시-3-메틸-7-에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N-(1,1-디에틸)-2-메톡시-3,5-디메틸벤즈아미드 대신 N-(1,1-디에틸)-2-메톡시-3-에틸벤즈아미드를 사용하고, 또한 1,2-에폭시-3-메틸펜탄 대신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0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메틸-7-에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22 (t, 3H), 1.53 (d, 3H), 2.67 (q, 2H), 2.90 (d, 2H), 4.71 (m, 1H), 6.63 (d, 1H), 7.29 (d, 1H), 11.29 (s, 1H).
<실시예 14> (트랜스)-5-브로모-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14-1> (트랜스)-5-브로모-3,4-디히드로-8-메톡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제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1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3,4-디히드로-8-메톡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10 mg,0.05 mmol)[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34 (d, 3H), 1.42 (d, 3H), 2.31 (s, 3H), 2.82 (m, 1H), 3.89 (s, 3H), 4.32 (m, 1H), 6.96 (d, 1H), 7.38 (d, 1H)]의 아세토니트릴 용액(0.5 mL)에 실온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16 mg,0.09 mmo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 10 mL 및 물 10 mL을 가하여 분액한 후, 초산에틸층을 식염수 5 mL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2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5-브로모-3,4-디히드로-8-메톡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생성물 15 mg을 얻었다.
<14-2> (트랜스)-5-브로모-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트랜스)-5-브로모-3,4-디히드로-8-메톡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조생성물(15 mg,0.05 mmol)에 대하여 상기 <10-4>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3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5-브로모-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 12 mg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34 (d, 3H), 1.35 (d, 3H), 2.24 (s, 3H), 3.14 (m, 1H), 4.74 (m, 1H), 7.52 (s, 1H), 11.53 (s, 1H).
<실시예 15> (트랜스)-5-클로로-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상기 <14-1>에 있어서 N-브로모숙신이미드 대신 N-클로로숙신이미드를 사용하고, 또한 아세토니트릴 대신 초산에틸을 용매로서 사용하고, 또한 반응온도를 실으로부터 80℃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4
으로 표시되는 (트랜스)-5-클로로-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35 (d, 3H), 1.55 (d, 3H), 2.25 (s, 3H), 3.18 (m, 1H), 4.75 (m, 1H), 7.36 (s, 1H), 11.47 (s, 1H).
<실시예 16>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2-프로펜일]-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의 제조
 1,2-에폭시-3-메틸펜탄 대신 1,2-에폭시-3-메틸-4-펜텐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5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2-프로펜일]-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23 (d, 3H), 2.15 (s, 3H), 2.22 (s, 3H), 2.75 (m, 3H), 4.39 (m, 1H), 5.17 (m, 2H), 5.86 (m, 1H), 7.15 (s, 1H), 11.19 (s, 1H).
<실시예 17> 2,3,3a,9b-테트라히드로-6-히드록시-7-메틸-시클로펜타[c][2]벤조피란-5(1H)-온의 제조
N-(1,1-디에틸)-2-메톡시-3,5-디메틸벤즈아미드 대신 N-(1,1-디에틸)-2-메톡시-3-메틸벤즈아미드를 사용하고, 또한 1,2-에폭시-3-메틸펜탄 대신 시클로펜탄 옥사이드(시스, 트랜스 혼합물)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6
으로 표시되는 2,3,3a,9b-테트라히드로-6-히드록시-7-메틸-시클로펜타[c][2]벤조피란-5(1H)-온을 얻었다.
백색결정: 1H-NMR (CDCl3, TMS) δ(ppm): 1.32 (m, 2H), 1.95 (m, 2H), 2.20 (m, 2H), 2.26 (s, 3H), 2.97 (dt, 1H), 4.24 (m, 1H), 6.55 (d, 1H), 7.29 (d, 1H), 11.23 (s, 1H).
<실시예 18> 7-히드록시-6-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제조
<18-1> N-(1,1-디에틸)-6-포르밀-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제
N-(1,1-디에틸)-2-메톡시-3-메틸벤즈아미드(1050 mg,4.76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16 mL)에 -78℃에서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0.85 mL,5.72 mmol), s-부틸리튬(1.4M 시클로헥산 용액 4.09 mL,5.72 mmol)을 차례로 가하였다. -78℃에서 1시간 교반한 후, N,N-디메틸포름아미드(0.46 mL,5.95 mmol)을 가하여 -78℃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추가로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반응액에 5% 염산 수용액 20 mL을 가한 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조수, 식염수로 각각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7
으로 표시되는 N-(1,1-디에틸)-6-포르밀-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생성물 556 mg을 얻었다.
 <18-2> 7-메톡시-6-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제
 N-(1,1-디에틸)-6-포르밀-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생성물(556 mg)의 메탄올 용액(15 mL)에 빙냉하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130 mg,3.44 mmol)을 가하고, 실온으로 승온하고, 1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빙냉하에서 5% 염산 수용액 4 mL을 가하고, 100℃에서 9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리고, 반응액에 얼음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8
으로 표시되는 7-메톡시-6-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생성물 429 mg을 얻었다.
<18-3> 7-히드록시-6-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제
7-메톡시-6-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생성물(55 m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2.0 mL)에 -78℃에서 보론 트리브로마이드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M 용액) 0.7 m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추가로 교반한 후, 반응액에 얼음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49
으로 표시되는 7-히드록시-6-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 20 mg을 얻었다.
백색고체: 1H-NMR (CDCl3, TMS) δ(ppm): 2.23 (s, 3H), 5.28 (s, 2H), 6.86 (d, 1H), 7.41 (d, 1H), 7.87 (s, 1H).
<실시예 19> 7-히드록시-3,6-디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제조
<19-1> N-(1,1-디에틸)-6-(1-히드록시-에틸)-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제
N-(1,1-디에틸)-6-포르밀-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생성물(124 mg)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2.7 mL)에 빙냉하에서 메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0.9 M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 0.75 mL,0.68 mmol)을 가하고, 실온으로 승온하여 14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빙냉하에서 5% 염산 수용액 4 mL 및 물 10 mL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조수, 식염수로 각각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0
으로 표시되는 N-(1,1-디에틸)-6-(1-히드록시-에틸)-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생성물 70 mg을 얻었다.
