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157B1 -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157B1
KR102265157B1 KR1020150154393A KR20150154393A KR102265157B1 KR 102265157 B1 KR102265157 B1 KR 102265157B1 KR 1020150154393 A KR1020150154393 A KR 1020150154393A KR 20150154393 A KR20150154393 A KR 20150154393A KR 102265157 B1 KR102265157 B1 KR 10226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opper member
sale
storage passage
dis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070A (ko
Inventor
하지메 에리카와
가츠히코 후쿠다
츠토무 이와코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0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supported individually on pivotally-mounted flaps or shel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상품의 기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로딩된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G1)]을 배치하는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에, 상기 판매 상품(G1)만이 배치될 때에 상기 판매 상품(G1)이 대향 배치되는 통로 형성 부재(기판(1),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전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210)를 형성하고, 제1 스토퍼 부재(2)의 유지부(210)에 배치된 상품이, 로딩된 판매 순위 2번의 상품이 낙하하여 충돌했을 때에 전동하여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판매 순위 2번의 상품에 대한 반력을 억제하여, 판매 순위 2번의 상품이 반동에 의해 기립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COMMODITY DELIVERING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페트병 음료, 병 음료, 캔 음료 등의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트병 음료, 병 음료, 캔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는 단열 케이스로서 이루어지는 본체 캐비닛의 상품 수납고 내에 상기 상품을 콜드, 핫 상태로 구분하여 보존하며, 외부 도어의 디스플레이실 내에 복수의 상품 견본을 좌우로 나란히 세워 전시하고, 상기 상품 견본에 대응하여 마련된 상품 선택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 관해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자동 판매기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본체 캐비닛(100)과, 본체 캐비닛(100)의 전면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외부 도어(106)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캐비닛(100)은 강판제의 외부 박스의 내측, 즉 상벽, 좌우 측벽, 배벽 및 저벽(101a)에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단열 보드를 배치하여 단열 케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닛(100)의 단열 보드로 둘러싸인 상품 수납고 안은 단열 구획판(10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상품 수납실(103, 104, 105)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각 상품 수납실(103, 104, 105)에는, 이 예에서는 서펜타인 방식이라고 불리는 사행(蛇行)한 상품 수납 통로를 갖는 상품 수납 랙(108)이 각각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닛(10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외부 도어(106)와 본체 캐비닛(100)에서의 상품 수납고의 전면 사이에는 내부 도어(107)가 배치되고, 이 예에서는 내부 도어(107)가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하부측의 내부 도어(107)에는 각 상품 수납실(103, 104, 105)의 상품 수납 랙(108)으로부터 배출된 상품을 송출하는 슈터(109)와 대치되는 위치에 반출 도어(107a)를 갖는 상품 반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출 도어(107a)는 상단 입구가 축 지지되어 수직으로 드리워지고 자중(自重)에 의해 상품 반출구를 폐색하여 냉기 혹은 온기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으며, 슈터(109)를 통해 반출되는 상품에 의해 밀려 개방되고, 상기 상품을 외부 도어(106)의 상품 취출구(106a)에 송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부 도어(106) 전면의 상부 영역은 상품 견본을 전시하는 투명판으로 덮인 디스플레이실로서 형성되고, 상기 투명판의 전면에는 상품 선택 버튼 유닛이 마련되고, 상품 선택 버튼 유닛에는 전시된 상품 견본에 대응하여 마련된 상품 선택 버튼을 갖고 있다. 또한, 외부 도어(106)의 전면에는 동전 투입구, 지폐 삽입구, 동전 반환구, 반환 레버, 상품 취출구, 핸들 로크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8)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의 박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랙 측판(81, 81), 이 랙 측판(81, 81)에 상하 방향으로 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마주보도록 가설(架設)한 전후 한 쌍의 만곡형 레일 세그먼트열(82) 사이에 구획된 전후 복수열(도면에서는 5열)의 사행형의 상품 수납 통로(상품 칼럼)(83), 본체 캐비닛(100)의 전면 개구에 형성된 상품 투입구(SL)(도 18 참조)와 2열째 이후의 상품 수납 통로(83)의 상단 입구를 연계하는 탑 트레이(84), 상기 각각의 상품 수납 통로(83)의 하단 출구에 배치된 상품 반출 장치(10), 이 상품 반출 장치(10)와 상품 수납 통로(83)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출구 조정 부재(10A)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8)은, 이 예에서는 2열의 상품 수납 통로(83)를 구비한 전단측의 상품 수납 랙(108a), 및 3열의 상품 수납 통로(83)를 구비한 후단측의 상품 수납 랙(108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것이고, 각 상품 수납 랙(108a, 108b)의 좌우 한 쌍의 랙 측판(81, 81)의 상단에 가설된 랙측 훅 금구(811, 811)를 상품 수납고의 천장에 부설된 본체측 훅 금구(도시되지 않음)에 걸어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길이 사이즈가 상이한 상품(예컨대, 170 ㎖의 캔 음료, 500 ㎖의 페트병 음료)을 취급하기 위해 상품 수납 랙(108)은, 상품의 길이 사이즈에 따른 가로폭(상품 수납 통로 폭방향의 폭)이 상이한 종류(통상,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짧은 상품용 및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긴 상품용의 2종류)가 준비되고, 그 경우에 길이 사이즈가 짧은 상품을 좌우 한 쌍 중 한쪽의 랙 측판(81)측에 가지런히 정렬시키기 위해 다른쪽의 랙 측판(81)측에 상기 다른쪽의 랙 측판(81)에 접근·이격하는 가동 측판(도시되지 않음)을 배치하고, 상품의 길이 사이즈에 따라 가동 측판을 이동 조절하여 상품 수납 통로폭을 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품 반출 장치(10)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얇은 박스형의 기판(1)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부(11)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에 출몰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판매 상품의 유지를 해방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 스토퍼 부재(2)와, 상기 기판(1)의 개구부(11)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83)에 출몰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되고, 상기 판매 상품에 계속되는 판매 순위 2번의 상품(다음 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스토퍼 부재(3)와, 상기 제1 스토퍼 부재(2) 및 제2 스토퍼 부재(3)를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링크 기구(6)와, 상기 링크 기구(6)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5)를 갖고, 상기 솔레노이드(5)의 여자·석방에 의해 링크 기구(6)를 통해 제1 스토퍼 부재(2) 및 제2 스토퍼 부재(3)를 상품 수납 통로(83)에 교대로 출몰시켜 다음 판매 상품을 제2 스토퍼 부재(3)로 유지한 후에 판매 상품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품 반출 장치(10)는, 좌우 한 쌍의 랙 측판(81, 81)에 가설되는 상하의 핀 부재(P, P)에 고정되고, 기판(1)의 하부 가장자리에 마련한 합성 수지제의 홀더(9)를 하부측 핀 부재(P)에 결합·이탈시킴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품 반출 장치(10)는, 기판(1)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베어링 부재(4a)가 배치되고, 제1 스토퍼 부재(2) 및 제2 스토퍼 부재(3)의 각각의 회동축(回動軸)(20, 30)의 중앙부, 및 솔레노이드(5)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 기구(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1 스토퍼 부재(2) 및 제2 스토퍼 부재(3)를 상품 수납 통로에 출몰시키는 상부 링크 핀(61), 하부 링크 핀(62)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또, 도 20에 있어서, 8은 품절 검출 스위치로, 마이크로 스위치(8A)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상품 검지 레버(8B)를 갖는다. 상기 품절 검출 스위치(8)는, 액자형의 부착대(8C)에 마이크로 스위치(8A)와 상품 검지 레버(8B)를 조립한 것이다. 상품 검지 레버(8B)는, 부착대(8C)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8D)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83)를 향해 진출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상품 검지 레버(8B)를 상품 수납 통로(83)를 향해 진출하도록 압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D)의 스프링력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된 상품 검지 레버(8B)에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를 낙하하는 상품이 접촉한 경우에 상품 검지 레버(8B)가 기판(1)의 평면을 따르도록 후퇴하여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상품의 통과 후에 상품 검지 레버(8B)를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시키는 크기로 정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 검지 레버(8B)는, 도 20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스토퍼 부재(3)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상품 검지 레버(8B)가,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의 이동하는 제2 스토퍼 부재(3)와 간섭하여 제2 스토퍼 부재(3)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상품 검지 레버(8B)는, 판매 상품의 위에 겹쳐 쌓이는 다음 판매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고, 다음 판매 상품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다음 판매 상품에 밀려 기판(1)의 평면을 따르도록 후퇴하며, 다음 판매 상품이 없는 상태(품절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D)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도록 회동하여 마이크로 스위치(8A)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품 검지 레버(8B)는, 상품 수납 통로(83)에 수납된 상품이 나머지 1개가 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상품 반출 장치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서의 상품의 로딩은, 본체 캐비닛(100)의 전면 개구에 형성된 상품 투입구(SL)(도 18 참조)로부터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투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동 판매기를 설치한 후, 상품 투입구(SL)로부터 당초에 투입된 상품은, 사행한 상품 수납 통로(83)를 지나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에 로크된 상품 반출 장치(10)의 제1 스토퍼 부재(2)에 옆으로 누운 자세로 판매 상품으로서 유지된다. 계속해서, 2번째로 투입되는 상품은, 제1 스토퍼 부재(2)에 유지된 판매 상품의 위에 쌓아 올려져 다음 판매 상품이 된다. 그 후에 투입되는 상품은, 다음 판매 상품의 위에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져 상품 수납 통로(83)에 옆으로 누운 자세로 수납된다.
