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561B1 -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561B1
KR102265561B1 KR1020140127636A KR20140127636A KR102265561B1 KR 102265561 B1 KR102265561 B1 KR 102265561B1 KR 1020140127636 A KR1020140127636 A KR 1020140127636A KR 20140127636 A KR20140127636 A KR 20140127636A KR 102265561 B1 KR102265561 B1 KR 10226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spool shaft
supported
fishing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422A (ko
Inventor
요시히토 시미즈
와타루 츠츠미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0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26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0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6144590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부하로 핸들을 권취 조작해도, 그 회전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없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에 교합하고, 선단에 로터가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전단부측에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장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 내에 삽입 관통되는 스풀축과,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구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오실레이트 기구를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로서, 상기 스풀축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교합부로부터, 그 후단부를 상기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에 지지될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어느것으로부터도 지지되어 있지 않은 비지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SPINN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드라이브 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 및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삽입 관통되는 스풀축의 지지 구조에 특징을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스피닝 릴은,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 구동되는 로터와, 낚싯줄이 권회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스풀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터는, 핸들축에 장착된 드라이브 기어와 교합하고, 핸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의 전단부에 로터 너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회전 구동되고, 상기 스풀축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삽입 관통되고, 드라이브 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오실레이트 기구(왕복 이동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상기 스풀축은, 핸들을 회전 조작했을 때, 회전 구동되고 있는 피니언 기어를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왕복 구동되기 때문에, 스풀에 큰 부하가 작용하여 스풀축이 휘면 피니언 기어의 내면과 스풀축의 접촉압이 커지고, 이에 의해 스풀축의 접동 저항이 증대하여 핸들의 회전 조작이 무거워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의 내면에 축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간극)를 형성하고, 피니언 기어의 내면과 스풀축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이 오목부에 의해 스풀축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피니언 기어의 내부의 2 군데에서 스풀축을 지지한 것(특허문헌 1의 도 5, 도 6), 및 스풀축을, 피니언 기어의 선단측의 내부의 1 군데에서 지지함과 함께, 피니언 기어의 후방 근방에서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한 것(특허문헌 1의 도 7)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8438호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드라이브 기어가 교합되어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데, 톱니부는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드라이브 기어와 교합하는 교합부)에서는, 핸들을 회전 조작하여 동력을 전달할 때에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하방(내부 삽입하는 스풀축측)을 향하여 큰 부하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스풀축을, 피니언 기어의 범위 내의 2 군데에서 지지하거나, 또는 피니언 기어의 전방측에서 지지함과 함께 피니언 기어의 후단부 근방에서 릴 본체에 지지하고 있고, 스풀축의 지지부가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교합부에 축 방향에서 비교적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교합부에 스풀축의 지지부가 존재하면, 핸들 회전 조작 시의 교합 시에 있어서의 하향의 부하가 직접 지지부에 가해지게 되고, 이것이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의 외주면에 대한 마찰 접동 저항이 되어서 핸들의 회전 조작이 무거워진다. 또한, 교합부에 지지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피니언 기어 후단부의 근방(톱니부로부터 가까운 부분)에서 스풀축을 지지하고 있으면,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핸들 회전 시에 하방으로 가압하는 부하가 작용했을 때, 교합부의 전방의 지지부를 통하여 스풀축을 휘게 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이것이 피니언 기어 후단부 근방의 지지부에 있어서 스풀축 외주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직경 방향으로 변형(타원으로 변형)시키는 부하가 되고, 결과적으로,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에 대한 마찰 접동 저항이 되어서 핸들의 회전 조작이 무거워진다. 