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664B1 -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664B1
KR102275664B1 KR1020170051059A KR20170051059A KR102275664B1 KR 102275664 B1 KR102275664 B1 KR 102275664B1 KR 1020170051059 A KR1020170051059 A KR 1020170051059A KR 20170051059 A KR20170051059 A KR 20170051059A KR 102275664 B1 KR102275664 B1 KR 10227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voltage
state
reference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045A (ko
Inventor
아키히로 가와노
가츠야 고토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소비 전력을 낮게 한 회로에 있어서, 전원 투입 시의 기동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한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제공한다.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로서, 전원 단자와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류원과,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전류원과, 제2 전류원의 타단과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를 구비하여, 전원 투입 시에는 스위치를 온 시키고, 기준 전압의 기동 후는 스위치를 오프 시킨다.

Description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BAND GAP REFERENCE CIRCUIT AND DCDC CONVERT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 폰, 휴대 기기, 웨어러블 기기 등에 있어서는, 배터리 구동에 의한 제품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저소비 전력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나 센서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로서, 스위칭 레귤레이터나 LDO 레귤레이터 등의 DCDC 컨버터가 이용되고 있다. DCDC 컨버터는, 입력 단자의 전압 변동에 의존하지 않고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며, 출력 단자로부터 부하에 공급하는 전류가 저전류로부터 대전류까지 폭넓게 변화해도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저소비 전력이 요구되는 기기에 관해서는, 특히, 경부하 전류역에 있어서 고효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이와 같은, 경부하 시에 높은 효율이 요구되는 DCDC 컨버터에 있어서는, DCDC 컨버터 내에서 이용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소비 전력을 낮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소비 전력을 낮추면,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져, DCDC 컨버터의 스위칭 동작 개시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특허 문헌 1에서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와 드레인이 상기 출력 단자에 공통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를 부가하여, 전원 투입 시부터 출력 단자의 전압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동안, 이 P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출력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기동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16070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방법에서는, 전원 투입 직후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출력 단자의 전압의 기동은 가속할 수 있지만, 출력 단자의 전압을 원하는 전압치까지 신속하게 도달시키고, 안정시키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생긴다.
즉, 전원 투입 직후에는 P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출력 단자의 전압은 상승하지만, PMOS 트랜지스터의 역치 전압은, 전원 전압과 출력 단자의 전압의 차보다 크지 않으면 안되어, 이 때문에, 전원 전압의 전압치에 따라서는, 출력 단자의 전압이 원하는 전압치까지 상승하기 전에 PMOS 트랜지스터가 오프 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에 의해서만 출력 단자의 전압을 원하는 전압치에 도달시킬 수 없다.
그리고, PMOS 트랜지스터가 오프 된 후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통상 동작에 의해 출력 단자의 전압을 상승시켜 가게 되지만, 저소비 전력의 실현 때문에,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성하는 오피 앰프의 동작이 늦어진 경우, 출력 단자의 전압 상승은 극단적으로 늦어져, 결과적으로, 출력 단자의 전압이 원하는 전압치에 도달하기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해 버린다, 즉, 기동 시간을 그다지 짧게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소비 전력 또한 단시간에 기동 가능한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는,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로서, 전원 단자와 상기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류원과, 상기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전류원과, 상기 제2 전류원의 타단과 상기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1 상태일 때에 온 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2 상태일 때에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DCDC 컨버터는, 상기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와, 반전 입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분압한 귀환 전압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입력되는 에러 앰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DCDC 컨버터는, 상기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전원 투입 시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고, 상기 전원 투입 시부터 실행되는 소프트 스타트가 완료된 것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DCDC 컨버터는, 상기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PWM 모드 시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고, PFM 모드 시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에 의하면, 전원 투입 시에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여 스위치를 온 시키고, 오피 앰프에 제1 전류원과 제2 전류원 양쪽으로부터 동작 전류를 공급하여, 제1 기준 전압을 단시간에 원하는 전압치로 상승시키고(즉, 제1 기준 전압을 기동시키고), 그 후,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여 스위치를 오프 시킴으로써, 기동 시간을 짧게 하면서,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는, 특히, 저소비 전력의 DCDC 컨버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원 투입 시의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PWM 모드 시(중부하 시)에는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제1 기준 전압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PFM 모드 시(경부하 시)에는 스위치를 오프 시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효율 또한 안정 동작이 가능한 DCDC 컨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비한 DCDC 컨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비한 DCDC 컨버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10)와 제어 신호 CONT를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11)에 의해 구성되며, 기준 전압 출력 단자(3)에 기준 전압 VREF1을 생성한다.