여기서, 상품 반출 장치(10)보다 상측 영역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가 사행하여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품 배출시에 제2 스토퍼 부재(3)를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시켜 출구 조정 부재(10A)와의 사이에 다음 판매 상품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판매 상품만을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로딩된 상품이 옆으로 누운 자세로부터 기립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스가 생기게 된다. 이 경우, 당초에 로딩된 상품이 상품 검지 레버(8B)를 밀어젖혀 제1 스토퍼 부재(2)의 위에 낙하했을 때의 충격에 의해 반동하여 기립하고자 한 경우, 상기 상품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도록 복귀한 상품 검지 레버(8B)에 접촉함으로써 기립이 방해된다. 따라서, 당초에 로딩된 상품은 제1 스토퍼 부재(2)의 위에 옆으로 누운 자세로 판매 상품으로서 배치된다. 그 한편, 2번째로 투입된 다음 판매 상품이 상품 검지 레버(8B)를 밀어젖혀 판매 상품의 위에 낙하했을 때에 반동하여 기립하고자 한 경우, 상기 상품은 상품 검지 레버(8B)가 다음 판매 상품에 밀어젖혀져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되어 있기 때문에 기립이 방해되지 않고 기립하여 버린다. 이와 같이, 2번째로 투입된 다음 판매 상품이 판매 상품의 위에 낙하했을 때에 반동하여 기립하는 것과 같은 현상은, 특히 음료 용기가 몸통부에 비하여 입구가 가늘게 된 상품의 경우에 생기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에서 상품이 기립하면 정상적인 배출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상품 반출 장치(10)의 상부 영역의 상품 수납 통로(83)에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으로부터의 상품의 반동을 방지하여 상품의 옆으로 누운 자세를 유지하는 반동 방지 부재를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이 반동 방지 부재는,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를 향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고 상품이 접촉한 경우에는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품이 기립하는 현상은, 자동 판매기 설치 후의 당초에 상품을 로딩할 때, 혹은 상품 수납 랙(108)에 대한 상품의 교체시[상품 수납 통로(83)에 남은 상품을 상품 반출 장치(10)를 작동시켜 배출한 후에 새로운 상품으로 교체할 때]에 있어서의 최초 상품의 로딩시, 혹은 판매 상품이 남은 상태로 품절이 된 후에 상품을 로딩할 때 등에도 생긴다. 또한, 상품의 기립이란, 상품이 완전히 기립한 상태뿐만 아니라 옆으로 누운 자세로부터 기립하다 만 경사 자세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85557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378154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품 반출 장치(10)의 상부 영역에 반동 방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으로부터의 상품의 반동을 방지하여 상품의 옆으로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반출 장치(10)의 정상적인 배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으로부터의 상품의 반동을 방지하는 것만을 위해, 반동 방지 부재 및 이 반동 방지 부재를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을 추가 장비해야 한다. 이 경우, 추가 장비하는 수량은,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랙(108)에 탑재된 상품 반출 장치(10)의 수에 따른 수만큼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증가와 더불어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상품의 기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상품 로딩시에 제1 스토퍼 부재에 유지된 판매 상품에 다음 판매 상품이 충돌하여 반동하는 현상에 관해 검토한 결과,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구성으로부터 다음 판매 상품의 반동이 생기는 것을 밝혀냈다. 이것을, 도 15의 (e)에 나타내는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종류의 상품 반출 장치는 제1 스토퍼 부재(2)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어 판매 상품(G1)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수평선보다 하측으로 경사져, 출구 조정 부재(10A)와 교차하는 각도(β)가 예각이 되는 경사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1 스토퍼 부재(2)에 배치된 판매 상품(G1)을 출구 조정 부재(10A)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제1 스토퍼 부재(2)가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판매 상품(G1)을 배출할 때, 제1 스토퍼 부재(2)의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판매 상품(G1)이 즉시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 시간의 차가 생기지 않도록, 즉 판매 시간이 일정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제1 스토퍼 부재(2)에 배치된 판매 상품(G1)은,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과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하고 P1, P2의 2점에서 지지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의 판매 상품(G1)의 위에 다음 판매 상품(G2)이 낙하하면, 다음 판매 상품(G2)에는 판매 상품(G1)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이 분산되는 경우가 없고 그대로 반력으로서 가해져 크게 반동하게 된다. 즉,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스토퍼 부재(2)에 배치된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과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하고 2점(P1, P2)에서 지지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상품 기립의 요인임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제1 스토퍼 부재(2)에 배치된 판매 상품(G1)을 움직임 가능, 즉 외력을 받으면 전동(轉動)하도록 전동 가능하게 하면 다음 판매 상품(G2)이 판매 상품(G1)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상품의 기립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은, 제1 스토퍼 부재(2)에 의해 판매 상품(G1)을 전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발명에 이른 것이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상기 상품 반출 장치는, 상품 수납 통로의 한쪽을 형성하는 기판과,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판매 상품의 유지를 해방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스토퍼 부재와, 판매 순위 2번의 상품(다음 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품 수납 통로의 다른쪽을 형성하는 출구 조정 부재와 대향 배치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은, 다음 판매 상품이 겹쳐 쌓이지 않고 판매 상품만이 배치될 때, 상기 판매 상품이 대향 배치되는 통로 형성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전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유지부는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에 형성한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유지부는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에 형성한 원호형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유지부는 제1 스토퍼 부재의 선단측에 형성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상기 상품 반출 장치는, 상품 수납 통로의 한쪽을 형성하는 기판과,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판매 상품의 유지를 해방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스토퍼 부재와, 판매 순위 2번의 상품(다음 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품 수납 통로의 다른쪽을 형성하는 출구 조정 부재와 대향 배치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은, 다음 판매 상품이 겹쳐 쌓이지 않고 판매 상품만이 배치될 때, 상기 판매 상품이 대향 배치되는 통로 형성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전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스토퍼 부재의 유지부에 배치된 판매 상품은 전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점에서, 다음 판매 상품이 낙하하여 충돌했을 때에 전동하여 충격을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다음 판매 상품에 대한 반력이 억제되어, 다음 판매 상품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토퍼 부재의 개량만으로 다음 판매 상품의 기립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품 반출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기판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기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베어링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베어링부의 베어링 유지부로부터 베어링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고, (b) 및 (c)는 각각 베어링 부재를 상이한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어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홀더(9)의 기판(1)에 대한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링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제1 스토퍼 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회동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제2 스토퍼 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판매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상품 반출시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상품 반출 후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상품 