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993A -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993A
KR20100038993A KR1020080098182A KR20080098182A KR20100038993A KR 20100038993 A KR20100038993 A KR 20100038993A KR 1020080098182 A KR1020080098182 A KR 1020080098182A KR 20080098182 A KR20080098182 A KR 20080098182A KR 20100038993 A KR20100038993 A KR 2010003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vehicle
mounting
spring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993A/ko
Publication of KR2010003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에 적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장착 시,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리프 스프링의 양단의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스프링 핀에 가중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제작원가 절감 및 작업 공정수를 줄이도록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판 스프링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체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차체 고정 브라켓;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에 끼워지는 리프 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을 제공한다.
상용차, 리프 스프링, 스프링 핀, 하중

Description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LEAF SPRING MOUNTING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차에 적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장착하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타이어와 연결되는 현가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현가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노면의 상태에 따라 차체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조정하게 되는 바, 이러한 현가장치에는 상기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보통 리프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리프 스프링은 주로 대형 상용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스프링 강판이 적층된 상태로 중앙이 액슬에 장착되고, 양단은 차체와 연결되어 짐 적재에 따른 하중, 또는 노면의 외력이 전달되었을 경우, 액슬과 차체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상대적인 상하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력을 형성하여 외력이 차체 프레임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101)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차체 사이드 프레임(103)에 스프링 브라켓(105)과 샤클(107)로 구성되는 마운팅 유닛을 통해 각각 장착되고, 중앙은 U볼트(109)를 통해 액슬(111)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 스프링(101)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부시(113)가 개재된 스프링 아이(1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105)과 샤클(107)에 미도시된 스프링 핀을 통하여 각각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기 리프 스프링은 양단에 구성된 상기 스프링 아이를 통해 마운팅 유닛인 스프링 브라켓과 샤클에 스프링 핀을 통해 장착됨에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리프 스프링이 고정되어 차량 주행 시, 상기 스프링 핀에 상, 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 우 방향으로도 응력이 집중되며, 이로 인해, 각 연결부위의 잦은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은 샤클을 통한 링크구조로 이루어져 설계가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작 원가 및 작업 공정수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용차에 적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장착 시,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리프 스프링의 양단의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스프링 핀에 가중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제작원가 절감 및 작업 공정수를 줄이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은,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판 스프링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체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차체 고정 브라켓;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에 끼워지는 리프 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핀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 스프링은 적층된 판 스프링 중 최장 길이를 갖는 상부 2개의 판 스프링 양단이 상, 하부로 각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양단부가 절곡되어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장착부에는 상기 스프링 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에 의하면, 상용차에 적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장착 시, 리프 스프링의 양단을 상하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상을 개선하여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유동 시에 차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스프링 핀에 가중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은 종래 리프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던 스프링 아이와 샤클 없이도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작업 공정수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은 상용차에 적용되는 리프 스프링(1)의 장착 시,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리프 스프링(1)의 양단의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스프링 핀에 가중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제작원가 절감 및 작업 공정수를 줄이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사이드 프레임(3)에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판 스프링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1)을 장착하기 위해 차체 고정 브라켓(10), 장착 브라켓(20), 및 스프링 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리프 스프링(1)은 적층된 상기 판 스프링 중 최장 길이를 갖는 상부 2개의 판 스프링 양단이 상, 하부로 각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5)로 이루어 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은 상기 차체 사이드 프레임(3)의 측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그 하부에는 포크(11)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20)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의 하부에서 상기 포크(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20)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의 하부에서 상기 포크(11)에 삽입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절곡된 장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각 장착부(21)는 상기 스프링 핀(30)이 삽입되도록 삽입홀(2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핀(30)은 상기 장착 브라켓(20)을 통해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에 끼워지는 리프 스프링(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20)의 하부에서 상기 각 삽입홀(23)을 통해 장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의 조립방법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은 차체 사이드 프레임(3)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브라켓(20)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의 하부에서 상기 포크(11)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20)은 상기 포크(11)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뒤, 상기 리프 스프링(1)은 상기 장착 브라켓(20)의 각 장착부(21) 사이에 끼워지고, 끼워진 상기 리프 스프링(1)의 하부는 상기 각 삽입홀(23)을 통해 장착되는 상기 스프링 핀(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면, 상기 리프 스프링(1)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 상에서 상, 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상기 절곡부(5)에 의해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10) 상에서 이탈하지 않고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도 유동이 가능해져 효과적으로 발생된 진동을 상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핀(30)은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상, 하방향 유동 시에만 하중을 받고,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전, 후방향 유동 시에는 하중이 가중되지 않게 되어 응력집중 현상이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을 적용하면, 리프 스프링(1)이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유동 시, 차체에서 이탈하지 않게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양단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5)를 갖도록 그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 사이드 프레임(3)의 측면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핀(30)에 가중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은 종래 리프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던 스프링 아이와 샤클 없이도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작업 공정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프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Claims (3)

  1. 차체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판 스프링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체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차체 고정 브라켓;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에 끼워지는 리프 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은 적층된 판 스프링 중 최장 길이를 갖는 상부 2개의 판 스프링 양단이 상, 하부로 각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차체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양단부가 절곡되어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장착부에는 상기 스프링 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1020080098182A 2008-10-07 2008-10-07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20100038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82A KR20100038993A (ko) 2008-10-07 2008-10-07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82A KR20100038993A (ko) 2008-10-07 2008-10-07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993A true KR20100038993A (ko) 2010-04-15

Family

ID=4221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182A KR20100038993A (ko) 2008-10-07 2008-10-07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9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75B1 (ko) * 2013-09-30 2014-01-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상용차용 스프링 행거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1021A (ko) 2018-04-17 2019-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스프링 마운팅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75B1 (ko) * 2013-09-30 2014-01-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상용차용 스프링 행거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1021A (ko) 2018-04-17 2019-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스프링 마운팅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2920A1 (en) Lower arm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KR100974554B1 (ko) 차량의 언더바디 프레임
KR101399335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US20050099060A1 (en)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JP3809583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100579258B1 (ko) 후륜 서스펜션 장치
CN102390475A (zh) 用于两侧安装车轮的车辆双摆臂式减震机构
KR20100045789A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KR2010003899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KR20110030200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US20100253030A1 (en) Hybrid arm for an independent rear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KR2017003096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20100038994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20070032591A (ko) 리프 스프링 장치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CN215663699U (zh) 一种车身平衡结构以及汽车
KR20070094086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보강구조
CN102358129A (zh) 轿车后桥结构
KR20100045797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20100033848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100316267B1 (ko) 리어 코일 스프링 시트
KR20100000794U (ko) 차량용 리어서스펜션
KR20090089054A (ko) 스프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쇽업소버
KR101045930B1 (ko)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