<19-2> 7-메톡시-3,6-디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제
N-(1,1-디에틸)-6-(1-히드록시-에틸)-3-메틸-2-메톡시벤즈아미드의 조생성물70 mg의 디옥산 용액(5 mL)에 진한 염산 1.0 mL을 가한 후, 90℃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 20 mL 및 얼음물 10 mL을 가하고 분액하였다. 초산에틸층을 식염수 10 mL로 2회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1
으로 표시되는 7-메톡시-3,6-디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생성물 42 mg을 얻었다.
<19-3> 7-히드록시-3,6-디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의 조제
7-메톡시-3,6-디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 조생성물(42 m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2.0 mL)에 -78℃에서 보론 트리브로마이드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M 용액) 0.5 m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3시간 추가로 교반한 후, 반응액에 얼음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2
으로 표시되는 7-히드록시-3,6-디메틸-1(3H)이소벤조퓨라논 30 mg을 얻었다.
무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62 (d, 3H), 2.29 (s, 3H), 5.54 (q, 1H), 6.80 (d, 1H), 7.41 (d, 1H), 7.90 (s, 1H).
<실시예 20> 3,4-디히드로-4,5,7-트리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의 제조
2,4-디메틸아니솔(2.0 g, 14.7 mmol)과 4-히드록시펜탄산 락톤(1.8 g, 18.0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7.0 mL)에 빙냉하에서 사염화티탄(1.0M 디클로로메탄 용액, 25.0 mL,25.0 mmol)을 적가하고, 40℃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얼음물을 주가하고, 이것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3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4,5,7-트리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을 116 mg 얻었다.
황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26 (d, 3H), 1.97 (m, 1H), 2.19 (s, 3H), 2.21 (m, 1H), 2.24 (s, 3H), 2.59 (m, 1H), 2.91 (m, 1H), 3.24 (m, 1H), 7.15 (s, 1H), 12.94 (s, 1H).
<실시예 21> 3,4-디히드로-3,5,7-트리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의 제조
<21-1> 3,5-디메틸-2-메톡시벤즈알데히드 및 2,4-디메틸-5-메톡시벤즈알데히드의 조제
 2,4-디메틸아니솔(3.0g, 22.1 mmol)과 디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2.4 g, 20.9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0 mL)에 빙냉하에서 사염화티탄(1.0M 디클로로메탄 용액, 30.0 mL, 30.0 mmol)을 적가하고, 빙냉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얼음물에 주가하고, 이것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4
으로 표시되는 3,5-디메틸-2-메톡시벤즈알데히드 및 2,4-디메틸-5-메톡시벤즈알데히드의 혼합물(약 4:1)의 조생성물 3.1 g을 얻었다.
<21-2> 1-(3,5-디메틸-2-메톡시페닐)-2-프로판온 및 1-(2,4-디메틸-5-메톡시페닐)-2-프로판온의 조제
3,5-디메틸-2-메톡시벤즈알데히드 및 2,4-디메틸-5-메톡시벤즈알데히드의 혼합물(약 4:1)의 조생성물(3.1 g)과 초산암모늄(3.5 g, 45.4 mmol)의 초산 용액(13.0 mL)에 빙냉하에서 니트로에탄(9.6 mL,134.3 mmol)을 적가하고, 100℃에서 2시간 반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얼음물 및 포화 중조수를 주가하여 반응액을 중성으로 한 후, 이것을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조생성물 3.89 g을 얻었다. 계속하여, 얻어진 조생성물(3.89 g)의 물(20.0 mL)과 메탄올(60.0 mL) 혼합용액에 빙냉하에서 철분(10∼20 메쉬, 4.4 g, 78.7 mmol)과 진한 염산(36% 수용액, 21.6 mL)을 차례로 적가하고, 7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얼음물과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주가하여 반응액을 중성으로 한 후, 이를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5
으로 표시되는 1-(3,5-디메틸-2-메톡시페닐)-2-프로판온 및 1-(2,4-디메틸-5-메톡시페닐)-2-프로판온의 혼합물 1.1 g을 얻었다.
<21-3> 3-메틸-4-(3,5-디메틸-2-메톡시페닐)-2-부텐산에틸 및 3-메틸-4-(2,4-디메틸-5-메톡시페닐)-2-부텐산에틸의 조제
1-(3,5-디메틸-2-메톡시페닐)-2-프로판온 및 1-(2,4-디메틸-5-메톡시페닐)-2-프로판온의 혼합물(1.1 g, 5.7 mmol)과 디에틸포스포노초산에틸(1.4 g, 6.2 mmol)의 톨루엔 용액(6.0 mL)에 대하여 빙냉하에서 20% 소듐 에톡사이드 에탄올 용액(1.7 g, 6.3 mmol)을 적가하고, 60℃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얼음물을 주가하고,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6
으로 표시되는 3-메틸-4-(3,5-디메틸-2-메톡시페닐)-2-부텐산에틸 및 3-메틸-4-(2,4-디메틸-5-메톡시페닐)-2-부텐산에틸의 혼합물 1.1 g을 얻었다.
<21-4> 3-메틸-4-(3,5-디메틸-2-메톡시페닐)-부탄산에틸 및 3-메틸-4-(2,4-디메틸-5-메톡시페닐)-부탄산에틸의 조제
3-메틸-4-(3,5-디메틸-2-메톡시페닐)-2-부텐산에틸 및 3-메틸-4-(2,4-디메틸-5-메톡시페닐)-2-부텐산에틸의 혼합물(955 mg,3.6 mmol)의 초산에틸 용액(8.0 mL)에 실온하에서 팔라듐탄소(160 mg)을 가하고, 수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하에서 8시간 교반한 후, 초산에틸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여과를 수행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7
으로 표시되는 3-메틸-4-(3,5-디메틸-2-메톡시페닐)-부탄산에틸 및 3-메틸-4-(2,4-디메틸-5-메톡시페닐)-부탄산에틸의 혼합물의 조생성물 926 mg을 얻었다.