로딩시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판매 상품 로딩시의 설명도이고, (b)는 다음 판매 상품 로딩시의 설명도이며, (c) 및 (d)는 각각 다음 판매 상품의 낙하 방향을 달리하게 하기 위한 실시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e)는 비교예로서의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외부 도어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자동 판매기에서의 상품 수납 랙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된 상품 반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형태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것과 동일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하고,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과 배면이란, 상품 수납 통로(83)(도 19 참조)에 면하는 면과 상품 수납 통로(83)와는 반대측의 면을 가리키며, 제1 스토퍼 부재 및 제2 스토퍼 부재의 표면과 이면이란, 각각 후퇴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품 수납 통로(83)에 면하는 면과 상품 수납 통로(83)와 반대측의 면을 가리킨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상품 반출 장치는,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긴 상품용의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반출 장치(10)는, 강판제가 되는 직사각형 평판형의 기판(1)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1)의 하반(下半) 영역에는, 기판(1)의 좌우폭에 대하여 비교적 좁은 개구부(11)(도 3 참조)와, 이 개구부(11)의 좌우에 인접하여 폐쇄부(1A, 1A)가 형성되고, 기판(1)의 상반(上半) 영역의 좌우 중앙 위치에는 개구부(12)(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는 좌우로 연장되는 연장부(11a, 11a)가 형성된 상부 영역을 제외하고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기판(1)에서의 상기 폐쇄부(1A, 1A)의 하측 영역에는 후술하는 제1 스토퍼 부재(2)가 격납되는 오목부(1B, 1B)가 형성되며, 오목부(1B, 1B)와 개구부(11) 사이에 벽은 없고, 오목부(1B, 1B)의 공간과 개구부(11)는 연통하고 있다. 또한, 기판(1)에는 상기 개구부(11)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에 가설되는 양태의 베어링부(4)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4)는, 기판(1)의 좌우 중앙보다 좌우 어느 한쪽(도 1의 경우에는 우측 방향이며, 도 2의 경우에는 좌측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2개의 상품 반출 장치(10)를 서로 배면을 맞대어 조합했을 때에 양자의 베어링부(4)가 간섭하는 경우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1)에는, 개구부(11)의 상측 위치에 상품 수납 통로(83)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판(1)의 배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토퍼 부재(2) 및 제2 스토퍼 부재(3)가 축 지지되며 구동 수단으로서의 솔레노이드(5), 링크 기구(6), 회동 스토퍼(7), 품절 검출 스위치(품절 검출 수단)(8)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1)의 정면에는 상품 수납 통로(83)에 면하여 폐쇄판(2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부(4)는 기판(1)의 개구부(11)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베어링부(4)는 링크 기구(6), 회동 스토퍼(7)에 관련된 각 축(후술)의 한쪽 끝을 지지하며 제1 스토퍼 부재(2), 제2 스토퍼 부재(3)에 관련된 각 축(후술)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각 축의 다른쪽 끝은 기판(1)의 개구부(11)의 좌측 가장자리에 기판(1)의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개구부(11)의 플랜지(11B)(도 4 참조)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또, 베어링부(4)와 플랜지(11B)에서의 상기 각 축을 지지하는 구성은 거의 대칭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베어링부(4)에 관해 설명한 후에 플랜지(11B)에 관련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베어링부(4)는, 기판(1)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40)와 이 베어링 유지부(40)에 장착된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 부재(50)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에서는 기판(1)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40)에 베어링 부재(5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에서는 베어링 유지부(40)로부터 베어링 부재(50)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베어링 유지부(40)는, 기판(1)에서의 개구부(11)를 형성할 때에, 그 개구부(11)를 좌우로 분단하도록 기판(1)의 판면의 일부를 남기고 기판(1)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배면측으로의 압출에 의해 상기 개구부(11)에서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 걸쳐 가설되는 양태로 교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유지부(40)는, 교량의 교각에 상당하는 결합 아암(41A, 41B)(도 3, 도 4 참조)을 통해 기판(1)에 형성된 개구부(11)에서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거더 부분이 기판(1)의 평판면에 의해 배면측으로 부상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더 부분은, 그 좌우 양측을 배면측으로 절곡하여 걸림 플랜지(41, 41)(도 5도 참조)가 형성되고, 거더 부분의 하반 영역이 횡단면 コ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반 영역이 コ자형의 저면측을 절제하여 개방하는 양태로 걸림 플랜지(41, 41)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 플랜지(41, 41)의 상반 영역에는 배면측에 오목형의 절취부(411, 411)를 형성하고, 걸림 플랜지(41, 41)의 하반 영역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412, 41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걸림 플랜지(41, 41)에는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2개의 지지축 구멍(42, 43)을 이격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걸림 플랜지(41, 41)의 하측 위치에도 축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부(4)를 구성하는 베어링 부재(50)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이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유지부(40)와 동일한 횡단면 コ자형을 나타내며 홀더(9)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50)는, 베어링 유지부보다 한층 작은 외곽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コ자형 양각편(兩脚片)은 베어링편(51, 51)으로서 형성되며, 이 베어링편(51, 51)의 상측 영역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11, 511)을 형성하고, 베어링편(51, 51)의 하측 영역에는 한쪽의 베어링편(51)(도 5의 경우에는 좌측의 베어링편)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긴 구멍(511, 511)과 긴 구멍(512)은, 전술한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오목형의 절취부(411, 411)와 긴 구멍(412, 41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편(51, 51)의 외벽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5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513)는, 배면측(베어링편(51, 51)의 자유단측)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점증되는 쐐기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베어링편(51, 51)에는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2개의 지지축 구멍(52, 53)을 이격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편(51, 51)의 하측 위치에도 축 구멍(54, 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50)에 일체로 마련된 홀더(9)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랙(108)에 가설된 핀 부재(P)(도 20 참조)에 결합(혹은 이탈)하여 상품 반출 장치(10)를 상품 수납 랙(108)에 부착하는[혹은 상품 수납 랙(108)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다. 이 홀더(9)는, 종래에는 베어링 부재(50)와는 별도 피스로서 형성되어 기판(1)에 걸림 고정되어 있었던 것이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서 베어링 부재(50)에 일체로 마련한 것이다. 이 홀더(9)는, 상기 핀 부재(P)에 결합·이탈하는 훅편(91)과, 기판(1)의 하플랜지(1C)와 개구부(11)의 하플랜지(11C) 사이에 압입되는 압입부(92)와, 기판(1)의 하플랜지(1C)에 개구하여 형성한 걸림 구멍(1C1)에 감합하는 돌기편(9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9)의 훅편(91)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편(91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기편(93)은 압입부(92)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50)는 다음과 같이 베어링 유지부(40)에 조립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베어링 부재(50)에 일체로 형성된 홀더(9)를 기판(1)에 고착한다. 도 6은, 홀더(9)를 기판(1)에 고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홀더(9)를 기판(1)에 고착할 때, 홀더(9)가 기판(1)에 근접하는 한편, 베어링 부재(50)의 상부가 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어링 부재(50)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홀더(9)의 돌기편(93)을 기판(1)의 하플랜지(1C)에 형성한 걸림 구멍(1C1)에 삽입한다. 홀더(9)의 돌기편(93)을 걸림 구멍(1C1)에 삽입한 상태에서 압입부(92)의 상부를 기판(1)의 개구부(11)에서의 하플랜지(11C)의 하측으로 압입한다. 