즉, 교합부 내의 피니언 기어의 내주에서 스풀축을 지지하거나, 또는 교합부를 끼운 짧은 거리로 피니언 기어 후방의 릴 본체로 스풀축을 지지하는 것은, 고부하 권취 시에 피니언 기어에 하향의 부하가 작용했을 때, 스풀축에 대한 접동 저항이 발생하기 쉬워져, 매끄러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부하로 핸들을 권취 조작해도, 그 회전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없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에 교합하고, 선단에 로터가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전단부측에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장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 내에 삽입 관통되는 스풀축과,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구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오실레이트 기구를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로서, 상기 스풀축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교합부로부터, 그 후단부를 상기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에 지지될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어느것으로부터도 지지되어 있지 않은 비지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의하면, 스풀축은,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교합부로부터 접동체의 지지부와의 사이는, 비지지 상태(비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핸들을 회전 조작했을 때,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교합부에는, 큰 부하(피니언 기어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부하)가 가해지지만, 그 부분은, 스풀축과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가 휘어도 스풀축과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접동 저항이 발생할 일은 없다. 또한, 스풀축은, 교합부의 전방에서 피니언 기어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에 큰 부하가 작용하면, 이 지지부를 통하여 스풀축을 휘게 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러한 힘이 작용해도, 스풀축은, 피니언 기어의 후단부 근방에서는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동 저항이 작용할 일도 없다. 즉, 오실레이트 기구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는 스풀축으로는, 핸들 권취 조작 시에 피니언 기어와의 교합부에 큰 부하가 작용해도, 핸들의 권취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접동 저항이 작용할 일은 없이, 원활한 권취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부하로 핸들을 권취 조작해도, 그 회전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없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3a는 도 2에 도시하는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2에 도시하는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의 변형예 2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 1은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3a, 도 3b는 도 2에 도시하는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낚시용 스피닝 릴의 릴 본체(1)에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다리(1a)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2)와, 로터(2)의 회전 운동과 동기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릴 본체(1) 내에는, 핸들축(5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돌출 단부에는 핸들(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5a)에는 권취 구동 기구가 걸림 결합하고 있고, 이 권취 구동 기구는, 핸들축(5a)에 설치되고, 내기어가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구동 기어)(7)와, 이 드라이브 기어(7)에 교합함과 함께 핸들축(5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부(8a)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8)는 그 후단부측에 톱니부(8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부(8b)가 드라이브 기어(7)와 교합 관계가 되고, 도 4의 부호 W로 나타내는 길이가 양쪽 기어의 교합부가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8)의 전방측에는, 수나사부(8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터(2)의 중심 구멍을 피니언 기어의 전단부에 감합하고, 이 부분에 로터 너트(9)를 체결함으로써, 로터(2)는 피니언 기어(8)에 대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피니언 기어(8)는 교합부 W의 전방(스풀측)의 2 군데에서 베어링(10a, 10b)을 통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공동부(8a)에는, 핸들축(5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선단측에 상기 스풀(3)을 장착한 스풀축(3a)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경우, 피니언 기어(8)의 중간 영역 외주에는, 공지된 일방향 클러치(11)가 배치되어 있고, 릴 본체(1)의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전환 레버(11a)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피니언 기어(로터)의 회전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양방향의 회전 상태/낚싯줄 권취 방향만의 회전 상태를 전환함). 상기 베어링은,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8)에 대하여 회전 방지되는 일방향 클러치(11)의 내륜(11b)과 릴 본체(1) 사이에 설치되고(베어링(10a)),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 W의 근방에 와셔(10c)를 개재하여 설치된다(베어링(10b)).
상기 피니언 기어(8)에는, 스풀(3)(스풀축(3a))을 전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왕복 이동 장치(오실레이트 기구)(12)가 걸림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왕복 이동 장치(12)는 릴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축(3a)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나사축(웜 샤프트)(13)과, 상기 스풀축(3a)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접동체(오실레이팅 슬라이더)(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축(13)의 전단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8)와 교합하는 오실레이트 기어(1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5)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나사축(13)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7), 피니언 기어(8) 및 오실레이트 기어(16)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13)의 둘레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나선 형상의 캠 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 홈(13a)에, 후술하는 접동체(15)에 수용 보유 지지된 걸림 결합 핀(18)의 걸림 결합 갈고리(18a)가 걸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접동체(15)는 원통 형상의 수용 구멍(15a)을 갖는 본체(15A)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15A)가 스풀축(3a)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스풀축(3a)의 후단부는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축(3a)의 