<21-5> 3,4-디히드로-3,6,8-트리메틸-5-메톡시-1(2H)나프탈렌온 및 3,4-디히드로-3,5,7-트리메틸-8-메톡시-1(2H)나프탈렌온의 조제
 3-메틸-4-(3,5-디메틸-2-메톡시페닐)-부탄산에틸 및 3-메틸-4-(2,4-디메틸-5-메톡시페닐)-부탄산에틸의 혼합물의 조생성물(926 mg)의 클로로포름 용액(15.0 mL)에 빙냉하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25.0 g, 165.0 mmol)을 적가하였다. 실온하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을 얼음물에 주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8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3,6,8-트리메틸-5-메톡시-1(2H)나프탈렌온과 3,4-디히드로-3,5,7-트리메틸-8-메톡시-1(2H)나프탈렌온의 혼합물 140 mg을 얻었다.
<21-6> 3,4-디히드로-3,5,7-트리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의 제조
3,4-디히드로-3,6,8-트리메틸-5-메톡시-1(2H)나프탈렌온과 3,4-디히드로-3,5,7-트리메틸-8-메톡시-1(2H)나프탈렌온의 혼합물(140 m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0.0 mL)에 -78℃에서 삼염화붕소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M 용액) 2.0 mL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하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반응액에 얼음물과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주가하고,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59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3,5,7-트리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 106 mg을 얻었다.
백색고체: 1H-NMR (CDCl3, TMS) δ(ppm): 1.16 (d, 3H), 2.18 (s, 3H), 2.20 (s, 3H), 2.32 (m, 3H), 2.70 (d, 1H), 2.92 (d, 1H), 7.15 (s, 1H), 12.68 (s, 1H).
<실시예 22> 3,4-디히드로-3,4,5,7-테트라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 및 2,3-디히드로-3-에틸-7-히드록시-3,4,6-트리메틸-1H-인덴-1-온의 제조
4-히드록시펜탄산 락톤 대신 4-히드록시-3-메틸펜탄산 락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극성이 낮은 성분으로서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0
으로 표시되는 3,4-디히드로-3,4,5,7-테트라메틸-8-히드록시-1(2H)나프탈렌온 150 mg을 얻었다.
황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1.01 (d, 3H), 1.28 (d, 3H), 2.19 (s, 3H), 2.23 (s, 3H), 2.25 (m, 2H), 2.98 (m, 1H), 3.06 (dd, 1H), 7.16 (s, 1H), 12.91 (s, 1H).
추가로, 더 극성이 높은 성분으로서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1
으로 표시되는 2,3-디히드로-3-에틸-7-히드록시-3,4,6-트리메틸-1H-인덴-1-온 104 mg을 얻었다.
황색액체: 1H-NMR (CDCl3, TMS) δ(ppm): 0.71 (t, 3H), 1.46(s, 3H), 1.79 (m, 1H), 1.89 (m, 1H), 2.20 (s, 3H), 2.32 (s, 3H), 2.45 (d, 1H), 2.70 (d, 1H), 7.10 (s, 1H), 9.51 (s, 1H).
<<시험예 1>> 생물시험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화합물, 하기 실시예 23 및 비교예 1의 화합물에 대하여, 각 화합물 10-3 피코그램(pg)∼106 pg을,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제공하여, 이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2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화합물명: 멜레인(Mellein), 푸나코시(Funakoshi) 주식회사)을 시험에 제공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5의 제조에 있어서, 가수분해 전에 얻어진 하기 식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시험에 제공하였다.
시험예 1(실시예 5, 실시예 23 및 비교예 1)의 생물시험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품인 실시예 5 및 실시예 23의 화합물은 높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화합물은 실시예 5의 화합물의 EPI 값이 약 0.5가 되는 양(102 pg)의 10000 배 이상 많은 양(106 pg)을 사용하더라도 전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생물시험
상기 실시예 1 <1-4>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대하여, 각 화합물 10-3 피코그램(pg)∼103 pg을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제공하여, 이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실시예 1 <1-4> 및 실시예 3)의 생물시험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품인 실시예 1 <1-4> 및 실시예 3의 화합물은 높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생물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화합물 10-3 피코그램(pg)∼103 pg을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제공하여, 이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실시예 4)의 생물시험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품인 실시예 4의 화합물은 높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생물시험
상기 실시예 17 및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대하여, 각 화합물 10-3 피코그램(pg)∼106 pg을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제공하여, 이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실시예 17 및 실시예 18)의 생물시험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품인 실시예 17 및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화합물은 모두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활성은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화합물이 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24>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바퀴벌레 집합 페로몬)의 미국 바퀴벌레의 배설물을 사용한 제조
하기 공정 (1)∼(10)에 의해, 미국 바퀴벌레의 배설물로부터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얻었다.
공정 (1)
미국 바퀴벌레의 유충 또는 성충을 사육하고 있는 상자로부터 배설물을 회수하여, 집합 유인 물질의 재료로서 -20℃에서 냉동보존하였다. 시료 1 kg을 5L의 유리 컬럼에 채우고, 10 L의 용매로 순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먼저, 감압하에서 100% n-헥산으로 시료를 세정한 후, 메탄올/디클로로메탄(1/99 (v/v)) 혼합용액으로 자연 흐름하에서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100% 메탄올로 나머지를 추출하였다. 각각의 분획의 미국 바퀴벌레 어린 나이 유충의 집합 유인 활성을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에 의한 생물시험으로 확인한 결과, 메탄올/디클로로메탄(1/99 (v/v)) 혼합용액 분획에 활성이 집중되었다. 이하 이것을 조추출물이라 칭한다.
공정 (2)
조추출물을 건조하여 100% 디클로로메탄에 재용해시킨 후, 상기 100% 디클로로메탄과 동일한 용량의 1N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액-액 분배를 수행하고, 디클로로메탄 분획과 산성 분획을 얻었다. 생물시험을 한 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에 활성이 집중되었다.