이에 따라 압입부(92)의 상하 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휘어 압입부(92)가 기판(1)의 하플랜지(1C)와 개구부(11)의 하플랜지(11C) 사이에 압입되고, 홀더(9)가 기판(1)에 걸림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즉 압입부(92)를 기판(1)의 하플랜지(1C)와 개구부(11)의 하플랜지(11C) 사이에 압입할 때, 홀더(9)에 일체의 베어링 부재(50)를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 경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의 외벽에 마련한 복수의 걸림 돌기(513)가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에 접촉하면 감입의 저항이 되지만, 그 저항에 이기는 힘으로 압입하면 베어링편(51, 51)이 서로 접근하도록 휘기 때문에, 베어링 부재(50)를 베어링 유지부(40)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편(51, 51)이 서로 접근하도록 휘게 하면서 압입을 계속하면, 베어링편(51, 51)에 마련한 복수의 걸림 돌기(513)가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오목형의 절취부(411, 411) 및 긴 구멍(412, 412)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베어링편(51, 51)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복수의 걸림 돌기(513)가 절취부(411, 411) 및 긴 구멍(412, 41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베어링 부재(50)는 베어링 유지부(40)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개구부(11)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1B)(도 4 참조)에는,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긴 구멍(511, 511)과 긴 구멍(512)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긴 구멍(11B11, 11B1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1B)에는, 상기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52, 53)과 축 구멍(54)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2개의 지지축 구멍(11B1, 11B2)을 이격하여 형성하고, 하측 위치에 축 구멍(11B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11)의 좌측 가장자리(도 3의 경우)에 형성된 플랜지(11A)의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플랜지(11B)의 2개의 지지축 구멍(11B1, 11B2)과 동일하게 2개의 지지축 구멍(11A1, 11A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긴 구멍(511, 511)과 상기 개구부(11)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1B)에 형성한 긴 구멍(11B11)은, 링크 기구(6)에 관련된 상부 링크 핀(61)(도 2 참조)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긴 구멍(512)과 상기 개구부(11)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1B)에 형성한 긴 구멍(11B12)은, 링크 기구(6)에 관련된 하부 링크 핀(62)(도 2 참조)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 중 한쪽[도 5에서는 좌측의 베어링편(51)]에는 긴 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다른쪽의 베어링편(51)에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 이 다른쪽의 베어링편(51)은 하부 링크 핀(62)의 빠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긴 구멍(412, 412)은,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긴 구멍(512)보다 한층 크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오목형의 절취부(411, 411)도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긴 구멍(511, 511)보다 한층 크게 절취되어 상부 링크 핀(61), 하부 링크 핀(62)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유지부(40)의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42, 42), 상기 베어링 부재(50)의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52, 52), 상기 기판(1)에서의 개구부(11)의 플랜지(11A)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11A1) 및 플랜지(11B)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11B1)은, 제2 스토퍼 부재(3)의 회동축(30)(도 2 참조)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43, 43), 상기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53, 53), 상기 개구부(11)의 플랜지(11A)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11A2) 및 플랜지(11B)에 형성한 지지축 구멍(11B2)은, 제1 스토퍼 부재(2)의 회동축(20)(도 2 참조)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걸림 플랜지(41, 41)에 형성한 축 구멍(44, 44), 상기 베어링편(51, 51)에 형성한 축 구멍(54, 54), 상기 플랜지(11B)에 형성한 축 구멍(11B3)은, 회동 스토퍼(7)의 회동축(70)(도 2 참조)을 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플랜지(11B)의 긴 구멍(11B11, 11B12)에는 헤밍 가공에 의해 홈 주연부에 더블 홀드를 실시하고, 또한 상기 걸림 플랜지(41, 41)의 지지축 구멍(42, 43) 및 축 구멍(44)과, 플랜지(11A)의 지지축 구멍(11A1, 11A2)과, 플랜지(11B)의 지지축 구멍(11B1, 11B2) 및 축 구멍(11B3)에는 버링 가공을 실시하여, 상부 링크 핀(61), 하부 링크 핀(62)이나 회동축(20, 30, 70)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기구(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판제의 링크 부재(60)를 구비하고, 구동 수단으로서의 솔레노이드(5)의 플런저(51)에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5)는 기판(1) 배면측의 좌우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6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에 상기 솔레노이드(5)의 플런저(51)의 결합 구멍에 걸리는 연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크 부재(60)에는, 상부 링크 핀(61)이 관통하는 결합 구멍(63a)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상(上)결합부(6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상결합부(63)는 링크 부재(60)의 상하 동작에 연동하여 상부 링크 핀(6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링크 부재(60)의 하단에는, 하부 링크 핀(62)이 관통하는 결합 구멍(64a)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하(下)결합부(6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결합부(64)는 링크 부재(60)의 상하 동작에 연동하여 하부 링크 핀(6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하결합부(64)의 중간 위치에는 절취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취부(6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66)(도 2 참조)의 한쪽을 하부 링크 핀(62)에 결합시킬 때의 릴리프 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66)의 다른쪽(하측)은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7)의 회동축(70)에 걸려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부재(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이며 주연부에 이면측으로 절곡된 금속판(21)의 이면에 수지제(예컨대, 폴리아세탈)의 축받침대(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스토퍼 부재(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의 개구부(11)의 좌우 양가장자리에 형성한 플랜지(11A, 11B)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회동축(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스토퍼 부재(2)는, 회동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기판(1)의 개구부(11)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83)(도 11 참조)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개구부(11)를 폐색하는 양태로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회동축(2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a)(도 2 참조)이 권취되어 있다. 제1 스토퍼 부재(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a)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돌출 위치를 향해 항상 압박되어 있고, 돌출 위치에 있어서 금속판(21)의 표면(상면)이 상품(G)(도 11 참조)을 배치하는 상품 배치면(21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21)의 상품 배치면(21A)에는, 도 1,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로서 형성된 유지부(210)를 갖고 있다. 이 유지부(210)는, 상품 로딩시에 있어서의 판매 상품을 전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이 유지부(210)의 작용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14, 도 15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스토퍼 부재(2)에서의 금속판(21)에는 축 삽입 관통 구멍(22a)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22, 22)가 돌출 형성되고,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22, 22)는 금속판(21)[기판(1)]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정해져 있다. 바꿔 말하면, 금속판(21)은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22, 22)보다 기판(1)의 좌우 가장자리 근방까지 연장되는 연장부(21A, 21A)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장부(21A, 21A)는, 제1 스토퍼 부재(2)가 후퇴 위치로 후퇴했을 때, 기판(1)의 개구부(11)의 좌우에 인접하는 오목부(1B)에 격납되는 것이다. 상기 축 지지부(22)의 축 삽입 관통 구멍(22a)은, 회동축(20)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8에서의 우측의 축 지지부(22)에 근접하여 축 지지부(22)가 병설되어 보강되어 있다.
