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364B1 -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364B1
KR102270364B1 KR1020200010847A KR20200010847A KR102270364B1 KR 102270364 B1 KR102270364 B1 KR 102270364B1 KR 1020200010847 A KR1020200010847 A KR 1020200010847A KR 20200010847 A KR20200010847 A KR 20200010847A KR 102270364 B1 KR102270364 B1 KR 10227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jig
body frame
spring
sha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 시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정위치에 장착하기가 어려워 그만큼 조립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리프 스프링과 차체 프레임과 조립 시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100)의 샤클홀(111)이 있는 리어부(110)를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장착용 지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 끼워지는 고정핀(311)이 구비되고, 타측단은 상,하 회전을 위해 힌지부(320)에 결합되는 지그 바디(310); 힌지부(320) 일측에 구비되며,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가 걸리면서 일정 높이의 정위치에 놓이도록 스톱퍼(330)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340); 차체 프레임(200) 위에 놓이며, 양단이 스톱퍼(330) 및 스프링 안착부(340)와 연결되어 스톱퍼(330)와 스프링 안착부(340)를 지지해주는 프레임 안착부(35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지그를 이용하여 리프 스프링(100)을 차체 프레임(200)에서 일정 간격 떨어지면서도 정위치에 신속하게 놓은 후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품질이 향상되면서도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A method of fitting a jig for the assembly of a leaf-spring of a car and a leaf-spring using i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어 조립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만큼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하는 쇽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섀시 스프링은 차체와 바퀴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 노면에서 받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하지 않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금속재질의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이나 코일 스프링 혹은 토션바 스프링이 사용되고 이외에도 고무 스프링이나 공기 스프링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리프 스프링은 여러 장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적층되고,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체결되는 다수 개의 스프링 판들이 구비되며 최 상부의 스프링 판 양단이 차체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구조로서 차체 휠측과 연결되며 사이드멤버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 스프링이 프레임에 장착된 선행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10-2017-003096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은 차체의 양측 프레임 하부에 장착
되는 최상판 스프링과, 상기 최상판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는 최하판 스프링과, 상기 최상판 스프링과 최하판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최상판 스프링의 양단과 중간판 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중간판 스프링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최하판 스프링의 양단과 중간판 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 스프링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최하판 스프링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하부가 개구된 클램프를 포함한 것으로서 차량의 범프 시 플레이트를 통해 리프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 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통해서는 최하판 스프링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7-0030963호(2017.03.20. 공개)(발명의 명칭: 차량용 리프 스프링)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차체 프레임에 리프 스프링을 장착 시 작업자가 눈짐작으로 위치 및 간격을 선정하여 장착하다 보니 조립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작업시간이 오래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게 하면서도 리프 스프링과 차체 프레임간의 적당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에 신속하게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적정한 위치와 놓은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의 샤클홀이 있는 리어부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장착용 지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차체 프레임의 홀에 끼워지는 고정핀이 구비되고, 타측단은 상,하 회전을 위해 힌지부에 결합되는 지그 바디; 힌지부 일측에 구비되며, 리프 스프링의 리어부가 걸리면서 일정 높이의 정위치에 놓이도록 스톱퍼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 차체 프레임 위에 놓이며, 양단이 스톱퍼 및 스프링 안착부와 연결되어 스톱퍼와 스프링 안착부를 지지해주는 프레임 안착부; 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에 있어서, 지그 바디의 고정핀은 차체 프레임의 홀에 끼우고, 프레임 안착부를 샤클장착홀이 구비된 차체 프레임 위에 안착시켜서 스프링 안착부와 스톱퍼가 조립 정위치에 놓이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리어샤시 모듈을 차체 프레임으로 하강시켜 안착시킬 때 리프 스프링의 리어부를 상기 스톱퍼에 걸려 위치 및 높이가 정해지도록 스프링 안착부의 상단에 안착시켜서 리어부의 샤클홀과 차체 프레임의 샤클장착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간격이 유지되는 리어부)의 샤클홀과 차체 프레임의 샤클장착홀을 서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리프 스프링의 리어부와 차체 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리프 스프링의 리어부와 차체 프레임의 조립 후 고정핀이 차체 프레임의 홀에서 빠지도록 지그 바디를 위로 들어올린 후 앞으로 당겨서 스프링 안착부를 리프 스프링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서 