기준 전압 발생 회로(10)는, 오피 앰프(101)와, P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출력 트랜지스터(102)와, 저항 소자(103~105)와, 다이오드(106, 107)와, 전류원(108, 109)과, 스위치(110)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원(108)은, 전원 전압 VDD가 공급되는 전원 단자(1)와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 사이에 접속되고, 전류원(109)은, 전원 단자(1)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110)는, 전류원(109)의 타단과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 CONT에 의해 온 오프 제어된다.
출력 트랜지스터(102)는, 소스가 전원 단자(1)에, 드레인이 출력 단자(3)에, 게이트가 오피 앰프(10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소자(104, 105), 및 다이오드(107)는, 기준 전압 출력 단자(3)와 접지 단자(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 소자(103) 및 다이오드(106)는, 기준 전압 출력 단자(3)와 접지 단자(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101)는, 반전 입력 단자가 저항 소자(104)와 (105)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가 저항 소자(103)와 다이오드(106)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준 전압 출력 단자(3)에 기준 전압 VREF1이 생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원 전압 VDD가 투입되면, 제어 회로(11)는, 제어 신호 CONT를 제1 상태(예를 들면 HIGH 레벨)로 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110)가 온 되고,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는, 전류원(108)으로부터의 전류 공급 뿐만이 아니라, 전류원(109)으로부터도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오피 앰프(101)는,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 입력되는 동작 전류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전류원(108 및 109)으로부터 동작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빠른 동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기준 전압 VREF1을 전원 투입 시부터 단시간에 원하는 전압치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기준 전압 VREF1이 원하는 전압치가 되었던 것에 의거하여, 제어 회로(11)는, 제어 신호 CONT를 제2 상태(예를 들면 LOW 레벨)로 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110)가 오프 되고,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는, 전류원(108)으로부터만 동작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기준 전압 VREF1이 기동된 후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 회로(11)가 제어 신호 CONT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실현할 수 있다.
스위치(110)를 온으로 한 상태로 기준 전압 VREF1이 전원 투입 시부터 원하는 전압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미리 계측해 두어, 전원 투입 시부터 타이머에 의해 시간을 카운트하고, 전원 투입 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계측한 시간에 도달한 것에 의거하여, 제어 신호 CONT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 회로(1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에 의하면, 기동 시간을 짧게 함과 함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를 DCDC 컨버터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를 구비한 DCDC 컨버터의 일례인 DCDC 컨버터(200)의 회로도이다.
DCDC 컨버터(2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가 DCDC 컨버터(200)에 있어서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의 DCDC 컨버터(200)는, 소프트 스타트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를 출력하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201)를 구비하고 있다.
에러 앰프(202)의 2개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전압 VREF1과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각각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는 DCDC 컨버터(200)의 출력 전압 VOUT가 분압된 귀환 전압 VFB가 입력되어 있다.
에러 앰프(202)는, 기준 전압 VREF1 및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 중 전압이 낮은 쪽과 귀환 전압 VFB를 비교하여, 오차 전압 VERR을 콤퍼레이터(203)에 출력한다.
전원 투입 후,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서서히 상승해 가지만,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낮은 동안은, 에러 앰프(202)에서는, 귀환 전압 VFB와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비교되어, 기준 전압 VREF1은 출력인 오차 전압 VERR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소정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이 경과하면,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기준 전압 VREF1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그 다음은, 에러 앰프(202)에서는, 귀환 전압 VFB와 기준 전압 VREF1이 비교되어,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는 출력인 오차 전압 VERR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예의 DCDC 컨버터(200)에 있어서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에서는, 제어 회로(11)가 콤퍼레이터(211)와 기준 전압원(21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콤퍼레이터(211)는, 반전 입력 단자에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원(212)의 기준 전압 VREF2가 입력되어 있다. 기준 전압 VREF2는, 소프트 스타트의 완료의 기준이 되는 소정의 전압이다.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는, 전원 투입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소프트 스타트의 실행과 동시에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는, 전원 투입 후, 접지 전위로부터 서서히 상승해 가는 전압이기 때문에, 전원 투입 직후는, 기준 전압 VREF2보다 낮다. 그 때문에, 콤퍼레이터(211)는, HIG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신호 CONT를 제1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치(110)가 온 되고,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 전류원(108)과 전류원(109) 양쪽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에러 앰프(202)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 VREF1은, 전원 투입으로부터 단시간에 기동된다.