상기 축받침대(23)는, 금속판(21)에 형성한 걸림 클로(21a)에 의해 금속판(21)에 걸려 있다. 상기 걸림 클로(21a)는, 금속판(21)에 오목형의 절입에 의해 설편(舌片)을 형성하고, 이 설편을 구부려 세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받침대(23)에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 24)가 마련되고, 이들 가이드 돌기(24, 24)에는 각각 이형(異形) 홈(25, 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형 홈(25, 25)은,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7)의 로크 핀(71)의 단부를 미끄럼 이동시키고, 이 로크 핀(71)을 통해 제1 스토퍼 부재(2)와 회동 스토퍼(7)가 연동하도록, 로크 핀(71)의 동작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즉, 이 이형 홈(25, 25)은, 로크 핀(71)의 로크 위치를 정하는 소직경 홈부(25a)와, 로크 핀(71)의 로크 위치 이외의 동작 범위를 정하는 대직경 홈부(25b)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이형 홈(25)은, 일본 특허 제4457543호 공보 등에 의해 공지된 것이다. 또한, 축받침대(23)의 축 지지부(26)에는, 금속판(21)에 형성한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22, 22)의 축 삽입 관통 구멍(22a, 22a)과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여 회동축(20)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축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 24)에도 회동축(20)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축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축 지지부(26)의 외주에 마련한 한 쌍의 가이드 돌기부(26a, 26a)는, 링크 부재(60)의 양측을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고, 링크 부재(60)의 상하 방향의 동작이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 금속판(21)과 축받침대(23)는, 축받침대(23)를 금속판(21)에 형성한 걸림 클로(21a)에 의해 금속판(21)에 건 후에 금속판(21)의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22, 22)에 형성한 축 삽입 관통 구멍(22a) 및 축받침대(23)의 축 지지부(26)에 형성한 축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회동축(20)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일체화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 스토퍼(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부(4)와 개구부(11)의 플랜지(11B)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회동축(7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7)는, 회동축(7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기판(1)의 개구부(11)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개구부(11)를 폐색하는 양태로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70)에는,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권취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돌출 위치를 향해 항상 압박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7)는, 상품 수납 통로(8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선단부에서 좌우 측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핀(71)(도 11 내지 도 13도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로크 핀(71)은, 양단부가 제1 스토퍼 부재(2)의 축받침대(23)에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 24)에 형성한 이형 홈(25)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 스토퍼(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삽입 관통 구멍(7a, 7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핀 삽입 관통 구멍(7a, 7b)은, 로크 핀(71), 회동축(70)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것이다. 로크 홈(7c)은, 하부 링크 핀(62)을 결합시켜 회동 스토퍼(7)의 회동을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동 스토퍼(7)의 경사 미끄럼 이동면(7d)은, 회동 스토퍼(7)의 회동시에 하부 링크 핀(62)이 미끄럼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회동 스토퍼(7)는, 하부 링크 핀(62)이 로크 홈(7c)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돌출 위치에 로크된다. 이 로크 상태에서 회동 스토퍼(7)의 선단측에 마련한 로크 핀(71)의 양단부가 제1 스토퍼 부재(2)에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 24)에 형성한 이형 홈(25)의 소직경 홈부(25a)에 결합하여 제1 스토퍼 부재(2)를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시킨 돌출 위치(판매 대기 위치)에 로크한다.
상기 제2 스토퍼 부재(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의 개구부(11)의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한 플랜지(11A, 11B)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스토퍼 부재(3)는, 회동축(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기판(1)의 개구부(11)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83) 내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개구부(11)를 폐색하는 양태로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회동축(30)에는,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권취되어 있다. 제2 스토퍼 부재(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후퇴 위치를 향해 항상 압박되어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부재(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예컨대,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지고, 핀 삽입 관통 구멍(31a)을 구비한 축 지지부(31)와, 7개의 설편(32a)을 갖는 상품의 유지부(32)와, 2개의 스토퍼벽(33)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핀 삽입 관통 구멍(31a)은, 회동축(30)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지부(32)의 설편(32a)은, 동일 구성의 상품 반출 장치를 서로 배면을 맞대어 조합했을 때에 다른쪽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제2 스토퍼 부재(3)의 설편(32a)과 서로 완충되지 않고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토퍼 부재(3)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었을 때에 그 유지부(32)와 기판(1) 사이의 간극을 매립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유지부(32)는, 핀 삽입 관통 구멍(31a)을 구비한 축 지지부(31)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축 지지부(31)에 대하여 좌우로 돌출되는 연장부(32A, 32A)를 마련하고 있다. 제2 스토퍼 부재(3)가 후퇴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연장부(32A, 32A)는, 기판(1)의 개구부(11)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연장부(11a, 11a)를 통과하여 후퇴 위치로 후퇴하는 것이다. 또, 유지부(32)의 폭은, 제1 스토퍼 부재(2)의 축 지지부(22, 22) 사이의 치수(폭)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벽(33)에 형성한 오목형의 미끄럼 이동 홈(33a)은 상부 링크 핀(61)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제2 스토퍼 부재(3)의 후퇴 위치에 있어서 상부 링크 핀(61)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벽(33)의 스토퍼면(33b)은, 제2 스토퍼 부재(3)의 상품 수납 통로(83)로의 돌출시에 상부 링크 핀(61)과 접촉하여 제2 스토퍼 부재(3)에 가해지는 상품 하중을 받아, 상기 제2 스토퍼 부재(3)를 돌출 위치에서 로크하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벽(33) 주변의 보강재에 형성한 릴리프 홈(31b)은, 상부 링크 핀(61)이 제2 스토퍼 부재(3)의 미끄럼 이동 홈(33a)의 안쪽까지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릴리프 구멍(31c)은, 동일 구성의 상품 반출 장치(10)를 서로 배면을 맞대어 조합한 경우로서 각각의 제2 스토퍼 부재(3)가 후퇴 위치로 후퇴했을 때, 다른쪽의 제2 스토퍼 부재(3)의 스토퍼벽(33) 및 보강 부재의 선단부를 릴리프시켜 상품 반출 장치(10)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품절 검출 스위치(품절 검출 수단)(8)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8A)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상품 검지 레버(8B)를 갖는다. 품절 검출 스위치(8)는, 합성 수지(예컨대,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지는 액자형의 부착대(8C)에 마이크로 스위치(8A)와 상품 검지 레버(8B)를 조립한 것이다. 상품 검지 레버(8B)는, 부착대(8C)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비틀림 코일 스프링(8D)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83)를 향해 진출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상품 검지 레버(8B)를 상품 수납 통로(83)를 향해 진출하도록 압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D)의 스프링력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된 상품 검지 레버(8B)에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를 낙하하는 상품이 접촉한 경우에 상품 검지 레버(8B)가 기판(1)의 평면을 따르도록 후퇴하여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상품의 통과 후에 상품 검지 레버(8B)를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시키는 크기로 정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 검지 레버(8B)는, 도 1 및 도 2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스토퍼 부재(3)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상품 검지 레버(8B)가,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의 이동하는 제2 스토퍼 부재(3)와 간섭하여 제2 스토퍼 부재(3)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상품 검지 레버(8B)는, 판매 상품의 위에 겹쳐 쌓이는 다음 판매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며, 다음 판매 상품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다음 판매 상품에 밀려 기판(1)의 평면을 따르도록 후퇴하고, 다음 판매 상품이 없는 상태(품절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D)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도록 회동하여 마이크로 스위치(8A)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품 검지 레버(8B)는, 상품 수납 통로(83)에 수납된 상품이 나머지 1개가 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폐쇄판(2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토퍼 부재(3)의 상측에 위치하고, 후퇴 위치로 복귀되어 있는 제2 스토퍼 부재(3)를 상품 수납 통로(83)측으로부터 덮도록 수직으로 드리워지고 있다. 