탈거하는 단계; 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그를 이용하여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놓여질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과 일정간격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정위치에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그만큼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지그에 리프 스프링의 리어부를 거치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지그를 이용하여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리프 스프링을 조립하기 위하여 인너샤클을 체결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6 은 도 5 에서 인너샤클을 체결한 후 아우터샤클을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지그의 리어부에 리프 스프링을 거치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지그를 이용하여 리프 스프링을 차체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리프 스프링을 조립하기 위하여 인너샤클을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 에서 인너샤클을 체결한 후 아우터샤클을 체결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100)의 샤클홀(111)이 있는 리어부(110)를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장착용 지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 끼워지는 고정핀(311)이 구비되고, 타측단은 상,하 회전을 위해 힌지부(320)에 결합되는 지그 바디(310); 힌지부(320) 일측에 구비되며,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가 걸리면서 일정 높이의 정위치에 놓이도록 스톱퍼(330)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340); 차체 프레임(200) 위에 놓이며, 양단이 스톱퍼(330) 및 스프링 안착부(340)와 연결되어 스톱퍼(330)와 스프링 안착부(340)를 지지해주는 프레임 안착부(35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 노면에서 받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하지 않도록 차체 프레임(200)에 금속재질의 리프 스프링(100)을 장착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지그를 구비하여 리프 스프링(100)을 차체 프레임(200)과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게 한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그만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지그는 지그 바디(310)의 일측단에 고정핀(311)이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선단에 힌지부(320)가 결합되어 있어 지그 바디(310)가 힌지부(320)에 의해 상,하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20)의 일측에는 스프링 안착부(34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100) 차체 프레임(200)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지그를 먼저 차체 프레임(200)에 밀착시켜 지그 바디(310)에 구비된 고정핀(311)을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 끼워지도록 하면 지그는 차체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는 프레임 안착부(3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지그를 차체 프레임(200)에 안착시키면 프레임 안착부(350)가 차체 프레임(200)위에 놓이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 안착부(350)는 스톱퍼(330)및 스프링 안착부(340)와 연결되어 있어 즉, 스톱퍼(330)와 스프링 안착부(340)를 지지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지그 바디(310)에는 선단에 지그손잡이(360)가 구비되어 지그를 이동시킬 때 지그손잡이(360)를 이용하면 보더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고, 프레임 안착부(350)의 양단에는 지지부(351)가 구비되어 있어 지그를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하면 지지부(351)가 차체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걸리면서 프레임 안착부(350)가 좌,우로 유동됨이 없이 지그는 차체 프레임(20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렇게 지그를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시킨 이후에는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를 지그의 스프링 안착부(340)에 올려놓으면 리프 스프링(100)은 차체 프레임(200)의 정위치에 놓여지면서도 차체 프레임(200)과 일정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후 리프 스프링(100)과 차체 프레임(200)을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를 스프링 안착부(340)에 올려 놓게되면 리어부(110)의 끝단이 스톱퍼(330)에 밀착되면서 밀리지 않아 더욱더 차체 프레임(200)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리프 스프링(100)과 차체 프레임(200)간의 간격도 적정 간격으로 유지되어 그만큼 조립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지그를 이용하여 리프 스프링(100)을 차체 프레임(20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며, 장착이 끝난 이후 지그를 탈거할 경우에는 힌지부(320)에 의해 상,하 회전되는 지그손잡이(360)를 잡고 상측으로 올려주면 지그 바디(310)의 고정핀(311)이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서 쉽게 빠지는 것이고 이후 지그손잡이(360)를 당겨주면 리프 스프링(100)을 받쳐주고 있던 스프링 안착부(340)가 뒤로 이동되면서 지그는 손쉽게 차체 프레임(200)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지그의 스톱퍼(330)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340)는 후단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낮아지는 경사형으로 되어있어 지그를 탈거 시 보다 더 편리하고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리프 스프링(100)을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그 바디(310)의 고정핀(311)을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 끼운 상태에서 프레임 안착부(350)를 샤클장착홀(220)이 구비된 차체 프레임(200)위에 안착시켜서 스프링 안착부(340)와 스톱퍼(330)가 정위치에 놓이도록 한 단계를 행한다.
이후 리프 스프링(100)이 구비된 리어샤시 모듈(도면 중 미설명)을 오토론행거(도면중 미설명)를 이용하여 차체 프레임(200)으로 하강시켜 안착시킬때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는 상기 스톱퍼(330)에 걸려 위치 및 높이가 정해지도록 스프링 안착부(340)의 상단에 안착시켜서 리어부(110)의 샤클홀(111)과 차체 프레임(200)의 샤클장착홀(220) 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를 행한다.