공정 (3)
상기 디클로로메탄 분획에 대하여, 실리카겔 오픈 컬럼(Wakogel C-200, 와코쥰야쿠공업 주식회사)에서 단계 용출을 수행하였다. 시료에 대하여, 용질 중량의 3배의 실리카겔과 동량의 소성 규조토(Celite 545,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를 가하여 현탁한 후,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분체가 될 때까지 시료를 건조하였다. 이것을, 컬럼에 채운 용질 중량의 10배의 실리카겔 위에 로딩하고, 감압하에서, 이하의 3종의 용매를 각각 용질 중량의 약 200배량을 사용하여 순차 용출시켜 분획하였다. 분획 조작 후에 얻어진 디클로로메탄/n-헥산(10/90 (v/v)) 혼합용액, 초산에틸/n-헥산(5/95 (v/v)) 혼합용액, 및 100% 초산에틸 용출분획을 생물시험한 결과, 활성은 초산에틸/n-헥산(5/95 (v/v)) 혼합용액 분획에 집중되었다.
이 초산에틸/n-헥산(5/95 (v/v)) 혼합용액 분획에 대하여, 다시 실리카겔 오픈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담체량을 용질 중량에 30배량, 용매량을 600배량으로 하여, 디클로로메탄/n-헥산(20/80 (v/v)) 혼합용액, 초산에틸/n-헥산(1/99 (v/v)) 혼합용액, 100% 초산에틸로 단계용출을 수행한 결과, 초산에틸/n-헥산(1/99 (v/v)) 혼합용액 분획에만 활성이 확인되었다.
공정 (4)
초산에틸/n-헥산(1/99 (v/v)) 혼합용액 분획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고형물을 고형물 중량의 60배 용량의 아세톤(고형물 1 g에 대하여 60 mL의 아세톤)에 용해하고, 고형물의 3배 중량의 활성탄을 첨가하였다. 하룻밤 정치한 후, 고형물 중량의 120배 용량의 아세톤으로 세척하면서 활성탄을 여과분리하고, 아세톤 용액 분획을 얻었다. 여과분리 후의 활성탄에 고형물 중량의 60배의 톨루엔에 침지하고, 하룻밤 정치하였다. 이후, 고형물 중량의 120배 용량의 톨루엔으로 세척하면서 활성탄을 여과분리하고, 톨루엔 용액 분획을 얻었다. 생물시험의 결과, 아세톤 용액 분획에 활성이 집중되었다.
공정 (5)
아세톤 용액 분획에 대하여, 다공성 폴리머 비드(CHP20P, 미쓰비시화학 주식회사)의 오픈 컬럼에 의한 정제를 수행하였다. 시료를 건조한 후, 100% 메탄올에 재용해시켜, 용질량의 3배량의 폴리머 비드와 함께 현탁한 채로 컬럼에 로딩하였다. 메탄올/물(0/100 (v/v)), 메탄올/물(85/15 (v/v)), 메탄올/물(95/5 (v/v)), 및 100% 메탄올에 의한 단계용출을 수행하고, 용출액을 농축한 후, 디클로로메탄에 전용(轉溶)하였다. 생물시험의 결과, 메탄올/물(95/5 (v/v)) 혼합용액 분획에 활성이 집중되었다.
공정 (6)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메탄올/물(95/5 (v/v)) 혼합용액 분획에 대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고형물(용질)의 중량의 60배 중량의 실리카겔을 사용한 실리카겔 오픈 컬럼(Wakogel C-200, 와코쥰야쿠공업 주식회사)에서 단계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질은 10 mL의 10% 초산에틸/n-헥산을 사용하여 재용해한 후, 컬럼에 첨가하였다. 용출용매에는 초산에틸/n-헥산(5/95 (v/v)), 이후에 초산에틸을 사용하였다. 한편, 용출용매는 각각의 용질의 600배 용량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생물시험의 결과, 초산에틸/n-헥산(5/95 (v/v)) 혼합용액 분획에 활성이 집중되었다.
공정 (7)
상기 공정 (6)에서 얻어진 초산에틸/n-헥산(5/95 (v/v)) 혼합용액 분획에 대하여, 추가로 HPLC(LC-10AT, 시마즈제작소)에 의한 정제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리카겔 컬럼(COSMOSIL 5SL-II,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 φ 4.6×150 mm)을 사용하여 순상(順相)으로 정제를 수행하였다. 이동상 용매에 초산에틸/n-헥산(5/95 (v/v))을 사용하여(1 mL/분), UV 검출기(SPD-10MAVP, 시마즈제작소)로 254nm의 흡수를 모니터하였다. 0.5분 마다 분취한 각 분획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4개의 활성분획을 얻었다(활성분획 I∼IV).
공정 (8)
상기 공정 (7)에서 얻어진 4개의 활성분획(활성분획 I∼IV)에 대하여, 각각, ODS 컬럼(COSMOSIL 5AR-II,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 φ 4.6×150mm)을 사용하여 역상(逆相)으로 정제를 수행하였다. 이동상에는 100% 메탄올을 사용하고, 0.2 mL/분으로 완만하게 전개하였다. 동일하게 분획하고, 생물시험을 수행하여, 활성이 높은 분획을 다음 공정에 제공하였다.
공정 (9)
추가로 COSMOSIL πNAP컬럼(φ 4.6×150mm, 나카라이테스크 주식회사)에 의한 정제를 수행하였다. πNAP는 실리카겔 담체를 나프틸기로 화학수식한 고정상이다. 이동상에는 이소프로판올/메탄올(50/50 (v/v))을 사용하였다(0.2 mL/분). UV 흡수 피크를 참조하면서 분획을 수행하고, 얻어진 분획을 생물시험에 제공하고, 활성이 높은 분획을 다음 공정에 제공했다.
공정 (10)
상기 공정 (9)에서 얻어진 각 분획에 대하여, 초산에틸/n-헥산(0.5/99.5 (v/v))으로 실리카겔 컬럼에 의한 순상 HPLC로 다시 정제하고, UV 흡수 피크가 보여진 분획(활성분획 I∼IV)을 분취하여, 생물시험에 제공하였다. 활성이 높은 분획의 용매를 제거하여,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얻었다.