이 폐쇄판(20)은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제2 스토퍼 부재(3)의 돌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품 수납 통로(83)에 진출하고, 제2 스토퍼 부재(3)의 유지부(32)와 다음 판매 상품 사이에 개재되어 제2 스토퍼 부재(3)의 유지부(32)와 기판(1) 사이의 간극을 막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형태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동작에 관해 도 11~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 11~도 13에서는 상품 반출 장치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판매 대기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5)가 통전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서, 링크 부재(60)가 복귀 스프링(66)(도 2 참조)에 의해 하측으로 압박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상부 링크 핀(61)이 베어링부(4)에서의 베어링 부재(50)에 형성한 긴 구멍(511)(도 5 참조)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하부 링크 핀(62)이 베어링부(4)에서의 베어링 부재(50)에 형성한 긴 구멍(51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해 있다. 판매 대기 상태에서, 제1 스토퍼 부재(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a)(도 2 참조)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돌출 위치에 있다. 또한, 제1 스토퍼 부재(2)는, 그 유지면에 판매 상품(G1)이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상품(G)의 하중을 받고 있다. 또한, 판매 대기 상태에서, 회동 스토퍼(7)는, 도시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돌출 위치에 있다. 또한, 회동 스토퍼(7)는, 로크 핀(71)이 제1 스토퍼 부재(2)에서의 이형 홈(25)의 소직경 홈부(25a)(도 8 참조)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제1 스토퍼 부재(2)에 가해지는 상품(G)의 하중을 받고 있다. 또한, 회동 스토퍼(7)는, 로크 홈(7c)(도 9 참조)에 하부 링크 핀(62)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돌출 위치가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 스토퍼(7)는, 제1 스토퍼 부재(2)를 돌출 위치에 유지하고 제1 스토퍼 부재(2)의 후퇴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판매 대기 상태에서, 제2 스토퍼 부재(3)는, 도시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후퇴 위치로 복귀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스토퍼 부재(3)의 연장부(32A, 32A)는, 기판(1)의 개구부(11)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연장부(11a, 11a)를 통과하여 후퇴 위치로 복귀되어 있다. 또한, 폐쇄판(20)은 기판(1)을 따라 수직으로 드리워지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판매 대기 상태로부터 판매 지령에 의해 솔레노이드(5)가 통전되면, 솔레노이드(5)가 복귀 스프링(66)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플런저(51)를 흡인하여 링크 부재(60)를 상승시킨다. 그렇게 하면, 링크 부재(60)의 하부 링크 핀(62)이 상승하여 회동 스토퍼(7)의 로크 홈(7c)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로크 해제에 의해 회동 스토퍼(7)는 상품 하중에 의해 회동축(70)을 중심으로 하여 후퇴 위치를 향해 회동하고, 이에 따라 로크 핀(71)도 이형 홈(25)의 소직경 홈부(25a)로부터 벗어나 제1 스토퍼 부재(2)의 로크가 해제되며, 제1 스토퍼 부재(2)는 상품 하중에 의해 후퇴 위치를 향해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스토퍼 부재(3)는 상승하는 링크 부재(60)의 상부 링크 핀(61)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를 향해 돌출된다. 즉, 판매 대기 상태로부터 링크 부재(60)가 상승하면, 제2 스토퍼 부재(3)의 미끄럼 이동 홈(33a)에 결합한 상부 링크 핀(61)이 상승한다. 그렇게 하면, 제2 스토퍼 부재(3)는 회동축(30)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 위치를 향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링크 부재(60)가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면 상부 링크 핀(61)은 제2 스토퍼 부재(3)의 스토퍼면(33b)과 결합하여 제2 스토퍼 부재(3)를 돌출 위치에 로크한다. 상기 제2 스토퍼 부재(3)가 후퇴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스토퍼 부재(3)의 선단[유지부(32)]은 폐쇄판(20)의 배면[상품 수납 통로(83)에 표출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여 폐쇄판(20)을 상품 수납 통로(83)로 압출한다. 즉, 폐쇄판(20)은 제2 스토퍼 부재(3)의 후퇴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품 수납 통로(83)로 압출된다. 돌출 위치에 이른 제2 스토퍼 부재(3)의 유지부(32)는, 기판(1)과 유지부(32) 사이의 간극을 막는 폐쇄판(20)을 사이에 두고 다음 판매 상품(G2)을 걸며, 출구 조정 부재(10A)와의 사이에서 다음 판매 상품(G2)을 유지한다. 이 결과, 최하위 위치의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를 빠져나가 반출된다(도 12 참조).
상기 판매 상품(G1)이 반출되어 제1 스토퍼 부재(2)가 상품 하중을 받지 않게 되면, 제1 스토퍼 부재(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20a)의 압박력에 의해 돌출 위치(판매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도 13 참조). 이와 동시에 회동 스토퍼(7)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돌출 위치로 복귀된다. 이 경우, 회동 스토퍼(7)의 선단에 마련한 로크 핀(71)이 제1 스토퍼 부재(2)에서의 이형 홈(25)의 대직경 홈부(25b)의 벽면을 미끄럼 이동하여 소직경 홈부(25a)에 이른다. 이에 따라 제1 스토퍼 부재(2)가 판매 대기 위치에서 로크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에 대한 통전이 없어지면, 링크 부재(60)가 복귀 스프링(66)의 압박력에 의해 하강하기 때문에, 상부 링크 핀(61)에 의한 제2 스토퍼 부재(3)의 로크가 해제되고, 제2 스토퍼 부재(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링크 부재(60)가 하한 위치까지 하강하면 하부 링크 핀(62)이 회동 스토퍼(7)의 로크 홈(7c)과 결합하여 제1 스토퍼 부재(2)를 판매 대기 위치에 유지한다(도 11 참조). 상품(G)의 판매가 진행되어 상품 수납 통로(83)에 수납된 상품(G)이 나머지 1개가 되면, 품절 검출 스위치(8)에서의 상품 검지 레버(8B)(도 1 참조)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어 상품의 품절을 검지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 반출 장치(10)의 기판(1)에 형성한 개구부(11)는, 그 상부 영역에 좌우로 연장되는 연장부(11a, 11a)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 판매 상품(G2)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 부재(3)가, 연장부(32A, 32A)를 포함한 유지부(32)에 복수의 설편(32a)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연장부(32A, 32A) 및 연장부(32A, 32A)에 형성한 설편(32a)을 후퇴 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개구부(11)에는 상부 영역에 좌우로 연장되는 연장부(11a, 11a)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개구부(11)의 대부분은 선행 기술 문헌 1, 2에 기재된 기판의 개구부보다 작고, 개구부(11)와 기판(1)의 좌우 가장자리 사이에 적어도 제1 스토퍼 부재(2)의 연장부(21A, 21A)에 상당하는 폭의 폐색부(1A, 1A)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기판(1)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 기계적 강도를 현저히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며, 기판(1)의 박판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10)는, 상품 수납 랙(108)의 종류(통상,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짧은 상품용 및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긴 상품용의 2종류)에 따른 2종류의 상품 반출 장치가 준비되는 것은 배경 기술의 항에서 서술한 바와 같지만, 2종류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련된 제1 스토퍼 부재(2)의 축 지지부(22, 22) 및 제2 스토퍼 부재(3)의 축 지지부(31)의 폭을 동일한 것으로 함으로써 제1 스토퍼 부재(2)의 회동축(20), 제2 스토퍼 부재(3)의 회동축(30)을 2종류의 상품 반출 장치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 경우, 연장부(32A, 32A)를 구비한 제2 스토퍼 부재(3)를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긴 상품용의 상품 반출 장치에 채용되는 것으로 하고, 연장부(32A, 32A)에서의 외측으로부터 2번째의 설편(32a, 32a)의 양단부를 커트함으로써 비교적 길이 사이즈가 짧은 상품용의 상품 반출 장치의 제2 스토퍼 부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품 반출 장치(10)의 제1 스토퍼 부재(2)를 구성하는 금속판(21)의 상품 배치면(21A)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로서 형성된 유지부(2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유지부(210)에 관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상품 로딩시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판매 상품 로딩시의 설명도이고, (b)는 다음 판매 상품 로딩시의 설명도이며, (c) 및 (d)는 각각 다음 판매 상품의 낙하 방향을 달리하게 하기 위한 실시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e)는 비교예로서의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상품 반출 장치(10)의 기판(1)이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의 한쪽의 통로 형성 부재를 구성하고, 상품 반출 장치(10)에 대향 배치된 출구 조정 부재(10A)가 상품 수납 통로(83)의 다른쪽의 통로 형성 부재를 구성한다. 