후단부 부분에는, 단면이 비원형이고 핸들축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3b)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플레이트)(20)가 할당되어, 핸들축 방향으로부터 고정 나사(21)가 나사 넣기 됨으로써, 스풀축(3a)은 접동체(15)에 대하여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본체(15A)의 원통 형상의 수용 구멍(15a) 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된 걸림 결합 핀(18)이 수용 보유 지지되어 있고, 그 일단부측(선단부)에는, 상기 나사축(13)의 캠 홈(13a)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측은 상기 빠짐 방지 부재(20)에 할당하여 빠짐 방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본체(15A)에는, 수용 구멍(15a)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삽입 관통부(1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13)을 둘러싸도록 하여 나사축을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5A)에는, 축 방향을 따르도록 결합 홈(15c)이 형성되어 있고, 릴 본체(1)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볼록 형상의 가이드 레일(23)에 걸림 결합되고, 본체(15A)는 회전 방지된 상태로 되어서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접동체(15)의 안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3a의 변형예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 내에 스풀축 방향을 따라서 샤프트(23a)를 배치하고, 본체(15A)를 샤프트(23a)에 관통시킴으로써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도 3b는, 추가로 변경예 2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의 (a)는 접동체(15)(본체(15A))가 스풀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2개의 가이드는, 릴 본체 내에 설치되는 2개의 샤프트(23a, 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는, 나사축(13)의 상하에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가이드의 구성, 및 접동체의 본체의 유도(遊度)를 갖게 한 걸림 결합의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5A)에, 샤프트(23a)가 유도를 갖고서 결합하도록, 일단부가 개구한 긴 구멍 형상의 절결(15b')로 해도 된다. 또는, 도 3b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 내에 샤프트(23a)를 설치하는 대신, 릴 본체 내에 스풀축 방향을 따르는 가이드 레일(23a')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 레일(23a')을, 도 3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결(15b')에 걸림 결합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렇게 릴 본체(1)를 구성하는 부재로 그대로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피니언 기어(8)는 상기 교합부 W의 전방측에서, 스풀축(3a)을 지지하고 있다. 즉, 교합부 W에 있어서, 스풀축(3a)이 부하에 의해 휘어도 피니언 기어(8)의 내면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도록, 피니언 기어(8)의 후단부면(8d)에는, 교합부 W의 전방에 이르기까지, 스풀축(3a)이 삽입 관통되는 부분에 대구경부(8e)가 형성되어 있고, 스풀축(3a)은 교합부 W의 전방측의 영역 L1에서, 피니언 기어(8)의 내면(8f)에 대하여 지지(1 군데에서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피닝 릴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는 놋쇠(Bs), 스테인리스강(SUS)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스풀축은 스테인리스강(SUS),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강성이나 휨 특성에 따라 대구경부의 크기는 적절하게 설계하면 된다.
또한, 스풀축(3a)은 교합부부터 접동체(15)까지의 후방측에서는 비지지(베어링이나 칼라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음) 상태가 되어 있고, 스풀축(3a)의 후단부가 상기 접동체(15)로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스풀축(3a)은 교합부보다도 전방측에서 피니언 기어(8)의 내면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접동체(15)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 사이의 영역은, 타물(他物)과 비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의하면, 핸들(5)을 회전 조작하면, 드라이브 기어(7)와 피니언 기어(8)의 교합 관계에 의해 피니언 기어(8)가 회전 구동되어, 로터(2)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왕복 이동 장치(12)의 나사축(13)이 피니언 기어(8)와 교합하는 오실레이트 기어(16)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고, 접동체(15)는 나사축(13)에 형성된 캠 홈(13a)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핀(18)을 통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즉, 핸들(5)의 권취 조작에 수반하여, 로터(2)의 회전과 동기하여 스풀(3)은 접동체(15)에 지지된 스풀축(3a)과 함께 전후 왕복 이동된다.
상기한 작용에 있어서, 핸들(5)을 회전 조작했을 때, 드라이브 기어(7)와 피니언 기어(8)의 교합부 W에는, 큰 부하(피니언 기어(8)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부하 P)가 가해지는데, 교합부 W에서는, 피니언 기어(8)와 스풀축(3a) 사이에 상기 대구경부(8e)가 형성되어서 간극 G가 존재하기 때문에, 부하 P에 의해 피니언 기어(8)에 휨이 발생해도, 스풀축(3a)에 접촉하는 일은 없어, 스풀축에 접동 저항이 발생할 일은 없다. 즉, 핸들(5)의 회전 조작이 무거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간극 G는, 스피닝 릴의 크기, 스풀축의 굴곡 강성, 구경·길이 등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대략 0.05 내지 0.2mm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스풀축(3a)은 교합부 W의 전방의 피니언 기어의 내면 지지부(지지 영역 L1)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8)에 대하여 큰 부하가 작용하면, 이 지지부를 통하여 스풀축(3a)을 휘게 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힘이 작용해도, 스풀축(3a)은 피니언 기어의 후단부 근방에서는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동 시에 타물로부터 접동 저항이 작용할 일도 없다. 즉, 핸들 권취 조작 시에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큰 부하가 작용해도, 스풀축(3a)에는 접동 저항이 작용할 일은 없어, 핸들의 권취 조작이 무거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8)는 교합부 W보다도 전방에서 릴 본체(1)에 대하여 복수의 베어링(10a, 10b)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안정됨과 동시에, 상기 교합부 W에 큰 부하 P가 작용해도, 피니언 기어(8)를 휘게 하는 것이 억제되어, 스풀축(3a)에 대한 접동 저항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대구경부(8e)를 더 깊이 형성하고, 교합부 W보다도 전방 위치에서의 지지 영역 L1을 짧게 하고 있다. 