이처럼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를 지그의 스프링 안착부(340)에 올려놓아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에 구비된 샤클홀(111)과 차체 프레임(200)의 샤클장착홀(220)을 서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와 차체 프레임(200)을 조립하는 단계를 행한다.
여기서 프레임 안착부(350)는 차체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걸리는 지지부(351)를 양단에 구비하였으므로 리프 스프링(100)을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는 동안 프레임 안착부(350)가 차체 프레임(200)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아 보다 더 체결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에 구비된 샤클홀(111)과 차체 프레임(200)에 구비된 샤클장착홀(220)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조립하는 체결수단으로는 상기 샤클홀(111)과 샤클장착홀(220)에 끼워지도록 제1,2 샤클핀(411)(412)이 상,하에 각각 돌출된 인너샤클(410)과 제1,2 샤클핀(411)(412)과 상응된 위치에 제1,2 핀공(421)(422)이 있는 아우터샤클(420)을 구비한다.
즉,인너샤클(410)의 제1 샤클핀(411)은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에 구비된 샤클홀(111)로 삽입시켜 선단이 샤클홀(111) 밖으로 돌출되게 하고 제2 샤클핀(412)은 차체 프레임(200)에 구비된 샤클장착홀(220)을 통해 선단이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아우터샤클(420)을 차체 프레임(200)에 밀착시켜 제1 핀공(421)으로는 제1 샤클핀(411)이 돌출되게 하고 제2 핀공(422)으로는 제2 샤클핀(412)이 돌출되게 한다.
이후 제1 샤클핀(411)과 제2 샤클핀(412)에 너트(500)를 체결하여 주면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는 차체 프레임(200)에서 일정간격 유지된 상태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와 차체 프레임(200)의 조립 후에 고정핀(311)이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서 빠지도록 지그 바디(310)를 위로 들어올린 후 앞으로 당겨서 스프링 안착부(340)를 리프 스프링(100)과 차체 프레임(200)사이에 탈거하는 단계를 시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그는 지그 바디(310)의 선단에 지그손잡이(360)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지그를 스프링 안착부(340)와 스톱퍼(330)를 조립 정위치에 놓이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탈거하는 단계때 지그손잡이(360)를 잡고 그만큼 손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프링 안착부(340)는 후단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낮아지는 경사형으로 구비하여 지그를 탈거 시 힌지부(320)에 의해 상,하 회전되는 지그손잡이(360)를 위로 올리면서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지그의 스프링 안착부(340)가 리프 스프링(100)과 차체 프레임(200)사이에서 쉽게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100 : 리프 스프링 110 : 리어부
111 : 샤클홀 200 : 차체 프레임
210 : 홀 220 : 샤클장착홀
310 : 지그 바디 311 : 고정핀
320 : 힌지부 330 : 스톱퍼
340 : 스프링 안착부 350 : 프레임 안착부
351 : 지지부 360 : 지그손잡이
410 : 인너샤클 411,412 : 제1,2 샤클핀
420 : 아우터샤클 421,422 : 제1,2 핀공
500 : 너트

Claims (7)

  1. 리프 스프링(100)의 샤클홀(111)이 있는 리어부(110)를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장착용 지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 끼워지는 고정핀(311)이 구비되고, 타측단은 상,하 회전을 위해 힌지부(320)에 결합되는 지그 바디(310);
    힌지부(320) 일측에 구비되며,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가 걸리면서 일정 높이의 정위치에 놓이도록 스톱퍼(330)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340);
    차체 프레임(200) 위에 놓이며, 양단이 스톱퍼(330) 및 스프링 안착부(340)와 연결되어 스톱퍼(330)와 스프링 안착부(340)를 지지해주는 프레임 안착부(350);
    로 구성되어 리프 스프링(100)의 정위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지그 바디(310)는 선단에 지그손잡이(360)를 구비하고,
    프레임 안착부(350)는 차체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걸리는 지지부(351)를 양단에 구비하여
    프레임 안착부(350)가 차체 프레임(200)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톱퍼(330)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340)는
    후단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낮아지는 경사형으로 구비하여 리프 스프링(100) 조립 후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4.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이용하여
    지그 바디(310)의 고정핀(311)은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 끼우고, 프레임 안착부(350)를 샤클장착홀(220)이 구비된 차체 프레임(200) 위에 안착시켜서 스프링 안착부(340)와 스톱퍼(330)가 조립 정위치에 놓이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리어샤시 모듈을 차체 프레임(200)으로 하강시켜 안착시킬 때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를 상기 스톱퍼(330)에 걸려 위치 및 높이가 정해지도록 스프링 안착부(340)의 상단에 안착시켜서 리어부(110)의 샤클홀(111)과 차체 프레임(200)의 샤클장착홀(220)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간격이 유지되는 리어부(110)의 샤클홀(111)과 차체 프레임(200)의 샤클장착홀(220)을 서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와 차체 프레임(200)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리프 스프링(100)의 리어부(110)와 차체 프레임(200)의 조립 후 고정핀(311)이 차체 프레임(200)의 홀(210)에서 빠지도록 지그 바디(310)를 위로 들어올린 후 앞으로 당겨서 스프링 안착부(340)를 리프 스프링(100)과 차체 프레임(200) 사이에서 탈거하는 단계;