상기 공정 (10)에서 얻어진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NMR에서 분석하고, 총 6개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활성분획 I로부터는 2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임시로, PLD-F 및 PLD-E 라 칭한다), 활성분획 II 및 III로부터는 각각 1개의 화합물(임시로, PLD-D 및 PLD-C 라 칭한다), 활성분획 IV로부터는 2개의 화합물(임시로, PLD-B 및 PLD-A 라 칭한다)이 동정되었다.
한편, 본 시험에 있어서의 조작의 플로우챠트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동정된 화합물 PLD-A, PLD-B, PLD-C, PLD-D, PLD-E 및 PLD-F 각각의 화학구조식 및 NMR 데이터 및 MS 데이터를 하기에 나타낸다. 또한, 구조식 중의 화살표는 NOESY 측정에 있어서의 NOE 상관이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다.
<PLD-A>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4
1H-NMR (500 MHz, CDCl3, ppm): δ 11.41 (s, 1H, C8-OH), 7.34 (d, j = 7.60 Hz, 1H, C6-H), 6.68 (d, j = 7.10 Hz, 1H, C5-H), 4.48 (quin, j = 6.58 Hz, 1H, C3-H), 2.86 (quin, j = 6.99 Hz, 1H, C4-H), 2.26 (s, 3H, C7-CH3), 1.48 (d, j = 6.40 Hz, 3H, C3-CH3), 1.35 (d, j = 7.05 Hz, 3H, C4-CH3)
13C-NMR (125 MHz, CDCl3, ppm): δ 169.66 (-C=O), 160.58 (C), 141.20 (C), 137.07 (CH), 125.23 (C), 115.80 (CH), 106.94 (C), 81.09 (CH), 37.26 (CH), 19.69 (CH3), 17.26 (CH3), 15.42 (CH3)
EI-MS: 206 (M+, 100%), 191 (M+-CH3, 7) 188 (M+-H2O, 16), 177 (49), 173 (188-CH3, 14), 162 (72), 145 (10), 134 (20)
한편, 본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술한 실시예 7에서의 유기합성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의 것과 일치하였다.
<PLD-B>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3,4,7-트리메틸-1H-2-벤조피란-1-온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5
1H-NMR (500 MHz, CDCl3, ppm): δ 11.27 (s, 1H, C8-OH), 7.30 (d, j = 7.50 Hz, 1H, C6-H), 6.62 (d, j = 7.50 Hz, 1H, C5-H), 4.76 (dq, j = 3.26, 6.58Hz, 1H, C3-H), 2.90 (dq, j = 3.49, 7.14 Hz, 1H, C4-H), 2.25 (s, 3H, C5-CH3), 1.44 (d, j = 6.60 Hz, 3H, C3-CH3), 1.20 (d, j = 7.10 Hz, 3H, C4-CH3)
13C-NMR (125 MHz, CDCl3, ppm): δ 170.34 (-C=O), 160.47 (C), 143.57 (C), 137.03 (CH), 125.11 (C), 116.37 (CH), 106.56 (C), 78.31 (CH), 36.44 (CH), 17.19 (CH3), 15.43 (CH3), 14.51 (CH3)
EI-MS: 206 (M+, 100%), 191 (M+-CH3, 6) 188 (M+-H2O, 18), 177 (88), 173 (188-CH3, 35), 162 (61), 145 (12), 134 (23)
한편, 본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술한 실시예 8에서의 유기합성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의 것과 일치하였다.
<PLD-C>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6
1H-NMR (500 MHz, CDCl3, ppm): δ 11.39 (s, 1H, C8'-OH), 7.30 (d, j = 7.55 Hz, 1H, C6'-H), 6.66 (d, j = 7.55 Hz, 1H, C5'-H), 4.29 (dt, j = 7.55, 5.40 Hz, 1H, C3'-H), 2.93 (quin, j = 6.71 Hz, 1H, C4'-H), 2.24 (s, 3H, C7'-CH3) 1.77 (m, 1H, C1-H), 1.75 (m, 1H, C1-H), 1.34 (d, j = 7.05 Hz, 3H, C4'-CH3), 1.05 (t, j = 7.40 Hz, 3H, C2)
13C-NMR (125 MHz, CDCl3, ppm): δ 169.57 (-C=O), 160.51 (C), 141.44 (C), 137.04 (CH), 125.13 (C), 116.12 (CH), 106.93 (C), 85.94 (CH), 35.03 (CH), 26.31 (CH2), 18.29 (CH3), 15.42 (CH3), 9.43 (CH3)
EI-MS: 220 (M+, 100%), 202 (M+-H2O, 16), 191 (M+-C2H5, 22), 187 (188-CH3, 25), 177 (41), 162 (81), 145 (6), 134 (17)
한편, 본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술한 실시예 6 <6-3>에서의 유기합성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의 것과 일치하였다.
<PLD-D> (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7
1H NMR (500 MHz, CDCl3, ppm): δ 11.26 (s, 1H, C8'-OH), 7.30 (d, j = 7.50 Hz, 1H, C6’-H), 6.62 (d, j = 7.50 Hz, 1H, C5'-H), 4.46(m, 1H, C3'-H), 2.92 (dq, j = 7.09, 2.94 Hz, 1H, C4'-H), 2.24 (s, 3H, C7'-CH3) 1.92 (m, 1H, C1-H), 1.69 (m, 1H, C1-H), 1.16 (d, j = 7.20 Hz, 3H, C4'-CH3), 1.07 (t, j = 7.45 Hz, 3H, C2)
13C NMR (125 MHz, CDCl3, ppm): δ 170.50 (-C=O), 160.40 (C), 144.10 (C), 137.00 (CH), 125.00 (C), 116.46 (CH), 106.76 (C), 83.62 (CH), 35.21 (CH), 24.63 (CH2), 15.42 (CH3), 14.70 (CH3), 9.76 (CH3)
EI-MS: 220 (M+, 100%), 202 (M+-H2O, 14), 191 (M+-C2H5, 22), 187 (188-CH3, 30), 177 (82), 162 (66), 145 (5), 134 (16)
한편, 본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술한 실시예 9에서의 유기합성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의 것과 일치하였다.