즉, 대구경부(8e)를 깊이 형성함으로써, 스풀축(3a)에 대한 접촉 범위(지지 영역 L1)를 저감시켜서, 큰 부하 P가 작용했을 때, 스풀축(3a)에 대한 접동 저항을 경감함과 함께, 피니언 기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피니언 기어(8)의 전체 길이를 L로 했을 경우, 대구경부(8e)를 형성하는 범위 L2는, 최대로 피니언 기어의 전체 길이 L의 8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피니언 기어(8)의 경량화, 및 스풀축(3a)에 대한 접촉 범위(지지 영역)를 저감시켜서, 핸들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대구경부는, 최소로 상기 교합부 W를 초과하는 위치까지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교합부 W의 중간점을 초과하는 정도의 위치(교합부의 절반)까지 대구경부를 형성해도, 종래 기술보다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8)의 전방 단부면(8h)으로부터 접동체측을 향하여 대구경부(8g)를 형성함과 함께, 중간 영역에도 동일한 대구경부(8i)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스풀축(3a)은 교합부 W의 전방측에서 복수 개소(지지 영역 L1', 지지 영역 L1''의 2 군데)에서 지지된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접동 저항의 경감이 도모됨과 함께, 피니언 기어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 영역에 대해서는, 피니언 기어의 선단측으로 함으로써, 스풀축에 대한 부하의 영향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교합부 W의 전방 영역에서의 피니언 기어(8)의 스풀축에 대한 지지 영역 L1, L1', L1''은, 별도로, 칼라 또는 베어링 부재를 개재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지지 영역 L1', L1''의 부분에 칼라(25)를 배치하여 스풀축(3a)을 지지하는 것이어도 된다(도 7 참조). 이 경우, 칼라(25)는 대구경부(8i)와 대구경부(8g, 8e) 사이에 단차(8j, 8k)를 형성해 두고, 단부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리테이닝링(26)을 배치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내부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피니언 기어(8)는 교합부 W의 전후 양측에 베어링(10a, 10b)을 배치함으로써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합부 W에서는, 핸들 회전 조작 시에 큰 부하 P가 작용하는데, 이 큰 부하가 작용하는 양측에서 피니언 기어(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피니언 기어(8)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되고, 회전이 원활해짐과 동시에, 스풀축(3a)에 대한 휨의 영향을 보다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왕복 이동 장치(12)는 웜 샤프트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기어 오실레이트 방식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스풀축(3a)은 교합부 W로부터 접동체까지의 사이가 불지지 상태라면, 어디에서 지지하고 있어도 되고, 피니언 기어 내에는 복수의 대구경부를 형성해도 된다.
1: 릴 본체
2: 로터
3: 스풀
3a: 스풀축
7: 드라이브 기어
8: 피니언 기어
8e, 8g: 대구경부
10a, 10b: 베어링
12: 오실레이트 기구
P: 부하
W: 교합부

Claims (10)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에 교합하고, 대구경부를 갖는 피니언 기어이며, 상기 대구경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교합부를 넘어 연장하는 피니언 기어와,
    전단부측에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장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 내에 삽입 관통되는 스풀축과,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구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오실레이트 기구를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상기 스풀축은, 그 후단부가 상기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에 지지되고, 상기 오실레이트 기구의 접동체와 상기 교합부보다도 전방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전방부 내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접동체로부터 상기 피니언 기어의 전방부 내면까지의 범위 내에서, 어느 것으로부터도 지지되어 있지 않은 비지지 구조이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교합부의 전후 양측에서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부는, 상기 교합부를 포함하고, 최대로 피니언 기어 전체 길이의 8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은, 상기 교합부를 제외한 범위 내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 내에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은, 상기 피니언 기어 내에서 복수 개소에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 내에서의 상기 스풀축의 복수 개소의 지지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스풀축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 또는 베어링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체는, 상기 릴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축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부는, 상기 스풀축이 부하에 의해 굴곡되었을 때에 상기 교합부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전방부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선택된 내경 및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부는 상기 교합부로부터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전방부 내면에서의 지지부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0140127636A 2013-09-27 2014-09-24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265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0924A JP6342635B2 (ja) 2013-09-27 2013-09-27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13-200923 2013-09-27
JP2013200923A JP6144590B2 (ja) 2013-09-27 2013-09-27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13-200924 2013-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22A KR20150035422A (ko) 2015-04-06
KR102265561B1 true KR102265561B1 (ko) 2021-06-17

Family

ID=5151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36A KR102265561B1 (ko) 2013-09-27 2014-09-24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5977B2 (ko)
EP (1) EP2853159B1 (ko)
KR (1) KR102265561B1 (ko)
CN (1) CN104509503A (ko)