그 후,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가 더 상승해 가, 기준 전압 VREF2보다 높아지면, 콤퍼레이터(211)는, LOW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신호 CONT를 제2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치(110)가 오프 되고,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는, 전류원(108)으로부터만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기준 전압 VREF1이 기동된 후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어 회로(11)를 구성하는 기준 전압원(212)의 기준 전압 VREF2는, 소프트 스타트 완료의 기준이 되는 전압이며, 소프트 스타트가 완료되고, 에러 앰프(202)에 있어서 귀환 전압 VFB와 비교되는 대상이 소프트 스타트 전압 VREF_SS로부터 기준 전압 VREF1로 전환된 시점에서, 기준 전압 VREF1이 완전하게 원하는 전압치에 도달하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준 전압 VREF1보다 조금 높은 전압치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예의 DCDC 컨버터(200)에 의하면, 전원 투입 시부터 실행되는 소프트 스타트에 이용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 내의 스위치(11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CONT를, 소프트 스타트가 완료된 것에 의거하여, 전원 투입 시의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를 구비한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인 DCDC 컨버터(300)의 회로도이다.
DCDC 컨버터(3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DCDC 컨버터(200)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의 DCDC 컨버터(300)는, PWM 모드와 PFM 모드의 전환에 동기하여,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 내의 스위치(110)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의 제어 회로(11)가 콤퍼레이터(311)와 기준 전압원(312)을 구비하고, 콤퍼레이터(311)는, 반전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원(312)의 기준 전압 VREF3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에러 앰프(302)의 출력인 오차 전압 VERR이 입력되어 있다.
에러 앰프(302)는, 비반전 입력 단자에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전압 VREF1이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DCDC 컨버터(300)의 출력 전압 VOUT가 분압된 귀환 전압 VFB가 입력되어 있다. 에러 앰프(302)는, 기준 전압 VREF1과 귀환 전압 VFB를 비교하여, 오차 전압 VERR을 콤퍼레이터(303)에 출력한다.
오차 전압 VERR은, DCDC 컨버터(300)에 접속되는 부하가 무거울 때일 수록 높은 전위가 되고, 부하가 가벼울 때일 수록 낮은 전압이 되기 때문에, 기준 전압 VREF3을 PWM 모드와 PFM 모드의 전환의 기준이 되는 소정의 전압으로 함으로써, 오차 전압 VERR의 전압치에 의거하여, 제어 신호 CONT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오차 전압 VERR이 기준 전압 VREF3보다 높은 PWM 모드 시에는, 콤퍼레이터(311)는, HIG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신호 CONT를 제1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치(110)가 온 되고,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 전류원(108)과 전류원(109) 양쪽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오차 전압 VERR이 기준 전압 VREF3보다 낮은 PFM 모드 시에는, 콤퍼레이터(311)는, LOW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신호 CONT를 제2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치(110)가 오프 되고,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101in)에는, 전류원(108)으로부터만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중부하인 PWM 모드 시는, 스위칭이 계속적으로 행해져, 에러 앰프(302)를 구성하는 차동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용량을 통하여 충방전이 많아지기 때문에,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의 출력인 기준 전압 VREF1도 변동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예에 의하면, PWM 모드 시에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준 전압 VREF1이 변동해도, 바로 원하는 전압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경부하인 PFM 모드 시는, 오피 앰프(101)의 동작 전류를 줄이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DCDC 컨버터(300)에 의하면, PWM 모드 시(중부하 시)에는 기준 전압 VREF1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고, PFM 모드 시(경부하 시)에는 저소비 전류로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를 동작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DCDC 컨버터(300)에 있어서의 콤퍼레이터(311)의 출력 신호 CONT를, 도 2에 나타내는 DCDC 컨버터(200)의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100) 내의 기준 전압 발생 회로(10)에 입력하도록 하고, 전원 투입 시와 기동 후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치(110)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데 더하여, 통상 동작 시에 있어서의 PWM 모드 시와 PFM 모드 시에서도 스위치(110)의 온 오프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DCDC 컨버터(300)에서는, 제어 회로(11)에서 제어 신호 CONT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PWM 모드와 PFM 모드의 전환용의 신호가 별도 생성되는 경우는, 그 신호를 제어 신호 CONT로서 기준 전압 발생 회로(10)에 직접 입력하고, 스위치(110)의 온 오프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10 기준 전압 발생 회로 11 제어 회로
100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101 오피 앰프
201 소프트 스타트 회로 202, 302 에러 앰프
203, 303, 211, 311 콤퍼레이터

Claims (7)

  1.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로서,
    전원 단자와 상기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류원과,
    상기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전류원과,