<PLD-E>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8
1H-NMR (500 MHz, CDCl3, ppm): δ 11.23 (s, 1H, C8'-OH), 7.26 (s, 1H, C6'-H), 4.36 (ddd, j = 3.50, 6.10, 12.00 Hz, 1H, C3'-H), 2.82 (dd, j = 3.50, 16.40 Hz, 1H, C4’-H), 2.73 (dd, j = 12.00, 16.50 Hz, 1H, C4'-H), 2.22 (s, 3H, C7'-CH3), 2.17 (s, 3H, C5'-CH3), 1.89 (m, 1H, C1-H), 1.68 (m, 1H, C2-H), 1.34 (m, 1H, C2-H), 1.04 (d, j = 6.85 Hz, 3H, C1-CH3), 0.97 (t, j = 7.45 Hz, 3H, C3)
13C-NMR (125 MHz, CDCl3, ppm): δ 170.95 (-C=O), 158.86 (C), 138.83 (CH), 134.46 (C), 124.55 (C), 124.18 (C), 107.77 (C), 82.69 (CH), 38.47 (CH), 26.45 (CH2), 24.84 (CH2), 17.98 (CH3), 15.30 (CH3), 14.37 (CH3), 11.34 (CH3)
EI-MS: 248 (M+, 100%), 230 (M+-H2O, 12), 215 (230-CH3, 14), 212 (27), 201 (35), 197 (17), 191 (28), 179 (29), 163 (51), 145 (5), 133 (14)
한편, 본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술한 실시예 10에서의 유기합성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의 것과 일치하였다.
<PLD-F>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부틸)-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
Figure 112016070932372-pct00069
1H-NMR (500 MHz, CDCl3, ppm): δ 11.23 (s, 1H, C8'-OH), 7.16 (s, 1H, C6'-H), 4.36 (ddd, j = 3.63, 5.83, 11.98 Hz, 1H, C3'-H), 2.79 (dd, j = 3.55, 16.40 Hz, 1H, C4’-H), 2.73 (dd, j = 11.90, 16.50 Hz, 1H, C4'-H), 2.22 (s, 3H, C7'-CH3), 2.17 (s, 3H, C5'-CH3), 1.97 (m, 1H, C1-H), 1.35-1.21 (m, 4H, C2-H and C3-H), 1.05 (d, j = 6.80 Hz, 3H, C1-CH3), 0.97 (t, j = 7.10 Hz, 3H, C4)
13C-NMR (125 MHz, CDCl3, ppm): δ 170.98 (-C=O), 158.87 (C), 138.83 (CH), 134.49 (C), 124.54 (C), 124.17 (C), 107.77 (C), 82.98 (CH), 36.65 (CH), 34.28 (CH2), 26.35 (CH2), 20.14 (CH2), 17.99 (CH3), 15.30 (CH3), 14.79 (CH3), 14.11 (CH3)
EI-MS: 262 (M+, 100%), 244 (M+-H2O, 7), 229 (244-CH3, 19), 226 (22), 211 (19), 201(31), 191 (39), 179 (31), 163 (58), 145 (6), 133 (15)
한편, 본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술한 실시예 11에서의 유기합성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의 것과 일치하였다.
<<시험예 5>> 생물시험
실시예 24에서 얻어진 PLD-A, PLD-B, PLD-C, PLD-D, PLD-E 및 PLD-F로 나타낸 화합물을 리니어 트랙 올팩토미터를 사용한 생물시험에 제공하여, 이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실시예 24)의 생물시험의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품인 PLD-A, PLD-B, PLD-C, PLD-D, PLD-E 및 PLD-F로 나타낸 화합물은 모두 높은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6>> 생물시험(준현장시험)
시험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의 0.5 μg/0.5 mL 에탄올 용액을 1.2 cm 사방의 컷 면에 함침시킨 후 30분간 풍건(風乾)시킨 것을, 점착식 바퀴벌레 포획기(상품명 「바퀴벌레 캡쳐」,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DAINIHON JOCHUGIKU Co.,Ltd)제)의 점착면 중앙에 두고, 시험 샘플 및 대조 샘플로 하였다.
시험 화합물로는 전술한 PLD-A, PLD-C, PLD-E, 실시예 20, 실시예 21, 무처리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대조 화합물로서 바퀴벌레의 유인 활성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는(일본농예화학회지 Vol.57, 655-658페이지, 1983년), 소토론(3-히드록시-4,5-디메틸-2[5H]-퓨라논(3-hydroxy-4,5-dimethyl-2(5H)-furanone)(와코쥰야쿠공업 주식회사제)을 사용하였다.
미국 바퀴벌레의 경우, 2m 98cm × 1m 70cm × 높이 20cm의 시험구를 설계하였다. 30cm 사방의 주름접힌 여지(濾紙)를 3단 중첩하여, 시험구의 중앙에 설치하여 잠복 쉘터로 하고, 그 양측에 급수기를 2개 배치하였다. 먹 바퀴벌레 및 독일 바퀴벌레의 경우, 55cm × 38cm × 높이 30cm의 의장 케이스를 시험구로 하였다. 15cm 사방의 주름접힌 여지를 3단 중첩하여, 시험구의 중앙에 설치해 잠복 쉘터로 하고, 그 양측에 급수기를 2개 배치하였다.
이후, 미국 바퀴벌레 및 먹 바퀴벌레의 경우 자웅 성충 각 5마리 및 중노령(中老齡) 유충 10마리, 어린 나이 유충 20마리를 동시에 개방하고, 독일 바퀴벌레의 경우 자웅 성충 각 10마리 및 중노령 유충 20마리, 어린 나이 유충 20마리를 동시에 개방하고, 하룻밤 정치하였다. 다음날, 시험 샘플 및 대조 샘플을 시험구의 네 구석에 각각이 대각선 상으로 위치하도록 2개씩 배치하여 하룻밤 정치하였다.