TW (1) TWI5583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1990B2 (ja) * 2014-01-23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6462382B2 (ja) * 2015-01-29 2019-01-30 株式会社シマノ 係合ピン及び係合ピンを有する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6656813B2 (ja) * 2015-03-10 2020-03-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釣り用リ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2674049A (zh) * 2015-12-18 2021-04-20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6688678B2 (ja) * 2016-05-18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US10264772B2 (en) * 2016-09-29 2019-04-23 Globeride, Inc. Line stopper for fishing spinning reel and fishing spinning reel
CN108990927A (zh) * 2017-06-07 2018-12-14 纯钓日本公司 纺车式渔轮
JP7193440B2 (ja) * 2019-11-20 2022-12-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用品用の湾曲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086A (ja) * 2002-09-25 2004-04-15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012809B1 (ko) * 2003-04-16 2011-02-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발음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523Y2 (ja) * 1992-07-23 1997-03-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KR100304065B1 (ko) * 1993-10-21 2001-11-22 마쯔이 요시유끼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JP2895727B2 (ja) * 1993-11-30 1999-05-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におけるドラグ装置
JP3450042B2 (ja) * 1994-02-21 2003-09-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266755A (ja) * 1998-03-20 1999-10-05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6224006B1 (en) * 1998-03-20 2001-05-01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having tapered spool and compact reel body
JP4362197B2 (ja) 2000-03-23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6457661B1 (en) * 2000-06-14 2002-10-01 Pacp, Inc. Fishing reel with faster spool oscillation
JP3998061B2 (ja) * 2002-09-25 2007-10-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236568A (ja) *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250035B2 (ja) * 2003-05-13 2009-04-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4299180B2 (ja) * 2003-08-27 2009-07-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SG110185A1 (en) *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US7175121B2 (en) * 2003-10-28 2007-02-13 Shimano Inc.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SG112961A1 (en) * 2003-12-09 2005-07-28 Shimano Kk Spinning-reel oscillating device
SG118339A1 (en) * 2004-06-09 2006-01-27 Shimano Kk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JP2006333705A (ja) 2005-05-31 2006-12-1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SG127795A1 (en) 2005-05-31 2006-12-29 Shimano Kk Spinning reel
JP5008321B2 (ja) 2005-09-07 2012-08-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7189982A (ja) * 2006-01-20 2007-08-0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ギア部品装着構造
MY162139A (en) * 2007-09-14 2017-05-31 Shimano Kk Spining re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086A (ja) * 2002-09-25 2004-04-15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012809B1 (ko) * 2003-04-16 2011-02-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발음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5977B2 (en) 2016-11-08
CN104509503A (zh) 2015-04-15
EP2853159A2 (en) 2015-04-01
TW201511673A (zh) 2015-04-01
EP2853159B1 (en) 2017-04-05
EP2853159A3 (en) 2015-06-10
US20150090819A1 (en) 2015-04-02
TWI558315B (zh) 2016-11-21
KR20150035422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561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274258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SG131021A1 (en) Reciprocat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US20140245847A1 (en) Screw actuated press unit
JP622808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40009187A (ko) 리코일 스타터
TWI272903B (en) Reciprocating device for spinning reel
KR20200067226A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312398B1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EP3469894A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6144590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8011812A (ja) 魚釣用リール
JP2013014996A (ja) 開閉駆動装置
TWI771463B (zh) 釣具用捲線器
JP634263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820338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725232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710521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7159480B2 (en) Pinion slip-off preventive structure of starting apparatus
KR20190127712A (ko) 랙 가이드 및 기어 기구
KR20230137828A (ko) 낚시용 스피닝 릴
US11697568B2 (en) Reciprocat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having the same
JP2013130077A (ja) スタータ
JP660647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18142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