    로 구성되어 리프 스프링(100)의 정위치 조립이 쉽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지그 바디(310)는 선단에 지그손잡이(360)를 구비하여 스프링 안착부(340)와 스톱퍼(330)를 조립 정위치에 놓이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탈거하는 단계 때 사용토록 하고,
    프레임 안착부(350)는 차체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걸리는 지지부(351)를 양단에 구비하여 리프 스프링을 장착하는 동안 프레임 안착부(350)가 차체 프레임(200)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리어부(110)의 샤클홀(111)과 차체 프레임(200)의 샤클장착홀(210)을 서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체결수단은
    상기 샤클홀(111)과 샤클장착홀(220)에 끼워지도록 상,하에 제1,2 샤클핀(411)(412)이 돌출된 인너샤클(410);
    제1,2 샤클핀(411)(412)과 상응된 위치에 제1,2 핀공(421)(422)이 있는 아우터샤클(420);
    제1,2 샤클핀(411)(412)에 체결되는 너트(50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스톱퍼(330)에 구비되는 스프링 안착부(340)를 후단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낮아지는 경사형으로 구비하여 리프 스프링 조립 후 지그 바디(310)를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스프링 안착부(340)가 리프 스프링(100)과 차체 프레임(200) 사이에서 쉽게 탈거되면서 장착이 완료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KR1020200010847A 2020-01-30 2020-01-30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KR10227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47A KR102270364B1 (ko) 2020-01-30 2020-01-30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47A KR102270364B1 (ko) 2020-01-30 2020-01-30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364B1 true KR102270364B1 (ko) 2021-06-29

Family

ID=7662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847A KR102270364B1 (ko) 2020-01-30 2020-01-30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999A (ko) * 1999-08-06 2001-03-05 이계안 차량용 리프 스프링 장착 브라켓
KR20140038842A (ko) * 2012-09-21 2014-03-31 에스피테크(유) 리프스프링용 행거-샤클 모듈 조립 방법
KR20170030963A (ko) 2015-09-10 2017-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20180069503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리프 스프링모듈 조립장치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999A (ko) * 1999-08-06 2001-03-05 이계안 차량용 리프 스프링 장착 브라켓
KR20140038842A (ko) * 2012-09-21 2014-03-31 에스피테크(유) 리프스프링용 행거-샤클 모듈 조립 방법
KR20170030963A (ko) 2015-09-10 2017-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20180069503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리프 스프링모듈 조립장치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207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US20100270769A1 (en) Suspension system with a retrofit suspension kit
KR101090806B1 (ko)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JP4288305B1 (ja) リアリーフスプリング式サスペンション車両用リア車高調整方法
KR102270364B1 (ko) 자동차의 리프 스프링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리프 스프링 장착방법
KR100264649B1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US4083575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100038994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200493790Y1 (ko)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KR2010003899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CN113602054B (zh) 全地形车
KR0114404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 고정구조
CN102381148B (zh) 悬架摆臂
CN210881575U (zh) 用于清障车的减震装置
KR2010000115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20080054223A (ko) 차량용 현가장치
AU2016101677B4 (en) An independent suspension assembly for a trailer
KR100992811B1 (ko) 트럭 캡 서스펜션용 스프링 시트
KR200167540Y1 (ko)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398613B1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트럭의 전방 지지구조
CN205818832U (zh) 空气悬架
KR100224438B1 (ko)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장착구조
KR20110030201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KR100610102B1 (ko) 트레일링 아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