다음날, 각 샘플의 포획수를 계수하고, 대조 샘플인 소토론의 포획수를 1로 했을 경우의 상대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 화합물은 바퀴벌레의 유인 활성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는 소토론 보다도 포획수가 높은 것으로부터 집합 유인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효과는 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미국 바퀴벌레, 먹 바퀴벌레, 독일 바퀴벌레의 모든 바퀴벌레에 있어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사용한 각종 제제화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한편,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25> 식독제(食毒劑)의 제조
히드라메틸논 5부, 붕산 15부, 탈지분유 10부, 참기름 5부, 글리세린 15부, 전분 25부, 쌀겨 20부, 정제수 5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트랜스)-3,4-디히드로-8-히드록시-4,7-디메틸-3-에틸-1H-2-벤조피란-1-온(실시예 6 <6-3>에 있어서의 화합물 혹은 PLD-C로 나타낸 화합물) 또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실시예 1 <1-4>의 화합물)을 0.1 ppm의 함유량이 되도록 가하여 잘 혼련한 것을 각각 약 10g씩 짜내서 성형하여, 식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6> 포획기의 제조
쌀겨 30부, 어분(魚粉) 15부 및 전분 호제(糊劑) 50부를 정제수 5부로 반죽한 것에, 3,4-디히드로-8-히드록시-3-(1-메틸프로필)-5,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실시예 10에 있어서 PLD-E으로 나타낸 화합물) 또는 3,4-디히드로-8-히드록시-3-에틸-6,7-디메틸-1H-2-벤조피란-1-온(실시예 5의 화합물)이 1개의 정제당 100 ppm이 되도록 첨가 함유시킨 것을 직경 15 mm로 2mm 두께의 원반상으로 타정하여 정제(무게 1 g)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폴리부텐(분자량 900) 95부, 폴리이소부틸렌(분자량 120만) 5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조성물을 8×15cm의 넓이, 두께 1 mm의 보드지에 두께 0.5 mm로 도착(塗着)하여 점착판을 얻었다. 이 점착판의 중앙에 앞서 제작한 정제를 두고, 바퀴벌레 유인 포획기를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은 미국 바퀴벌레뿐만 아니라 먹 바퀴벌레나 독일 바퀴벌레에 대하여도 우수한 바퀴벌레 집합 유인 활성을 갖는다.
상기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바퀴벌레 유인제 또는 바퀴벌레 구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화합물군은 바퀴벌레의 집합 유인 활성뿐만 아니라 개미의 유인 활성 물질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극히 유효하다.
1 흡인구
2a 흡입구(컨트롤 측)
2b 흡입구(샘플 측)
3 샘플을 도포한 금속제 디스크
4 시험충 설치 장소

Claims (15)

  1. 일반식 (I) ∼ (II):
    Figure 112021031702831-pct00070

    (식 (I) 중,
    R1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또는 (C2-C6)알키닐기이고,
    R2, R3 및 R4 중 어느 2개는 수소 원자이고, 나머지의 하나는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및
    Figure 112021031702831-pct00071

    (식 (II) 중,
    R1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또는 (C2-C6)알키닐기이고,
    R2, R3 및 R4 중 어느 2개는 수소 원자이고, 나머지의 하나는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2. 일반식 (I) ∼ (II):
    Figure 112021031702831-pct00086

    (식 (I) 중,
    R1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또는 (C2-C6)알키닐기이고,
    R2, R3 및 R4 중 어느 2개는 수소 원자이고, 나머지의 하나는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및
    Figure 112021031702831-pct00087

    (식 (II) 중,
    R1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또는 (C2-C6)알키닐기이고,
    R2, R3 및 R4 중 어느 2개는 수소 원자이고, 나머지의 하나는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과 R2는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구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R5가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4. 제1항에 있어서, R1이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5.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5가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6. 하기 식 (I-1) ∼ (I-6)
    Figure 112021031702831-pct00088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7. 하기 구조식
    Figure 112021031702831-pct00089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구제제.
  10. 삭제
  11. 하기 구조식
    Figure 112021031702831-pct00090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12. 하기 구조식
    Figure 112021031702831-pct00091

    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바퀴벌레 구제제.
  13. 제2항에 있어서, R5가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바퀴벌레 구제제.
  14. 제2항에 있어서, R1이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바퀴벌레 구제제.
  15. 제2항에 있어서, R1 및 R5가 (C1-C6)알킬기, (C2-C6)알케닐기, 및 (C2-C6)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인 바퀴벌레 구제제.
KR1020167019967A 2013-12-26 2014-12-18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 KR102282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9632 2013-12-26
JPJP-P-2013-269632 2013-12-26
PCT/JP2014/083519 WO2015098681A1 (ja) 2013-12-26 2014-12-18 ゴキブリ集合誘引物質、ゴキブリ集合誘引剤及びゴキブリ駆除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273A KR20160102273A (ko) 2016-08-29
KR102282322B1 true KR102282322B1 (ko) 2021-07-26

Family

ID=5347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967A KR102282322B1 (ko) 2013-12-26 2014-12-18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7269B2 (ko)
JP (1) JP6353466B2 (ko)
KR (1) KR102282322B1 (ko)
CN (1) CN105916832B (ko)
TW (1) TWI652262B (ko)
WO (1) WO2015098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1528A1 (ja) * 2015-01-27 2016-08-04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匍匐害虫駆除製剤
CN105123805B (zh) * 2015-09-08 2018-04-03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捕蟑屋的颗粒引诱剂组合物
WO2018182544A1 (en) * 2017-03-28 2018-10-04 Mustafa Kurt Improvement on adhesive trap formulas
CN109553600B (zh) * 2018-12-04 2020-11-24 海南师范大学 一种红树内生真菌中异香豆素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519566A (zh) * 2021-07-15 2021-10-22 云南京新生物科技有限公司 从蟑螂虫沙中制备蟑螂聚集信息素提取物的方法及其用途
CN113519557A (zh) * 2021-07-15 2021-10-22 云南京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蟑螂虫沙萃取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CN113861155A (zh) * 2021-10-21 2021-12-31 华南师范大学 一种二氢异香豆素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861154B (zh) * 2021-10-21 2022-09-13 华南师范大学 一种二氢异香豆素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409521B (zh) * 2022-01-05 2023-11-24 三峡大学 共生真菌Paraconiothyrium brasiliense提取的化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071A1 (en) 2004-10-29 2006-05-04 Nipri Limited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eful in the treatment of neoplasi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747A (ja) * 1984-08-31 1986-04-10 Otsuka Pharmaceut Co Ltd 2,3―ジヒドロ―1h―インデ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ES2063374T3 (es) 1989-10-12 1995-01-01 Ciba Geigy Ag Derivados de pirimidina y de triazina con actividad herbicida y reguladora del crecimiento vegetal.