    상기 제2 전류원의 타단과 상기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1 상태일 때에 온 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2 상태일 때에 오프 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전원 투입 시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고, 상기 전원 투입 시부터 실행되는 소프트 스타트가 완료된 것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비하는, DCDC 컨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타트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출력하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소프트 스타트의 완료의 기준이 되는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비교해, 출력 신호로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콤퍼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콤퍼레이터는, 상기 소프트 스타트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을 때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고, 상기 소프트 스타트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높을 때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3.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로서,
    전원 단자와 상기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류원과,
    상기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전류원과,
    상기 제2 전류원의 타단과 상기 오피 앰프의 동작 전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1 상태일 때에 온 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2 상태일 때에 오프 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PWM 동작 시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고, PFM 동작 시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비한, DCDC 컨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반전 입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분압한 귀환 전압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입력되는 에러 앰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PWM 동작으로부터 상기 PFM 동작으로의 전환의 기준이 되는 제3 기준 전압과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전압을 비교해, 출력 신호로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콤퍼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콤퍼레이터는,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높을 때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1 상태로 하고,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낮을 때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2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51059A 2016-04-20 2017-04-20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 KR102275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4270A JP6660238B2 (ja) 2016-04-20 2016-04-20 バンドギャップリファレンス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dcdcコンバータ
JPJP-P-2016-084270 2016-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045A KR20170120045A (ko) 2017-10-30
KR102275664B1 true KR102275664B1 (ko) 2021-07-09

Family

ID=6008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059A KR102275664B1 (ko) 2016-04-20 2017-04-20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80504B2 (ko)
JP (1) JP6660238B2 (ko)
KR (1) KR102275664B1 (ko)
CN (1) CN107305402B (ko)
TW (1) TWI6996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301B1 (ko) * 2018-09-10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회로
JP6811265B2 (ja) * 2019-02-07 2021-01-13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基準電圧発生回路、パワーオン検出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US11088699B1 (en) * 2020-06-05 2021-08-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iecewise compensation method for ultra-low temperature drift
DE112021000325T5 (de) * 2020-08-06 2022-10-06 Fuji Electric Co., Ltd. Stromversorgungsschaltung und schaltsteuerschaltung
JP2023013178A (ja) * 2021-07-15 2023-01-26 株式会社東芝 定電圧回路
CN116125357B (zh) * 2023-04-04 2023-07-11 湖北蓝博新能源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测试方法及电池测试设备的校准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667A (ja) * 2008-02-05 2009-09-17 Ricoh Co Ltd 定電圧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0248A (en) * 1978-01-25 1979-08-07 Sony Corp Timer circuit
JP3798527B2 (ja) * 1997-08-29 2006-07-19 富士通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駆動回路の制御方法、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dc−dcコンバータ
DE69732695D1 (de) * 1997-07-14 2005-04-14 St Microelectronics Srl Linearer Spannungsregler mit geringem Stromverbrauch und schnellem Ansprechen auf die Lasttransienten
TW492012B (en) * 2000-12-15 2002-06-21 Taiwan Semiconductor Mfg Energy bandgap reference circuit with low power supply
US6465994B1 (en) * 2002-03-27 2002-10-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with variable bandwidth based on load current
JP3697696B2 (ja) * 2003-09-11 2005-09-21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WO2006006257A1 (ja) * 2004-07-12 2006-01-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2006325339A (ja) * 2005-05-19 2006-1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制御回路
GB0519987D0 (en) * 2005-09-30 2005-11-09 Texas Instruments Ltd Band-gap voltage reference circuit
US7157892B1 (en) * 2005-11-28 2007-01-02 Micrel, Incorporated Robust ramp controlled enable for voltage regulator