상품 반출 장치(10)의 제1 스토퍼 부재(2)를 구성하는 금속판(21)의 상품 배치면(21A)에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된 유지부(210)는, 자동 판매기 설치 후의 당초에 상품을 로딩할 때의 최초의 상품, 혹은 상품 수납 랙(108)(도 18 참조)에 대한 상품의 교체시[상품 수납 통로(83)에 남은 상품을 상품 반출 장치(10)를 작동시켜 배출한 후에 새로운 상품으로 교체할 때]에 로딩되는 최초의 상품[판매 순위 1번이 되는 판매 상품(G1)]을 수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G1)을 상품 반출 장치(10)의 기판(1) 및 상품 반출 장치(10)에 대향 배치된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역사다리꼴 형상의 유지부(210)의 출구 조정 부재(10A)측의 유지면(211)은, 수평면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출구 조정 부재(10A)와 교차하는 각도(α)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210)의 출구 조정 부재(10A)측의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의 가장자리는, 판매 상품(G1)의 직경을 R로 하며, 또한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이 직경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면 출구 조정 부재(10A)까지의 수평 거리(L)가 (L<R/2)로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로딩된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에 착지했을 때에 출구 조정 부재(10A)측으로 치우쳐 상기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한 상태[도 15의 (a)에 1점 쇄선으로 나타냄]가 된 경우에도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이 유지부(210)의 출구 조정 부재(10A)측의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의 가장자리보다 출구 조정 부재(10A)와는 반대측[기판(1)측]에 위치하는 점에서, 판매 상품(G1)은 출구 조정 부재(10A)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동하여 유지부(210)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로딩된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에 착지했을 때에 기판(1)측으로 치우쳐 상기 기판(1)에 접촉한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제1 스토퍼 부재(2)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어 판매 상품(G1)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수평선보다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판매 상품(G1)은 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동하여 유지부(210)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이 경우, 힘이 과하여 판매 상품(G1)이 유지부(210)를 지나쳐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할 때까지 전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구 조정 부재(10A)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동한 후에 유지부(210)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제1 스토퍼 부재(2)의 유지부(210)에 유지된 상태에서 판매 상품(G1)은 전동 가능한 상태에 있고, 외력이 주어진 경우에는 전동하는 것이다. 또,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에 착지했을 때의 반동은, 품절 검출 스위치(8)에서의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된 상품 검지 레버(8B)에 의해 저지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매 순위 2번이 되는 상품[다음 판매 상품(G2)]이 로딩되면 상기 다음 판매 상품(G2)은 판매 상품(G1)의 위에 낙하한다. 이 경우, 판매 상품(G1)의 위에 낙하하는 다음 판매 상품(G2)의 무게 중심(G20)이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의 연직선 상에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판매 상품(G1)이 다음 판매 상품(G2)으로부터 도피(이격)하도록 전동[도 15의 (b)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냄]하여 다음 판매 상품(G2)과의 충격을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다음 판매 상품(G2)에 대한 반력이 억제되어 다음 판매 상품(G2)의 반동이 방지된다. 즉, 다음 판매 상품(G2)이 판매 상품(G1)에 충돌한 충격에 의해 다음 판매 상품(G2)이 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판매기에 당초에 상품을 로딩할 때, 혹은 상품 수납 랙(108)에 대한 상품의 교체시에 상품을 로딩할 때에도 상품 수납 통로(83)에 상품을 안정적인 옆으로 눕힌 자세로 겹쳐 쌓아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의 (e)에 나타낸 비교예로서의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와 대비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과 출구 조정 부재(10A)에 P1, P2의 2점에서 접촉하고 지지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점에서, 다음 판매 상품(G2)이 판매 상품(G1)의 위에 낙하했을 때에 충격이 분산되는 경우가 없고 그대로 반력으로서 다음 판매 상품(G2)에 가해져 크게 반동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 판매 상품(G2)이 판매 상품(G1)의 위에 낙하한 경우에는 판매 상품(G1)이 다음 판매 상품(G2)으로부터 도피(이격)하도록 전동하여 다음 판매 상품(G2)과의 충격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다음 판매 상품(G2)에 대한 반력이 억제되어 다음 판매 상품(G2)의 반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다음 판매 상품(G2)이 판매 상품(G1)의 위에 겹쳐 쌓였을 때, 판매 상품(G1)이 다음 판매 상품(G2)의 하중에 의해 상품 반출 장치(10)의 기판(1), 혹은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하게 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지만,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에서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상품 수납 통로(83)의 스페이스가 3번째로 로딩된 상품의 기립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충족하지 않고, 상품 반출 장치(10) 영역보다 상부측의 사행한 상품 수납 통로를 구획하는 통로 형성 부재(레일 세그먼트)에 의해 3번째로 로딩된 상품의 기립은 저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판매 상품(G1)의 위에 낙하하는 다음 판매 상품(G2)의 무게 중심(G20)이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의 연직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판매 상품(G1)이 움직이지(전동) 않고 다음 판매 상품(G2)이 반동하여 기립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기판(1) 혹은 출구 조정 부재(10A)의 적절한 위치[제1 스토퍼 부재(2)에 유지된 판매 상품(G1)보다 상측의 위치]에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3)(도 1 참조) 혹은 돌기부(10AA)[도 15의 (d) 참조]를 마련하여, 낙하하는 다음 판매 상품(G2)이 상기 가이드 돌기(13) 혹은 돌기부(10AA)에 접촉하여 다음 판매 상품(G2)의 무게 중심(G20)이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의 연직선 상의 위치에 낙하하는 경우가 없도록 위치를 어긋나게 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다음 판매 상품(G2)이 상품 수납 통로(83)를 낙하할 때에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13) 혹은 돌기부(10AA)를 마련한 경우의 모식도를 도 15의 (c) 및 (d)에 나타낸다. 또, 도 15의 (c) 및 (d)에 있어서, 판매 상품(G1) 및 다음 판매 상품(G2)의 각각의 무게 중심은 검은 원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5의 (c) 및 (d)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3) 혹은 돌기부(10AA)에 다음 판매 상품(G2)이 접촉(1점 쇄선으로 나타냄)하면 다음 판매 상품(G2)이 상기 가이드 돌기(13) 혹은 돌기부(10AA)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다음 판매 상품(G2)의 무게 중심이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의 연직선 상의 위치에 낙하하는 경우가 없도록 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돌기(13) 혹은 돌기부(10AA)에 다음 판매 상품(G2)이 접촉했을 때에 상기 다음 판매 상품(G2)에 회전 운동(흰색 화살표로 나타냄)이 주어지고, 이 다음 판매 상품(G2)의 회전 운동에 의해 판매 상품(G1)의 전동(흰색 화살표로 나타냄)도 촉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은, 도 14에 나타낸 제1 스토퍼 부재(2)에 마련한 유지부(210)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제1 스토퍼 부재(2)에 마려한 유지부(210)가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인데 비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유지부(210A)가 원호형의 오목부를 이루고,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유지부(210B)가 제1 스토퍼 부재(2B)의 선단측에 마련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0B0)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를 이루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는 원호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유지부(210A)의 원호가 판매 상품(G1)의 원호보다 커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판매 상품(G1)이 용이하게 전동 가능해진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의 유지부(210A)의 출구 조정 부재(10A)측의 원호의 가장자리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매 상품(G1)의 직경을 R로 하며, 또한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이 직경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면 출구 조정 부재(10A)까지의 수평 거리(L)가 (L<R/2)로 정해지고,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도 유지부(210B)를 형성하는 돌출부(210B0)의 가장자리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매 상품(G1)의 직경을 R로 하며, 또한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이 직경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면, 출구 조정 부재(10A)까지의 수평 거리(L)가 (L<R/2)로 정해져 있다.