JPH0597841A (ja) 1991-10-04 1993-04-20 Mercian Corp イソクマリン誘導体
JP3180855B2 (ja) 1992-04-01 2001-06-25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ゴキブリ集合フェロモン、ならびにゴキブリ集合フェロ モンを含有するゴキブリ駆除剤。
JP3284592B2 (ja) 1992-07-13 2002-05-2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クロゴキブリの誘引剤
US5296220A (en) 1992-12-07 1994-03-22 Roelofs Wendell L Cockroach attractant
JPH08268889A (ja) 1995-03-31 1996-10-15 Mercian Corp 血管新生阻害剤
US6074634A (en) 1997-10-06 2000-06-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Feeding attractant and stimulant for adult control of noctuid and/or other lepidopteran species
JP4754082B2 (ja) 2001-03-23 2011-08-24 イカリ消毒株式会社 ゴキブリ誘引剤、及びゴキブリ誘引方法
FR2951721A1 (fr) * 2009-10-26 2011-04-29 Univ Rouen Procede de synthese d'analogues de l'epicocconone
WO2012166617A2 (en) * 2011-05-27 2012-12-06 Cytocure Llc Methods, compositions, and ki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03408528B (zh) * 2013-08-13 2015-04-29 浙江大学 一种色满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071A1 (en) 2004-10-29 2006-05-04 Nipri Limited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eful in the treatment of neoplasia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s Jurgen Bestmann, ‘3,4-Dihydroisocoumarins, a New Class of Ant Trail Pheromones’, Angew. Chem. Int. Ed. Engl. 31, No.6 (1992.06.30.)*
Masanao MATSUI et al., ‘Synthesis of Isochroman-I,3-diones A New Synthesis of (±)Sclerin ’, Agr. BioI. Chem., Vol. 32, No.4, p.492-495 (1968.)*
Pui Ying Choy et al., ‘Palladium-Catalyzed ortho-CH-Bond Oxygenation of Aromatic Ketones’, ORGANIC LETTERS, 2013, Vol. 15, No. 2, 270-273 (2013.01.09.)*
Wei Jiang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Novel Attractant Compounds from Chinese Cockroach (Eupolyphaga sinensis Walker) by Combination of HSCCC, NMR and CD Techniques’, Molecules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8681A1 (ja) 2015-07-02
CN105916832A (zh) 2016-08-31
US20160326129A1 (en) 2016-11-10
KR20160102273A (ko) 2016-08-29
TW201609684A (zh) 2016-03-16
JPWO2015098681A1 (ja) 2017-03-23
TWI652262B (zh) 2019-03-01
CN105916832B (zh) 2019-02-22
JP6353466B2 (ja) 2018-07-04
US10167269B2 (en)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322B1 (ko) 바퀴벌레 집합 유인 물질, 바퀴벌레 집합 유인제 및 바퀴벌레 구제제
US7939091B2 (en) Biorational repellents obtained from terpenoids for use against arthropods
EP2967038B1 (en) Methods,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repelling insects and arachnids
Hillbur et al. Identification of the sex pheromone of the swede midge, Contarinia nasturtii
WO2016121528A1 (ja) 匍匐害虫駆除製剤
US3970703A (en) Phenylacetic acid derivatives
Andersson et al. Identification of sex pheromone components of the Hessian fly, Mayetiola destructor
US3864388A (en) Alkynyl esters of {60 -alkoxy-{60 -phenyl alkenoic acid
US4877607A (en) Attractants for Dacus latifrons, the Malaysian fruit fly
JP6800139B2 (ja) San Jose Scale(サンホゼスケール)の性フェロモン活性組成物、誘引剤、交信撹乱剤、誘引方法及び交信撹乱方法
KR102228670B1 (ko) 중수소 농축 알데히드
JP6153303B2 (ja) ゴキブリ集合誘引物質、ならびにゴキブリ集合誘引物質を含むゴキブリ誘引剤及びゴキブリ駆除剤
JP6580967B2 (ja) ゴキブリ集合誘引物質、ゴキブリ集合誘引剤及びゴキブリ駆除剤
JP7030901B2 (ja) 殺虫組成物
TWI484911B (zh) 一種減量使用誘引物質之蠅類誘引劑配方
US20230232831A1 (en) Monoterpenoid and phenylpropanoid carbonate esters and methods of their making and use as repellents
JP4621904B2 (ja) 光学活性な3−オキサビシクロ[3.3.0]オクタン骨格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JP2017137253A (ja) 殺虫組成物
JPS58188863A (ja) 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n−メチルヒダントインのエステル、それらの製造法、寄生虫駆除への使用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組成物
JPS60193902A (ja) 害虫防除用組成物
JPH0224812B2 (ko)
RU2024498C1 (ru) α -ЦИАНО-3-ФЕНОКСИБЕНЗИЛ 1R, 3S - 2,2-ДИМЕТИЛ-3-(2-ХЛОРПРОПЕН-1-ИЛ)-ЦИКЛОПРОПАНКАРБОКСИЛАТ В ВИДЕ СМЕСИ ИЗОМЕРОВ, ПРОЯВЛЯЮЩИЙ ИНСЕКТО-АКАРИЦИДНУЮ И ЛЯРВИЦИДНУЮ АКТИВНОСТЬ
JP4635195B2 (ja) 鱗翅目害虫の防除剤
JPS58121246A (ja) 置換ベンジルエステル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剤
JP200508255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