JP2008225952A (ja) * 2007-03-14 2008-09-25 Ricoh Co Ltd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100907893B1 (ko) * 2007-12-24 2009-07-1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위한 기동 회로
JP2009176515A (ja) * 2008-01-23 2009-08-06 Sanken Electric Co Ltd 放電管点灯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
JP4739382B2 (ja) * 2008-09-11 2011-08-0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電圧供給回路および半導体メモリ
TW201022694A (en) * 2008-12-09 2010-06-16 Nuvoton Technology Corp Measuring device,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the same
JP2010160700A (ja) * 2009-01-08 2010-07-2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CN101841238B (zh) * 2010-04-12 2012-11-21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升压dc/dc转换器及其内的逻辑控制电路
JP5771429B2 (ja) * 2010-05-28 2015-08-26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12042942A1 (ja) * 2010-09-28 2012-04-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Dc-dcコンバータ
JP2012114987A (ja) * 2010-11-22 2012-06-14 Rohm Co Ltd 電流モード同期整流dc/dcコンバータ
JP2012156700A (ja) * 2011-01-25 2012-08-16 Ricoh Co Ltd 誤差増幅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8716993B2 (en) * 2011-11-08 2014-05-0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including a bias control circuit
JP2013198252A (ja) * 2012-03-19 2013-09-30 Ricoh Co Ltd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CN103378718B (zh) * 2012-04-20 2015-07-15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多模式降压型dc-dc转换器片内软启动电路
US9146569B2 (en) * 2013-03-13 2015-09-2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Low drop out regulator and current trimming device
JP6326836B2 (ja) * 2014-02-03 2018-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リーズレギュレーター回路、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US9774252B2 (en) * 2014-06-30 2017-09-26 Skyworks Solutions, Inc. Mode control device, voltage converter, and mode control method
US9471077B2 (en) * 2014-10-30 2016-10-18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Method to pre-set a compensation capacitor voltage
CN204347680U (zh) * 2014-12-26 2015-05-20 昆腾微电子股份有限公司 基准电压温度系数校准电路
CN104460811B (zh) * 2014-12-26 2016-01-20 昆腾微电子股份有限公司 基准电压温度系数校准电路及其工作方法
US10108209B2 (en) * 2015-02-13 2018-10-23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a regulator circuit provided between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thereof
CN104682745B (zh) * 2015-03-05 2017-07-28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一种隔离式电压变换电路、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US10075073B2 (en) * 2015-09-08 2018-09-11 Rohm Co., Ltd. DC/DC convert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US10003269B2 (en) * 2016-01-26 2018-06-19 Dialog Semiconductor Inc. Smart Grouping control method for power converter switching noise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667A (ja) * 2008-02-05 2009-09-17 Ricoh Co Ltd 定電圧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60238B2 (ja) 2020-03-11
US20170310204A1 (en) 2017-10-26
US10680504B2 (en) 2020-06-09
CN107305402B (zh) 2020-09-18
TWI699641B (zh) 2020-07-21
CN107305402A (zh) 2017-10-31
KR20170120045A (ko) 2017-10-30
JP2017194817A (ja) 2017-10-26
TW201809949A (zh)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908B1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dcdc 컨버터
KR102275664B1 (ko)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
TWI535166B (zh) 具軟啟動電路的電壓調整器
KR101649033B1 (ko)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KR20110087234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JP5369750B2 (ja) 電源回路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2335295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JP2009201175A (ja) 電源回路
JP2006133936A (ja) 電源装置、及び携帯機器
US9069366B2 (en) Switching regulator
US20160103458A1 (en) Circuit for regulating startup and operation voltage of an electronic device
US924071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2016126650A (ja) 電源回路
US20140210439A1 (en)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US20140253019A1 (en) Charger Circuit an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1652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JP2007317239A (ja) 直流電源装置
TWI710205B (zh) 開關調節器
US10418896B2 (en) Switching regulator including an offset enabled comparison circuit
JP2007004420A (ja) 電源回路
CN110574273A (zh) 控制电路以及理想二极管电路
US10008923B2 (en) Soft start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equipped therewith
KR101316385B1 (ko)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가지는 전압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