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변형예에 있어서도, 로딩된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에 착지했을 때에 출구 조정 부재(10A)로 치우쳐 상기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한 상태가 된 경우에도 판매 상품(G1)의 무게 중심(G10)(도 14 참조)이 유지부(210A, 210B)의 출구 조정 부재(10A)측의 가장자리보다 출구 조정 부재(10A)와는 반대측[기판(1)측]에 위치함으로써 판매 상품(G1)은 출구 조정 부재(10A)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동하여 유지부(210A, 210B)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로딩된 판매 상품(G1)이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에 착지했을 때에 기판(1)측으로 치우쳐 상기 기판(1)에 접촉한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제1 스토퍼 부재(2)가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어 판매 상품(G1)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수평선보다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동하여 유지부(210A, 210B)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이 경우, 힘이 과하여 판매 상품(G1)이 유지부(210A, 210B)를 지나쳐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할 때까지 전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구 조정 부재(10A)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동한 후에 유지부(210A, 210B)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제1 스토퍼 부재(2)의 유지부(210A, 210B)에 유지된 상태에서 판매 상품(G1)은 전동 가능한 상태에 있고, 다음 판매 상품(G2)이 충돌했을 때에 전동하여 충격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83)에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상품 수납 랙(108)에 탑재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10)로서, 상기 상품 반출 장치(10)는, 상품 수납 통로(83)의 한쪽을 형성하는 기판(1)과,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G1)]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판매 상품(G1)의 유지를 해방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스토퍼 부재(2)와, 판매 순위 2번의 상품[다음 판매 상품(G2)]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8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 부재(3)를 구비하며, 또한 상품 수납 통로(83)의 다른쪽을 형성하는 출구 조정 부재(10A)와 대향 배치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토퍼 부재(2)의 상품 배치면(21A)은, 다음 판매 상품(G2)이 겹쳐 쌓이지 않고 판매 상품(G1)만이 배치될 때, 상기 판매 상품(G1)이 대향 배치되는 통로 형성 부재[기판(1) 및 출구 조정 부재(10A)]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전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210, 210A, 210B)를 구비함으로써, 제1 스토퍼 부재(2)의 유지부(210, 210A, 210B)에 배치된 판매 상품(G1)은 전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점에서, 다음 판매 상품(G2)이 낙하하여 충돌했을 때에 전동하여 충격을 분산시켜 다음 판매 상품(G2)의 반동, 즉 다음 판매 상품(G2)에 대한 반력을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스토퍼 부재(2)의 개량만으로 다음 판매 상품(G2)의 기립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제1 스토퍼 부재(2) 및 제2 스토퍼 부재(3)의 구동 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5)를 이용한 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구동 수단은 모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품의 로딩에 관해, 상품 수납 통로(83)에 상품이 없는 상태로부터 상품이 로딩되는 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상품 수납 통로(83)에 수납된 상품이 품절된 후에 상품을 보충(로딩)할 때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즉, 상품 수납 통로(83)에 수납된 상품[판매 상품(G1)]이 나머지 1개가 된 것을 검지하는 품절 검출 스위치(8)의 동작에 의해 상품 품절이 되었을 때, 제1 스토퍼 부재(2)의 유지부(210, 210A, 210B)에 배치된 판매 상품(G1)은 전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점에서, 다음 판매 상품(G2)(상품 품절 후에 최초로 로딩되는 상품)이 낙하하여 충돌했을 때에 전동하여 충격을 분산시켜 다음 판매 상품(G2)의 반동, 즉 다음 판매 상품(G2)에 대한 반력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기판(통로 형성 부재) 2 : 제1 스토퍼 부재
3 : 제2 스토퍼 부재 4 : 베어링부
5 : 솔레노이드(구동 수단) 6 : 링크 기구
7 : 회동 스토퍼 9 : 홀더
10 : 상품 반출 장치 10A : 출구 조정 부재(통로 형성 부재)
21A : 상품 배치면 40 : 베어링 유지부
50 : 베어링 부재 83 : 상품 수납 통로
108 : 상품 수납 랙 210, 210A, 210B : 유지부
G1 :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
G2 : 판매 순위 2번의 상품(다음 판매 상품)

Claims (4)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겹쳐 쌓아 수납하는 상품 수납 랙에 탑재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상기 상품 반출 장치는,
    상품 수납 통로의 한쪽을 형성하는 기판과,
    판매 순위 1번의 상품(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판매 상품의 유지를 해방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스토퍼 부재와,
    판매 순위 2번의 상품(다음 판매 상품)을 유지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다음 판매 상품의 유지를 해방하는 양태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 부재
    를 구비하며,
    상품 수납 통로의 다른쪽을 형성하는 출구 조정 부재와 대향 배치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은, 다음 판매 상품이 겹쳐 쌓이지 않고 판매 상품만이 배치될 때, 상기 판매 상품이 대향 배치되는 출구 조정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전동(轉動)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에 형성한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제1 스토퍼 부재의 상품 배치면에 형성한 원호형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제1 스토퍼 부재의 선단측에 마련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20150154393A 2014-11-07 2015-11-04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226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7000 2014-11-07
JP2014227000A JP6447025B2 (ja) 2014-11-07 2014-11-07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070A KR20160055070A (ko) 2016-05-17
KR102265157B1 true KR102265157B1 (ko) 2021-06-16

Family

ID=5591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393A KR102265157B1 (ko) 2014-11-07 2015-11-04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11965B2 (ko)
JP (1) JP6447025B2 (ko)
KR (1) KR102265157B1 (ko)
CN (1) CN105590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6265B (zh) * 2015-02-27 2021-04-27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排出装置
JP6686397B2 (ja) * 2015-12-03 2020-04-22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8049512A (ja) * 2016-09-23 2018-03-29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US10490014B2 (en) 2016-12-16 2019-11-26 Pepsico, Inc. Lean vending machine
JP2019021030A (ja) * 2017-07-18 2019-02-0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JP6984266B2 (ja) * 2017-09-15 2021-12-1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11727464B (zh) * 2017-12-07 2022-05-10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
CN110211284B (zh) * 2019-05-20 2021-03-02 厦门金蝈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货品搁挡式出货装置
CN110379072B (zh) * 2019-06-27 2021-03-16 滕国旗 出货装置
CN113744454B (zh) * 2020-05-28 2023-08-18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收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955A (ja)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37B1 (ko) * 1988-11-10 1992-09-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자동판매기
KR100186377B1 (ko) * 1995-06-20 1999-04-15 이종수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반출 장치
JP3781548B2 (ja) 1998-03-16 2006-05-31 株式会社クボタ 自動販売機
JP2001034831A (ja) * 1999-07-26 2001-02-09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US7032776B2 (en) * 2002-08-08 2006-04-25 The Vendo Company Vending machine bucket drive control
JP4101065B2 (ja) * 2003-01-08 2008-06-11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US7604145B2 (en) * 2005-10-14 2009-10-20 Dixie-Narco, Inc. Drive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assembly
US9082254B2 (en) * 2010-03-16 2015-07-14 The Coca-Cola Company Vendor
JP5621430B2 (ja) * 2010-09-10 2014-11-12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659745B2 (ja) * 2010-12-03 2015-01-2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2014194677A (ja) * 2013-03-29 2014-10-09 Kubota Corp 自動販売機
JP6273939B2 (ja) * 2014-03-19 2018-02-0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955A (ja)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0370B (zh) 2019-11-26
JP6447025B2 (ja) 2019-01-09
JP2016091408A (ja) 2016-05-23
KR20160055070A (ko) 2016-05-17
CN105590370A (zh) 2016-05-18
US9811965B2 (en) 2017-11-07
US20160133083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157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US7823749B2 (en) Product positioning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JP2012221056A (ja) 自動販売機
JP5659745B2 (ja) 自動販売機
JP572043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12118902A (ja) 自動販売機
JP670786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656178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06991759B (zh) 自动售货机的商品送出装置
JP6136850B2 (ja) 自動販売機
JP624496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07016792B (zh) 圆筒形轴状部件和使用其的自动售卖机的商品送出装置
JP639015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627388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9096184A (ja) 自動販売機
CN108062826B (zh) 带头部的圆筒形轴状构件和自动售货机的商品输出装置
JP594901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2118899A (ja) 自動販売機
JP6123628B2 (ja) 自動販売機
JP567860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6638279B2 (ja) 自動販売機
JP668234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561405B2 (ja) 自動販売機の直積式商品収納ラック
JP544481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0250485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